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통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극 통제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 원리로, 특정 자극(변별 자극)이 있을 때만 반응이 강화되도록 훈련하는 변별 훈련과 자극 일반화를 통해 확립된다. 변별 훈련은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학습하는 과정이며, 자극 일반화는 변별 자극과 유사한 자극에도 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자극 일치 과제는 자극 통제 연구에 활용되며, 특히 지연 자극 일치 과제는 동물의 단기 기억 연구에 사용된다. 칸나비노이드는 CB1 수용체를 자극하여 차별적인 자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자극 통제는 다양한 행동의 측면에서 나타나며, 개 훈련과 같은 실용적인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주의 - 이반 파블로프
이반 파블로프는 조건반사 연구로 유명한 러시아의 생리학자, 심리학자, 의사이며, 190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개의 타액 분비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화 개념을 정립했다. - 행동주의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생리학 - 항상성
항상성은 생명체가 생존을 위해 체온, 혈당, 혈액 pH, 수분 및 이온 균형 등 내부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음성 피드백 시스템, 신경계, 내분비계 등을 통해 조절된다. - 생리학 -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심리적,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지속시간, 강도, 예측 가능성, 통제 가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며, 인지된 스트레스 척도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자극통제 | |
---|---|
개요 | |
정의 | 자극 통제는 특정 자극의 존재 하에서 행동이 더 자주 발생하고, 다른 자극의 존재 하에서는 덜 자주 발생하는 현상이다. |
예시 | 빨간 신호등 앞에서는 멈추고, 녹색 신호등 앞에서는 가는 행동 |
자극 통제의 요소 | |
변별 자극 (Sd) | 반응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자극 |
소거 자극 (SΔ) | 반응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자극 |
델타 자극 (S-) | 반응에 대한 강화가 제공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자극 |
자극 통제 절차 | |
변별 훈련 | 특정 자극(Sd)이 제시될 때 반응을 강화하고, 다른 자극(SΔ)이 제시될 때 반응을 강화하지 않는 절차 |
변별 강화 | 특정 반응이 다른 반응보다 더 자주 강화되는 절차 |
자극 일반화와 변별 | |
자극 일반화 | 훈련된 자극과 유사한 자극에 대해서도 동일한 반응을 보이는 현상 |
자극 변별 | 다른 자극에 대해 다른 반응을 보이는 현상 |
응용 | |
임상 치료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언어 발달 촉진 |
동물 훈련 | 개의 복종 훈련 |
광고 | 특정 제품을 특정 이미지와 연결시켜 구매 유도 |
관련 개념 | |
행동 분석 |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 |
조작적 조건화 | 결과에 따라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학습 과정 |
2.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한 자극 통제 확립
조작적 조건형성은 특정 행동의 결과에 따라 그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학습 과정이다. 자극 통제는 이러한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 원리 중 하나이며, 변별 훈련과 자극 일반화를 통해 확립된다.
변별 훈련 (Discrimination Training)변별 훈련은 특정 자극(변별 자극, SD)이 있을 때만 반응이 강화되고, 다른 자극이 있을 때는 반응이 강화되지 않도록 훈련하는 과정이다.[6] 예를 들어, 불빛이 비둘기가 버튼을 쪼는 행동을 제어하도록 하려면, 버튼을 쪼는 행동 후에만 강화가 발생해야 한다. 일련의 시행을 거치면서, 불빛이 있을 때 쪼는 반응은 더 빈번해지고, 불빛이 없을 때는 덜 빈번해지며, 불빛은 변별 자극이 된다.[6] 동물이 지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극이 변별 자극이 될 수 있으며, 자극 통제를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강화 계획이 사용될 수 있다.[6] 가령, 녹색 불빛은 VR 10 계획과 연관될 수 있고, 빨간 불빛은 FI 20초 계획과 연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녹색 불빛은 빨간 불빛보다 더 높은 반응률을 제어할 것이다.[6]
자극 일반화 (Generalization)판별 자극이 확립된 후, 유사한 자극이 제어된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을 ''자극 일반화''라고 한다. 자극이 원래의 판별 자극과 덜 유사해질수록 반응 강도는 감소하며, 따라서 반응 측정을 통해 ''일반화 기울기(generalization gradient)''를 설명할 수 있다.
