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랍 반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반란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아랍 민족주의자들이 일으킨 봉기이다. 19세기 후반부터 오스만 제국 내 아랍 민족주의가 성장하면서 자치, 아랍어 사용 확대 등을 요구했고, 청년 튀르크당의 튀르크 민족주의 정책으로 인해 아랍인들의 불만이 커졌다. 영국은 오스만 제국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랍인들의 독립을 지원하기로 약속하고, 1916년 메카의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가 반란을 일으켰다. 영국은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를 파견하여 아랍 반란군을 지원했고, 아랍군은 히자즈 철도 파괴, 아카바 점령 등의 성과를 거두며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전쟁 후 영국과 프랑스는 아랍인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지역을 분할했으며, 밸푸어 선언으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거주지를 건설하겠다고 약속하여 아랍인들을 배신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아랍 반란은 아랍 민족주의 운동의 시초로 평가받지만, 이후 중동 지역의 갈등과 분쟁의 씨앗을 뿌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랍 반란
개요
샤리프군 병사들이 [[아랍 반란]] 깃발을 들고 남부 [[얀부]]에서 행진하는 모습
샤리프군 병사들이 아랍 반란 깃발을 들고 남부 얀부에서 행진하는 모습
명칭아랍 반란
로마자 표기al-Thawra al-'Arabiyya
다른 로마자 표기al-Thawra al-'Arabiyya al-Kubrā
시기1916년 6월 10일 ~ 1918년 10월 25일
장소중동
결과아랍의 승리
추가 결과헤자즈 독립
오스만 제국 분할 및 사이크스-피코 협정
영국의 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 메소포타미아 점령
프랑스시리아 및 레바논 점령
교전 세력
지원 세력영국
프랑스
교전국 2오스만 제국
지원 세력자발 샴마르 토후국
독일 제국
지휘관
교전국 1 지휘관후세인 빈 알리
파이살 1세
압둘라 1세
알리 빈 후세인
아우다 아부 타이
에드먼드 알렌비
T. E. 로렌스
에두아르 브레몽
교전국 2 지휘관메흐메트 5세
아흐메드 제말
외메르 F. 튀르칸
무히틴 아키위즈
레제프 페케르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1916년 6월: 30,000명
1918년 10월: 50,000명 이상
교전국 2 병력1916년 5월: 6,500–7,000명
1918년 9월: 25,000명, 포 340문
피해 규모
교전국 1 피해불명
교전국 2 피해총 47,000명 이상
사망: 5,000명
부상: 10,000명
포로: 22,000명 이상
질병 관련 사망: ~10,000명
관련 정보
관련 정보although his sons 'Ali and Faisal had already initiated operations at Medina starting on 5 June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Eliezer Tauber, Routledge, 2014 pp. 80–81

2. 배경

오스만 제국 내 민족주의는 늦어도 1821년부터 시작되었다.[115] 19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내에서 튀르크 민족주의가 강화되면서, 제국 내 다른 민족, 특히 마슈리크(이집트 동쪽의 아랍 지역), 그 중에서도 레반트 지역을 중심으로 아랍 민족주의 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다.[115]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정치적 성향은 대체로 온건했으며, 이들은 주로 자치, 교육에서의 아랍어 사용 확대, 평시 징병제 변경을 통해 아랍 징집병이 오스만 군대에서 지역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혁을 요구했다.[115]

1908년 7월 3일에 시작된 청년 튀르크당 혁명은 제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술탄 압뒬하미트 2세1876년 헌법의 복원[116]과 오스만 제국 의회의 재소집[117][118]을 발표해야만 했다. 제2입헌기로 알려진 이 시기, 1908년 선거에서 청년 튀르크당통일진보위원회(CUP)는 메흐메드 사바하딘이 이끄는 평화협치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119] 새 의회는 여러 민족 출신 의원들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아랍인 의원은 60명이었다.

청년 튀르크당범이슬람주의, 오스만주의, 범튀르크주의가 혼합된 메시지를 전파했으며, 상황에 따라 조정되었다.[15] 근본적으로 통일진보위원회(CUP)는 튀르크인들이 오스만 제국 내에서 지배적인 집단이 되기를 원했던 튀르크 민족주의자들이었으며, 이는 아랍 지도자들을 적대시하게 하고 그들 역시 유사한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15][120]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튀르크화 정책을 추진했고, 오스만 영토 내 다양한 민족들 사이에 "오스만주의" 감정을 조성하고자 했으나, 자유주의 개혁은 오스만 칼리파를 세속 제국으로 변화시켰고, 이는 다양한 인종을 묶어주던 움마의 이슬람 개념을 약화시켰다.[101]

1909년에는 1909년 반쿠데타가 발생하여 헌정 체제가 위협받았으나, 압뒬하미트 2세는 청년 튀르크에 의해 폐위되고 메흐메트 5세가 즉위했다.[16] 청년 튀르크당의 집권과 1913년 쿠데타를 통한 일당 독재의 수립은 튀르크 민족주의를 국가 이념으로 강제하면서, 오스만 정부와 비(非) 튀르크계 국민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00]

1913년 파리에서 제1차 아랍 회의가 개최되었고, 마슈리크의 지식인들과 정치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에서 더 큰 자치와 평등을 요구하는 일련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아랍 지역의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아랍어로 실시할 것, 평시의 아랍인 징집병들이 자신의 고향 지역 근처에서 복무할 것, 그리고 오스만 제국 내각에 최소한 세 명의 아랍인 장관을 임명할 것이 포함되었다.[17][121]

2. 1. 오스만 제국 내 민족주의의 부상

오스만 제국 내 민족주의는 늦어도 1821년부터 시작되었다.[115] 19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내에서 튀르크 민족주의가 강화되면서, 제국 내 다른 민족, 특히 마슈리크(이집트 동쪽의 아랍 지역), 그 중에서도 레반트 지역을 중심으로 아랍 민족주의 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다.[115]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정치적 성향은 대체로 온건했으며, 이들은 주로 자치, 교육에서의 아랍어 사용 확대, 평시 징병제 변경을 통해 아랍 징집병이 오스만 군대에서 지역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혁을 요구했다.[115]

1908년 7월 3일에 시작된 청년 튀르크당 혁명은 제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술탄 압뒬하미트 2세1876년 헌법의 복원[116]과 오스만 제국 의회의 재소집[117][118]을 발표해야만 했다. 제2입헌기로 알려진 이 시기, 1908년 선거에서 청년 튀르크당통일진보위원회(CUP)는 메흐메드 사바하딘이 이끄는 평화협치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119] 새 의회는 여러 민족 출신 의원들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아랍인 의원은 60명이었다.

