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전구 (제1차 세계 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동 전구 (제1차 세계 대전)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 연합국(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간에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을 의미한다. 배경에는 독일과 동맹을 맺은 오스만 제국의 참전과 잃어버린 영토 회복, 자원 확보 등의 목표가 있었다. 주요 전선으로는 코카서스, 다르다넬스, 메소포타미아,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 등이 있었으며, 1918년 무드로스 휴전 협정 체결로 종전되었다. 이 전쟁은 아랍 반란, 아르메니아인 학살 등 복잡한 정치적, 민족적 갈등을 동반했으며, 승패는 각 전역의 지형, 병력, 전략, 외교적 요인에 따라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동 전구 (제1차 세계 대전) - 이집트 원정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이 이집트 술탄국을 보호하기 위해 창설한 이집트 원정군은 수에즈 운하 방어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군과 전투를 수행하며,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공세를 주도하여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을 종결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중동 전구 (제1차 세계 대전) - 사리카미스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중 캅카스 전역에서 벌어진 사리카미스 전투는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군을 포위하여 카르스와 바투미를 탈환하려 했으나, 추위, 보급 부족, 러시아군의 저항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배하여 캅카스 전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사우디아라비아가 참가한 전투 - 하일 정복
하일 정복은 자발 샴마르 토후국의 수도 하일을 압둘아지즈가 점령한 사건으로, 압둘아지즈는 무함마드 빈 탈랄 알 라시드를 투옥하고 그의 아내와 강제 이혼 후 결혼했으며, 이는 제2차 사우드-라시드 전쟁으로 잘못 불리기도 한다. - 사우디아라비아가 참가한 전투 - 카프지 전투
카프지 전투는 걸프 전쟁 중 이라크군이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 카프지를 공격 및 점령했으나, 다국적군이 도시를 탈환한 전투로, 이라크는 이를 선전의 도구로 활용했고 전투 과정에서 아군 오사 등의 논란이 있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 연합국
연합국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동맹국 및 추축국에 대항한 국가들을 지칭하며,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합 창설 및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구성에 중심 역할을 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중동 전구 (제1차 세계 대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주요 정보 | |
분쟁 | 제1차 세계 대전 중동 전구 |
전체 | 제1차 세계 대전 |
날짜 | 1914년 10월 29일 – 1918년 10월 30일 (4년 0개월 1일) |
장소 | 중동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아라비아반도 메소포타미아 팔레스타인 페르시아만 시나이반도 이란 수단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갈리폴리반도 |
결과 | 연합국의 승리 무드로스 휴전 협정 오스만 제국의 붕괴 중동 지역에서 새로운 국가들의 기틀 마련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바툼 조약 세브르 조약 |
영토 변화 | 오스만 제국의 분할 |
교전 세력 | |
연합국 | 영국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영국령 인도 제국 뉴펀들랜드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연방 쿠웨이트 이집트 술탄국 앵글로-이집트 수단 러시아 제국 (1917년까지): 아르메니아 의용대 프랑스 제3공화국: 프랑스령 알제리 프랑스령 튀니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 프랑스-아르메니아 군단 이탈리아 왕국 (1915년부터) 헤자즈 왕국 (1916년부터) 아르메니아 (1918년부터) 나즈드 및 하사 토후국 아시르 토후국 현지 동맹군: 아시리아 의용군 |
동맹국 | 오스만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자발 샴마르 토후국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 (1918년부터) 조지아 민주공화국 (1918년부터) |
지휘관 | |
연합국 지휘관 | 줄리언 빙 아치볼드 머레이 에드먼드 앨런비 이언 해밀턴 존 닉슨 퍼시 레이크 스탠리 모드 리오넬 던스터빌 T. E. 로렌스 일라리온 보론초프다쉬코프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니콜라이 유데니치 니콜라이 바라토프 앙리 구로 모리스 바이유 호브한네스 하흐베르디얀 토브마스 나자르베키안 안드라니크 오자니안 후세인 빈 알리 파이살 빈 후세인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
동맹국 지휘관 | 엔베르 파샤 제말 파샤 제바트 파샤 베히프 파샤 누리 파샤 아흐메드 이제트 파샤 무스타파 케말 파샤 페브지 파샤 압둘 케림 파샤 할릴 파샤 누레딘 파샤 메흐메트 에사트 파샤 파흐리 파샤 프리츠 브론자르트 폰 셸렌도르프 오토 리만 폰 산더스 콜마르 폰 데어 골츠 에리히 폰 팔켄하인 F. K. 폰 크레센슈타인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 라시드 파탈리 칸 호이스키 노에 조르다니아 |
병력 규모 | |
연합군 병력 | 영국 제국: 2,550,000명 러시아 제국: 1,000,000명 프랑스 제3공화국: 수십만 명 아르메니아: 수십만 명 아랍 반란: 30,000명 (1916년), 50,000명 이상 (1918년) 아시리아 의용군: 20,000명 이상 총합: 4,000,000명 이상 |
동맹군 병력 | 오스만 제국: 3,059,205명 (최대 800,000명), 휴전 시 323,000명 독일 제국: 6,500명 (1916년), 20,000명 (1918년) 아제르바이잔: 약 6,000명 (1918년) 자발 샴마르 토후국: 9,000명 (1918년) 총합: 3,100,000명 |
사상자 | |
연합군 사상자 | 총 사상자: 1,250,000명 영국 제국: 1,025,800명 러시아 제국: 119,000명 프랑스 제3공화국: 47,000명 군인 사망자: 150,000–200,000명 민간인 사망자: 2,275,000명 |
동맹군 사상자 | 총 사상자: 1,788,200명 오스만 제국: 1,785,800명 독일 제국: 3,200명 군인 사망자: 325,000–771,000명 민간인 사망자: 1,200,000–2,500,000명 |
기타 사망자 | 페르시아 기근으로 2,000,000명의 페르시아 민간인 사망 (러시아, 영국, 오스만 제국의 점령으로 악화) |
총 사망자 | 7,000,000명 이상 |
관련 전투 | |
주요 전역 | 코카서스 전역 갈리폴리 전역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 메소포타미아 전역 페르시아 전역 아랍 반란 남아라비아 전역 중앙 아라비아 전역 |
2. 배경
오스만 제국은 1914년 8월 2일 독일 제국과 비밀리에 독일-오스만 동맹[20]을 체결하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준비를 했다. 당시 오스만 제국은 1877년-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잃었던 아르트빈, 아르다한, 카르스, 바투미 항구 등 캅카스 지역 영토 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이 지역을 되찾으면 러시아는 폴란드와 갈리치아 전선에서 병력을 빼 캅카스 전역으로 돌려야 했다.[21]
오스만 제국은 1914년 8월 2일 비밀리에 체결된 독일-오스만 동맹[20]을 통해 중앙 동맹에 참전했다. 오스만 제국의 주요 목표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1878년) 기간에 상실했던 캅카스 지역 영토, 특히 아르트빈, 아르다한, 카르스, 바투미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이 지역에서 성공한다면 러시아는 폴란드와 갈리시아 전선에서 병력을 돌려야 했다.[21]
오스만 제국 내 독일 군사 고문관들은 이러한 오스만 제국의 목표를 지지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독일은 오스만 제국, 더 정확히는 독일이 카스피해 주변 탄화수소 자원에 대한 러시아의 접근을 막는 것을 전략적 목표로 삼았다.[22]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동방 정보국을 설치했다. 이 기관은 영국-러시아 협상을 방해하기 위해 페르시아, 이집트[23], 아프가니스탄에서 정보 수집 및 파괴 공작을 수행했다.[24] 오스만 제국의 전쟁 장관 엔베르 파샤는 러시아가 페르시아 주요 도시에서 패배하면 아제르바이잔은 물론 중동과 캅카스 전역으로 진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엔베르는 서구 열강의 영향에서 벗어난 이들 신생 튀르크 국가들 간의 협력을 구상했다. 그러나 그의 계획은 여러 주요 제국 간의 갈등으로 드러난 유럽 열강의 이익과 충돌했다. 오스만 제국은 또한 인도와 동쪽으로 향하는 수에즈 운하를 통한 영국의 통신망을 위협했다. 독일은 중앙 동맹국을 위해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거나 최소한 연합군이 이 중요한 해상 수송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오스만 제국은 1914년 8월 2일 독일과 비밀리에 독일-오스만 동맹을 맺었고, 이후 불가리아와도 조약을 체결했다. 오스만 전쟁부는 두 가지 주요 작전 계획을 준비했다. 오스만 제국에 파견된 독일 군사 고문단의 일원이자 오스만 육군 참모총장 보좌관이었던 브론사르트 폰 셸렌도르프는 1914년 9월 6일 제4군이 이집트를 공격하고 제3군이 동아나톨리아에서 러시아군에 대한 공세를 개시하는 계획을 완성했다.