Hanson(1959)의 실험은 일반화 현상을 탐구한 많은 실험의 초기이자 영향력 있는 사례를 제공한다.[7] 먼저 비둘기 그룹은 550 nm 파장의 빛에 의해 조명된 원반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으며, 그 외에는 강화되지 않았다. 그런 다음 강화는 중단되었고, 일련의 다른 파장의 빛이 한 번에 하나씩 제시되었다. 그 결과는 일반화 구배를 보여주었다. 파장이 훈련된 자극과 더 많이 다를수록 더 적은 반응이 생성되었다.
많은 요인이 일반화 과정을 조절한다. 그중 하나는 Hanson의 연구 나머지 부분에서 설명되는데, 이는 차별 훈련이 일반화 구배의 모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새들은 사람 관찰자에게 황록색으로 보이는 550 nm 빛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다. 새들은 스펙트럼의 적색 쪽으로 더 가까운 파장을 보았을 때는 강화되지 않았다. 네 그룹 각각은 강화된 550 파장 외에 555, 560, 570 또는 590 nm의 단일 비강화 파장을 보았다. 그런 다음 새들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일련의 비강화 파장으로 테스트되었다. 이 절차는 첫 번째 절차에서 사용된 단순한 일반화 절차보다 더 날카로운 일반화 구배를 산출했다. 또한, Hansen의 실험에서는 "피크 이동"이라는 새로운 현상을 보여주었다. 즉, 테스트 구배의 피크가 SD에서 멀어져, 새들은 강화된 SD보다 전에 보지 못한 파장에 더 자주 반응했다. 억제 및 흥분 구배와 관련된 이전 이론이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했으며,[8] Blough(1975)는 이 효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량적 모델을 제안했다.[9] 다른 이론도 제안되었는데, 피크 이동이 관계적 제어의 한 예라는 아이디어가 포함된다. 즉, 차별은 두 자극 중 더 "녹색"인 자극 사이의 선택으로 인식되었고, 훨씬 더 녹색인 자극이 제공되었을 때 비둘기는 원래 강화된 자극보다 그 자극에 훨씬 더 빠르게 반응했다.[10]
피크 이동 (Peak Shift)Hanson(1959)의 실험은 일반화 현상을 탐구한 초기 실험이다.[7] 비둘기 그룹은 550 nm 파장의 빛에 조명된 원반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고, 다른 경우에는 강화되지 않았다. 이후 강화가 중단되고, 다른 파장의 빛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파장이 훈련된 자극과 다를수록 반응이 적게 생성되는 일반화 구배가 나타났다.
차별 훈련은 일반화 구배의 모양에 영향을 미친다. 새들은 550 nm 빛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고, 다른 파장의 빛에는 강화되지 않았다. 이후 비강화 파장으로 테스트했을 때, 단순 일반화 절차보다 더 날카로운 일반화 구배가 나타났다. 또한, "피크 이동"이라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테스트 구배의 피크가 SD(변별 자극)에서 멀어져, 새들이 강화된 SD보다 이전에 보지 못한 파장에 더 자주 반응하는 현상이다. 억제 및 흥분 구배와 관련된 이전 이론이 이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했으며,[8] Blough(1975)는 더 상세한 정량적 모델을 제안했다.[9] 피크 이동이 관계적 제어의 한 예라는 이론도 제시되었다. 즉, 차별은 두 자극 중 더 "녹색"인 자극을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더 녹색인 자극이 제공되었을 때 비둘기는 원래 강화된 자극보다 그 자극에 더 빠르게 반응했다.[10]
2. 1. 변별 훈련 (Discrimination Training)
변별 훈련은 특정 자극(변별 자극, SD)이 있을 때만 반응이 강화되고, 다른 자극이 있을 때는 반응이 강화되지 않도록 훈련하는 과정이다.[6] 예를 들어, 불빛이 비둘기가 버튼을 쪼는 행동을 제어하도록 하려면, 버튼을 쪼는 행동 후에만 강화가 발생해야 한다. 일련의 시행을 거치면서, 불빛이 있을 때 쪼는 반응은 더 빈번해지고, 불빛이 없을 때는 덜 빈번해지며, 불빛은 변별 자극이 된다.[6] 동물이 지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극이 변별 자극이 될 수 있으며, 자극 통제를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강화 계획이 사용될 수 있다.[6] 가령, 녹색 불빛은 VR 10 계획과 연관될 수 있고, 빨간 불빛은 FI 20초 계획과 연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녹색 불빛은 빨간 불빛보다 더 높은 반응률을 제어할 것이다.[6]2. 2. 자극 일반화 (Generalization)
판별 자극이 확립된 후, 유사한 자극이 제어된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을 ''자극 일반화''라고 한다. 자극이 원래의 판별 자극과 덜 유사해질수록 반응 강도는 감소하며, 따라서 반응 측정을 통해 ''일반화 기울기(generalization gradient)''를 설명할 수 있다.Hanson(1959)의 실험은 일반화 현상을 탐구한 많은 실험의 초기이자 영향력 있는 사례를 제공한다.[7] 먼저 비둘기 그룹은 550 nm 파장의 빛에 의해 조명된 원반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으며, 그 외에는 강화되지 않았다. 그런 다음 강화는 중단되었고, 일련의 다른 파장의 빛이 한 번에 하나씩 제시되었다. 그 결과는 일반화 구배를 보여주었다. 파장이 훈련된 자극과 더 많이 다를수록 더 적은 반응이 생성되었다.
