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잇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잇몸은 치아를 둘러싸는 조직으로, 변연 잇몸, 부착 잇몸, 치간 잇몸으로 구성된다. 변연 잇몸은 치아의 가장자리를 깃 모양으로 둘러싸며, 부착 잇몸은 치조골에 단단히 결합되어 음식과의 마찰에 저항한다. 치간 잇몸은 치아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부분이다. 건강한 잇몸은 산호 핑크색을 띠며, 매끄럽고 굴곡진 모양을 하고, 단단한 질감을 가지며 자극에 민감하지 않다. 잇몸 질환으로는 치은염, 치주염 등이 있으며, 잇몸 퇴축이 발생할 수 있다.

2. 구조

잇몸은 입 안을 덮는 연조직의 일부로, 치아를 둘러싸고 치아 주변을 봉쇄하는 역할을 한다. 입술과 뺨의 연조직과 달리 대부분의 잇몸은 기저 뼈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 잇몸 위로 지나가는 음식과의 마찰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된다. 건강한 잇몸은 일반적으로 피부가 흰 사람의 경우 산호 분홍색을 띠며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더 어두워질 수 있다. 잇몸과 치아 사이의 공간은 잇몸주머니(periodontal pocket)라고 불리는데, 4mm 이상이 되면 염증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1]

thumb의 치아는 법랑질 (A)로 덮여 있다. 상아질 (B). 치아의 뿌리는 백악질로 덮여 있다. C, 치조골. D, 상피하 결합 조직. E, 구강 상피. F, 자유 치은 연. G, 치은구. H, 주 치은 섬유. I, 치주인대 (PDL)의 치조정 섬유. J, PDL의 수평 섬유. K, PDL의 사선 섬유.]]

해부학적으로 잇몸은 변연 잇몸, 부착 잇몸, 치간 잇몸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 변연 잇몸: 치아를 둘러싼 잇몸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자유 잇몸'(Free gingiva)이라고도 불린다.
  • 부착 잇몸: 변연 잇몸과 이어지며, 단단하고 탄력적인 부분이다. 치조골의 기저골막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 치간 잇몸: 치아 사이에 위치한 잇몸 부분으로, 치간 유두라고도 불린다.

2. 1. 변연 잇몸 (Marginal gums)

치아를 둘러싼 잇몸의 가장자리이다. '자유 잇몸'(Free gingiva)이라고도 불린다. 약 절반의 사람에게서 얕은 선형 함몰부인 자유 치은구에 의해 인접한 부착 잇몸과 구분된다.[2] 잇몸 바깥 표면의 이 작은 함몰부는 잇몸 열구의 깊이와 일치하지 않고, 대신 결합 상피의 정점 경계에 해당한다.[2] 이 바깥쪽 홈의 깊이는 구강 내 영역에 따라 다르다. 이 홈은 하악 앞니와 소구치에서 매우 두드러진다.

변연 잇몸의 폭은 자유 잇몸 능선에서 부착 잇몸까지 0.5mm~2mm이다. 변연 잇몸은 치아의 백악법랑경계 (CEJ)의 윤곽에 의해 형성된 물결 모양 패턴을 따른다.[2] 변연 잇몸은 부착 잇몸보다 더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지만, 분홍색, 둔함, 단단함 등 유사한 임상적 외관을 가지고 있다.[2] 반면에, 변연 잇몸은 점각이 없고, 조직은 이동성이 있거나 치주 탐침으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저 치아 표면에서 자유롭다. 변연 잇몸은 뼈 지지대가 없는 치은 섬유에 의해 안정화된다.[2] 변연 잇몸의 가장 표면에 있는 잇몸 가장자리 또는 자유 잇몸 능선은 임상적으로 쉽게 보이며, 환자 차트에 그 위치를 기록해야 한다.[2] 치아 목 부위를 둘러싸고 치은구(치주낭)를 형성한다.

2. 2. 부착 잇몸 (Attached gum)

부착 치은은 변연 치은과 연속되며,[2] 단단하고 탄력적이다. 치조골의 기저골막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으며,[2] 협면은 상대적으로 느슨하고 가동적인 치조 점막까지 뻗어 있고, 치은 점막 경계에 의해 구분된다.[2] 표면 점각을 나타낼 수 있으며,[2] 조직은 건조하면 둔하고 단단하며 움직이지 않고, 다양한 양의 점각이 있다.[2] 부착 치은의 폭은 위치에 따라 다르다. 협면의 부착 치은 폭은 구강의 다른 영역에서 다르며, 일반적으로 앞니 부위에서 가장 넓고(상악 3.5mm~4.5mm, 하악 3.3mm~3.9mm) 후방 부위에서는 좁으며, 첫 번째 소구치 부위에서 가장 좁다(상악 1.9mm, 하악 1.8mm).[2] 치아 기저 뿌리의 안정을 위해 특정 수준의 부착 치은이 필요할 수 있다.[2] 잇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 부분으로, 치은 섬유에 의해 백악질이나 치조골에 결합되어 있다.

