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원택은 서울대학교 철학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서 학위를 받았다. 백석대학교 평생교육신학원 학장이며,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개혁주의생명신학, 역사신학 관련 연구와 저술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오직 성경'을 강조하는 신학 사상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신학자 - 안인섭
안인섭은 교회사 전공의 신학자이자 목사로,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와 국가 관계 연구에 집중하며 기독교통일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를 위한 신학》으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 역사신학자 - 박태현 (신학자)
박태현은 전자계산학을 전공하고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총신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네덜란드 신학자들의 저작을 번역하여 한국 교회에 소개했다. - 칼빈 신학교 동문 - 게르하르두스 보스
게르하르두스 보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개혁주의 신학자로, 성서 신학 분야에서 독창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언약 신학과 바울의 종말론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고, 캘빈 신학교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바울의 종말론》, 《성서 신학: 구약과 신약》 등 주요 저서를 통해 성경의 구속사적 관점을 제시했다. - 칼빈 신학교 동문 - 김의환
김의환은 템플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총신대학교 총장, L.A. 한인교회 담임목사, 국제신학대 교수 및 학장을 역임했으며, 한국기독학생연합 이사장 등 국내외에서 활동했다. - 백석대학교 교수 - 조덕영
조덕영은 참기쁜교회 담임목사이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창조신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는 조직신학자로, 자연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탐구하고 창조론 연구 및 알리기에 힘썼으며, 한국문학연구회와 기독월간지에서 활동하며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 백석대학교 교수 - 류근찬
류근찬은 KBS 기자 및 앵커 출신으로 보도국장과 보도본부장을 역임한 언론인이자, 자유민주연합을 시작으로 여러 정당에서 당직을 맡고 제17대, 18대 국회의원과 자유선진당 원내대표를 지낸 정치인이다.
임원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임원택 |
활동 기간 | 1963년 ~ 현재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
언어 | 한국어, 영어 |
분야 | 역사신학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미국 칼빈 신학교 Ph.D. |
2. 학력
학력 |
---|
서울대학교 철학과 (B.A.)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
Calvin Theological Seminary (Ph.D.) |
임원택은 칼빈 신학교에서 프란시스 로버츠의 언약신학을 주제로 박사 학위(Ph.D.)를 받았으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는 한국 장로교회의 신앙고백을 연구하여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받았다.[1] 그는 학위 논문 외에도 《역사의 거울 앞에서》, 《논문작성법》 등 다양한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하였고, 백석학원 40년사 편찬에도 참여했다.
3. 경력