많은 요인이 일반화 과정을 조절한다. 그중 하나는 Hanson의 연구 나머지 부분에서 설명되는데, 이는 차별 훈련이 일반화 구배의 모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새들은 사람 관찰자에게 황록색으로 보이는 550 nm 빛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다. 새들은 스펙트럼의 적색 쪽으로 더 가까운 파장을 보았을 때는 강화되지 않았다. 네 그룹 각각은 강화된 550 파장 외에 555, 560, 570 또는 590 nm의 단일 비강화 파장을 보았다. 그런 다음 새들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일련의 비강화 파장으로 테스트되었다. 이 절차는 첫 번째 절차에서 사용된 단순한 일반화 절차보다 더 날카로운 일반화 구배를 산출했다. 또한, Hansen의 실험에서는 "피크 이동"이라는 새로운 현상을 보여주었다. 즉, 테스트 구배의 피크가 SD에서 멀어져, 새들은 강화된 SD보다 전에 보지 못한 파장에 더 자주 반응했다. 억제 및 흥분 구배와 관련된 이전 이론이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했으며,[8] Blough(1975)는 이 효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량적 모델을 제안했다.[9] 다른 이론도 제안되었는데, 피크 이동이 관계적 제어의 한 예라는 아이디어가 포함된다. 즉, 차별은 두 자극 중 더 "녹색"인 자극 사이의 선택으로 인식되었고, 훨씬 더 녹색인 자극이 제공되었을 때 비둘기는 원래 강화된 자극보다 그 자극에 훨씬 더 빠르게 반응했다.[10]
2. 2. 1. 피크 이동 (Peak Shift)
Hanson(1959)의 실험은 일반화 현상을 탐구한 초기 실험이다.[7] 비둘기 그룹은 550 nm 파장의 빛에 조명된 원반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고, 다른 경우에는 강화되지 않았다. 이후 강화가 중단되고, 다른 파장의 빛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파장이 훈련된 자극과 다를수록 반응이 적게 생성되는 일반화 구배가 나타났다.차별 훈련은 일반화 구배의 모양에 영향을 미친다. 새들은 550 nm 빛을 쪼는 행동에 대해 강화되었고, 다른 파장의 빛에는 강화되지 않았다. 이후 비강화 파장으로 테스트했을 때, 단순 일반화 절차보다 더 날카로운 일반화 구배가 나타났다. 또한, "피크 이동"이라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테스트 구배의 피크가 SD(변별 자극)에서 멀어져, 새들이 강화된 SD보다 이전에 보지 못한 파장에 더 자주 반응하는 현상이다. 억제 및 흥분 구배와 관련된 이전 이론이 이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했으며,[8] Blough(1975)는 더 상세한 정량적 모델을 제안했다.[9] 피크 이동이 관계적 제어의 한 예라는 이론도 제시되었다. 즉, 차별은 두 자극 중 더 "녹색"인 자극을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더 녹색인 자극이 제공되었을 때 비둘기는 원래 강화된 자극보다 그 자극에 더 빠르게 반응했다.[10]
3. 자극 일치 (Matching to Sample)
일반적인 자극 일치 과제에서, 자극은 한 위치("표본")에 제시되고, 피험자는 다른 위치에서 어떤 면에서 표본과 일치하는 자극(예: 모양 또는 색상)을 선택한다.[11] 관련 "이상 일치" 절차에서는, 피험자가 표본과 일치하지 않는 비교 자극에 반응한다. 이것들은 응답하는 자극이 표본 자극에 따라 달라지거나 "조건부"이기 때문에 "조건적" 변별 과제라고 불린다.
