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우리 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도는 우리 땅〉은 1982년 박인호가 작사·작곡하고 정광태가 부른 노래로, 독도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을 강조한다. 이 노래는 1983년 KBS 가요대상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1998년 정광태가 독도로 본적을 옮기는 등 독도 관련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리메이크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가사가 일부 변경되기도 했다. 이 노래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독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으며, 플래시몹과 선거송으로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정광태의 입국이 금지되는 등 논란이 있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 관한 노래 - 미스터 프레지던트
미스터 프레지던트는 김형석이 작곡한 오케스트라 곡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을 상징하며 믹솔리디안 선법과 웅장한 금관악기, 섬세한 목관 및 현악기 사용을 통해 2017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초연된 후 다양한 행사에서 연주되었다. - 대한민국에 관한 노래 - 대한민국의 국가
대한민국의 국가는 윤치호와 안창호 작사설이 있는 미상 작사의 가사에 안익태가 곡을 붙여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사실상 국가로 사용되지만, 작사 및 작곡가 논쟁, 표절 시비, 친일 논란 등 다양한 논쟁을 내포하고 있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노래이다. - 독도 갈등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 독도 갈등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독도는 우리 땅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곡명 | 독도는 우리 땅 |
로마자 표기 | Dokdo-neun Uri Ttang |
가수 | 정광태 |
발매일 | 1982년 6월 20일 |
장르 | 팝 음악 |
언어 | 한국어 |
음반 | Funny Songs and Unfunny Songs |
레이블 | Daesung Records |
작사가 | 박문영 |
작곡가 | 박문영 |
관련 영상 |
2. 역사
〈독도는 우리 땅〉은 1982년 KBS 코미디 프로그램 《유머 1번지》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박인호 PD가 작사, 작곡하였다.[22] 원래는 임하룡, 장두석, 김정식, 정광태가 함께 불렀으나, 음반 제작 시에는 정광태 혼자 부르게 되었다.[22] 정광태는 이 노래로 1983년 KBS 가요대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2]
정광태는 1983년 7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동안 이 노래가 방송 금지 상태였다고 주장했으나,[23] 대한민국 외교통상부는 2001년에 이를 부인했다.[24] 이는 당시 전두환 군사정권이 일본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내린 조치로 추정된다.[3][4]
1998년, 정광태는 독도로 본적을 옮기고 초등학교 순회 강연을 하는 등 독도 관련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25][26][27]
2. 1. 여러 버전
"독도는 우리 땅"은 여러 가수들에 의해 여러 번 다시 불리고 재발매되었다. 노래의 인기에 힘입어 원곡이 담긴 앨범은 다음 해에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발매되었다. 이 노래는 2012년, 발매 30주년을 기념하여 다시 만들어졌다.[5]1985년 6월 5일, 정광태의 두 번째 앨범 '정광태 골든'(정광태 골든한국어)에 "독도는 우리 땅"이 수록되어 발매되었다.[6] 1996년에는 대한민국의 힙합 그룹 DJ DOC가 이 노래를 다시 녹음하여 "대한민국 만세"(대한민국 만세한국어) 앨범에 수록하여 발매했다.[7]
3. 가사
이 노래는 독도의 지리, 환경, 역사적 사실들을 언급하며 한국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뒷받침한다.[8] 템포가 빨라 한국에서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르는 사람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19]
1982년 코미디언 정광태가 처음 불렀으며, 당시에는 한일 간 독도 문제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18] 디스코 리듬의 트로트풍 선율과 지리, 환경, 역사 등을 나열한 가사로 인기를 얻었다. 1984년에는 조영남(趙英男)과 김도향(金道鄕)이 듀엣으로 부른 버전이 조영남의 앨범에 수록되었다.[18] 1996년부터 초등학교 교과서에 가사가 실렸고, 노래비도 세워졌으며, 다른 가수들의 커버곡과 일본어 번역 버전도 발표되었다.[20]
가사는 1절부터 5절까지 독도의 지리, 환경, 역사, 그리고 일본의 주장에 대한 반박을 담고 있다.