그러나 오스만 군 내부에서는 셸렌도르프의 계획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었다. 가장 큰 반대 이유는 셸렌도르프의 계획이 오스만 제국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독일에게 유리하게 작성되었다는 것이었다. 하피즈 하키 파샤는 러시아에 집중하는 더 공격적인 대안 계획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해상으로 병력을 흑해 동부 해안으로 이동시켜 러시아 영토를 공격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했다. 그러나 오스만 군의 자원 부족으로 인해 하피즈 하키 파샤의 계획은 보류되었다. 결국 셸렌도르프의 "주요 작전 계획"이 기본적으로 채택되었다.
셸렌도르프의 계획에 따라 오스만 군의 대부분 작전은 오스만 제국 영토 내에서 진행되었고, 그 결과 많은 경우 제국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후의 평가는 이 계획을 실행할 자원이 부족했지만, 셸렌도르프가 군의 지휘 통제 체계를 개선하고 계획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군을 배치했다는 것이다. 셸렌도르프는 또한 병력 모집과 전쟁 준비를 위한 더 나은 동원 계획을 수립했다. 오스만 전쟁부 기록 보관소에는 1914년 10월 7일 셸렌도르프가 작성한 작전 계획이 있는데, 여기에는 불가리아군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지원, 루마니아에 대한 비밀 작전, 독일 해군의 지원을 받아 오데사와 크림반도에 상륙하는 오스만 군인에 대한 세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터키군 작전에 대한 독일의 영향력은 일디림 군단 대부분의 참모직을 독일 장교들이 맡았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본부 서신도 독일어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팔레스타인에서의 최종 패배와 무스타파 케말이 일디림 군단 잔여 병력의 지휘를 맡게 되면서 끝이 났다.
1914년 7월 연합진보위원회(CUP)와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에르주룸 아르메니아인 의회에서 협상을 가졌다. 의회의 공개적인 결론은 "겉으로는 합법적인 수단으로 아르메니아인들의 요구를 평화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개최되었다"는 것이었다.[53] 에릭슨은 CUP가 이 의회를 아르메니아인 봉기의 원인으로 간주했다고 주장한다.[54] 그리고 이 회의 이후 CUP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당 지역을 분리하려는 자세한 계획을 가진 강력한 아르메니아-러시아 연계가 존재한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54]
1914년 10월 29일, 터키 해역으로 추격당해 오스만 해군에 양도된 독일 전함과 경순양함이 러시아 흑해 항구 오데사를 포격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연합군과 최초의 무력 충돌을 겪었다.
결론적으로, 오스만 제국은 전쟁 발발 당시에는 친독일적인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스만 공채 관리국을 통해 형성된 독일 제국과의 경제적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면서 결국 전쟁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오스만 제국은 1914년 10월 29일 크림 반도를 포격하여 러시아 제국과의 국교를 단절했다.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에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영국과 프랑스 또한 오스만 제국에 대해 적대 행위를 시작했다.
3. 목표
이러한 이유로 오스만 군대의 독일 고문들은 이 작전을 지원했다. 경제적 관점에서 오스만, 또는 독일의 전략적 목표는 카스피 해 주변의 탄화수소 자원에 대한 러시아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었다.[22]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동방 정보국을 설립했다. 이 국은 페르시아와 이집트[23], 그리고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정보 수집 및 파괴 활동에 관여하여 영국-러시아 협상을 와해시키려 했다.[24] 오스만 전쟁 장관인 엔베르 파샤는 러시아가 페르시아의 주요 도시에서 패배한다면 아제르바이잔뿐 아니라 중동과 코카서스 전역으로 진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엔베르는 이들 국가가 서구의 영향력에서 벗어난다면, 새롭게 설립될 튀르크 국가들 간의 협력을 구상했다. 엔베르의 계획은 여러 주요 제국 국가들 간의 갈등으로 나타난 유럽의 이익과 상충했다. 오스만 제국은 또한 인도와 동쪽으로 가는 수에즈 운하를 통한 영국의 통신망을 위협했다. 독일은 중앙 동맹을 위해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거나, 적어도 연합군이 이 중요한 해상 운송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희망했다.
오스만 제국은 전쟁 발발 당시 친독적인 중립 상태였다. 그러나 오스만 공채 관리국을 통해 형성된 독일 제국과의 경제적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면서 결국 전쟁 참여를 결정했다. 오스만 군은 1914년 10월 29일 크림 반도를 포격하여 러시아 제국과의 국교를 단절했다.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에 항의했지만 무시당했다. 따라서 영국과 프랑스도 오스만 제국에 대해 적대 행위를 하게 되었다.