자극 일치 절차는 매우 광범위한 문제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지연 자극 일치" 변형으로, 이는 동물의 단기 기억을 연구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이 변형에서, 피험자는 표본 자극에 노출된 다음, 표본이 제거되고 "지연"이라는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선택 자극이 나타난다. 올바른 선택을 하려면 피험자는 지연 시간 동안 표본에 대한 정보를 유지해야 한다. 지연의 길이, 자극의 성격, 지연 동안의 사건, 그리고 다른 많은 요인들이 이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12]
3. 1. 지연 자극 일치 (Delayed Matching to Sample)
지연 자극 일치는 자극 일치 과제의 변형이다.[11] 일반적인 자극 일치 과제에서는 표본 자극이 제시된 후, 피험자는 다른 위치에서 표본과 일치하는 자극(예: 모양, 색상)을 선택한다. 이상 일치 절차에서는 표본과 일치하지 않는 비교 자극에 반응한다. 이러한 과제는 응답 자극이 표본 자극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조건적" 변별 과제라고 불린다.지연 자극 일치 절차는 동물의 단기 기억을 연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2] 이 방법에서는 표본 자극을 제시하고 제거한 후, 일정 시간("지연")이 경과한 뒤 선택 자극이 나타난다. 피험자는 지연 시간 동안 표본에 대한 정보를 유지해야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 지연 시간, 자극의 성격, 지연 동안의 사건 등 여러 요인이 이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12]
4. 칸나비노이드와 자극 통제
정신 활성 칸나비노이드는 뇌의 CB1 수용체 자극을 통해 차별적인 자극 효과를 낸다.[13] 칸나비노이드와 관련된 내용은 한국 사회에서 마약류 관리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
5. 자극 통제의 특징
자극의 통제 효과는 매우 다양한 상황과 행동의 여러 측면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한 시점에 제시된 자극은 즉시 또는 나중에 방출되는 반응을 통제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자극이 동일한 행동을 통제할 수도 있다. 하나의 자극이 한 시점에는 행동 A를, 다른 시점에는 행동 B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자극이 다른 자극이 있을 때만 행동을 통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통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행동 과정의 많은 측면을 설명할 수 있다.[4]
단순하고 실용적인 상황에서, 예를 들어 작동 조건화를 사용하여 개를 훈련시키는 경우, 최적의 자극 통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 변별 자극이 주어지면 즉시 행동이 나타난다.
- 자극이 없을 때는 절대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 다른 자극에 반응하여 행동이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 이 자극에 반응하여 다른 행동은 나타나지 않는다.[5]
5. 1. 자극 통제의 최적 조건 (개 훈련)
개를 훈련시킬 때, 최적의 자극 통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5]- 변별 자극이 주어지면 즉시 행동이 나타난다.
- 자극이 없을 때는 절대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 다른 자극에 반응하여 행동이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 이 자극에 반응하여 다른 행동은 나타나지 않는다.[5]
자극의 통제 효과는 매우 다양한 상황과 행동의 여러 측면에서 나타난다.[4]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behaviorism : Behavior, culture, and evolution.
Blackwell Pub.
[2]
서적
Verbal behavior
Copley
[3]
서적
Verbal Behavior
Copley Publishing Group
[4]
간행물
Learning
Prentice Hall
[5]
서적
Don't Shoot the Dog!
Ringpress Books Ltd
[6]
논문
Pigeons' discrimination of paintings by Monet and Picasso
[7]
논문
Effects of discrimination training on stimulus generalization
[8]
논문
The differential response in animals to stimuli varying in a single dimension
[9]
논문
Steady state data and a quantitative model of operant generalization and discrimination
[10]
서적
Introduction to modern behaviorism
W.H. Freeman
[11]
논문
Delayed matching in the pigeon
[12]
간행물
Learning and Behavior: A Contemporary Synthesis
Sinauer
[13]
논문
Discriminative Stimulus Properties of Phytocannabinoids, Endocannabinoids, and Synthetic Cannabinoids
2016-06-09
[14]
서적
Understanding behaviorism : Behavior, culture, and evolution.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
[15]
서적
Verbal Behavior
Copley Publishing Group
[16]
서적
Verbal behavior
Cop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