청년 튀르크당범이슬람주의, 오스만주의, 범튀르크주의가 혼합된 메시지를 전파했으며, 상황에 따라 조정되었다.[15] 근본적으로 통일진보위원회(CUP)는 튀르크인들이 오스만 제국 내에서 지배적인 집단이 되기를 원했던 튀르크 민족주의자들이었으며, 이는 아랍 지도자들을 적대시하게 하고 그들 역시 유사한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15][120]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튀르크화 정책을 추진했고, 오스만 영토 내 다양한 민족들 사이에 "오스만주의" 감정을 조성하고자 했으나, 자유주의 개혁은 오스만 칼리파를 세속 제국으로 변화시켰고, 이는 다양한 인종을 묶어주던 움마의 이슬람 개념을 약화시켰다.[101]

1909년에는 1909년 반쿠데타가 발생하여 헌정 체제가 위협받았으나, 압뒬하미트 2세는 청년 튀르크에 의해 폐위되고 메흐메트 5세가 즉위했다.[16] 청년 투르크당의 집권과 1913년 쿠데타를 통한 일당 독재의 수립은 튀르크 민족주의를 국가 이념으로 강제하면서, 오스만 정부와 비(非) 튀르크계 국민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00]

1913년 파리에서 제1차 아랍 회의가 개최되었고, 마슈리크의 지식인들과 정치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에서 더 큰 자치와 평등을 요구하는 일련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아랍 지역의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아랍어로 실시할 것, 평시의 아랍인 징집병들이 자신의 고향 지역 근처에서 복무할 것, 그리고 오스만 제국 내각에 최소한 세 명의 아랍인 장관을 임명할 것이 포함되었다.[17][121]

2. 2. 청년 튀르크당 혁명과 그 영향

1908년 7월 3일, 오스만 제국에서 청년 튀르크당 혁명이 일어나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혁명으로 술탄 압뒬하미트 2세1876년 헌법의 복원[116]과 오스만 제국 의회의 재소집[117][118]을 선언해야 했다. 이 시기는 제2입헌기로 알려져 있다.[115]

청년 튀르크당범이슬람주의, 오스만주의, 범튀르크주의를 혼합한 메시지를 전파했으며, 상황에 따라 조정되었다. 이들은 튀르크인들이 오스만 제국 내에서 지배적인 집단이 되기를 원했고, 이는 아랍 지도자들을 적대시하고 그들 역시 유사한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120]

1908년 선거에서 청년 튀르크당통일진보위원회(CUP)는 메흐메드 사바하딘이 이끄는 평화협치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119] 새 의회는 142명의 튀르크인, 60명의 아랍인, 25명의 알바니아인, 23명의 그리스인, 12명의 아르메니아인 (그 중 4명은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2명은 사회 민주 훈차키안 당), 5명의 유대인, 4명의 불가리아인, 3명의 세르비아인, 1명의 블라흐인으로 구성되었다.

1909년 3월 31일에는 반쿠데타 시도("3월 31일 사건")가 발생하여 세속주의적인 청년 튀르크당의 정책을 종식시키려 했으나 진압되었다. 이 사건으로 압뒬하미트 2세는 폐위되고 테살로니카에 유폐되었으며, 그의 동생 메흐메트 5세가 술탄으로 즉위했다.

제2차 입헌 제도가 부활하면서 튀르크 민족주의가 고조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민족 정책은 튀르크인 이외의 국민에 대한 대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이에 아랍인들 사이에서도 민족주의가 높아졌다.

2. 3. 제1차 아랍 회의 (1913)

1913년, 마슈리크의 지식인들과 정치인들이 파리에서 제1차 아랍 회의에 모였다.[121] 이들은 오스만 제국 내에서 더 큰 자치와 평등을 요구하는 일련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121] 여기에는 아랍 지역의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아랍어로 실시할 것, 평시의 아랍인 징집병들이 자신의 고향 지역 근처에서 복무할 것, 그리고 오스만 제국 내각에 최소한 세 명의 아랍인 장관을 임명할 것이 포함되었다.[121]

오스만 제국에서 민족주의 부상은 최소 182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아랍 민족주의마슈리크(이집트 동쪽의 아랍 지역), 특히 레반트 지역 국가들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115]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정치적 성향은 일반적으로 온건했으며, 이들의 요구는 개혁적 성격을 띠었고, 일반적으로 자치, 교육에서 아랍어 사용 확대, 그리고 평시 징병제 변경으로 오스만 제국군에서 아랍 병사들이 지역 방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에 한정되었다.[115]

1908년 7월 3일 시작된 청년 튀르크당 혁명은 제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술탄 압뒬하미트 2세1876년 헌법의 복원[116]과 오스만 제국 의회의 재소집[117][118]을 발표했다. 청년 튀르크당통일진보위원회(CUP)는 범이슬람주의, 오스만주의, 범튀르크주의가 혼합된 메시지를 전파했는데, 이는 아랍 지도자들을 적대시하게 하고 그들 역시 유사한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120]

3. 제1차 세계 대전과 아랍 반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만 제국독일 제국과 동맹을 맺고 동맹국에 가담하여 중동 전선에 참전했다.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랍 민족주의를 이용하고자 했다. 1915년 제말 파샤가 베이루트 등에서 민족주의자 및 지식인을 고문, 학살했고, 아랍 지식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이탈해 갔다. 다마스쿠스베이루트의 많은 아랍 민족주의자들이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34]

반란을 지원한 영국군의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


1916년6월 10일, 메카의 샤리프이자 하심 가문의 수장인 후세인 빈 알리는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고 히자즈 왕국의 독립을 선포했다.[39] 후세인은 5만 명의 군세를 조직했지만, 당시 라이플을 소지한 사람은 그 중 1만 명에도 미치지 못했다.[37] 메카 전투에서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훨씬 더 무장한 오스만군과 후세인의 부족민들 사이에 한 달 이상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18] 영국 해군과 함께 이집트에서 파견된 영국군이 포병 지원을 제공했고, 1916년 7월 9일 메카를 점령했다.[18] 프랑스 해군과 영국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홍해에서 오스만군의 포함을 일소했고,[40] 아랍 반란군은 1916년 9월 말까지 얀부, 킨피다 등 메디나보다 바다 쪽에 있는 홍해 해안을 따라 여러 도시를 점령하고 6000명의 오스만군을 포로로 잡았다.[37]

|thumb|upright|로렌스(Lawrence)가 1917년 지다 북쪽 라베흐에 도착]]