3. 1. 영국의 전략적 논쟁
영국은 오스만 제국이 중동(그리고 나중에는 카스피해)의 유전을 공격하여 점령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우려했다.[22] 영국 해군은 영국이 통제하는 앵글로-페르시안 석유회사가 독점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던 페르시아 남부의 석유 매장량에 의존했다.[22]
옥스퍼드 역사가이자 보수당 국회의원이었던 J.A.R. 매리엇(John Marriott (British politician)|존 매리엇영어)은 근동과 발칸 전선에 대한 영국의 전략 논쟁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이 전선에서의 전쟁은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많은 질문을 던진다. 적절한 무력 시위를 통해 터키를 영국과 프랑스와의 오랜 관계에 충실하게 유지할 수 있었는지, 보다 현명한 외교를 통해 불가리아의 적대감을 피하고 그리스의 협력을 확보할 수 있었는지, 연합국의 군사 개입으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대한 잔혹한 타격을 피할 수 있었는지, 다르다넬스 원정이 실행에만 결함이 있었는지 아니면 개념 자체가 잘못되었는지, 루마니아가 너무 늦게 개입했는지, 아니면 너무 빨리, 그리고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였는지.[25]
4. 1914년
오스만 제국은 1914년 8월 2일 독일 제국과 비밀리에 독일-오스만 동맹[20]을 체결하여 동맹국에 가담했다. 이는 불가리아와의 조약으로 이어졌다. 오스만 제국의 주요 목표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1878년)에서 상실한 아르트빈, 아르다한, 카르스, 바투미 등의 영토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이 지역에서 성공하면 러시아는 폴란드와 갈리치아 전선에서 병력을 이동시켜야 했다.[21]
독일 군사 고문들은 이 작전을 지원했다. 독일은 카스피해 주변 탄화수소 자원에 대한 러시아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2]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은 동방 정보국을 설립하여 영국-러시아 협상을 와해시키려 했다.[24] 오스만 전쟁 장관 엔베르 파샤는 페르시아 주요 도시에서 러시아가 패배하면 아제르바이잔을 넘어 중동과 캅카스로 진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엔베르는 튀르크 국가들 간의 협력을 구상했다. 그의 계획은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 간의 갈등과 상충했다. 오스만 제국은 인도와 동쪽으로 가는 수에즈 운하를 통한 영국의 통신망을 위협했다. 독일은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거나 연합군이 이 해상 운송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희망했다.
오스만 전쟁부는 두 가지 주요 작전 계획을 세웠다. 브론사르트 폰 셸렌도르프는 1914년 9월 6일 제4군이 이집트를 공격하고 제3군이 동아나톨리아에서 러시아군에 대한 공세를 펼치는 계획을 완성했다.
오스만 군 내부에서는 셸렌도르프의 계획에 대한 반대가 있었다. 하피즈 하키 파샤는 러시아에 집중하는 더 공격적인 대안을 제시했지만, 오스만 군의 자원 부족으로 보류되었다. 결국 셸렌도르프의 계획이 채택되었다.
셸렌도르프의 계획에 따라 오스만군의 작전은 대부분 오스만 영토 내에서 벌어졌고, 제국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셸렌도르프는 군의 지휘 통제 체계를 개선하고 군을 배치했으며, 더 나은 동원 계획을 수립했다. 1914년 10월 7일 작성된 그의 작전 계획에는 불가리아군에 대한 오스만의 지원, 루마니아에 대한 비밀 작전, 독일 해군의 지원을 받아 오데사와 크림반도에 상륙하는 오스만 군인에 대한 세부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일디림 군단의 참모직 대부분이 독일 장교들로 채워졌다는 점에서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터키군 작전에 대한 독일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 본부 서신도 독일어로 작성되었다.
1914년 7월, 연합진보위원회(CUP)와 오스만 아르메니아인들은 에르주룸 아르메니아인 의회에서 협상을 벌였다. 공개적인 결론은 "합법적인 수단으로 아르메니아인들의 요구를 평화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개최되었다"는 것이었다.[53] 에릭슨은 CUP가 이 의회를 아르메니아인들의 봉기를 일으킨 원인으로 간주했다고 주장한다.[54] CUP는 이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당 지역을 분리하려는 아르메니아-러시아 연계가 존재한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54]
1914년 10월 29일, 추격당해 오스만 해군에 양도된 독일 전함과 경순양함이 러시아 흑해 항구 오데사를 포격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연합군과 최초의 무력 충돌을 겪었다.
오스만 제국은 전쟁 발발 당시 친독적인 중립을 유지했다. 그러나 오스만 공채 관리국을 통해 독일 제국과의 경제적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전쟁 참여를 결정했다. 1914년 10월 29일 크림반도를 포격하여 러시아 제국과의 국교를 단절했다.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에 항의했지만 무시당했고, 영국과 프랑스도 오스만 제국에 대해 적대 행위를 시작했다.
4. 1. 코카서스 전역
1914년 11월 2일, 러시아 제국 코카서스 군은 오스만 제3군의 근거지인 에르주룸으로 진격했다. 오스만 군은 국경 부근에 소규모 기병 부대를 배치하여 이를 곧 알아챘다. 오스만 제11군단과 제9군단이 합류하여 반격하며 서서히 북진했다. 11월 말까지 전선은 국경에서 에르주룸 방향으로 25km 지점에서 교착되었다. 러시아군은 약 7,000명, 오스만 군은 약 13,000명의 손실을 보았다.[105]12월 8일, 트라브존에 도착한 참모본부원 하파즈 하크 파샤 대령은 제3군 참모장인 독일인 구제 중령에게 공세 계획 수립을 지시했다. 구제 중령의 계획은 1개 군단으로 러시아군을 묶어두고, 2개 군단으로 후방을 우회하는 대규모 작전이었다. 제3군 사령관 하산 이제트 파샤와 제9군단장 아흐메트 페브지 비그 준장은 이에 우려를 표했으나, 12월 12일 참모총장 엔베르 파샤가 에르주룸에 도착하여 실행을 결정했다. 작전 성공에 의문을 제기한 제9군단장과 제10군단장은 해임되었다.
12월 22일, 오스만 제3군은 공세를 개시했다. 러시아 측은[106] 빠른 공세를 예상하지 못했지만, 전선의 보고는 오스만 군의 공격을 나타내고 있었다. 오스만 군 최좌익 제10군단은 오르투를 점령하고 진격했으며, 좌익 제9군단은 24일 살카무슈 교외, 25일 밤에는 살카무슈 구시가지에 도달했다. 28일, 제10군단은 셀림으로 진격하여 살카무슈와 카르스를 잇는 도로를 차단했다. 그러나 급격한 악천후와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공세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2월 말경 오스만 제10군단의 기록에 따르면, 눈은 1.5m까지 쌓였고, 기온은 영하 26도까지 떨어졌다.[107]
오스만 군 우익 제11군단의 압박은 충분하지 않았고, 많은 러시아 군인들이 살카무슈 방어를 위해 후퇴했다. 러시아 코카서스 군 사령관 대리는 비관하여 피신했지만, 참모장 니콜라이 유데니치는 살카무슈 사수를 결심하고 현지에서 지휘했다. 오스만 제9군단은 살카무슈 점령에 어려움을 겪었고, 제10군단은 러시아 증원 부대에 측면을 노출되어 고전했다. 엔베르 파샤의 독려에도 전황은 진전되지 않았고, 1월 4일 공수가 역전되었다. 오스만 제9군단과 제10군단은 러시아군의 압박에 후퇴하기 시작했다. 1월 7일, 제10군단 사령부 피습으로 사령관과 참모장이 포로가 되는 등, 오스만 군은 전면적인 후퇴에 들어갔다.
