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카운터 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카운터 그룹은 1914-15년 J.L. 모레노에 의해 개념화된 만남을 기반으로 하는 훈련 방식으로, T-그룹, 감수성 훈련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T-그룹은 참가자들이 감정을 공유하고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배우는 훈련 집단으로, 1940년대 후반 쿠르트 레빈에 의해 시작되었다. 인카운터 그룹은 미국, 일본, 한국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으며, 팀 빌딩 및 기업 문화 계획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자기 노출을 강조하는 훈련 방식 때문에 논란이 있으며, 종교적 목적으로도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군 - 괌 해군기지
    괌 해군기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건설되어 "태평양 슈퍼마켓"이라고도 불리며, 제7함대와 버지니아급 잠수함이 배치된 전략적 요충지이지만, 기지 확장으로 인해 괌 주민들의 반대에 직면하고 있고 한미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국 해군 - 미국 국방대학교
    미국 국방대학교는 국가 안보 전략 개발 및 고위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교육, 연구,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미국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인카운터 그룹
개요
종류집단 훈련 형태
목적자기 이해 및 집단 역학 이해 증진
특징참가자 중심의 비구조화된 상호작용 강조
역사
기원1940년대 후반, 커트 르윈의 연구에서 시작
발전국립훈련연구소(NTL)를 통해 확산
과정
일반적인 절차참가자들은 비구조화된 집단 상황에서 상호작용
촉진자는 과정 촉진 및 피드백 제공
주요 활동자기 개방
경청
피드백 주고받기
역할극
집단 토론
효과
기대 효과자기 인식 증진
대인 관계 기술 향상
의사소통 능력 향상
리더십 개발
집단 역학에 대한 이해 증진
연구 결과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모두 보고됨
효과는 참가자의 준비성, 촉진자의 역량, 집단 문화에 따라 달라짐
윤리적 고려 사항
주요 윤리적 문제심리적 위험
강압
기밀 유지
촉진자의 전문성
윤리적 지침참가자의 안전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
관련 용어
관련 개념인간 관계 훈련
감수성 훈련
집단 상담
조하리의 창
비판
주요 비판심리적 위험 가능성
효과 측정의 어려움
문화적 편향
촉진자의 역량 부족 문제
참고 문헌

2. 개념

"만남"이라는 개념은 1914-15년 비엔나에서 J.L. 모레노가 Einladung zu einer Begegnungde ("만남에의 초대")에서 처음 구체화했으며, 심리극 치료법으로 발전했다. 1940년대 중반, 모레노의 제자인 쿠르트 레빈은 인간 행동 연구 방법으로 T-그룹(Training Group)을 개척했다. T-그룹은 1947년 미국 해군 연구소와 전미 교육 협회에 의해 메인주 베델에 설립된 국립 훈련 연구소(NTL 연구소)에서 진행되었다. T-그룹은 원래 개인의 기준, 태도 및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는 연구 기법으로 구상되었으나, 이후 정신과 환자가 아닌 사람들을 위한 교육 및 치료 방안으로 발전했다.[3]

만남의 원은 T-그룹 회의를 진행하는 한 가지 방법일 수 있습니다

2. 1. T-그룹 (Training Group)

T-그룹 회의는 명시적인 의제, 구조 또는 표현된 목표를 갖지 않는다. 진행자의 지도 아래, 참가자들은 동료 참가자들의 행동과 발언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감정적 반응(예: 분노, 두려움, 따뜻함 또는 시기심)을 공유하도록 권장된다. 강조점은 판단이나 결론이 아닌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T-그룹 참가자들은 자신의 말과 행동이 자신과 소통하는 사람들의 감정적 반응을 어떻게 유발하는지 배울 수 있다.[3]

2. 2. 그룹 유형

다양한 유형의 그룹이 존재한다.[4][5]