영국군은 아랍 부족에 협력하기 위해 1916년 10월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알려진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를 파견했다.[40] 로렌스는 아랍 지도자들 (파이살과 압둘라)의 신뢰를 얻어 그들의 전투를 영국의 대 오스만 제국 전략에 맞게 조정했다.[45] 로렌스는 히자즈 철도 종착역인 메디나에 주둔한 강력한 오스만군과 싸우는 대신 히자즈 철도를 각지에서 게릴라전을 통해 파괴하여 오스만군이 히자즈 철도 전선의 호위와 수리에 많은 오스만군 부대를 증원해야 하도록 만들었다.[47]

|thumb|upright|아라비아의 로렌스가 아카바 전투 이후]]

1917년1월 3일, 파이살은 홍해 북부 해안 마을 알 와즈 (Al Wajh)를 거점으로 확보하기 위해 홍해를 따라 북상하기 시작했고, 영국 해군도 해상에서 물자 보급 등으로 지원했다.[44] 1월 23일, 북쪽에서 웨흐를 공격했다.[50] 36시간 후 와즈는 항복했다. 오스만군은 히자즈의 중심인 메카 침공을 포기하고 메디나와 철도 연선 거점 사수를 선택했다.[51]

1917년 7월, 로렌스는 아카바 만 안쪽의 항구 도시 아카바를 공격했다.[60] 1917년7월 6일, 육지에서의 공격으로 아랍군은 아카바를 함락시켰다.[60] 그해 하반기, 아랍 반란군의 전사들은 장군에 의한 가자-베르셰바 방어선 동계 공격 (베르셰바 전투)에 협력하여 오스만 제국군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앨렌비는 이 전투에서 승리하고 1917년 크리스마스 전에 예루살렘을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63]

3. 1. 맥마흔-후세인 서한과 영국의 약속

허버트 키치너가 이집트 총영사였을 때, 압둘라와 키치너 사이의 접촉은 1914년 11월 1일, 전보로 이어졌다. 이 전보는 영국이 헤자즈 아랍인들의 지원을 받는 대가로 "모든 외부 침략, 특히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부터 샤리프의 독립, 권리 및 특권을 보장"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35]

1915년 7월 14일부터 1916년 3월 10일까지 헨리 맥마흔 경과 샤리프 후세인 사이에는 10통의 서신이 오갔다. 후세인의 1916년 2월 18일자 서신은 맥마흔에게 금 5만 파운드와 무기, 탄약, 식량을 요구했고, 맥마흔의 1916년 3월 10일자 답변은 영국의 요청에 대한 동의를 확인했다.[36] 다마스쿠스에서 발생한 아랍 민족주의 지도자들의 대대적인 처형은 후세인이 자신의 생명을 두려워하게 만들었다.[18] 연합군 진영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는데, 라이벌 자이드 가문의 지도자인 샤리프 알리 하이다르를 선호하여 오스만 정부가 곧 메카의 샤리프로서 그를 폐위시킬 것이라는 소문 때문이었다.[36]

바르-일란 대학교의 에프라임 카르쉬에 따르면, 메카의 샤리프 후세인은 청년 투르크당의 튀르크화 정책으로 이스탄불의 지배자들과 사이가 벌어지기 시작했다.[94] 후세인은 청년 투르크 혁명이 1908년 7월 오스만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에 대항한 이후에야 비로소 아랍 민족주의의 언어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95]

1918년 영국 정부 지도: ''H.M.G.와 후세인 왕 사이의 영토 협상에 대한 지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만 제국독일 제국과 동맹을 맺고 동맹국에 가담하여 중동 전선에 참전했다. 당시 다마스쿠스베이루트에 있던 아랍 민족주의 활동가들은 대부분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다. 1915년에는 제말 파샤가 베이루트 등에서 민족주의자 및 지식인을 고문, 학살했고, 아랍 지식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이탈해 갔다.

독일은 오스만 제국과 손을 잡고 수에즈 운하를 위협하는 동시에 칼리프인 오스만 황제의 권위로 이슬람교도 전체를 연합국에 대항하여 봉기하게 하여 영국령 인도 제국을 흔들려는 계략을 세웠지만, 영국은 반대로 아랍인을 봉기시켜 오스만 제국의 남부를 흔들려는 계략을 세웠다. 1915년 말부터 이 계획을 입안한 사람은 였으며, 1916년1월 7일에는 외무부 카이로 정보국 산하에 ""이 신설되어 아랍 반란을 지휘했다.

당시 오스만 제국에 의해 히자즈 지방을 지배하는 아미르 (샤리프)로 임명되어 메카에 있던 하심 가문의 후세인 빈 알리 역시 아랍 민족주의자였으며 오스만 제국의 탄압과 억압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후세인은 1915년경부터 영국의 외교관이자 주 이집트 고등 판무관인 헨리 매크마흔과 서신을 주고받았다. 이 서신은 후에 후세인-맥마흔 협정이라고 불린다.

1916년3월 9일 내각에서 후세인 빈 알리를 지원하여 봉기시킨다는 아랍국의 계획이 승인되었고, 무기와 자금이 공급되었다.

3. 2. 아랍 반란의 전개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독일 동맹에 따라 제1차 세계 대전의 중동 전역에 참여했다.[34] 1915년에는 "통일 진보 위원회"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제말 파샤가 베이루트 등에서 민족주의자 및 지식인을 고문, 학살했고, 아랍 지식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이탈해 갔다.[18] 다마스쿠스베이루트의 많은 아랍 민족주의자들이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34]

헤자즈 개략 지도


1915년 7월 14일부터 1916년 3월 10일까지 헨리 맥마흔 경과 샤리프 후세인 사이에는 10통의 서신, 양측에서 각각 5통의 서신이 오갔다.[36] 후세인은 삼국 협상 측에 협력함으로써 이집트에서 페르시아에 이르는 전역 (단, 쿠웨이트, 아덴, 시리아 해안에 있는 영국의 권익 제외)을 포함하는 아랍 제국을 건국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36]

1916년6월 10일, 메카의 샤리프이자 하심 가문의 수장인 후세인 빈 알리는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고 히자즈 왕국의 독립을 선포했다.[39] 후세인은 5만 명의 군세를 조직했지만, 당시 라이플을 소지한 사람은 그 중 1만 명에도 미치지 못했다.[37] 메카 전투에서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훨씬 더 무장한 오스만군과 후세인의 부족민들 사이에 한 달 이상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18] 영국 해군과 함께 이집트에서 파견된 영국군이 포병 지원을 제공했고, 1916년 7월 9일 메카를 점령했다.[18] 프랑스 해군과 영국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홍해에서 오스만군의 포함을 일소했고,[40] 아랍 반란군은 1916년 9월 말까지 얀부, 킨피다 등 메디나보다 바다 쪽에 있는 홍해 해안을 따라 여러 도시를 점령하고 6000명의 오스만군을 포로로 잡았다.[37]

|thumb|upright|로렌스(Lawrence)가 1917년 지다 북쪽 라베흐에 도착]]

