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된 f-평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반화된 f-평균은 실수 구간 I를 실수로 사상하는 연속 단사 함수 f에 대해 정의되는 평균의 한 종류이다. f-평균은 f의 역함수를 사용하여 표현되며, f가 단조 함수이므로 f-평균은 튜플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숫자보다 크거나 작지 않다. f-평균은 대칭성, 멱등성, 단조성, 연속성, 대체성, 분할, 자기 분배성, 중간성, 균형성, 척도 불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f-평균은 산술 평균, 기하 평균, 조화 평균, 멱평균 등의 일반적인 평균을 포함하며, 로그 반환의 평균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반화된 f-평균 |
---|
2. 정의
''f''-평균은 실수 구간에서 정의된 연속 함수이자 단사 함수인 ''f''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f''가 단사 함수이고 연속 함수이므로, ''f''는 엄격히 단조 함수이며, 따라서 ''f''-평균은 주어진 숫자들 중 가장 큰 값보다 크지 않고, 가장 작은 값보다 작지도 않다.
2. 1. f-평균의 정의
'''f'''가 실수선의 구간 를 실수로 사상하는 함수이고, 연속 함수이자 단사 함수이면, 개의 숫자의 '''''f''-평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
역함수 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f''가 단사 함수여야 한다. 가 구간에서 정의되므로, 는 의 정의역 안에 있다.
''f''가 단사 함수이고 연속 함수이므로, ''f''는 엄격히 단조 함수이며, 따라서 ''f''-평균은 튜플 에서 가장 큰 숫자보다 크지도 않고 가장 작은 숫자보다 작지도 않다.
2. 2. 역함수의 필요성
f영어-평균의 정의에는 f영어의 역함수 가 사용되므로, f영어는 단사 함수여야 한다.3. 성질
일반화된 f-평균()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성질들을 가지고 있다.[2]
- 대칭성: 입력값들의 순서를 바꾸어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다.
- 멱등성: 모든 입력값이 동일한 경우 f-평균은 그 값과 같다.
- 단조성: 가 단조 함수이면, 도 각 인수에 대해 단조적이다.
- 연속성: 가 연속 함수이면, f-평균도 각 인수에 대해 연속이다.
- 대체성: 원소의 중복성을 유지하면서 부분 집합을 평균으로 대체할 수 있다.
- 분할: 동일한 크기의 하위 블록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 자기 분배성, 중간성, 균형성: 두 변수의 준산술 평균에 대해 성립하는 성질들이다.
- 중심 극한 정리: 충분히 큰 표본에 대해, f-평균은 근사적으로 정규 분포를 따른다.
- 척도 불변성: 의 오프셋 및 스케일링에 대해 불변이다.
3. 1. 대칭성
f-평균은 입력 값들의 순서를 바꾸어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다. 즉, Mf(x₁, ..., xₙ) = Mf(x₂, x₁, ..., xₙ) 등이 성립한다.[2]3. 2. 멱등성
모든 ''x''에 대해, Mf(x, ..., x) = x이다.[2] 즉, 모든 입력값이 동일한 경우 일반화된 f-평균은 그 값과 같다.3. 3. 단조성
가 단조 함수이면, 도 각 인수에 대해 단조적이다.[2]3. 4. 연속성
f영어가 연속 함수이면, f영어-평균도 각 인수에 대해 연속이다.[2]3. 5. 대체성
원소의 중복성을 유지하는 경우, 평균을 변경하지 않고도 원소의 부분 집합을 사전적으로 평균화할 수 있다.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3. 6. 분할
f-평균은 동일한 크기의 하위 블록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2]
3. 7. 자기 분배성
두 변수의 임의의 준 산술 평균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2]:
3. 8. 중간성
두 변수의 준산술 평균 에 대해, 가 성립한다.[2]3. 9. 균형성
두 변수의 임의의 준산술 평균 에 대해, 가 성립한다.3. 10. 중심 극한 정리
정규성 조건 하에서, 충분히 큰 표본에 대해, 는 근사적으로 정규 분포를 따른다.[2] 유사한 결과가 준산술 평균의 일반화인 바지라크타레비치 평균과 편차 평균에 대해서도 존재한다.[3][4]3. 11. 척도 불변성
준 산술 평균은 의 오프셋 및 스케일링에 대해 불변이다. 즉, 와 에 대해, 모든 에서 이면, 모든 에 대해 이다.[2]4. 특징
준산술 평균을 특징짓는 여러 속성이 있다.
- '''중간성'''[5]: 준산술 평균을 특징짓기에 충분하다.
- '''자기 분배성'''[5]: 준산술 평균을 특징짓기에 충분하다.
- '''대체성'''[6]: 콜모고로프는 대칭성, 고정점, 단조성, 연속성 및 대체성, 이 다섯 가지 속성이 준산술 평균을 완전히 특징짓는다고 증명했다.
- 연속성은 두 변수 준산술 평균의 특징에서 불필요하다.