살카무슈 전투는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고, 유데니치는 러시아 코카서스 군 야전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오스만 군은 약 5만 명,[108] 러시아군은 2만 8천 명의 손실을 입었다.[109] 러시아군은 동부 전선에 집중하여 오스만군의 이스탄불 증원 요청으로 전력은 대등해졌다. 가을에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새로운 러시아군 전선 사령관으로 취임했고, 양군은 대치한 채 그 해를 마무리했다.
4. 1. 1. 11월
베르크만 공세는 코카서스 전역의 첫 번째 무장 충돌이었다. 러시아군은 국경을 넘어 도우베야즈이트와 쾨프뤼쾨이를 점령할 계획이었다.[57] 오스만 제국 제3군 사령관 하산 이제트는 겨울철 공세에 반대했지만, 육군부 장관 엔베르 파샤는 그의 계획을 무시했다.11월 6일, 영국 해군은 파오의 옛 요새를 폭격했다. 아서 배럿 중장이 이끄는 영국 인도 원정군 D는 파오 상륙작전을 통해 350명의 오스만군과 4문의 대포에 맞섰다. 11월 22일, 영국군은 바스라를 점령하고 이라크 지역 사령부의 수피 파샤와 1,200명의 병사를 사로잡았다. 할릴 파샤가 지휘하는 주력 오스만군은 바그다드 북서쪽 약 440km 지점에 주둔하며 영국군을 몰아내기 위한 약한 시도만 했다.
11월 7일, 오스만 제국 제3군은 제11군단과 모든 기병 부대, 쿠르드족 부족 연대의 지원을 받아 코카서스 공세를 시작했다. 11월 12일까지 아흐메트 페브지 파샤의 제9군단이 러시아군을 몰아내기 시작했다. 러시아군은 카라쾨세와 도우베야즈이트를 점령했다.[58] 11월 말까지 러시아군은 에르주룸-사리카미시 축을 따라 오스만 제국 영토에 약 25km의 돌출부를 유지했다.
쿠웨이트 통치자 셰이크 무바라크 알 사바는 움 카스르, 사프완, 부비얀, 바스라에 병력을 파견하여 오스만군을 축출했다. 그 대가로 영국 정부는 쿠웨이트를 "영국의 보호하에 있는 독립 정부"로 인정했다.[59] 무바라크는 쿠웨이트 국기에 있던 오스만 제국의 상징을 제거하고 아랍어로 "쿠웨이트"라고 쓴 것을 대체했다.[60]
4. 1. 2. 12월
1914년 12월 14일, 반 헌병대는 페르시아 원정에서 카투르(코투르) 시를 점령하고 호이로 진격했다.[62] 이들은 카짐 베이의 제5원정군과 할릴 베이의 제1원정군이 타브리즈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교두보를 확보해야 했다. 그러나 사리카미슈 전투로 인해 오스만군 병력이 부족해져 이들 원정군은 다른 곳으로 배치되었다.1914년 12월 29일, 엔베르 파샤는 오스만 제3군에 카르스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직접 지휘하며 러시아군을 공격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사리카미슈 전투가 시작되었다. 제3군의 진격에 보론초프 총독은 러시아 코카서스 군을 카르스로 후퇴시키려 했으나, 니콜라이 유데니치 장군은 이 명령을 무시했다.[62]

5. 1915년
1915년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구에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해였다.
코카서스 전역에서는 1914년 말 러시아군이 승리했지만, 동부 전선에 집중하면서 오스만군과 대등한 전력을 유지했다. 1915년 초, 오스만 제3군은 사리카미슈 전투에서 대패하여 큰 타격을 입었지만, 러시아군은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새로운 사령관으로 취임하면서 전열을 재정비했다.
다르다넬스 전역에서는 영불 연합 함대가 다르다넬스 해협을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3월 18일의 대규모 공격에서 프랑스 전함 부베가 침몰하고, 여러 전함들이 큰 피해를 입으면서 해군력만으로는 해협 통과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후 연합군은 갈리폴리 전투를 통해 육상으로 진격하려 했으나,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오스만군의 저항에 막혀 큰 피해를 입고 결국 철수했다.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는 1915년 초 오스만군이 바스라 탈환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쿠트로 후퇴했다. 4월에는 샤이바 전투에서 패배하고, 슐레이만 아스케리 베이가 자살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11월 크테시폰 전투에서 영국군과 무승부를 기록하고, 12월에는 쿠트 포위전을 시작하며 반격의 기회를 잡았다.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에서는 1915년 초 오스만 제4군이 수에즈 운하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양측은 갈리폴리 전투에 집중하면서 이 지역은 비교적 소강상태를 유지했다.
한편, 1915년은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이 시작된 해이기도 하다. 4월 24일, 오스만 정부는 탈라트 파샤의 명령으로 아르메니아인들을 강제 이주시키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학살당하거나 추방되었다.
5. 1. 코카서스 전역
11월 2일, 개전과 동시에 러시아 제국 코카서스 군은 오스만 제3군의 근거지인 에르주룸으로 진격했다. 오스만 군은 국경 부근에 소규모 기병 부대를 배치하여 이를 곧 알아챘다. 오스만 제11군단(XI Corps (Ottoman Empire))이 반격했고, 오스만 제9군단(IX Corps (Ottoman Empire))도 합류하여 서서히 북진했다. 11월 말까지 전선은 국경에서 에르주룸 방향으로 25km 지점에서 교착되었다. 러시아군의 손실은 약 7,000명, 오스만 군은 약 13,000명이었다.[105]12월 8일, 제3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참모본부원 하파즈 하크 파샤(하프즈 하크 파샤|Hafız Hakkı Paşatr) 대령이 제3군 부참모장으로 트라브존에 도착했다. 하크 대령은 제3군 참모장인 독일인 구제(Guse) 중령에게 공세 계획을 수립하도록 직접 지시했다. 구제 중령은 작전 계획을 세웠지만, 너무나도 대규모 작전이었기에 제3군 사령관 하산 이제트 파샤(하산 이제트 파샤|Hasan İzzet Paşatr)는 난색을 표했고, 예하 제9군단장 아흐메트 페브지 비그(아흐메트 페브지 비그|Ahmet Fevzi Bigtr) 준장도 우려를 나타냈다. 이 계획은 1개 군단으로 전선의 러시아군을 묶어두고, 2개 군단으로 러시아군의 후방으로 우회하는 것이었다. 12월 12일, 참모총장 엔베르 파샤(엔베르 파샤|Enver Paşatr)가 에르주룸에 도착하여 이 대규모 공세 작전의 실행을 결정했다. 제9군단장과 제10군단(X Corps (Ottoman Empire))장은 작전 성공에 의문을 제기하여 해임되었다.