영국은 아랍 부족에 협력하기 위해 1916년 10월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를 파견했다.[40] 로렌스는 아랍 지도자들 (파이살과 압둘라)의 신뢰를 얻어 그들의 전투를 영국의 대 오스만 제국 전략에 맞게 조정했다.[45] 로렌스는 히자즈 철도 종착역인 메디나에 주둔한 강력한 오스만군과 싸우는 대신 히자즈 철도를 각지에서 게릴라전을 통해 파괴하여 오스만군이 히자즈 철도 전선의 호위와 수리에 많은 오스만군 부대를 증원해야 하도록 만들었다.[47] 1917년 초부터 하심 게릴라군은 헤자즈 철도를 공격하기 시작했다.[55]

|thumb|upright|아라비아의 로렌스가 아카바 전투 이후]]

1917년1월 3일, 파이살은 홍해 북부 해안 마을 알 와즈를 거점으로 확보하기 위해 홍해를 따라 북상하기 시작했고, 영국 해군도 해상에서 물자 보급 등으로 지원했다.[44] 1월 23일, 북쪽에서 웨흐를 공격했다.[50] 36시간 후 와즈는 항복했다. 오스만군은 히자즈의 중심인 메카 침공을 포기하고 메디나와 철도 연선 거점 사수를 선택했다.[51]

|thumb|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건설한 헤자즈 철도는 다마스쿠스-메카 순례 노선으로 사용되었다. 1917년 아랍 반란 이후 빠르게 쇠퇴했다.]]

1917년 7월, 로렌스는 아카바 만 안쪽의 항구 도시 아카바를 공격했다.[60] 1917년7월 6일, 육지에서의 공격으로 아랍군은 아카바를 함락시켰다.[60] 그해 하반기, 아랍 반란군의 전사들은 장군에 의한 가자-베르셰바 방어선 동계 공격 (베르셰바 전투)에 협력하여 오스만 제국군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앨렌비는 이 전투에서 승리하고 1917년 크리스마스 전에 예루살렘을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63]

3. 3. 연합군의 지원과 반란의 확대

영국과 프랑스는 아랍 반란군에 무기, 자금, 군사 고문단을 제공하며 반란을 지원했다.[66][42] 특히, 로렌스를 비롯한 영국 장교들은 아랍 부족들을 규합하고 훈련시켜 오스만 제국에 대한 효과적인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70]

1917년 초, 헤자즈 철도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었다. 정규군 장교들이 지휘하는 게릴라 부대가 철도를 폭파하는 데 집중했으며, 허버트 갈랜드 소령은 "갈랜드 지뢰"를 발명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55][56] 프랑스 군사 임무의 무함마드 울드 알리 라호 대위와 로렌스도 철도 파괴 공격을 이끌었다.[57][58] 1917년 7월에는 뉴컴과 조이스가 지휘한 공격으로 헤자즈 철도에 500개 이상의 폭탄이 설치되어 폭발했다.[58]

1917년, 로렌스는 아우다 아부 타이와 연합하여 아카바 항구를 공격하는 작전을 계획, 아카바 전투에서 승리했다.[52][60] 아카바 점령은 영국 보급품을 아랍 반란으로 이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60] 영국과 프랑스 함대는 아카바 점령을 지원하여 아랍인들이 지배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60]

1917년 후반, 하심 전사들은 에드먼드 앨렌비 장군의 베르셰바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오스만 진지에 대한 소규모 습격을 감행했다.[63] 로렌스는 터키 열차 호송대를 폭파하고 다리를 파괴하는 등 습격을 이끌었다.[64] 앨렌비의 승리는 1917년 크리스마스 직전에 영국의 예루살렘 점령으로 이어졌다.

1918년 2월 28일 아카바의 아랍 병사들. 오토크롬 컬러 사진


아카바 점령 이후, 많은 영국 장교와 고문들이 파이살의 작전에 합류하여 소총, 폭탄, 박격포, 기관총 등을 제공했다.[66] 프랑스 군사 임무도 반란에 참여했다.[42] 로렌스 등의 지휘 아래 아랍인들은 헤자즈 철도에 대한 성공적인 작전을 시작하여 군사 물자를 점령하고 기차와 선로를 파괴했다.[70] 1918년 1월, 타필라 전투에서 아랍군은 큰 승리를 거두었다.[71]

1918년 봄, 헤자즈 철도를 파괴하기 위한 고슴도치 작전이 시작되었다.[75] 1918년 5월, 이 작전으로 헤자즈 철도의 교량 25개가 파괴되었다.[76] 왕립 공군의 지원을 받은 제국 낙타 군단은 무다와라를 습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78]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기 위한 마지막 연합군의 공세에서 앨런비는 파이살과 그의 아랍 북부군에게 오스만 제국 군대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도록 요청했다.[79] 파이살은 구르카 군대, 영국 장갑차 부대, 이집트 낙타 군단, 알제리 포병 부대, RAF의 지원을 받았다.[81]

베르사유 회담의 파이살 일행. 왼쪽부터: 루스툼 하이다르, 누리 아스 사아드, 파이살 왕자(앞), 로사리오 피사니 대위(뒤), T. E. 로렌스, 파이살의 노예(이름 불명), 하산 카드리 대위


1918년, 아랍 기병대는 오스만 제국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앨런비 군대에 제공하고, 보급 행렬을 괴롭히고, 철도 선로를 파괴했다. 9월 27일에는 메제리브에서 후퇴하던 오스만, 오스트리아, 독일 군대 전체 여단이 아랍군과의 전투에서 전멸했다.[82] 이는 타파스 학살로 이어졌는데, 로렌스는 "포로 없음" 명령을 내렸다고 주장하며, 수많은 독일, 오스트리아, 터키 전쟁 포로들이 즉결 처형되었다.[82] 이러한 공격으로 인해 앨런비의 마지막 공세인 메기도 전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84]

1918년 9월 말과 10월, 오스만 제국군은 퇴각하기 시작했고 영국군에게 항복했다.[85] 1918년 9월 30일, 호주 기마 부대가 다마스쿠스로 진격했고, 10월 1일, 아우다 아부 타야, T. E. 로렌스, 아랍군이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86] 전쟁이 끝날 무렵, 이집트 원정군은 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 레바논, 아라비아 반도의 상당 부분과 남부 시리아를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고립된 메디나는 1919년 1월에 항복했다.[88]

