맨위로가기

이지투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지투온은 2007년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온라인 리듬 게임이다. 2009년 서비스 종료 이후 2013년에 한 차례 리부트되었으나 다시 종료되었고, 2021년 'EZ2ON REBOOT: R'이라는 이름으로 세 번째 부활했다. 이 게임은 화면에서 내려오는 노트를 정해진 시간에 맞춰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싱글 플레이와 최대 8인까지 가능한 멀티 플레이를 지원한다. 다양한 키 모드를 지원하며, 플레이어의 레벨은 일반 레벨과 EXR로 나뉘어, EXR은 사용자 간 실력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게임 - Tokyo 7th 시스터즈
    Tokyo 7th 시스터즈는 2034년을 배경으로 아이돌 유닛을 육성하여 새로운 아이돌 시대를 개척하는 여정을 그리는, 모기 신타로 기획 및 Donuts 개발의 리듬 게임 및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음악 게임 - CHUNITHM
    CHUNITHM은 세가가 제작한 아케이드 리듬 게임으로, 화면 상단에서 내려오는 노트를 터치, 슬라이드, 공간 센서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며, 다양한 노트와 6단계 난이도, 랭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와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한다.
  • 온라인 게임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 온라인 게임 - 리프트 온라인
    리프트 온라인은 텔라라라는 판타지 세계에서 멸망의 용에 맞서 싸우는 승천자가 되어,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균열 봉인, 던전 공략, 직업 및 영혼 조합을 통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특징으로 하는 MMORPG이다.
  • 2007년 비디오 게임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는 2007년에 출시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현대전을 배경으로 하며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과 혁신적인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여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2007년 비디오 게임 - 노다메 칸타빌레
    니노미야 도모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는 지휘자를 꿈꾸는 엘리트 음대생 치아키 신이치와 엉뚱한 천재 피아니스트 노다 메구미의 만남과 성장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다양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유쾌한 코미디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전개되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지투온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EZ2ON 로고
EZ2ON 로고
장르음악 게임, 리듬 게임
모드싱글 플레이, 멀티플레이 (2~8인)
언어한국어
이용가 등급GRB: 전체 이용가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미디어내려받기
입력 장치컴퓨터 자판, 전용 컨트롤러
원작이지투디제이
개발 정보
개발사레트로게임즈(초기)
톡톡플러스(리부트)
네오노비스(리부트:R)
배급사유플레이(초기)
에스지인터넷(리부트)
출시2007년
2013년
2022년
시스템 요구 사양
최소 사양펜티엄 3 1GHz, 램 256MB, 지포스 440 또는 레이디언 9xxx 64MB, HDD 여유공간 2Gbyte, 다이렉트엑스 9.0
권장 사양펜티엄 4 2.4GHz, 램 512 MB, 지포스 5200 또는 레이디언 9xxx 128MB, 여유공간 2Gbyte, 다이렉트엑스 9.0

2. 역사

이지투온은 여러 차례 서비스를 중단하고 재개하는 과정을 거쳤다. 2007년 처음 서비스를 시작하여 2009년에 종료되었고, 2013년에 '리부트'라는 이름으로 다시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같은 해 다시 종료되었다. 2021년에는 '리부트: R'이라는 이름으로 스팀을 통해 다시 출시되어 현재까지 서비스되고 있다.

각 서비스 시기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1. 2007년~2009년: 초기 서비스

2007년 11월 23일, 게임 전문 미디어 포털 사이트 게임메카를 통해 Ez2on Online Trax 티저 영상이 공개되었고, 11월 27일에는 티저 홈페이지가 열렸다. 12월 3일에는 공식 홈페이지가 오픈되어 Free Open Beta Test를 준비했다. 2007년 12월 14일부터 12월 17일까지, 그리고 2008년 2월 1일부터 4일까지 1차와 2차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5월 8일부터 6월 9일까지 Last FBT Test를 통해 모든 테스트를 마쳤다.