12월 22일 오스만 제3군은 공세를 개시했다. 러시아 측[106]은 이렇게 빨리 공세를 시작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지만, 전선에서 야전사령부로 보고되는 내용은 오스만 군의 공격을 보여주고 있었다. 작전 이틀째, 오스만 군 최좌익인 제10군단은 오르투를 점령하고 더 진격했고, 좌익 제9군단은 24일까지 사리카미슈 교외에 도달했고, 25일 밤에는 사리카미슈 구시가지에 도착했다. 28일에는 제10군단이 셀림으로 진격하여 사리카미슈와 카르스를 잇는 도로를 차단했다.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던 오스만 군의 공세였지만, 급격한 악천후와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인해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했다. 12월 말경 오스만 제10군단의 기록에 따르면, 눈이 1.5m까지 쌓였고, 기온은 -26°C까지 떨어졌다고 한다.[107]
오스만 군 우익 제11군단의 전선 러시아군에 대한 압박은 충분하지 않았고, 많은 러시아 군인들이 사리카미슈 방어를 위해 후퇴했다. 러시아 코카서스 군 사령관 대리는 상황을 비관하여 전선에서 피신했지만, 참모장이자 당시 러시아 제2코카서스 군단을 지휘하고 있던 니콜라이 유데니치는 사리카미슈 사수를 결심하고 현지에서 지휘하며 부대를 사리카미슈로 향하도록 지시했다. 오스만 제9군단은 사리카미슈 점령에 애를 먹었고, 제10군단은 북쪽에서 지원 온 러시아 증원 부대에게 측면을 노출되어 고전했다. 엔베르 파샤가 독려했지만 전황은 진전되지 않았고, 1월 4일을 기점으로 공수가 역전되었다. 격렬한 러시아군의 압박에 못 이겨 오스만 제9군단과 제10군단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제10군단 사령부가 공격받아 사령관과 참모장이 포로가 되는 참상을 겪고, 1월 7일 오스만 군은 전면적인 후퇴에 들어갔다.
사리카미슈 전투로 불리는 이 전투는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고, 러시아 장군 유데니치는 러시아 코카서스 군 야전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이 전투로 오스만 군은 약 5만 명의 병력을 잃었고,[108] 러시아군은 2만 8천 명의 손실을 입었다.[109] 전년도 오스만 제국의 대패로 전력 균형이 크게 무너졌으나, 러시아군은 동부 전선에 힘을 쏟고 있었고, 오스만군이 이스탄불에서 증원을 요청함에 따라 전력이 대등해졌다. 가을에는 새로운 러시아군 전선 사령관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취임했고, 양군은 대치한 채 그 해를 마무리했다.
5. 2. 다르다넬스 전역
2월 19일, 영국 전함 HMS 퀸 엘리자베스를 포함한 강력한 영불 연합 함대가 다르다넬스 해협 연안의 포병 진지를 폭격했다. 색빌 카든 제독은 3월 4일 처칠에게 보낸 전문에서 함대가 14일 이내에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63] 3월 18일, 첫 번째 대규모 공격이 시작되었다. 18척의 전함과 다수의 순양함, 구축함으로 구성된 함대는 해협이 겨우 1마일 너비인 다르다넬스 해협의 가장 좁은 지점을 공격하려 했다.프랑스 전함 부베는 수수께끼 같은 상황에서 폭발하여 전 승무원과 함께 침몰했다. 민간인이 승선한 기뢰 제거함은 오스만군의 끊임없는 포격을 받으며 후퇴하여 기뢰밭은 대부분 그대로 남았다. 전함 HMS 이레지스티블과 전함 HMS 인플렉시블은 기뢰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전투 중 어뢰가 원인인지 혼란이 있었다. ''이레지스티블''을 구조하기 위해 파견된 전함 HMS 오션도 기뢰를 밟았고, 두 함선 모두 결국 침몰했다. 프랑스 전함 쉬프랑과 골루아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손실로 연합군은 해군력만으로 해협을 강제로 통과하려는 시도를 중단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에 서부 전선의 압력을 완화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러시아는 병력을 정비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 흑해에서의 작전은 그들에게 병력을 보충할 기회를 주었고, 갈리폴리 전투는 많은 오스만군을 러시아와 다른 전선에서 끌어들였다.[57]
5. 3. 메소포타미아 전역
슐레이만 아스케리 베이가 이라크 지역 사령관직을 맡았다. 엔베르 파샤는 메소포타미아 전역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했음을 깨달았다. 갈리폴리 전투가 임박했기에 오스만 군은 이 지역으로 병력을 이동시킬 자원이 없었다. 슐레이만 아스케리 베이는 아랍 족장들에게 편지를 보내 영국군에 맞서 싸우도록 조직하려 했다.[62]
1915년 1월 3일, 쿠르나 전투에서 오스만군은 바스라 시를 탈환하려 했다. 영국 해군 함정의 포격을 받았고, 영국군은 티그리스 강을 건너는 데 성공했다. 바스라의 방어 시설이 너무 강력하여 함락시킬 수 없다고 판단한 오스만군은 알 쿠르나를 포기하고 쿠트로 후퇴했다.
5. 4.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은 1915년 초 오스만 제국의 제4군이 이집트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오스만군은 수에즈 운하를 장악하여 연합군의 해상 교통로를 차단하려 했으나, 영국군의 저항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양측은 갈리폴리 전투에 집중하면서 시나이반도와 팔레스타인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강상태를 유지했다.5. 4. 1. 4월 ~ 6월
4월 12일, 슐레이만 아스케리는 새벽에 3,800명의 병력으로 샤이바에 있는 영국군 진영을 공격했지만, 주로 아랍 족장들이 제공한 이 병력은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 슐레이만 아스케리는 부상을 입었고, 실망과 낙담 속에 바그다드 병원에서 자살했다.[21]4월 20일, 반 포위 공격(1915)이 시작되었다. 4월 24일, 탈라트 파샤는 4월 24일 명령(아르메니아인들에게는 '붉은 일요일'로 알려짐)을 발표했는데, 이 명령은 이 지역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인에 의해 선동되어 오스만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다고 밝히고 있었다.[21]
연합군은 그 다음 날 다르다넬스 해협의 유럽 쪽인 갈리폴리 반도에 대한 상륙 작전을 시작했다. 병력은 상륙하는 데 성공했지만, 약 13만 명의 사망자와 26만 2천 명의 부상자를 낸 수개월간의 전투 끝에도 오스만군을 몰아낼 수 없었다. 결국 철수했다. 이 전투는 4월 25일을 안작 데이로 기념하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성장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후에 터키 공화국의 초대 지도자가 된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갈리폴리 전투에서 중령으로서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았다.[21]
5월 6일, 유데니치 장군은 오스만 영토로의 공세를 시작했다. 이 공세의 한 부대는 반 호수로 향하여 아르메니아 방어군을 구원하려 했다. 아르메니아 비정규군, 페다예는 도시를 러시아군에게 넘겨주었다. 5월 21일, 유데니치 장군은 도시와 성채의 열쇠를 받았고, 아람 마누키안을 주지사로 임명하여 아르메니아 임시 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반이 안전해지자, 그 여름 동안 전투는 더 서쪽으로 이동했다.[21]
같은 날 러시아군의 제2 부대는 날씨가 온화해진 후 토르툼 계곡을 통해 에르주룸으로 진격했다. 오스만 제29사단과 제30사단은 이 공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 오스만 제10군단은 러시아군을 역공격했다. 남부 전선에서는 오스만군이 북부에서와 같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1]
만지케르트는 5월 11일에 함락되었다. 아르메니아군이 후방에서 추가적인 어려움을 야기하면서 오스만군의 보급선이 차단되었다. 반 호수 남쪽 지역은 매우 취약했다. 5월 동안 오스만군은 겨우 5만 명의 병력과 130문의 대포로 600km가 넘는 방어선을 지켜야 했다. 그들은 러시아군에 비해 압도적으로 수적으로 열세였다.[21]
5월 27일, 러시아군의 공세가 정점에 달했을 때, 오스만 의회는 테치르 법을 통과시켰다. 내무장관 탈라트 파샤는 오스만 통제 지역의 모든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강제 추방을 명령했다.[21]
6월 19일, 러시아군은 반 호수 북서쪽에서 또 다른 공세를 개시했다. 오가놉스키가 지휘하는 러시아군은 말라즈기르트 서쪽 언덕으로 진격했지만, 오스만군의 규모를 과소평가했다. 그들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대규모 오스만군의 기습을 받았다. 그들은 오스만 제9군단과 제17사단, 제28사단이 무슈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21]
제1, 제5 원정군은 러시아 공격 부대 남쪽에 배치되었고, 압둘케림 파샤 준장의 지휘 아래 "우익 부대"가 편성되었다. 이 부대는 제3군과는 독립적이었고, 압둘케림 파샤는 엔베르 파샤에게 직접 보고했다.[21]
5. 4. 2. 7월 ~ 9월
9월 24일, 유데니치 장군이 이 지역 모든 러시아군의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105] 1915년 7월~9월 코카서스 지역은 비교적 조용했으며, 유데니치는 이 기간을 활용하여 러시아군을 재편성했다.
