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영길 (공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길은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대학 총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하고, 미국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NASA 연구원, KAIST 교수를 역임했다. 1995년부터 2014년까지 한동대학교 초대 총장을 지냈으며, 한국창조과학회 초대 회장을 맡기도 했다. NASA 기술 보고서 상, 미국 산업 연구 발명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동대학교를 21세기 모델 대학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한동대학교 운영, 한국창조과학회 활동, KAIST 명예박사 수여 과정 등에서 비판과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자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렌슬리어 공과대학교 동문 - 데니스 티토
    데니스 티토는 항공우주공학 학위를 받고 NASA에서 근무했으며, 투자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하고, 2001년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방문한 최초의 민간 우주 비행객이다.
  • 렌슬리어 공과대학교 동문 - 레이 톰린슨
    미국의 프로그래머 레이 톰린슨은 ARPANET에서 이메일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메일 주소에 앳(@) 기호를 도입하여 이메일의 아버지로 불린다.
김영길 (공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영길 [[한동대학교]] [[교수]][[대학총장]]
김영길 한동대학교 교수대학총장
원어 이름金永吉
활동 기간1974년 ~ 2019
출생일1939년 10월 3일
사망일2019년 6월 30일
직업대학 교수, 저술가
언어한국어, 영어
장르과학자, 저술
종교무종교->개신교예장통합
국적대한민국
학력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재료공학 박사

2. 학력


  • 1959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 1964년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 1969년 미주리 과학기술대학교 금속공학 석사[4]
  • 1972년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재료공학 박사[4]
  • 2003년 몽골재정경제대학(IFE) 명예국제경영학박사[3]
  • 2011년 KAIST 명예경영학박사

3. 경력

기간경력
1974.05 ~ 1976.05NASA 루이스 연구소 (현 NASA 글렌 연구소) 연구원[5]
1976 ~ 1979인코(INCO) 뉴욕 중앙연구소: 항공기와 우주선에 사용되는 제트 엔진용 특수 니켈합금의 실용화 연구[5]
1979 ~ 1995KAIST 재료공학과 교수
1981.01한국창조과학회 초대 회장
1995.02 ~ 2014.02초대 ~ 제4대 한동대학교 총장
2008.10 ~ 2010.12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위원회 과학기술분과 위원장
2009.04 ~ 2012UNESCO 한국위원회 교육분과 위원장
2010.01 ~ 2011제14대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2010 ~ 2014학부교육선진화선도대학(ACE)협의회 회장
2011 ~ 2012제17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2010.09 ~ 2015.03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원장
2012.08 ~ 2019.06KOICA 자문위원
2012.08 ~ 2019.06UN아카데믹임팩트(UNAI) 한국협의회 공동회장
2014.02 ~ 2019.06한동대학교 글로벌후원회장
2016.06 ~ 현재한동대학교 명예총장



김영길 박사는 한동대학교 총장이 되기 전 15년 동안 KAIST에서 재료공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미국에서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NASA-Lewis 연구 센터에서 항공우주 분야의 고온 합금 연구를 했으며, 일리노이주 어바나-샴페인에 있는 미국 육군 건설 공학 연구소(CERL)와 뉴욕주 서펀에 있는 국제 니켈 회사(INCO) 연구 개발 센터에서도 근무했다.

4.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76년NASA 발명상 - 테크 브리프 상 (특수합금 조성 결정에 대한 공헌)[5]
1981년NASA 발명상 - 테크 브리프 상 (제트엔진 초내열 합금(MA-6000) 개발)[5]
1981년미국 산업 연구 발명상 - IR-100 상 (제트엔진 초내열 합금(MA-6000) 개발)[5]
1982년국기훈장 동백장 (전자반도체 리드 프레임 PMC-102 합금 발명 및 소재 제조 기술 수출)[5]
1986년세종문화상 (철과 망간 합금인 초내한강 CAM-I 발명)[5]
1987년과학계 기자단 선정 올해의 과학자상 (강도 고인성 텅스텐 함유 W-250 발명)[5]
1995년인명사전 미국의 과학자들 (AMWS)에 한국인 최초로 수록
1998년미국의 전기문발행센터(ABI)에서 발행하는 인명사전 20세기 영향력있는 지도자 500인에 선정
1999년한국기독교선교대상 - 교육자부문
2003년몽골 교육기여공로훈장 수상
2004년 11월한국기독교학술상 수상
2004년 11월한남이돈문화상 수상
2005년"크리스찬 아카데미 상" 수상 (한국 창조 과학에 기여한 공로).[2]


5. 업적

1974년부터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연구원으로 일하던 중, 대한민국 정부의 요청으로 귀국하여 1979년부터 카이스트 재료공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4년 한동대학교의 총장으로 선임되었다.[4] 항공기 제트엔진용 니켈합금과 고강도 자동차용 합금을 개발하는 등의 실적을 인정받아 미국과 캐나다의 저명과학자 인명사전 《미국의 과학자들》 95년 판에 대한민국 국적 과학자로는 최초로 김동한 포항공과대학교 교수와 함께 수록되었다.[6]

카이스트 이사회의 이사이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제 17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경상북도 포항시에 소재한 한동대학교의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개교 초기에 사건사고가 많았지만 시련을 이겨내고 한동대학교가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까지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미국에서의 과학적 업적으로 NASA 기술 보고서 상(1976, 1981)과 미국 산업 연구 "IR-100" 상(1981)을 수상했다. 1986년에는 한국 정부로부터 과학기술 분야의 세종대왕 상을 받았고, 1987년에는 올해의 과학자상을 수상했다.[2] 2005년에는 한국 창조 과학에 기여한 공로로 "크리스찬 아카데미 상"을 수상했다.