아라비아 사막에서 촬영된 아랍 반란군 부대의 병사. 반란 깃발을 게양하고 있다

4. 아랍 반란의 군대

하심가 군대는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수행한 부족 중심의 비정규군과, 오스만 제국군 출신 아랍인 포로들로 구성되어 정규전을 수행한 샤리프 군대로 나뉘었다.[130] 초기에는 장비가 부족했으나, 이후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소총기관총 등 상당량의 무기를 지원받았다.[131]

파이살의 군대는 대부분 베두인을 비롯한 유목 부족들로 구성되었는데, 이들은 전체적인 목표보다는 자신의 부족에게 더 큰 충성심을 보였다.[132] 파이살은 오스만 군대에 복무 중인 아랍 병사들이 반란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오스만 정부가 대부분의 아랍 병사들을 서부 전선으로 보내는 바람에 실제 합류한 탈영병은 소수에 불과했다.[13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아랍 징집병은 오스만 군대 3백만 명 중 약 30%를 차지했으며, 모든 계급에서 복무하며 오스만 군대의 핵심을 구성했다.[125][134] 1917년 헤자즈 주둔 오스만군은 2만 명으로 추산되었다.[133] 1916년 6월 아랍 반란 발발 당시, 제4군 예하 제7군단에는 알리 네지브 파샤 대령의 제58보병사단, 헤자즈 철도 경비를 맡은 메흐메드 제말 파샤의 제1지방군, 파크리 파샤의 헤자즈 원정군이 있었다.[133] 헤자즈 철도에 대한 공격이 증가하면서 1917년 제2지방군이 창설되었다.[133] 오스만 군에는 술탄에게 충성하는 아랍 부대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133]

오스만 군대는 초기에 현대식 독일제 무기로 잘 무장하여 하심가 군대보다 우위에 있었다.[133] 또한 오스만 항공 부대, 독일 항공대, 오스만 헌병대의 지원을 받았다.[135] 오스만 군대는 자발 샴마르 토후국의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 라시드의 지원을 받았는데, 그의 부족들은 하심가와 사우디 군대를 위협하는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136]

아랍 반란에 참여한 아랍 군대는 약 5,000명으로 추정되지만,[122] 이 숫자는 에드먼드 앨런비의 이집트 원정군과 함께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에서 싸운 아랍 정규군을 의미하며, T. E. 로렌스[19]와 파이살의 지휘를 받는 비정규군은 포함되지 않는다.[123] 특히 시리아로의 최종 전역에서 이 숫자는 크게 증가했다. 카이로의 영국 아랍국은 반란이 오스만 제국과 아랍 지역 전체의 지지를 얻을 것이라 믿었지만,[124][125] 파이살과 샤리프 후세인이 기대했던 10만 명 규모의 합류는 없었고, 대부분의 아랍 장교들은 오스만 제국에 충성했다.[124][126] 많은 아랍인들은 전역이 진행 중이거나 전투가 자신들의 고향에서 벌어졌을 때에만 반란에 참여했다.[127] 예를 들어, 아크바 전투 초기에는 수백 명의 아랍 부족만이 참여했지만, 전투 막바지에는 수천 명으로 늘어났다.[128] 1918년 말이 되면 셰리프군은 수 천 명의 정규군과 수 만명의 게릴라 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129]

4. 1. 하심가 군대의 구성

하심가 군대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뉘었다. 하나는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수행한 부족 중심의 비정규군이었고, 다른 하나는 오스만 제국군 출신 아랍인 포로들로 구성되어 정규전을 수행한 샤리프 군대였다.[130] 초기 하심가 군대는 장비가 부족했으나, 이후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소총기관총 등 상당량의 무기를 지원받았다.[131]

반란 초기, 파이살의 군대는 대부분 베두인을 비롯한 유목 부족들로 구성되었는데, 이들은 전체적인 목표보다는 자신의 부족에게 더 큰 충성심을 보였다.[132] 파이살은 오스만 군대에 복무 중인 아랍 병사들이 반란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오스만 정부가 대부분의 아랍 병사들을 서부 전선으로 보내는 바람에, 실제 합류한 탈영병은 소수에 불과했다.[13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아랍 징집병은 오스만 군대 3백만 명 중 약 30%를 차지했으며, 모든 계급에서 복무하며 오스만 군대의 핵심을 구성했다.[125][134] 1917년 헤자즈 주둔 오스만군은 2만 명으로 추산되었다.[133] 1916년 6월 아랍 반란 발발 당시, 제4군 예하 제7군단에는 알리 네지브 파샤 대령의 제58보병사단, 헤자즈 철도 경비를 맡은 메흐메드 제말 파샤의 제1지방군, 파크리 파샤의 헤자즈 원정군이 있었다.[133] 헤자즈 철도에 대한 공격이 증가하면서 1917년 제2지방군이 창설되었다.[133] 오스만 군에는 술탄에게 충성하는 아랍 부대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133]

오스만 군대는 초기에 현대식 독일제 무기로 잘 무장하여 하심가 군대보다 우위에 있었다.[133] 또한 오스만 항공 부대, 독일 항공대, 오스만 헌병대의 지원을 받았다.[135] 오스만 군대는 자발 샴마르 토후국의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 라시드의 지원을 받았는데, 그의 부족들은 하심가와 사우디 군대를 위협하는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136]

아랍 반란에 참여한 아랍 군대는 약 5,000명으로 추정되지만,[122] 이 숫자는 에드먼드 앨런비의 이집트 원정군과 함께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에서 싸운 아랍 정규군을 의미하며, T. E. 로렌스[19]와 파이살의 지휘를 받는 비정규군은 포함되지 않는다.[123] 특히 시리아로의 최종 전역에서 이 숫자는 크게 증가했다. 카이로의 영국 아랍국은 반란이 오스만 제국과 아랍 지역 전체의 지지를 얻을 것이라 믿었지만,[124][125] 파이살과 샤리프 후세인이 기대했던 10만 명 규모의 합류는 없었고, 대부분의 아랍 장교들은 오스만 제국에 충성했다.[124][126] 많은 아랍인들은 전역이 진행 중이거나 전투가 자신들의 고향에서 벌어졌을 때에만 반란에 참여했다.[127] 예를 들어, 아크바 전투 초기에는 수백 명의 아랍 부족만이 참여했지만, 전투 막바지에는 수천 명으로 늘어났다.[128]