야마다 요시히코(山田吉彦)는 자신의 저서에서 가사 1절의 '외로운 섬 하나'는 섬 이름의 유래를 설명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독도는 동도와 서도 두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로운 섬 하나'가 아니라고 지적했다.[19]
2절에는 독도의 주소가 표시되어 있으며(버전에 따라 다름), 독도가 울릉도의 부속섬인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19]
4절 전반부는 지증왕(智證王) 치세인 513년에 우산국(于山國)이 신라 영토가 되었고, 1454년 세종실록 지리지 50쪽 3행에 기록된 "우산국"이 "독도"라는 주장에 근거한다.[18]
2019년 한국 영화 기생충에는 "독도는 우리 땅"의 멜로디를 딴 개사곡이 나오며, 일본에서도 그대로 공개되었다. 봉준호 감독은 문재인(文在寅) 대통령 주최 오찬에서 "일본 관객들도 그것을 부른다고 합니다"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지만, FNN(フジニュースネットワーク) 서울 지국장 와타나베 야스히로는 이를 "일본 관객을 조롱 또는 조소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21]
3. 1. 내용 구성
1절은 울릉도에서 87km 떨어진 곳에 독도가 있으며, 새들의 고향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2절에서는 독도의 지리적 위치(동경 132도, 북위 37도)와 기후(평균 기온 13도, 강수량 1800)를, 3절에서는 독도의 생물(오징어, 꼴뚜기, 대구, 홍합, 따개비)과 주민(최종덕, 김상도)을 언급한다. 4절에서는 지증왕 13년 우산국이 신라에 복속되었고, 세종실록지리지에 강원도 울진현으로 기록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제시하며, 하와이는 미국 땅, 대마도는 조선 땅이라고 주장한다. 5절에서는 러일 전쟁 직후 일본이 독도를 주인 없는 땅이라 주장하는 것을 비판하며, 신라 장군 이사부가 지하에서 웃을 것이라고 말한다.[8]3. 2. 가사 변경
시대에 따라 원곡 가사의 세부 내용이 약간 변경된 버전이 여러 개 존재한다. 원곡의 4절 후반부에는 "쓰시마섬(対馬島)은 일본 영토"라는 구절이 있었으나, 1996년 한국 힙합 그룹 DJ DOC가 발표한 '대한민국 만세'에 수록된 버전에서는 해당 부분을 "쓰시마섬은 모르겠지만"으로 바꿔 불렀다.[18] 이후 "쓰시마섬은 우리 땅"으로 개사되어 그 주장을 더욱 강화했다.[18]4. 영향
〈독도는 우리 땅〉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독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32][33][34] 1999년 국가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이 즐겨 부르는 남한 가요 5곡 중 하나로, 북한에서도 인기가 높았다.[29]
1996년부터 초등학교 교과서에 가사가 실렸고, 독도 노래비가 건립되었다.[30] 이지투온에 이 노래가 수록되었고,[35]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한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예행 연습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10] 또한 독도 관련 플래시몹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8][11] 독도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 주장을 알리는 데 활용된다.
이 노래의 멜로디는 한국 학생들이 정보 암기 도구로 흔히 사용한다.[12] 2019년 영화 기생충에서 최우식과 박소담이 이 노래를 변형하여 기억술 도구로 사용하였고, "제시카 징글"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에서 유명해졌다.[12][5] 202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황교안과 더불어민주당 송영길이 이 노래를 변형한 버전을 선거송으로 채택했다.[15][16]
4. 1. 일본에서의 반응
정광태는 이 노래를 불러 일본으로의 입국이 금지되었다.[31] 1989년 정광태는 이 노래 때문에 일본 입국이 거부되었다.[5]야마다 요시히코(山田吉彦)는 자신의 저서에서 "가사 1절에 등장하는 '외로운 섬 하나'는 섬 이름의 유래를 설명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렇다면 독도는 분명 독도가 아니다. 독도는 서도와 동도의 '두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로운 섬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19]
이벤트 프로듀서 사노 요이치(佐野良一)는 "현대코리아(現代コリア)" 지면에서 "'쓰시마섬은 우리 땅'으로 개사된 것을 "울분 해소"라고 부르며, 중·고등학생들의 부드럽고 순수한 감성에, 매우 단순하고 수준 낮은 "한국은 정의, 일본은 악"이라는 도식을 반복적으로 주입하는 일종의 "마약"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며 비판하고 있다.[18]
2019년 한국 영화 기생충에서는 "독도는 우리 땅"의 멜로디를 딴 개사곡이 불리는 장면이 있으며, 일본에서도 그대로 공개되었다. 봉준호 감독은 문재인(文在寅) 대통령 주최 오찬에서 "일본 관객들도 그것을 부른다고 합니다"라고 말해 참석자들의 웃음을 자아냈지만, FNN(フジニュースネットワーク) 서울 지국장 와타나베 야스히로(渡邊康弘)는 이 대화를 "일본 관객을 조롱 또는 조소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21]
5. 논란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조혜련이 이 곡을 《히라가나 송》으로 개사하면서 논란이 일었다.[8][12][9] 이는 독도 문제의 민감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솔한 행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202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의 황교안과 더불어민주당의 송영길이 이 노래를 변형한 버전을 선거송으로 채택하여 논란이 되었다.[15][16] 이는 노래의 정치적 중립성 훼손 및 과도한 민족주의 정서 고취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2019년 한국 영화 기생충에서는 "독도는 우리 땅"의 멜로디를 딴 개사곡이 불리는 장면이 있다. FNN(フジニュースネットワーク) 서울 지국장 와타나베 야스히로(渡邊康弘)는 이를 두고 "일본 관객을 조롱 또는 조소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21]
참조
[1]
서적
Resource Management and Contested Territories in East Asia
http://link.springer[...]