2. 3. 치간 잇몸 (Interdental gum)

치아 사이의 잇몸은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치간 유두라고도 불린다. 치아 사이의 잇몸은 치아 접촉 부위 아래의 치간 공간인 치은 소와를 차지한다. 치간 유두는 피라미드형이거나 "" 모양을 가질 수 있다.[2] 골의 깊이와 너비는 접촉하는 치아 표면의 넓이에 따라 다르다. 골을 덮고 있는 상피는 인접한 치아의 변연 잇몸으로 구성되지만, 비각질화되어 있다. 이는 주로 넓은 후방 치아의 치간 치은에 존재하며, 전방 치아와 관련된 치간 조직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데, 후방 치아의 치간 조직이 더 좁기 때문이다. 인접한 치아 사이에 접촉이 없을 경우, 부착 잇몸은 협측에서 설측으로 중단 없이 확장된다. 골은 치주 질환의 형성에 중요할 수 있지만, 임상적으로는 치아를 발치했을 때만 보인다.[2] 이곳의 마사지는 치주병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치간 칫솔 사용이 치주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2]

3. 잇몸의 특징

잇몸은 입 안에서 치아를 둘러싸고 있으며, 치아 주위를 봉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입술과 볼의 안쪽 연조직과는 달리, 잇몸 대부분은 뼈에 단단히 붙어 있어 음식물과의 마찰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11] 잇몸은 해부학적으로 주위잇몸, 부착잇몸, 치간잇몸으로 나뉜다. 잇몸과 치아 사이의 공간은 잇몸주머니(periodontal pocket)라고 불리는데, 이 공간이 4mm 이상 깊어지면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1]

건강한 잇몸은 보통 밝은 분홍색을 띠지만, 멜라닌 색소 때문에 더 어두운 색을 띨 수도 있다. 건강한 잇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모양''': 각 치아 주위에 매끄럽고 굴곡진 형태를 가지며, 치아 사이 공간을 꽉 채운다. 잇몸 끝부분은 칼날처럼 얇게 치아에 밀착된다.
  • '''질감''': 단단하고, 표면은 점각으로 인해 오렌지 껍질 같은 모양을 띤다.
  •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칫솔질이나 치주 탐침과 같은 자극에 출혈이나 고름 등의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3. 1. 색상

건강한 잇몸은 보통 "산호 핑크색"으로 묘사되는 색상을 띤다. 빨간색, 흰색, 파란색과 같은 다른 색상은 염증(치은염)이나 병리를 나타낼 수 있다. 흡연이나 약물 사용 또한 변색을 유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스 마우스"가 있다.[3] 잇몸은 산호 핑크색으로 묘사되지만, 상피의 두께와 각질화 정도, 잇몸으로의 혈류, 피부의 자연스러운 색소 침착, 질병, 약물과 같은 요인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3]

잇몸 색상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색상 자체보다 색상의 균일성이 더 중요하다. 멜라닌의 과도한 침착은 잇몸, 특히 치간 유두 기저부에 어두운 반점이나 반점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를 멜라닌 잇몸 과다 색소 침착이라고 한다. 잇몸 탈색(잇몸 미백이라고도 함)은 이러한 변색을 제거하기 위해 치과 미용술에 사용되는 시술이다.

22세 비흡연 여성 환자의 잇몸 과다 색소 침착

3. 2. 모양

잇몸은 각 치아 주위에 매끄럽고 굴곡진 형태를 띤다. 건강한 잇몸은 치아 사이의 각 공간을 채우고 맞닿아 있는데, 이는 치은염에서 보이는 부어오른 치은 유두나 치주 질환에서 보이는 빈 치간 공간과는 대조적이다. 건강한 잇몸은 잇몸 표면이 무료 치은 연에서 "칼날"처럼 얇아지면서 각 치아에 단단히 밀착된다. 반면에 염증이 있는 잇몸은 "부풀어 오른" 또는 "말린" 치은 연을 보인다.[11]

3. 3. 질감

건강한 잇몸은 움직임에 저항하는 단단한 질감을 가지며, 표면은 점각 때문에 오렌지 껍질과 같은 모양을 띤다.[11] 반면, 건강하지 않은 잇몸은 종종 붓고 덜 단단하다.

3. 4.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건강한 잇몸은 칫솔질이나 치주 탐침과 같은 일반적인 자극에 대해 보통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건강하지 않은 잇몸은 탐침 시 출혈 및/또는 화농성 삼출물을 나타낼 것이다.

4. 잇몸 질환

잇몸강 내의 미생물 생태계는 음식물 찌꺼기와 타액에 의해 유지되며, 이 환경은 건강에 해로운 많은 미생물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다.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구강 위생은 치은염, 치주염 등 많은 잇몸 및 치주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치아 상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치은 비대를 유발할 수 있으며, 많은 경우 잇몸 절제술을 필요로 한다.

4. 1. 잇몸 퇴축 (치은 퇴축)

치은 퇴축은 잇몸 가장자리가 교합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말한다.[4] 이는 치주염[5] 또는 치조농루[5]와 같은 기저 염증, 치주낭 형성, 구강 건조증[5] 또는 기계적(예: 칫솔질),[5] 화학적 또는 외과적 수단에 의한 변연 치은의 치아로부터의 변위 등을 나타낼 수 있다.[6] 치은 위축은 차례로 치아 경부를 노출시켜 외부 자극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으며, ''치근 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다.[5]

참조

[1] 뉴스 Gum disease opens up the body to a host of infections https://www.sciencen[...] Science News 2016-04-06
[2] 서적 Illustrated Dental Embryology, Histology, and Anatomy Elsevier 2011
[3] 서적 Mosby's Medical Dictionary Elsevier 2009
[4] 간행물 Gingival Recession - Causes and treatment http://www.ada.org/s[...]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7-10
[5] 웹사이트 mexicodentaldirectory.com: dental sensitivity http://www.mexicoden[...] 2010-08
[6] 사전 Mondofacto medical dictionary > gingival retraction http://www.mondofact[...] 2000-03-05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歯周組織の解剖(全体像・歯肉) https://dentalhygien[...] はる歯科診療室 2024-04-09
[10] 뉴스 Gum disease opens up the body to a host of infections https://www.sciencen[...] Science News 2016-04-06
[11] 웹사이트 잇몸 주머니 원인 및 해결방법 https://rebrush.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