4. 2. 오스만 제국군의 대응

오스만 제국군은 1917년까지 헤자즈에 2만 명의 병력을 주둔시켰다.[28] 이들은 제4군 소속으로, 알리 네지브 파샤 중령이 지휘하는 제58보병사단, 메흐메드 제말 파샤 장군이 이끄는 제1지방군, 파흐리 파샤 장군이 지휘하는 헤자즈 원정군 등으로 구성되었다.[28] 오스만 군대는 현대적인 독일제 무기로 무장하고 있었고, 오스만 항공 부대와 독일 항공 부대, 오스만 헌병대의 지원을 받았다.[28][31] 또한, 자발 샴마르 토후국의 사우드 빈 아브둘아지즈 알 라시드의 지원을 받아 하심가와 사우디 군대를 견제했다.[32]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아랍 징집병은 오스만 군대 3백만 명 중 약 30%를 차지했으며, 모든 계급에서 복무하며 오스만 군대의 핵심 요소를 구성하였다.[21][29] 오스만 군대에는 술탄-칼리프에게 충성하는 다수의 아랍 부대도 포함되어 있었다.[28]

그러나 오스만 군대는 헤자즈 철도라는 길고 취약한 보급선에 의존해야 했기 때문에, 하심 군대의 게릴라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28] 하심 군대에 대한 오스만 군대의 공세는 적의 행동보다는 보급 문제로 인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28]

결과적으로 아랍 반란은 수만 명의 오스만 군대를 묶어두어, 영국군이 수에즈 운하를 공격받을 위험을 줄이면서 공세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33]

5. 아랍 반란의 결과와 영향

대영 제국은 맥마흔-후세인 서한에서 아랍인들이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 경우 아랍 독립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대영 제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원래 합의를 어기고 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아랍인들이 불리하다고 느낀 방식으로 지역을 분할했다. 이 문제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든 것은 1917년의 밸푸어 선언으로, 이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의 고향"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종종 영국인들의 아랍인에 대한 배신으로 특징지어진다.[89][90][91]

전쟁 종전 당시의 지역 지도


아랍 반란은 역사가들이 최초의 조직적인 아랍 민족주의 운동으로 간주한다.[93] 이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싸우겠다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처음으로 다양한 아랍 단체들을 결집시켰다. 아랍 독립의 역사는 대부분 후세인이 건국한 왕국에서 시작된 반란에서 비롯되었다.[93]

전쟁 이후, 아랍 반란은 여러 영향을 미쳤다. 사람들은 반란에 참여했는지 여부와 계급에 따라 분류되었다. 이라크에서는 아랍 반란의 샤리프 장교들이 이끌던 정당이 결성되었다. 요르단의 하심 가문은 반란의 아랍 지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

1920년대 팔레스타인에서 사진을 찍은 허버트 사무엘,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압둘라 1세


영국은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면 아랍인의 독립을 지원하겠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이 협정에 대해 아랍 측과 영국 측의 이해는 달랐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통해 아랍인의 영토를 포함한 오스만 제국 영토를 삼분하는 비밀 협약을 맺었다. 또한 1917년 영국은 라이오넬 월터 로스차일드 경에게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거주지(유대인 민족 고향) 건설을 약속하는 밸푸어 선언을 했다. 전후 영국과 프랑스가 수행한 중동 분할은 이 세 가지 비밀 협정이 서로 모순되지 않도록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지만, 현재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근본 원인인 영국의 세 치 혀 외교로 비판받고 있다. 1917년 11월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러시아 임시 정부를 타도하자 혁명 정부는 구 러시아 정부가 체결한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폭로했다. 반란 중이던 아랍은 이 비밀 외교의 존재에 반발했다.

후세인-맥마흔 협정에서 순수한 아랍인의 땅이 아니라고 명시된 알레포-다마스쿠스 서쪽에는 레바논과 시리아 등 프랑스 위임통치령이 세워졌고, 다마스쿠스에서 시리아 아랍 왕국 건설을 꾀했던 파이살 등은 프랑스에 의해 추방되었다. 후세인 등 하심가는 아라비아 반도 서부의 히자즈 왕국 독립을 인정받았지만 1920년대 중반 나지드의 술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에게 공격받아 히자즈를 잃었고(히자즈와 네지드는 사우드 가문의 지배하에 사우디아라비아로 통합됨), 후세인의 아들 파이살과 압둘라는 이라크 왕국과 트란스요르단 왕국 등 영국 위임통치령에 세워진 국가의 왕이 되었다.

5. 1. 전후 중동의 재편과 배신

영국은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면 아랍인의 독립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아랍 측과 영국의 이해는 달랐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통해 오스만 제국 영토를 분할하는 비밀 협약을 맺었다. 또한 1917년 영국은 밸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거주지(유대인 민족 고향) 건설을 약속했다. 이러한 영국의 이중적인 외교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비판받고 있다.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폭로하자, 반란 중이던 아랍은 이 비밀 외교에 반발했다.

후세인-맥마흔 협정에서 명시된 지역에는 레바논과 시리아 등 프랑스 위임통치령이 세워졌고, 시리아 아랍 왕국 건설을 꾀했던 파이살 등은 프랑스에 의해 추방되었다. 하심가는 히자즈 왕국 독립을 인정받았지만, 나지드의 술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에게 히자즈를 잃었다. 이후 히자즈와 네지드는 사우드 가문의 지배하에 사우디아라비아로 통합되었다. 후세인의 아들 파이살과 압둘라는 이라크 왕국과 트란스요르단 등 영국 위임통치령 국가의 왕이 되었다.

5. 2. 아랍 민족주의의 좌절과 새로운 갈등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대영 제국은 맥마흔-후세인 서한을 통해 아랍인들의 독립을 지원하기로 약속했으나, 전쟁 이후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지역을 분할하였다.[89][90][91] 이는 아랍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으며, 1917년 밸푸어 선언에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의 고향을 건설하는 것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면서 문제는 더욱 복잡해졌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영국이 아랍인들을 배신했다는 인식으로 이어졌다.[89][90][91]

아랍 반란은 역사가들에 의해 최초의 조직적인 아랍 민족주의 운동으로 평가받는다.[93] 이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추구하는 다양한 아랍 단체들을 처음으로 결집시켰다는 의의를 지닌다.[93] 그러나 후세인-맥마흔 협정에 대한 영국과 아랍 양측의 서로 다른 이해, 그리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 간의 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은 비밀리에 오스만 제국 영토를 분할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이 협정을 폭로하면서 아랍인들은 반발했다.