  • 과제 그룹: 현재에 초점을 맞추며, 실행, 활동, 처리를 통한 학습을 포함한다. 일상생활 기술과 작업 기술도 포함한다.
  • 평가 그룹: 그룹의 기술, 행동, 요구 및 기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그룹 과정의 첫 번째 단계이다.
  • 주제 토론 그룹: 모든 구성원이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공유할 수 있는 공통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
  • 발달 그룹: 구성원들이 다른 구성원과의 순차적으로 조직된 사회적 상호 작용 기술을 개발하도록 장려한다.
  • 병렬 그룹: 개별 과제를 나란히 수행하는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 프로젝트 그룹: 과제 완수에 중점을 두며, 공유된 재료 및 도구, 작업 공유와 같은 상호 작용이 포함될 수 있다.
  • 자기 중심 협동 그룹: 구성원이 과제를 선택하고 실행하도록 요구한다. 과제는 더 장기적이며 사회화가 필요하다.
  • 협동 그룹: 치료사는 조언자 역할만 하며, 구성원은 과제 완수와 함께 서로의 사회적 및 정서적 요구를 식별하고 충족하도록 권장된다. 협동 그룹의 과제는 사회적 측면보다 부차적일 수 있다.
  • 성숙 그룹: 치료사는 동등한 구성원이며, 그룹 구성원은 과제 완수와 구성원의 요구 충족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모든 리더십 역할을 수행한다.
  • 자조 그룹: 지지적이고 교육적이며, 알코올 중독자 익명 모임과 같이 단일의 주요한 삶을 방해하는 문제에 대한 개인적 성장에 초점을 맞춘다.
  • 지원 그룹: 위기에 처한 다른 사람들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며, 위기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 돕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자조 그룹보다 앞서 진행된다.
  • 옹호 그룹: 자신을 변화시키기보다는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즉,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 정신 치료 그룹: 과거의 갈등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개인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춘다.[6]


미국과 일본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미국일본
인간 잠재력 운동 전체[16]스몰 인텐시브 그룹(Small Intensive Group, 집중적인 소규모 그룹 체험)[16]베이직 엔카운터 그룹(Basic Encounter Group, 기본적인 엔카운터 그룹, 비구성적 엔카운터 그룹)[16]
베이직 엔카운터 그룹(Basic Encounter Group)[16]구성적 엔카운터 그룹(구성적 그룹 엔카운터)[16]



일본에서는 구성적 엔카운터 그룹을 포함하여 엔카운터 그룹이라고 부른다.[17]

3. 발전 양상

T-그룹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소규모 그룹 역학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점차 자기 이해와 대인 관계 의사 소통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팀 빌딩 및 기업 문화 계획의 전신이 되었다.

인카운터 그룹 운동은 상업화되어 대규모 그룹 인식 훈련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인카운터 그룹은 T-그룹과 달리 그룹 역학보다는 각 참여자가 자신의 감정을 가능한 한 깊고 자발적으로 이야기하고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13]

3. 1. 미국

미국에서는 T-그룹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그룹 역학에 초점을 맞춘 형태였으나, 점차 자기 이해와 대인 관계 의사 소통 발전을 목표로 하는 그룹으로 변화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산업계에서 널리 활용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팀 빌딩 및 기업 문화 형성의 기반이 되었다.[7]

로버트 P. 크로스비는 "Tough Stuff™" 워크숍을 통해 개방성 문제를 다루는 T-그룹을 발전시켰다. 크로스비는 개인적인 이야기보다는 즉각적인 상호 작용과 그룹 경험에 집중하도록 했다.[7] 대인 관계 간극 모델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은 상호 작용에 대해 배우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구조를 제공받았다.[8] 크로스비는 쿠르트 레빈의 동료들로부터 지도를 받았으며, T-그룹을 커리큘럼의 핵심 요소로 활용했다.[9] 그는 원자력 규제 위원회에 의해 폐쇄된 피치 바텀 원자력 발전소의 전환 과정 등 다양한 비즈니스 문화 변화에 T-그룹을 활용했다.[10]

또한, 긍정적 탐구 인간 상호 작용 연구소는 강점 기반 학습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 T-그룹을 운영한다. 이는 고전적인 T-그룹의 가치와 경험적 학습 모델을 공유하는 NTL T-그룹의 변형이다.

인카운터 그룹 운동은 상업화되어 대규모 그룹 인식 훈련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는 누드 인카운터 그룹, 마라톤 인카운터 그룹 등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다.[12]

3. 2. 일본

일본에서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엔카운터 그룹이 도입되었으며, 주로 다음 두 가지 형태로 발전했다.[16]

  • 베이직 엔카운터 그룹
  • 구성적 엔카운터 그룹


1969년 칼 로저스에게 유학한 하타세 미노루・하타세 나오코 부부가 일본에 도입·소개했으며, 1970년에 일본에서 처음 실시되었다.[21] 1970년대 후반부터 에살렌 연구소에서 배운 고쿠분 야스다카가 스가누마 겐지 등과 함께 연구와 실천 보고를 잇따라 발표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천 중심으로 서서히 확산되었다. 1981년에 고쿠분 야스다카가 저서를 통해 "구성적 그룹 인카운터"라는 이름으로 소개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9] 쓰쿠바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던 고쿠분 야스다카의 제자들이 교육 현장에서 실천함으로써 보급되었으며, 고쿠분 야스다카의 공헌이 크다.[19]