- '''균형성'''[7]: 대칭성, 고정점, 단조성 및 연속성과 함께 균형성 조건이 평균이 준산술적임을 암시하는지 여부는 흥미로운 문제이다. 게오르크 아우만은 1930년대에 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였지만, M이 해석 함수라고 추가로 가정하면 긍정적이다.[8]
4. 1. 중간성
중간성은 본질적으로 준산술 평균을 특징짓기에 충분하다.[5]4. 2. 자기 분배성
자기 분배성은 본질적으로 준산술 평균을 특징짓기에 충분하다.[5]4. 3. 대체성
콜모고로프는 대칭성, 고정점, 단조성, 연속성 및 대체성이라는 다섯 가지 속성이 준산술 평균을 완전히 특징짓는다는 것을 증명했다.[6]4. 4. 균형성
대칭성, 고정점, 단조성 및 연속성과 함께 균형성 조건이 평균이 준산술적임을 암시하는지 여부는 흥미로운 문제이다. 게오르크 아우만은 1930년대에 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였지만,[7] ''M''이 해석 함수라고 추가로 가정하면 긍정적이다.[8]5. 동차성
평균은 일반적으로 동차이지만, 대부분의 함수 ''f''에 대해 ''f''-평균은 그렇지 않다. 유일한 동차 준산술 평균은 멱평균(기하 평균 포함)이다.[1]
5. 1. 동차성 확보
멱평균(기하 평균 포함)을 제외한 대부분의 ''f''-평균은 동차가 아니다.[1]어떤 (동차) 평균 로 입력 값을 정규화하여 동차성 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
하지만 이 방법은 단조성과 평균의 분할 속성을 위반할 수 있다.[2]
6. 일반화
르장드르 형 엄격히 볼록 함수 를 고려할 때, 기울기 맵 는 전역적으로 가역적이다. 따라서 가중 다변량 준 산술 평균[9]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는 정규화된 가중치 벡터이다 (균형 평균의 경우 기본적으로 ). 볼록 이중성에 따라, 준 산술 평균 와 관련된 이중 준 산술 평균 을 얻는다.
예를 들어 가 대칭 양의 정부호 행렬일 때, 를 사용한다.
이때 행렬 준 산술 평균의 쌍은 행렬 조화 평균을 생성한다.
:
7. 예시
- ''S''가 양의 실수이고 이면, ''f''-평균은 멱평균이 된다.
- ''S''가 실수이고 ''f''(''x'') = exp(''x'')이면, ''f''-평균은 로그 반환의 평균이며, LogSumExp (로그 합) 함수의 상수 이동 버전이다. (). 은 n으로 나누는 것에 해당하는데, 로그 나눗셈이 선형 뺄셈이기 때문이다. LogSumExp 함수는 매끄러운 최댓값이며, 최댓값 함수의 매끄러운 근사이다.
7. 1. 산술 평균
S가 실수 집합이고 f(x) = x일 때, f-평균은 산술평균이 된다.[1] f(x) = x (또는 a가 0이 아닌 임의의 선형 함수)이면, f-평균은 산술 평균에 해당한다.[4]7. 2. 기하 평균
''S''가 양의 실수 집합이고 ''f''(''x'') = log''b''''x''일 때, ''f''-평균은 기하평균이 된다. 이 결과는 밑수 ''b''가 어떤 값이든 로그 함수가 정의된다면 항상 참이다.[1] ''f''-평균의 속성에 따르면, 결과는 로그의 밑이 양수이고 1이 아닌 한 밑에 의존하지 않는다.[2]7. 3. 조화 평균
''S''가 양의 실수 집합이고 ''f''(''x'') = ''x''-1일 때, ''f''-평균은 조화평균이 된다. ''S''가 양의 실수()이고 이면, ''f''-평균은 조화 평균에 해당한다.[2]7. 4. 멱평균
''S''가 양의 실수 집합이고 이면, ''f''-평균은 지수 를 갖는 멱평균에 해당한다.7. 5. 로그 반환의 평균 (LogSumExp)
''f''(''x'') = exp(''x'')이면, ''f''-평균은 로그 반환의 평균이며, 이는 LogSumExp (LSE) 함수 (로그 합)의 상수 이동 버전이다. 이다. 은 n으로 나누는 것에 해당하는데, 로그 나눗셈이 선형 뺄셈이기 때문이다. LogSumExp 함수는 매끄러운 최댓값이며, 최댓값 함수의 매끄러운 근사이다.참조
[1]
논문
Generalizing skew Jensen divergences and Bregman divergences with comparative convexity
2017-06
[2]
논문
Mean, what do you Mean?
https://zenodo.org/r[...]
[3]
논문
Limit theorems for Bajraktarević and Cauchy quotient means of independent identically distributed random variables
https://link.springe[...]
2022-04-01
[4]
논문
Limit Theorems for Deviation Means of 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Random Variables
https://link.springe[...]
2023-09-01
[5]
서적
Functional equations in several variables. With applications to mathematics, information theory and to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31.
Cambridge Univ. Press
[6]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the quasi-arithmetic mean
https://math.stackex[...]
2019
[7]
논문
Vollkommene Funktionalmittel und gewisse Kegelschnitteigenschaften
[8]
논문
Grundlegung der Theorie der analytischen Analytische Mittelwerte
[9]
arXiv
Beyond scalar quasi-arithmetic means: Quasi-arithmetic averages and quasi-arithmetic mixtures in information geome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