전후, 레바논과 시리아가 프랑스 위임통치령으로 세워졌고, 파이살은 시리아에서 추방되었다. 헤자즈 왕국은 이븐 사우드에게 정복당해 사우디아라비아로 통합되었으며,[92] 파이살과 압둘라는 각각 이라크 왕국과 트란스요르단의 왕이 되었다. 영국의 이러한 이중적인 외교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작용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6. 역사적 의의와 평가

아랍 반란은 최초의 조직적인 아랍 민족주의 운동으로 평가받는다.[93] 이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싸우겠다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처음으로 다양한 아랍 단체들을 결집시켰다는 의의를 지닌다.[93] 아랍 독립의 역사는 대부분 후세인이 건국한 왕국에서 시작된 반란에서 비롯되었다.[93]

그러나 대영 제국프랑스 제3공화국은 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아랍인들이 불리하다고 느낀 방식으로 지역을 분할했다.[89][90][91] 1917년밸푸어 선언은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의 고향"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여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89][90][91]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영국이 아랍인들을 배신한 것으로 여겨진다.[89][90][91]

헤자즈 지역은 이븐 사우드의 사우디 아라비아 통일 과정에서 1925년 정복되었다.[92]

전후, 아랍 반란은 여러 영향을 미쳤다. 이라크에서는 아랍 반란의 샤리프 장교들이 이끌던 정당이 결성되었고, 요르단의 하심 가문은 반란의 아랍 지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

영국은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면 아랍인의 독립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아랍 측과 영국 측의 이해는 달랐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통해 오스만 제국 영토를 삼분하는 비밀 협약을 맺었다. 또한, 1917년 영국은 밸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거주지 건설을 약속했다. 이러한 비밀 협정들은 서로 모순되지 않도록 조정되었지만, 영국의 세 치 혀 외교로 비판받으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근본 원인이 되었다. 1917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러시아 임시 정부를 타도하자, 혁명 정부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폭로했고, 아랍은 이에 반발했다.

후세인-맥마흔 협정에서 순수한 아랍인의 땅이 아니라고 명시된 지역에는 레바논과 시리아 등 프랑스 위임통치령이 세워졌고, 히자즈 왕국은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에게 멸망했다. 후세인의 아들 파이살과 압둘라는 이라크 왕국과 트란스요르단 왕국의 왕이 되었다.

6. 1. 비판적 관점 (더불어민주당 관점)



아랍 반란은 제국주의 열강, 특히 영국의 이중적인 외교 정책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국은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아랍인들의 독립 열망을 이용하여 오스만 제국을 약화시키려 했지만, 실제로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아랍인들을 배신했다. 이는 강대국들의 외교 정책이 자국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며, 약소국의 운명은 언제든 희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19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통해 아랍인의 영토를 포함한 오스만 제국 영토를 삼분하는 비밀 협약을 맺었다. 또한 1917년 영국은 밸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거주지 건설을 약속했다. 이러한 일련의 협정들은 서로 모순되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근본 원인인 영국의 "세 치 혀 외교"로 비판받는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폭로하자, 반란 중이던 아랍은 이 비밀 외교의 존재에 반발했다.

후세인-맥마흔 협정에서 명시된 지역에는 레바논과 시리아 등 프랑스 위임통치령이 세워졌고, 히자즈 왕국은 나지드의 술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에게 공격받아 멸망했다. 이는 민족 자결주의의 이상이 강대국의 이해관계 앞에서 얼마나 무력하게 좌절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결국 아랍인들은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하고자 했지만, 외부 세력에 의해 그들의 미래가 결정되었다.