7월 24일, 드림라인의 게임 포털 유플레이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고, 7월 25일에는 티저 사이트를 오픈하여 정식 오픈 베타 서비스를 예고했다. 7월 28일에는 EZ2ON 공식 홈페이지가 리뉴얼되었다. 당초 7월 31일에 정식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폭발적인 동시 접속자 수로 인해 8월 5일로 연기되었다. 그러나 8월 5일에도 서버 증설에도 불구하고 다시 서버 폭주가 발생하여 서비스가 또다시 연기되었다. 8월 6일, 서버 폭주 문제가 해결되어 마침내 정식 오픈 베타가 시작되었고, 모든 베타 테스트를 거쳐 12월 23일에 정식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이지투디제이의 1st부터 7th까지의 음원을 중심으로 업데이트하고, 중간중간 이지투온의 오리지널 신곡을 추가할 예정이었다. 또한, 독도는 우리 땅 노래가 이지투온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2009년 9월 18일부터 캐시 아이템 구입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2009년 10월 19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 2. 2013년: 리부트

2012년 6월 15일, '톡톡플러스'에서 이지투온의 서비스 재개 소식을 발표하였다.[1] 9월 18일에는 홈페이지를 오픈하였고, 2013년 1월 18일 비공식 서비스 일정을 공지하였다.[1] 2013년 1월 22일 오후 1시 55분부터 비공식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나 서버 폭주로 인해 오후 3시와 6시에 서버 증축이 이루어졌다.[1] 2013년 1월 27일 오후 10시, 오픈 베타 서비스가 중지되었다.[1]

2013년 4월 4일 오전 11시, 스마일게이트가 운영하는 온라인 게임 사이트 에스지인터넷이 이지투온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고 브랜드 사이트를 오픈하였다.[1] 미성년자 가입 문제로 본인 인증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2013년 5월 22일 문제가 해결되어 14세 미만과 14~18세 미만 회원도 가입이 가능하게 되었다.[1] 2013년 5월 29일 오후 12시 12분에 공식 홈페이지가 리뉴얼 오픈되었다.[1]

2013년 6월 13일부터 16일까지 1차 CBT 테스트가 진행되었다.[1] 6월 13일과 14일은 오후 11시까지, 15일과 16일은 주말 동안 무정지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6월 16일 11시에 테스트가 종료되었다.[1] 2013년 7월 9일, 티저 및 정식 오픈 일정이 공개되었고, 7월 16일에 이지투온 정식 서비스(OBT)가 시작되었다.[1] 그러나 2013년 11월 29일 오후 4시에 서비스 종료 공지가 올라왔고, 2013년 12월 30일 오후 4시에 서비스가 다시 종료되었다.[1]

2. 3. 2021년: 리부트: R

2019년 8월 19일, 네오노비스(대표 전경수)는 ㈜싸이칸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한 온라인 게임 '라임오딧세이'와 '이지투온'의 IP(지식재산권)에 대한 독점적인 사용권을 계약했다고 밝혔다. 네오노비스 전경수 대표는 "'라임오딧세이'와 '이지투온'의 IP를 활용하여 직접 개발 및 IP 홀더 역할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중국의 유명 개발사와 '라임오딧세이' 모바일에 대한 MOU를 체결하였으며, '이지투온'은 자체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2020년 상반기 스팀 버전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이지투온'의 보유 음원을 타 리듬게임에 제공하는 등 콜라보레이션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1] 이후 서비스 퍼블리싱 계약도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10월 1일에는 IP를 이용한 모바일 버전도 추가로 개발된다고 발표했다.

