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르랍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르랍 전투는 역사, 문헌,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문헌에서는 이드 알 야흐야의 '아라비아 여행자들', '역사 저널' 논문, H. St. 존 필비의 '아라비아'와 같은 자료들을 제시한다. 한국과의 관계는 고대 및 중세 시대의 교류, 현대의 외교 관계, 경제 협력, 문화 교류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5년 전투 - 갈리폴리 전역
갈리폴리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고 오스만 제국을 붕괴시키려 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방어에 막혀 철수하면서 양측에 막대한 피해를 남기고 호주와 뉴질랜드의 국가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군사 작전이다. - 1915년 전투 - 제2차 이프르 전투
제2차 이프르 전투는 1915년 벨기에 이프르에서 독일군이 염소 가스를 사용하며 시작된 전투로, 가스전의 시작을 알리고 이후 양측이 가스 무기와 방어책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가 참가한 전투 - 중동 전구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의 참전으로 시작된 중동 전구는 코카서스, 갈리폴리, 메소포타미아, 시나이 반도 및 팔레스타인 전선에서 오스만 제국과 연합군 간의 격렬한 전투를 포함하며, 영토 회복, 석유 자원 통제, 통신망 차단 등의 목표와 아르메니아인 학살, 아랍 반란 등의 정치적 요소가 전쟁에 영향을 미쳐 1918년 무드로스 휴전 협정으로 종식되었고 이후 정치적 변화를 가져왔다. - 사우디아라비아가 참가한 전투 - 하일 정복
하일 정복은 자발 샴마르 토후국의 수도 하일을 압둘아지즈가 점령한 사건으로, 압둘아지즈는 무함마드 빈 탈랄 알 라시드를 투옥하고 그의 아내와 강제 이혼 후 결혼했으며, 이는 제2차 사우드-라시드 전쟁으로 잘못 불리기도 한다.
자르랍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사우디 아라비아의 통일 및 제2차 사우디-라시디 전쟁 (1915년~1918년)의 일부 |
날짜 | 1915년 1월 24일 |
장소 | 아라비아 알마즈마아 마을 북쪽 자라브 호수 |
원인 | 아발카일의 사촌이자 카심의 에미르의 죽음 |
결과 | 자발 샴마르의 승리 |
영향 | 아랍 반란의 방향 전환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the Emirate of Ha'il.svg|테두리|22px]] 자발 샴마르 토후국" 지원 세력: "[[파일:Flag of the Ottoman Empire.svg|테두리|22px]] 오스만 제국" |
교전국 2 | "[[파일:Flag of the Emirate of Nejd and Hasa.svg|테두리|22px]] 네지드 하사 토후국" 지원 세력: "[[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svg|테두리|22px]] 영국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파일:Flag of the Emirate of Ha'il.svg|테두리|22px]]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 라시드" "[[파일:Flag of the Emirate of Ha'il.svg|테두리|22px]] 사우드 빈 살레 알 사반 " |
교전국 2 지휘관 | "[[파일:Flag of the Emirate of Nejd and Hasa.svg|테두리|22px]]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svg|테두리|22px]] 윌리엄 셰익스피어 "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1,500명 ~ 1,800명 |
교전국 2 병력 | 2,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교전국 1 사상자 | 소수 |
교전국 2 사상자 | 600명 사망 |
2. 역사
2. 1. 고대사
2. 2. 이슬람 시대
2. 3. 오스만 제국 시대
2. 4.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성립
3. 문헌
이드 알 야흐야(Eid Al Yahya)의 ''아라비아 여행자들''(Travellers in Arabia)은 아라비아 반도를 여행한 여행자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이드 알 야흐야(Eid Al Yahya)가 저술하고 스테이시 인터내셔널(Stacey International)에서 2006년에 출판되었다. 또한, ''역사 저널''(The Historical Journal) 1971년 9월호에 게재된 관련 논문도 참고할 수 있다. H. St. 존 필비(H. St. John Philby)가 1930년에 런던에서 출판한 ''아라비아''(Arabia) 역시 중요한 자료이다. H. St. 존 필비(H. St. John Philby)는 1930년 런던에서 ''아라비아''(Arabia)를 출간했다. 이드 알 야흐야(Eid Al Yahya)는 2006년 스테이시 인터내셔널(Stacey International)에서 ''아라비아 여행자들''(Travellers in Arabia)를 출간했다. 1971년 9월 ''역사 저널''(The Historical Journal) 14 (3) 에서는 627–633 페이지에 걸쳐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3. 1. 여행기
이드 알 야흐야(Eid Al Yahya)의 ''아라비아 여행자들''(Travellers in Arabia)은 아라비아 반도를 여행한 여행자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3. 2. 학술 연구
자르랍 전투에 관한 학술 연구는 ''아라비아 여행자들''(Travellers in Arabia)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이드 알 야흐야(Eid Al Yahya)가 저술하고 스테이시 인터내셔널(Stacey International)에서 2006년에 출판되었다. 또한, ''역사 저널''(The Historical Journal) 1971년 9월호에 게재된 관련 논문도 참고할 수 있다. H. St. 존 필비(H. St. John Philby)가 1930년에 런던에서 출판한 ''아라비아''(Arabia) 역시 중요한 자료이다.3. 3. H. St. 존 필비의 저서
H. St. 존 필비(H. St. John Philby)는 1930년 런던에서 ''아라비아''(Arabia)를 출간했다. 이드 알 야흐야(Eid Al Yahya)는 2006년 스테이시 인터내셔널(Stacey International)에서 ''아라비아 여행자들''(Travellers in Arabia)를 출간했다. (9780955219313) 1971년 9월 ''역사 저널''(The Historical Journal) 14 (3) 에서는 627–633 페이지에 걸쳐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4. 한국과의 관계
4. 1. 고대 및 중세 시대의 교류
4. 2. 현대의 외교 관계
4. 3. 경제 협력
4. 4. 문화 교류
참조
[1]
서적
Ibn Saud: Founder of A Kingdom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3-01-21
[2]
논문
Captain Shakespear and Ibn Saud: A Balanced Reappraisal
https://www.jstor.or[...]
1986-01
[3]
논문
Lt Col Hamilton's 1917 Political Mission to Emir Abd Al Aziz Al Saud of Najd
https://doi.org/10.1[...]
2021
[4]
간행물
John Philby and his political roles in the Arabian Peninsula, 1917-1953
https://etheses.bham[...]
2016-10
[5]
간행물
Britain, Her Middle East Mandates and the Emergence of Saudi Arabia, 1926-1932: A Study in the Process of British Policy-making and in the Conduct and development of Britain's Relations with Ibn Saud
https://eprints.keel[...]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