기간 경력 2021년 ~ 현재 백석대학교 평생교육신학원 학장 2019년 9월 1일 ~ 현재 백석대학교 대학원 교학본부장 2015년 ~ 현재 개혁주의생명신학실천원 개혁주의생명신학연구팀장 2018년 ~ 현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2015년 ~ 2021년 백석대학교 평생교육신학원 총괄본부장 2019년 1월 1일 ~ 2019년 8월 31일 백석대학교 대학원 본부장 2016년 ~ 2018년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장 2014년 ~ 2016년 백석대학교 대학원 교무본부장 2013년 ~ 2014년 개혁주의생명신학실천원 원장 2012년 백석정신아카데미(서울) 사무본부장 2007년 ~ 2012년 백석대학교 대학원 교무처장 2008년 ~ 2014년 푸른교회 동사목사 2016년 ~ 2018년 개혁주의생명신학회 회장 2010년 ~ 2012년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 2020년 ~ 2021년 대한예수교장로회 경안노회 노회장 2000년 가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강사 2000년 가을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강사 2000년 여름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강사
4. 연구 업적
임원택의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연도 제목 학술지명 비고 2000 프란시스 로버츠의 언약신학 역사신학 논총 2 2001 종교개혁의 필연성: 교회 하나됨에 대한 칼빈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개혁신학 11 2001 교회의 거룩함과 하나됨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 도나투스파 논쟁을 중심으로 역사신학 논총 3 2002 종교개혁의 필연성: 중세말 로마 가톨릭 신앙의 잘못된 관행들에 대한 칼빈의 지적을 중심으로 기독신학저널 2 2002 아우구스티누스의 예정론 역사신학 논총 4 2003 이레니우스의 신론 역사신학 논총 5 2003 토마스 아퀴나스의 하나님 존재 증명 백석저널 3 2004 17세기 영국의 도덕법 논쟁 역사신학 논총 7 2004 17세기 영국 청교도의 도덕법 논쟁: 반율법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35/상 2004 목회자 칼빈 기독신학저널 6 2005 역사신학적 관점에서 본 장로교의 예배모범 장로교회와 신학 2 2005 교회 분열에 대한 죤 오우언의 이해 역사신학 논총 10 2005 청교도와 칼빈주의 진리논단 12 2006 청교도 영성과 부흥 운동 기독신학저널 10 2006 깔뱅의 경건 이해 기독신학저널 11 2007 대한 예수교 장로회의 12신조 기독신학저널 13 2008 교회 독립에 대한 리처드 니버의 견해: 「세상을 거스르는 교회」에 실린 그의 글을 중심으로 역사신학 논총 16 2009 교회의 하나임에 대한 키프리아누스의 이해: 노바티아누스 분파 논쟁을 중심으로 역사신학 논총 17 2009 칼빈의 신학 이해 백석신학저널 17 2010 경건으로서의 영성 목회와신학 편집부 편, 「기독교와 영성」, 목회와신학 총서 2 2012 한국 교회는 다시 ‘오직 성경’이다 목회와신학 편집부 편, 「교회론」, 목회와신학 총서 9 2012 칼빈의 후계자, 베자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편, 「칼빈과 종교개혁가들」,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 총서 6 2011 최근 미국 복음주의 운동의 동향: 「복음주의 선언」 (2008)을 중심으로 역사신학 논총 22 김용국과 공동저자 2012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역사신학적 고찰 생명과 말씀 6 2012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A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Theology Life and Word 6 2013 한국교회와 청교도 설교 복음과 실천신학 28 2014 Biblical Interpretation and Doctrinal Formulation in John Flavel’s Works in Biblical Interpretation and Doctrinal Formulation in the Reformed Tradition: Essays in Honor of James A. De Jong, ed. Arie C. Leder and Richard A. Muller 2014 John Flavel의 성경 해석과 한국교회 설교 복음과 실천신학 33 2014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본 청교도 설교 백석신학저널 27 2015 잉글랜드의 사도 바울, 휴 라티며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편, 「칼빈시대 영국의 종교개혁가들」,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 총서 9 2016 백석학원 40년: 회고와 전망 백석신학저널 31 2017 오직 성경 백석신학저널 33 2019 멜랑흐톤의 예정론 성경과 신학 92 2019 한국교회 예배와 십계명 활용 복음과 실천신학 53 2021 장종현 박사의 생애와 개혁주의생명신학 백석신학저널 40
4. 1. 학위 논문
4. 2. 저서
4. 3. 역서
어니스트 F. 케반, The Grace of Law영어[1], 수풀, 2006.