비구조적 인카운터 그룹에 비해, 할 일이 정해져 있고, 어레인지도 용이하여 실시하기 쉽고, 참가자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퍼실리테이터가 "인간적인 만남의 그룹"이라는 인카운터의 목표를 충분히 자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면, 엑서사이즈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화되는 실패도 일어나기 쉽다.[21]

4. 한국에서의 엔카운터 그룹

한국에서는 1970년대 초 칼 로저스에게 유학한 하타세 미노루・하타세 나오코 부부가 베이직 엔카운터 그룹을 처음 소개했다.[21] 1980년대 쓰쿠바 대학의 고쿠분 야스다카와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구성적 엔카운터 그룹이 교육 현장에 널리 보급되었다.[19] 참여 모델링은 관찰학습과 역할수행이론을 결합하여, 공동 참여자들이 서로에게 효과적인 학습 모델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자조 모임은 특정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동아리와는 달리, 힐링 프로그램의 성격이 강하며, 참가자들의 심리적 치유와 휴식을 돕는다.

5. 논란과 비판

엔카운터 그룹은 자기 노출과 개방성을 강조하는 훈련 방식 때문에 논란이 있다. 일부 조직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개인적인 피드백이 오가기 때문에,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가 진행해야 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엔카운터 그룹 참가자들에게서 심각하고 지속적인 심리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71년의 한 연구[14]에 따르면 엔카운터 그룹에 참여한 정상적인 대학생의 9%가 경험 후 최소 6개월 동안 지속되는 심리적 문제를 겪었다. 가장 위험한 그룹은 참가자들을 꺾기 위해 악랄한 감정적 공격과 공개적인 굴욕을 사용하는 권위주의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가 있었다. 그러나 1975년에 발표된 동료 검토 연구 검토에서는 "감수성 훈련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그룹에 참여하지 않은 동일한 집단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보다 더 자주 발생한다는 결론을 내릴 근거를 제공하는 연구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15]

6. 종교적 이용

바그완 슈리 라즈니쉬(오쇼, 1931년 - 1990년)는 신흥 종교 운동인 오쇼 라즈니쉬 운동에서 엔카운터 그룹을 종교적으로 이용했다.[22] 휴먼 포텐셜 운동의 주요 인물 몇몇이 오쇼 라즈니쉬 운동으로 개종했고, 그들과 함께 많은 참여자들도 운동의 추종자가 되었다.[23]

라즈니쉬의 아쉬람에서는 깨달음을 돕기 위해 휴먼 포텐셜 운동에서 개발된 다양한 치료법이 행해졌는데, 참가자에게는 전라 노출이 요구되었고, 엔카운터 그룹에서는 어느 정도의 육체적 폭력과 참가자 간 성행위도 허용되는 등 상당히 과격한 형태로 이루어졌다.[24][25]

참조

[1] 간행물 Goal Setting, T-Group Participation, and Self-Rated Change: An Experimental Study
[2] 서적
[3]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Support |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http://www.mhhe.com/[...]
[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Groups https://www.edbatist[...] 2021-03-04
[5] 웹사이트 What is a T-Group? - Empower {{!}} Impact {{!}} Transform https://www.ntl.org/[...] 2021-03-04
[6] 서적
[7] 간행물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12] 서적 The psychology of being human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3] 웹사이트 The Group: Joy on Thursday https://www.esalen.o[...] 2020-06-16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日本におけるエンカウンター・グループの実践と研究の展開 : 1970-1999 https://doi.org/10.1[...] 九州大学大学院人間環境学研究院
[17] 논문 グループ・アプローチの必須要件から見たエンカウンター・グループ研究の課題 https://hdl.handle.n[...] 龍谷學會
[18] 논문 エンカウンター・グループ http://www.jahbs.inf[...]
[19] 논문 グループ・アプローチとその実際的研究―キャリア教育への実践から― http://www.wakayama-[...]
[20] 웹사이트 私のエンカウンター・グループとの関わり - 野島一彦研究室 https://nojimakazuhi[...]
[21] 웹사이트 大矢正則「なぜ構成的グループエンカウンターか」 http://www.catholic-[...]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