5. 4. 3. 10월 ~ 12월
영국군이 티그리스강을 따라 빠르게 진격하자, 일부 아랍 부족들은 갈등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다. 영국이 우세하다는 것을 깨달은 많은 부족들이 영국군에 합류했다. 그들은 오스만 군 병원을 습격하여 아마라의 병사들을 학살했다.[64]11월 22일, 타운젠드와 폰 데어 골츠는 크테시폰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는 오스만군과 영국군 모두 전장에서 후퇴했기 때문에 결정적이지 못했다. 타운젠드는 쿠트알아마라에 있는 지점을 멈추고 요새화했고, 12월 7일 그의 부대가 포위되면서 쿠트 포위전이 시작되었다.[64] 폰 데어 골츠는 오스만군이 쿠트 주변에 방어진지를 구축하는 것을 도왔고, 타운젠드를 구출하려는 어떤 시도라도 막기 위해 강 하류에 새로운 요새화된 지점을 설치했다. 에일머 장군은 포위를 돌파하기 위해 세 번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타운젠드는 1916년 4월 29일 그의 모든 부대를 항복했다.[64]
12월, 영국 정부는 비밀 요원인 윌리엄 셰익스피어 대위를 통해 이븐 사우드와의 관계 개선을 계속 시도했지만, 자랍 전투에서 셰익스피어가 사망한 후 이는 중단되었다. 대신 영국은 사우디와 거의 끊임없이 전쟁을 벌이고 있던 이븐 사우드의 라이벌인 헤자즈의 지도자 세리프 후세인 빈 알리에게 지원을 옮겼다. 키치너 경 또한 갈등에 대한 지원을 위해 메카의 세리프 후세인 빈 알리에게 호소했고, 후세인은 대가로 정치적 인정을 원했다. 맥마흔-후세인 서신 교환은 헨리 맥마흔과의 편지 교환을 통해 그에게 전쟁 후 이집트와 페르시아 사이의 영토(쿠웨이트, 아덴, 시리아 해안의 제국 소유지와 이익 제외)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함으로써 그의 지원에 대한 보상을 약속했다. 영국은 다린 조약을 체결하여 사우드 가문의 땅을 영국의 보호령으로 만들었다. 이븐 사우드는 오스만의 동맹국인 이븐 라시드에 대해 다시 전쟁을 벌일 것을 약속했고, 대가로 매달 봉급을 받았다.
6. 1916년
1916년, 외교적 노력과 오스만 제국의 새 지도자들(삼파샤)에 대한 반감으로 메카의 셰리프 후세인 빈 알리는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의 지휘는 그의 두 아들 피살과 압둘라에게 맡겨졌으나, 전쟁 계획 및 지휘는 대부분 로렌스 아라비아의 업적이었다.
러시아군의 터키 북동부 공세는 코프루쾨이 전투에서의 승리로 시작되어 2월 에르주룸 함락과 4월 트라브존 함락으로 이어졌다. 에르진잔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의 제3군은 더 이상 공세를 펼칠 능력이 없었고 러시아군의 진격을 막을 수도 없었다.
오스만군은 수에즈 운하를 파괴하거나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시나이 반도를 넘어 두 번째 공격을 개시했으나 실패했다. 영국군은 공세로 전환하여 팔레스타인 동부로 진격했지만, 1917년 가자의 오스만 요새를 두 차례 점령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이후 영국군 지휘부에 대대적인 변화가 일어났고, 앨런비 장군이 증원병과 함께 도착했다.
6. 1. 코카서스 전역
1914년 11월 2일, 개전과 동시에 러시아 제국 코카서스 군은 오스만 제3군의 근거지인 에르주룸으로 진격했다.[105] 국경 부근에 소규모 기병 부대를 배치하고 있던 오스만 군은 이를 곧 알아챘다. 오스만 제11군단이 반격했고, 오스만 제9군단도 합류하여 서서히 북진했다. 11월 말까지 전선은 국경에서 에르주룸 방향으로 25km 지점에서 교착되었다. 러시아군의 손실은 약 7,000명, 오스만 군은 약 13,000명이었다.[105]1914년 12월 8일, 제3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참모본부원 하파즈 하크 파샤 대령이 제3군 부참모장으로 트라브존에 도착했다. 하크 대령은 제3군 참모장인 독일인 구제 중령에게 공세 계획을 수립하도록 직접 지시했다. 구제 중령은 작전 계획을 세웠지만, 너무나도 대규모 작전이었기에 제3군 사령관 하산 이제트 파샤는 난색을 표했고, 예하 제9군단장 아흐메트 페브지 비그 준장도 우려를 나타냈다. 이 계획은 1개 군단으로 전선의 러시아군을 묶어두고, 2개 군단으로 러시아군의 후방으로 우회하는 것이었다. 12월 12일, 참모총장 엔베르 파샤가 에르주룸에 도착하여 이 대규모 공세 작전의 실행을 결정했다. 제9군단장과 제10군단장은 작전 성공에 의문을 제기하여 해임되었다.