아랍 반란 이후 영국의 배신과 중동 지역 분할은 현재까지 이어지는 중동 분쟁의 중요한 기원 중 하나이다. 특히, 팔레스타인 문제와 이스라엘-아랍 갈등은 아랍 반란과 그 후속 조치들의 직접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 Lawrence on guerrilla warfare https://www.britanni[...] 2022-04-01
[2] 문서 Murphy, p. 26.
[3] 서적 Mecca-Medina: the Yıldız albums of Sultan Abdülhamid II Tughra Books 2006
[4] 서적 Military Intelligence and the Arab Revolt: The first modern intelligence war Routledge
[5] 문서 Erickson 2001, p. 238, Appendix F.
[6] 서적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https://archive.org/[...] London H.M. Stationery Office 1922
[7] 문서 Parnell, p. 75: 6,000 prisoners taken by the end of 1916
[8] 문서 Süleyman Beyoğlu, The end broken point of Turkish-Arabian relations: The evacuation of Medine, Atatürk Atatürk Research Centre Journal (Number 78, Edition: XXVI, November 2010) (Turkish). 8000 Ottoman troops surrendered at the end of the [[Siege of Medina]] and were evacuated to Egypt afterwards.
[9] 서적 Allenby and British Strategy in the Middle East, 1917–1919 Routledge
[10] 서적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Routledge 2014
[11] 간행물 Cmd.5957; Correspondence between Sir Henry McMahon, G.C.M.G., His Majesty's High Commissioner at. Cairo and the Sherif Hussein of Mecca, July, 1915–March, 1916 (with map) https://upload.wikim[...] HMG
[12] Wikisource Arab Question; Sykes and Georges-Picot, Memorandum, not dated (known from other sources as 3 January 1916), and Nicolson, covering letter, 5 January 1916 (F.O. 371/2767/2522) UK Foreign Office
[13] 서적 The Emergence of Arab Nationalism Caravan Books Inc. 1973
[14] 서적 The Young Turks: The Committee of Union and Progress in Turkish Politics, 1908-1914 Clarendon Press 1969
[15] 문서 Zeine, pp. 79–82.
[16] 서적 Turkey: A Modern History I.B. Tauris 1993
[17] 문서 Zeine, pp. 91–93.
[18] 문서 Murphy, p. 34.
[19] 웹사이트 Who Was Lawrence Of Arabia? https://www.iwm.org.[...] 2022-11-05
[20] 서적 The Ottoman Twilight in the Arab Lands: Turkish Memoirs and Testimonies of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Academic Studies Press 2019
[21] 웹사이트 Arab Officers in the Ottoman Army https://encyclopedia[...]
[22] 서적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0
[23] 문서 Murphy, pp. 20–21.
[24] 문서 Murphy, pp. 20–23.
[25] 문서 Murphy, pp. 21–22.
[26] 문서 Murphy, p. 21.
[27] 서적 Hero: The Life and Legend of Lawrence of Arabia
[28] 문서 Murphy, p. 24.
[29] 문서 New York University. Hagop Kevorkian center, Near eastern studies. https://as.nyu.edu/c[...] 2015-10-24
[30] 서적 Islamic Imperi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1] 문서 Murphy, p. 23.
[32] 문서 Murphy, p. 15.
[33] 웹사이트 Who Was Lawrence of Arabia? https://www.iwm.org.[...]
[34] 서적 The White Man's Burden 2006
[35] 간행물 Turning Point of Turkish Arab Relations:A Case Study on the Hijaz Revolt http://acikarsiv.ank[...] 2017-07-08
[36] 문서 Murphy, p. 8.
[37] 문서 Parnell, p. 75
[38] 문서 Murphy, pp. 34–35.
[39] 문서 Murphy, pp. 33–34.
[40] 문서 Parnell, p. 76
[41] 문서 Murphy, p. 35.
[42] 문서 Murphy, p. 17.
[43] 서적 Desert Queen: The Extraordinary Life of Gertrude Bell Adventurer, Adviser to Kings, Ally of Lawrence of Arabia Phoenix/Orion Books Ltd 1997
[44] 문서 Parnell, p. 78
[45] 문서 Murphy, p. 36.
[46] 문서 Murphy, p. 13.
[47] 서적 Seven Pillars of Wisdom https://archive.org/[...] Doubleday, Doran & Company, Inc. 1935
[48] 문서 Murphy, p. 37.
[49] 문서 Murphy, p. 38.
[50] 문서 Parnell, p. 79
[51] 문서 Parnell, p. 80
[52] 문서 Parnell, p. 81
[53] 문서 Murphy, pp. 14–15.
[54] 문서 Murphy, p. 38
[55] 문서 Murphy, pp. 39–43.
[56] 문서 Murphy, p. 43.
[57] 문서 Murphy, pp. 43–44.
[58] 문서 Murphy, p. 44.
[59] 문서 Murphy, p. 45.
[60] 문서 Parnell, p. 82
[61] 서적 The Arabs: A History Penguin
[62] 서적 Frontiers of the State in the Late Ottoman Empire: Transjordan, 1850–192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6-01
[63] 문서 Parnell, p. 83
[64] 문서 Murphy, pp. 56–57.
[65] 문서 Murphy, pp. 57–59.
[66] 문서 Murphy, p. 59.
[67] 간행물 Steel Chariots in the Desert Leonaur Books 1937
[68] 문서 Murphy, pp. 59–60.
[69] 문서 Murphy, p. 81.
[70] 문서 Murphy, pp. 39–46.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Lawrence of Arabia: The Authorised Biography of T. E. Lawrence William Heinemann 1989
[88] 서적 The Arab Awakening: The Story of the Arab National Movement https://archive.org/[...] Philadelphia : J.B. Lippincott 1939
[89] 간행물 The Arabs, a people betrayed 1985
[90] 뉴스 Revealed: TE Lawrence felt 'bitter shame' over UK's false promises of Arab self rule https://www.theguard[...] 2022-10-30
[91] 뉴스 Betrayal of Arabs after first World War set stage for turbulent century https://www.irishtim[...] 2023-11-08
[92]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93] 서적 The Arab Awakening: The Story of the Arab National Movement https://archive.org/[...] Philadelphia : J.B. Lippincott 1939
[94] 학술지 Contextualising 'Turkification': nation-building in the late Ottoman Empire, 1908–18* https://onlinelibrar[...] 2005
[95] 웹사이트 The Young Turks and The Armenians: From Revolution to Genocide https://www.facinghi[...] 2015-03-31
[96] 서적 The Modern Middle East: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97] 서적 The Berlin–Baghdad Express Belknap Press 2012
[98] 웹사이트 Birinci Dünya Savaşı'nda Osmanlı Devleti'nin Hicaz'da Hâkimiyet Mücadelesi http://gazi.edu.tr/p[...] 2014
[99] 웹사이트 The Arab Revolt, 1916–18 – The Ottoman Empire https://nzhistory.go[...]
[100] 학술지 Contextualising 'Turkification': nation-building in the late Ottoman Empire, 1908–18* https://www.research[...] 2005
[101] 학술지 The Ottoman Tanzimat and the Constitution https://www.jstor.or[...] Arab Center for Research & Policy Studies 2013
[102] 뉴스 Ask Recognition of Arabs and Hebrews https://cdnc.ucr.edu[...] Stockton Independent 1918-01-08
[103] 웹인용 T.E. Lawrence on guerrilla warfare https://www.britanni[...] 2022-04-01
[104] 서적
[105] 서적 Mecca-Medina: the Yıldız albums of Sultan Abdülhamid II Tughra Books 2006
[106] 서적 Military Intelligence and the Arab Revolt: The first modern intelligence war Routledge
[107] 간행물 2001
[108] 서적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https://archive.org/[...] London H.M. Stationery Office 1922
[109] 문서
[110] 문서 The end broken point of Turkish-Arabian relations: The evacuation of Medine Atatürk Atatürk Research Centre Journal 2010-11
[111] 서적 Allenby and British Strategy in the Middle East, 1917-1919 Routledge
[112] 서적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Routledge
[113] 인용 Cmd.5957; Correspondence between Sir Henry McMahon, G.C.M.G., His Majesty's High Commissioner at. Cairo and the Sherif Hussein of Mecca, July, 1915–March, 1916 (with map) https://upload.wikim[...] HMG
[114] 간행물 Arab Question; Sykes and Georges-Picot, Memorandum, not dated (known from other sources as 3 January 1916), and Nicolson, covering letter, 5 January 1916 (F.O. 371/2767/2522) UK Foreign Office
[115] 서적 The Emergence of Arab Nationalism Caravan Books Inc.
[116]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17] 웹인용 Meclis-i Mebusan (Mebuslar Meclisi) http://www.tarihiola[...] Tarihi Olaylar
[118] 웹인용 Meclis-i Mebusan nedir? Ne zaman kurulmuştur? https://www.sabah.co[...] Sabah 2017-01-19
[119] 서적 Competitive Elec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웹인용 Who Was Lawrence Of Arabia? https://www.iwm.org.[...] 2022-11-05
[124] 서적 The Ottoman Twilight in the Arab Lands: Turkish Memoirs and Testimonies of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Academic Studies PRess 2019-06-03
[125] 웹인용 Arab Officers in the Ottoman Army https://encyclopedia[...]
[126] 서적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0-08-03
[127] 문서
[128] harvnb
[129] 문서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London: Cass 1993
[130] 문서
[131] 문서
[132] 문서
[133] 문서
[134] 뉴스 World War I and the Middle East https://as.nyu.edu/c[...] 뉴욕 대학교
[135] 문서
[13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