4. 4. 집필서
임원택은 백석학원 설립 40주년을 기념하는 「백석학원 40년사」 편찬에 참여했다. 이 책은 2016년 백석학원 40년사 편찬위원회에서 발행되었다.[1]
4. 5. 주요 논문
연도 | 제목 | 학술지명 | 비고 |
---|---|---|---|
2000 | 프란시스 로버츠의 언약신학 | 역사신학 논총 2 | |
2001 | 종교개혁의 필연성: 교회 하나됨에 대한 칼빈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 개혁신학 11 | |
2001 | 교회의 거룩함과 하나됨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 도나투스파 논쟁을 중심으로 | 역사신학 논총 3 | |
2002 | 종교개혁의 필연성: 중세말 로마 가톨릭 신앙의 잘못된 관행들에 대한 칼빈의 지적을 중심으로 | 기독신학저널 2 | |
2002 | 아우구스티누스의 예정론 | 역사신학 논총 4 | |
2003 | 이레니우스의 신론 | 역사신학 논총 5 | |
2003 | 토마스 아퀴나스의 하나님 존재 증명 | 백석저널 3 | |
2004 | 17세기 영국의 도덕법 논쟁 | 역사신학 논총 7 | |
2004 | 17세기 영국 청교도의 도덕법 논쟁: 반율법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 성곡논총 35/상 | |
2004 | 목회자 칼빈 | 기독신학저널 6 | |
2005 | 역사신학적 관점에서 본 장로교의 예배모범 | 장로교회와 신학 2 | |
2005 | 교회 분열에 대한 죤 오우언의 이해 | 역사신학 논총 10 | |
2005 | 청교도와 칼빈주의 | 진리논단 12 | |
2006 | 청교도 영성과 부흥 운동 | 기독신학저널 10 | |
2006 | 깔뱅의 경건 이해 | 기독신학저널 11 | |
2007 | 대한 예수교 장로회의 12신조 | 기독신학저널 13 | |
2008 | 교회 독립에 대한 리처드 니버의 견해: 「세상을 거스르는 교회」에 실린 그의 글을 중심으로 | 역사신학 논총 16 | |
2009 | 교회의 하나임에 대한 키프리아누스의 이해: 노바티아누스 분파 논쟁을 중심으로 | 역사신학 논총 17 | |
2009 | 칼빈의 신학 이해 | 백석신학저널 17 | |
2010 | 경건으로서의 영성 | 목회와신학 편집부 편, 「기독교와 영성」, 목회와신학 총서 2 | |
2012 | 한국 교회는 다시 ‘오직 성경’이다 | 목회와신학 편집부 편, 「교회론」, 목회와신학 총서 9 | |
2012 | 칼빈의 후계자, 베자 |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편, 「칼빈과 종교개혁가들」,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 총서 6 | |
2011 | 최근 미국 복음주의 운동의 동향: 「복음주의 선언」 (2008)을 중심으로 | 역사신학 논총 22 | 김용국과 공동저자 |
2012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역사신학적 고찰 | 생명과 말씀 6 | |
2012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A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Theology | Life and Word 6 | |
2013 | 한국교회와 청교도 설교 | 복음과 실천신학 28 | |
2014 | Biblical Interpretation and Doctrinal Formulation in John Flavel’s Works | in Biblical Interpretation and Doctrinal Formulation in the Reformed Tradition: Essays in Honor of James A. De Jong, ed. Arie C. Leder and Richard A. Muller | |
2014 | John Flavel의 성경 해석과 한국교회 설교 | 복음과 실천신학 33 | |
2014 |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본 청교도 설교 | 백석신학저널 27 | |
2015 | 잉글랜드의 사도 바울, 휴 라티며 |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편, 「칼빈시대 영국의 종교개혁가들」,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 총서 9 | |
2016 | 백석학원 40년: 회고와 전망 | 백석신학저널 31 | |
2017 | 오직 성경 | 백석신학저널 33 | |
2019 | 멜랑흐톤의 예정론 | 성경과 신학 92 | |
2019 | 한국교회 예배와 십계명 활용 | 복음과 실천신학 53 | |
2021 | 장종현 박사의 생애와 개혁주의생명신학 | 백석신학저널 40 |
5. 신학 사상
임원택은 성령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신다며 오직 성경을 강조했다. 그는 "중세 교회가 성경보다 전통을 우위에 둔 것이 문제라면, 오늘날 우리는 성경보다 자신이 배우고 익힌 신학과 교리를 우위에 두는 것이 문제"라며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로 온전히 믿고 선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백석대학교 대학원 교수소개
https://community.bu[...]
[2]
뉴스
욥의 고난에 엘리바스가 범한 오류
http://www.goodnews1[...]
기독일보
2021-07-03
[3]
웹사이트
임원택, "한국 신학, 세계 신학지형 변화시킬 수 있다
http://www.igoodnews[...]
[4]
뉴스
개혁주의생명신학을 논하다
https://www.cts.tv/n[...]
CTS 기독교TV
2021-04-15
[5]
뉴스
종교개혁 5대 솔라, 오늘날에도 능력있는 신앙 원리다
http://www.goodnews1[...]
Daily GoodNews
201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