2020년 4월 1일, SmartPC사랑과의 직접 문의를 통해 7월 말까지 얼리 액세스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한다고 밝혔다.[1] 2020년 7월 12일, 공식 페이스북에서 '이지투온'의 세 번째 이름인 'EZ2ON REBOOT: R'이 발표되었고, 플레이 스크린샷에서는 기존 시스템을 개편하여 EZ2AC EVOLVE와 DJMAX RESPECT V와 동일한 체제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제작진 측은 예정된 얼리 액세스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2021년 3월 1일, 유튜브 공식 채널에서 공식 오피셜 영상이 공개되어 오랜 연기와 수정 끝에 3월 17일로 출시가 확정되었다. EZ2AC 개발사인 '스퀘어 픽셀즈'도 공동 개발에 참여했다. 3월 17일 얼리 액세스를 시작했으나, 초기에는 심한 렉과 긴 로딩으로 인해 플레이가 원활하지 않아 혹평을 받았다. 그러나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점차 개선되었다. 현재 예정된 DLC는 9월 말로 예정되어 있다.

3. 게임 시스템

이지투온은 음악에 따라 내려오는 노트가 판정선 부분에 닿았을 때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는 방식의 리듬 게임이다. 키를 입력할 때마다 정확도에 따라 KOOL, COOL, GOOD, MISS, FAIL로 판정된다. MISS 이하의 판정을 받으면 HP가 내려간다. 곡이 끝날 때까지 HP를 전부 소진하지 않으면 게임을 클리어한 것이 된다. 게임을 클리어한 후에는 결과 화면에서 플레이 내용에 따라 A+, A, B, C, D와 같은 등급을 판정받고, 일정량의 코인과 경험치를 받는다. 단, 중간에 HP가 모두 소진돼서 '게임오버'가 되거나, 클리어를 했지만 성적이 너무 저조하면 F등급을 받는다.[1]

게임 모드에는 싱글 플레이와 멀티 플레이가 있다. 멀티 플레이는 최소 2인, 최대 8인까지의 대결을 지원하며 플레이하지 않고 다른 플레이어들의 플레이를 보기만 할 수도 있다. 난이도는 곡별로 EZ(Easy), NM(Normal), HD(Hard), SHD(Super Hard)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1]

곡의 플레이 횟수는 각 곡마다 할당된 DJ Point로 제한되는데, 곡을 플레이할 때마다 그 곡의 DJ Point가 하나씩 감소한다. 게임에서 레벨이 하나씩 오를 때마다 여분의 DJ Point가 늘어나서 원하는 곡의 DJ Point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어떤 곡의 DJ Point가 0이 될 경우, 여분의 DJ Point를 투자하거나 다른 플레이어가 생성한 배틀 방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단, DJ Point가 없는 상태에서 해당하는 곡을 배틀 방에서 플레이할 경우 대신 코인이 차감된다. 그리고 자신이 방장인 상태에서 DJ Point가 없다면 해당하는 곡을 고를 수 없다.[1]

플레이어들의 레벨은 일반 레벨과 EXR로 나뉜다. 일반 레벨은 플레이로 얻는 경험치의 양에 따라 결정되고, EXR은 플레이어가 올콤보를 기록한 곡 중 최고 레벨의 곡의 레벨에 따른다. EXR 제도는 사용자 간의 실력을 알아보기 위해 추가되었으며 추가적으로 EXR의 차이로 인한 채널 입장의 제한, 곡의 해금 등을 결정하는 또 하나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1]

4. 키 조작

이지투온은 다양한 키 모드를 지원한다.


  • '''4K''' (구 Ruby Mix): 4개의 키 (ON Type의 경우 D, F, J, K, AC Type의 경우 Shift, Z, S, X)를 이용하는 모드이다.
  • '''5K''' (구 Street Mix): 5개의 키 (ON Type의 경우 D, F, Space, J, K, AC Type의 경우 Z, S, X, D, C)를 이용하는 모드이다.
  • '''6K''' (구 Club Mix): 6개의 키 (ON Type의 경우 S, D, F, J, K, L, AC Type의 경우 Shift, Z, S, X, D, C)를 이용하는 모드이다.
  • '''8K''' (구 Club Mix 8K Mode): 8개의 키 (ON Type의 경우 A, S, D, F, J, K, L, ;, AC Type의 경우 Shift, Z, S, X, D, C, F, V)를 이용하는 모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