한동대학교 총장 취임 이후 21세기 글로벌 기술 주도 시장을 위한 새로운 교육 과정을 개척했다. 그 혁신적인 프로그램으로 한동대학교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년 연속 대한민국 교육부로부터 21세기 모델 대학으로 교육 개혁 우수상을 받았다. 2006년 한동대학교는 한국 정부 교육부로부터 생명공학 및 메카트로닉스를 통합하는 글로벌 교육을 위한 "누리" (지역 혁신을 위한 신규 대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4년에 걸쳐 1600만달러의 지원금을 받았다.

6. 종교 활동

온누리교회 장로였다. 양승훈 박사, 안명준 박사 등과 함께 한국창조과학회를 창립하였으며 해당 단체의 초대 회장과 명예회장을 역임하였다.[7]

7. 비판 및 논란

김영길은 한동대학교 운영 과정에서 학교 예산 불법 전용 및 횡령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었으나,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9] 포항 시민들이 설립한 '시민대학'을 기독교 전도 인력 양성소로 변질시켰다는 비판과[8] 한국창조과학회 활동과 관련된 비판도 있었다.[10] 또한, KAIST 명예경영학박사 수여 과정에서 윤리 문제 및 내부 반발이 있었고,[11] 총장 연임 과정에서 독단적인 리더십과 학내 구성원의 의사 미반영으로 비판을 받았다.[12]

7. 1. 한동대학교 운영 관련

김영길은 한동대학교 운영 과정에서 학교 예산을 불법으로 사용하고 횡령했다는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 2001년 5월 11일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었으나,[8]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9]

1982년 포항 시민들이 결성한 포항지역개발촉진위원회를 모태로 10여 년 만에 설립된 '시민대학'이 김영길에 의해 기독교 전도 인력 양성소로 변질되고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8]

김영길이 KAIST 교수로 재직할 당시 설립을 주도한 한국창조과학회기독교 근본주의에 바탕을 둔 사이비 과학을 주장하는 단체로 비판받고 있다.[10]

2011년 김영길의 KAIST 명예경영학박사 수여는 현직 KAIST 이사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윤리적 문제와 사이비 과학 단체 설립자에게 명예 학위를 주는 것에 대한 KAIST 내부 반발을 일으켰다.[11]

김영길은 초대 총장 취임 후 4번 연임하는 동안 독단적인 리더십을 보였으며, 차기 총장 선임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아 학교 내 여론의 반대가 있었다.[12]

7. 2. 한국창조과학회 활동 관련

김영길은 KAIST 교수로 재직할 당시 한국창조과학회 설립을 주도했는데, 이 단체는 성서적 기독교 근본주의에 바탕을 둔 사이비 과학을 주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0]

2011년 김영길의 KAIST 명예경영학박사 수여 과정에서, 현직 카이스트 이사였던 그의 명예박사 수여에 대한 윤리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사이비 과학을 주장하는 단체의 설립자에게 한국 과학을 대표하는 카이스트가 명예학위를 주는 것에 대한 내부 반발도 있었다.[11]

7. 3. 한동대학교 총장 연임 관련

김영길은 한동대학교 운영 과정에서 학교 예산 불법 전용 및 횡령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고, 2001년 5월 11일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아 법정 구속되었다.[8]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9]

초대 총장 취임 후 4번 연임하는 동안 보여준 리더십은 평소 이미지와 달리 독단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차기 총장 선임 과정에서 학내 구성원 의사를 반영하지 않고 인선 과정을 진행하여 학내 여론의 반대가 있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cfp.upv.e[...]
[2] 웹사이트 과학언론상: 과학자상 https://www.koreasja[...] 2020-03-04
[3] 웹사이트 Young-Gil Kim http://www.unescobkk[...] 2010-02-16
[4] 뉴스 "[아주 특별한 인터뷰]끝나지 않은 ‘교육실험’ 김영길 한동대 총장" http://newsmaker.kha[...]
[5] 뉴스 김영길 박사 "진화론 과학자인 그가 창조론 과학자로?" http://kr.christiani[...] 기독일보 2019-07-10
[6] 뉴스 내년개교 한동대 김영길총장포항공대 김동한교수 세계일보 2009-05-02
[7] 웹인용 한국창조과학회 25주년을 감사드리며 - 김영길 초대 창조과학회 회장 http://www.kacr.or.k[...] 2011-07-27
[8] 뉴스 김영길 한동대 총장 구속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01-05-31
[9] 뉴스 한동대 김영길총장 대법원 무죄확정 http://www.idaegu.co[...] 대구일보 2016-09-08
[10] 뉴스 "한국 교회에 창궐하는 사이비 과학" : 천문학자 이영욱 교수, '젊은 지구론' 사이비 과학 일갈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08-10-02
[11] 뉴스 ‘창조론자에 명예박사’ 카이스트의 자기모순?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7-27
[12] 뉴스 새 총장 선출한 한동대, 학내 분위기는 싸늘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14-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