Palgrave Macmillan UK
2013
[2]
웹사이트
독도는 우리 땅
https://m.khan.co.kr[...]
2023-03-01
[3]
논문
The Politics of the Dokdo Issue
https://www.cambridg[...]
2005
[4]
서적
Asian Nationalisms Reconsidered
https://www.taylorfr[...]
Routledge
[5]
웹사이트
'독도는 우리땅' 의 정광태
https://www.yeongnam[...]
Yeongnam Ilbo
2023-03-01
[6]
웹사이트
김치 주제가, 짜라빠빠, 힘내라 힘, 코끼리 아저씨 모두 정광태 노래??
https://www.ytn.co.k[...]
2023-03-01
[7]
뉴스
On-line Music Market Heats Up with "Dokdo Love"
http://rki.kbs.co.kr[...]
2005-03-09
[8]
논문
Assimilating Dokdo: The Islets in Korean Everyday Life
https://www.asianetw[...]
2016-03-01
[9]
논문
Everyday Politics of "Dokdo" and South Korean National Identity: An Analysis of Education, Media, and Civil Society
https://brill.com/vi[...]
2019-05-09
[10]
논문
Commodifying Colonial Histories: Korea Versus Japan and the Re/Productions of Colonial Violence in the World Baseball Classic
http://journals.sage[...]
2012
[11]
서적
Asian Nationalisms Reconsidered
https://www.taylorfr[...]
Routledge
[12]
뉴스
Doorbell song, chapaguri from 'Parasite' become talk of town
https://en.yna.co.kr[...]
2023-03-01
[13]
뉴스
'Ding-dong': Jessica's doorbell jingle from Parasite hits the internet
https://www.scmp.com[...]
2023-03-01
[14]
서적
The Soft Power of the Korean Wave: ''Parasite'', BTS and Drama
https://www.taylorfr[...]
Routledge
[15]
웹사이트
미래통합당, 황교안이 직접 부른 '독도는 우리땅' 노래로 선거운동
https://www.asiae.co[...]
2023-03-05
[16]
웹사이트
민주당 송영길 계양구을 후보, 선거 로고송 시리즈 눈길
https://www.kyeonggi[...]
2023-03-05
[17]
간행물
韓国のラップグループ、竹島問題を歌う(in・short)
1996-06-17
[18]
웹사이트
鬱憤晴らしの「独島は我が地」
https://web.archive.[...]
[19]
문서
山田(2013)pp.173-174
[20]
뉴스
[芸能]歌手ソヒ、2010年版「独島はわが領土」発表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0-04-26
[21]
웹사이트
映画『パラサイト』で「独島ソング」…大統領主催昼食会で監督らが日本の観客嘲笑か?
https://www.fnn.jp/a[...]
2020-02-21
[22]
웹사이트
https://news.v.daum.[...]
[23]
뉴스인용
http://www.ohmynews.[...]
2008-03-14
[24]
뉴스인용
http://www.ohmynews.[...]
2008-08-08
[25]
웹인용
https://www.chosun.c[...]
2024-09-15
[26]
웹인용
https://www.hankooki[...]
2024-09-15
[27]
웹인용
https://www.hani.co.[...]
2024-09-15
[28]
웹인용
https://blog.naver.c[...]
2024-09-15
[29]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30]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31]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32]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33]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34]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35]
웹인용
https://ascen2sky.ti[...]
2024-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