1914년 12월 22일 오스만 제3군은 공세를 개시했다.[106] 러시아 측은 이렇게 빨리 공세를 시작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지만, 전선에서 야전사령부로 보고되는 내용은 오스만 군의 공격을 보여주고 있었다. 작전 이틀째, 오스만 군 최좌익인 제10군단은 오르투를 점령하고 더 진격했고, 좌익 제9군단은 24일까지 살카무슈 교외에 도달했고, 25일 밤에는 살카무슈 구시가지에 도착했다. 28일에는 제10군단이 셀림으로 진격하여 살카무슈와 카르스를 잇는 도로를 차단했다.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던 오스만 군의 공세였지만, 급격한 악천후와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인해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했다. 12월 말경 오스만 제10군단의 기록에 따르면, 눈이 1.5m까지 쌓였고, 기온은 -26°C까지 떨어졌다고 한다.[107]
오스만 군 우익 제11군단의 전선 러시아군에 대한 압박은 충분하지 않았고, 많은 러시아 군인들이 살카무슈 방어를 위해 후퇴했다. 러시아 코카서스 군 사령관 대리는 상황을 비관하여 전선에서 피신했지만, 참모장이자 당시 러시아 제2코카서스 군단을 지휘하고 있던 니콜라이 유데니치는 살카무슈 사수를 결심하고 현지에서 지휘하며 부대를 살카무슈로 향하도록 지시했다. 오스만 제9군단은 살카무슈 점령에 애를 먹었고, 제10군단은 북쪽에서 지원 온 러시아 증원 부대에게 측면을 노출되어 고전했다. 엔베르 파샤가 독려했지만 전황은 진전되지 않았고, 1915년 1월 4일을 기점으로 공수가 역전되었다. 격렬한 러시아군의 압박에 못 이겨 오스만 제9군단과 제10군단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제10군단 사령부가 공격받아 사령관과 참모장이 포로가 되는 참상을 겪고, 1915년 1월 7일 오스만 군은 전면적인 후퇴에 들어갔다.
살카무슈 전투로 불리는 이 전투는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고, 러시아 장군 유데니치는 러시아 코카서스 군 야전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이 전투로 오스만 군은 약 5만 명의 병력을 잃었고,[108] 러시아군은 2만 8천 명의 손실을 입었다.[109]
전년도 오스만 제국의 대패로 전력 균형이 크게 무너졌으나, 러시아군은 동부 전선에 힘을 쏟고 있었고, 오스만군이 이스탄불에서 증원을 요청함에 따라 전력이 대등해졌다. 가을에는 새로운 러시아군 전선 사령관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취임했고, 양군은 대치한 채 그 해를 마무리했다.
7. 1917년
1917년은 중동 전역에서 중요한 변화가 나타난 해였다. 바그다드 전투와 1차 가자 전투 등 주요 전투가 벌어졌으며, 코카서스 전역은 에르진잔 휴전이 체결되면서 사실상 전투가 중단되었다.
7. 1. 코카서스 전역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러시아군의 사기가 저하되었고, 이는 코카서스 전선에서의 전투 의지 상실로 이어졌다. 결국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이 전선에서의 군사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108]8. 1918년
1918년, 중동 전역에서는 중요한 변화들이 일어났다.
1918년 3월 3일, 오스만 제국은 볼셰비키 러시아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하여 바투미, 카르스, 아르다한을 할양받았다.[67] 이후 트라브존 평화 회담이 열렸지만, 이 조약으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영토가 통합되면서 갈등이 발생했다.[67]
같은 해 3월 16일, 아시리아인들은 차라 요새를 공격하여 쿠르드족을 패배시켰다.[68] 아가 페트로스 휘하의 아시리아군은 술두제(나카데) 등 여러 전투에서 오스만군을 상대로 승리했다.[69][70]
제1 아르메니아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고,[67] 사르다라파트 전투 등에서 격돌했다. 그해 여름, 안드라닉 오자니안은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수립하고 오스만 제3군에 저항했다.[72] 이슬람 군대는 바쿠 전투에서 승리했다.[73]
9월,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은 메기도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파했다.[74][75]
8. 1. 코카서스 전역
1914년 11월 2일, 개전과 동시에 러시아 제국 코카서스 군은 오스만 제3군의 근거지인 에르주룸으로 진격했다.[105] 오스만 군은 국경 부근에 소규모 기병 부대를 배치하여 이를 빠르게 알아챘다. 오스만 제11군단과 제9군단이 반격하며 북진했고, 11월 말에는 에르주룸 방향 25km 지점에서 전선이 교착되었다.1914년 12월 8일, 하파즈 하크 파샤 대령이 제3군 부참모장으로 트라브존에 도착하여 공세 계획을 지시했다. 구제 중령이 계획을 세웠으나, 제3군 사령관 하산 이제트 파샤와 제9군단장 아흐메트 페브지 비그 준장은 대규모 작전에 난색을 표했다. 이 계획은 1개 군단으로 러시아군을 묶고, 2개 군단으로 후방을 우회하는 것이었다. 12월 12일, 참모총장 엔베르 파샤가 에르주룸에 도착하여 공세 실행을 결정하고, 작전에 의문을 제기한 제9군단장과 제10군단장은 해임되었다.
1914년 12월 22일, 오스만 제3군은 공세를 개시했다.[106] 러시아 측은 예상보다 빠른 공격에 당황했지만, 보고를 통해 오스만 군의 공격을 확인했다. 오스만 군은 순조롭게 출발하여 제10군단은 오르투를 점령하고, 제9군단은 12월 25일 밤 살카무슈 구시가지에 도달했다. 12월 28일에는 제10군단이 셀림으로 진격하여 살카무슈와 카르스를 잇는 도로를 차단했다. 그러나 악천후와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오스만 군의 공세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2월 말경, 오스만 제10군단의 기록에 따르면 눈이 1.5m까지 쌓였고, 기온은 -26°C까지 떨어졌다.[107]
오스만 군 우익 제11군단의 압박이 충분하지 않아 많은 러시아 군인들이 살카무슈 방어를 위해 후퇴했다. 러시아 코카서스 군 사령관 대리는 비관하여 피신했지만, 참모장 니콜라이 유데니치는 살카무슈 사수를 결심하고 현지에서 지휘했다. 오스만 제9군단은 살카무슈 점령에 어려움을 겪었고, 제10군단은 러시아 증원 부대에게 측면을 노출되어 고전했다. 1915년 1월 4일을 기점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오스만 제9군단과 제10군단은 후퇴했다. 제10군단 사령부가 공격받아 사령관과 참모장이 포로가 되는 참상을 겪고, 1월 7일 오스만 군은 전면 후퇴했다.
살카무슈 전투는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났고, 유데니치는 러시아 코카서스 군 야전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이 전투로 오스만 군은 약 5만 명,[108] 러시아군은 2만 8천 명의 손실을 입었다.[109]
1915년 가을, 새로운 러시아군 전선 사령관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취임했고, 양군은 대치한 채 그 해를 마무리했다.
