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지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지순은 서울대학교 물리학 학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물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MIT, AT&T 벨 연구소, 벨 통신 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1986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천문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POSTECH 물리학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양자 역학 기반 고체 총 에너지 계산 공식을 개발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1996년 한국과학상, 1998년 올해의 과학자상, 2004년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수상자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수상자 - 김은준
    김은준은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으로, 뇌과학 분야, 특히 시냅스 기능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하며 ADHD 및 자폐증 관련 연구를 통해 질환 기전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네이처, 셀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아산상, 포스코 청암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 한국과학상 수상자 - 황준묵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소설가 한말숙의 아들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수학자 황준묵은 기하학 분야에서 난제를 해결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국제 수학자 대회 초청 강연과 기조 강연,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과 호암상 과학상 수상, 아벨상 심사위원 위촉, 그리고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한국과학상 수상자 - 이영숙 (식물세포학자)
    이영숙은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ABC 수송체 연구 등 다수의 연구 업적으로 여성과학기술인상 등을 수상한 식물세포학 분야의 연구자이다.
  •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자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자 - 김영길 (공학자)
    김영길은 금속공학을 전공하고 NASA 연구원과 KAIST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동대학교 초대 총장과 한국창조과학회 초대 회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임지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임지순
출생 연도1951년
국적대한민국
분야고체물리학 이론
직장서울대학교
모교서울대학교 학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박사
박사 지도교수마빈 L. 코헨
알려진 업적계산 재료 물리학
수상
수상 내역한국과학상 (1996년)
올해의 과학자상 (1998년)
인촌상 (2004년)
POSCO TJ Park Prize (2007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2007년)
호암상 (과학 부문, 2023년)
참고 자료
웹사이트Professor Jisoon Ihm

2. 학력

3. 경력

연도경력
1980–1982MIT 박사후 연구원
1982–1984AT&T 벨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1984–1986벨 통신 연구소 기술 연구원
1986–2016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천문학부 교수
1990한국 물리학회 평의원
1999한국 과학기술한림원 회원
2006–2010서울대학교 이론물리센터 소장
2007미국 물리학회(APS) 석학회원(Fellow)
2009서울대학교 석좌교수
2011미국 학술원(NAS) 외국인 회원(Foreign Associate)
2016–현재POSTECH 물리학과 석좌교수


4. 주요 업적

임지순 교수는 전산재료물리학(Computational materials physics)이라는 학문 분야를 개척한 선구자이다.[4] 1979년에 발표한 첫 논문은 응집 물질 물리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이 분야의 고전으로 여겨진다. 1988년에는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에 이 주제에 대한 초청 검토 논문을 단독 저자로 발표했다.[5]

임 교수는 양자 역학을 기반으로 고체의 총 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계산 공식을 개발했다. 1990년경에는 이 연구 분야에 대한 국제 학회가 결성되었으며, 그는 이 학회의 과학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1998년에는 아시아 지역에도 유사한 학회가 창설되었는데, 임 교수는 이 학회의 탄생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임 교수는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위상 절연체, 에너지 저장 재료 등 다양한 재료 시스템에 대한 계산 재료 물리학의 공식 및 적용을 개선하는 데 힘쓰고 있다.[5]

5.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96년한국과학상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 포함)[4]
1998년올해의 과학자상[4]
2004년인촌상
2007년청암상
2007년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09년아시아전산재료학회 총회상
2023년호암상 (물리학 및 수학 부문)


참조

[1] 웹사이트 Trio win new Park prize for social responsibility https://koreajoongan[...] 2007-03-27
[2] 웹사이트 권욱현 교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http://www.epetimes.[...] 2007-04-22
[3] 웹사이트 Professor Jisoon Ihm http://physics.snu.a[...]
[4] 웹사이트 과학언론상: 과학자상 https://www.koreasja[...] 2020-03-04
[5] 논문 "Electronic structure and mechanical stability of the graphitic honeycomb lattice" 200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