8. 2. 메소포타미아 전역
1918년 3월 3일,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탈라트 파샤는 볼셰비키 러시아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서명했다.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바투미, 카르스, 아르다한을 할양받았다. 이후 3월부터 4월까지 오스만 제국과 트란스캅카스 의회 및 정부 대표단 사이에 트라브존 평화 회담이 열렸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영토가 통합되었다.[67]1918년 3월 16일, 아시리아 총대주교 시문 마르(Mar Shimun)를 살해한 심코 시칵이 머물던 차라 요새를 아시리아인들이 공격했다. 이 요새는 페르시아 정부도 정복하지 못했던 곳이었다. 전투 중 심코는 아시리아인들에게 부대가 찢기는 것을 보고 도망쳤고, 하루 만에 쿠르드족은 패배했다. 차라의 강은 죽은 시칵 전사들의 피로 붉게 물들었다고 한다.[68]
아가 페트로스 휘하의 아시리아인들은 오스만군을 상대로 여러 전투에서 승리했다. 특히 술두제(나카데)에서 페트로스의 1,500명 기병대는 케이리 베이의 8,000명 부대를 압도했다.[69][70] 페트로스는 사우주 불락(마하바드)에서도 오스만군을 격파하고 로완두즈(라완디즈)로 몰아냈다.[71]
제1 아르메니아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67] 1918년 5월 초, 오스만 군대는 동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의회의 아르메니아 군단과 맞섰고, 곧 제1 아르메니아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오스만 군대는 트라브존, 에르주룸, 카르스, 반, 바투미를 점령했다. 이 갈등은 사르다라파트 전투, 카라 킬리세 전투, 바쉬 아바란 전투로 이어졌다.[72]
아르메니아인들은 사르다라파트 전투에서 오스만군을 패퇴시켰지만, 제1 아르메니아 공화국과의 싸움은 1918년 6월 바투미 조약으로 끝났다. 1918년 여름, 안드라닉 오자니안 휘하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산악 지방 아르메니아인들은 오스만 제3군에 저항하며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수립했다.[72] 1만 4천 명의 이슬람 군대는 조지아를 피해 바쿠로 진격, 1918년 9월 14일 바쿠 전투에서 1,000명의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군을 몰아냈다.[73]
1918년 9월,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은 유대인 군단을 지휘하여 메기도 전투를 시작했고, 오스만 군대는 전면적으로 후퇴했다.[74][75]
8. 3.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1918년 시나이 및 팔레스타인 전역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9. 종전
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의 중동 전구는 종결되었다.
9. 1. 군사 점령

1918년 11월 13일 프랑스군과 그 다음 날 영국군이 오스만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현재의 이스탄불)을 점령했다. 이 점령은 1918년 11월 13일부터 1920년 3월 20일까지 사실상(de facto) 단계와, 이후 로잔 조약 체결 시점까지 법적(de jure) 단계로 나뉜다. 이스탄불 점령은 이즈미르 점령과 함께 터키 민족 운동 성립과 터키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다.[76]
9. 2. 평화 조약
1919년 1월 18일, 파리 강화 회의에서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다. 협상은 1920년 런던 회의에서 계속되었지만, 조약은 1920년 4월 산레모 회의에서 수상 회담 이후에야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은 1915년 초부터 이미 비밀리에 오스만 제국의 분할을 계획하고 있었다.[77] 오스만 정부 대표들은 1920년 8월 10일 세브르 조약에 서명했지만, 영국에 의해 1920년 3월 18일에 해산된 오스만 의회의 비준을 거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에 의해 비준되지 않았다.[77][78] 세브르 조약은 터키 독립 전쟁 과정에서 무효화되었고, 당사국들은 1923년에 이를 대체하는 로잔 조약에 서명하고 비준했다.
9. 3. 칼리파 제도 폐지
오스만 제국 칼리파 제도는 1924년 3월 3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마지막 칼리프 압둘 메지드 2세를 폐위시키면서 폐지되었다.10. 병력 규모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중동 전구의 병력 규모는 양측 모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오스만 제국은 내부 분열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병력 동원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독일의 지원을 받아 전쟁 기간 동안 군사력을 유지했다. 반면 연합군은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병력을 동원하여 오스만 제국에 대항했다. 특히, 아르메니아인들과 아랍인들은 각자의 민족적 열망을 가지고 연합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오스만 제국군청년 투르크 혁명 이후 오스만 군대는 대대적인 개혁을 거쳤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제국 내 비무슬림은 징병에서 면제되었고, 신뢰할 수 있는 튀르크계 주민은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또한, 경제력과 산업 기반이 취약하여 군수 물자 생산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 전 오스만 제국은 약 10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할 수 있었으며, 이 중 절반은 야전군, 나머지는 수비대 및 지원 부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탄약 부족과 기관총, 소총 등의 장비 부족으로 인해 실제 전투력은 계획보다 낮았다. 1914년 오스만 제국은 4개의 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각 군은 여러 개의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전쟁 중에는 새로운 군이 창설되기도 했지만, 인력과 자원 부족으로 인해 1918년에는 군 집단의 규모가 1914년의 군대보다 작아졌다. 오스만 군대는 대부분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된 장비를 사용했으며, 독일 군사 고문단과 특수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
- '''주요 부대 (1914년):'''
부대 | 구성 |
---|---|
제1군 | 15개 사단 |
제2군 | 4개 사단, 독립 보병 연대 3개, 포병 여단 1개 |
제3군 | 9개 사단, 독립 보병 연대 4개, 독립 기병 연대 4개(부족 부대) |
제4군 | 4개 사단 |
연합군
연합군은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러시아는 러시아 코카서스 군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동부 전선으로 병력이 재배치되면서 중동 전구에는 6만 명의 병력만 남게 되었다.
아르메니아 자원병 부대는 러시아군 소속으로 창설되어 오스만 제국에 대항했다. 이들은 현지 지형에 익숙하고 전투 의지가 강해 러시아군의 중요한 전력이 되었다. 보고스 누바르는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아르메니아 자원병의 수가 15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48]
영국은 지중해 원정군, 영국 다르다넬스 군, 이집트 원정군 등을 창설하고, 던스터군을 파견하여 코카서스에서 오스만과 독일군에 대항했다. 아랍 반란에는 약 5,000명의 정규군과 T.E. 로렌스를 비롯한 영국 고문의 지휘를 받는 부족민들이 참여했다.
프랑스는 프랑스 아르메니아 레기옹을 파병하여 사이익스-피코 협정의 약속을 이행하고자 했다. 아르메니아 민족 해방 운동은 아르메니아 민병대를 조직하여 오스만 제국에 맞섰다.
비정규군중동 전구에서는 정규군 외에도 비정규군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영국 외무부 산하 아랍국은 아랍 반란을 기획하여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불만을 품은 부족들을 지원했다. 후세인 빈 알리는 아랍 반란의 주요 지도자로 활약했다.
독일은 동방 정보국을 설립하여 영국령 인도 제국, 페르시아, 이집트에서 파괴 활동과 민족주의 선동을 지원했다. 빌헬름 바스무스는 페르시아에서의 작전을 이끌었다.[24]
10. 1. 중앙 동맹국 (오스만 제국)

1908년 7월 3일 청년 투르크 혁명과 제2입헌 시대 (İkinci Meşrûtiyet Devritr) 수립 이후, 오스만 군대는 대규모 군사 개혁을 시작했다. 군 본부는 현대화되었고, 이탈리아-튀르크 전쟁과 발칸 전쟁을 거치면서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군대는 추가적인 개편을 겪었다.
오스만 군대는 자체적으로 군대를 편성하는 데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했다. 우선, 제국 내 분열로 인해 군대 규모가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비무슬림은 징병에서 면제되었고, 신뢰할 수 있는 튀르크계 주민은 제국 인구 2,200만 명 중 1,200만 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1,000만 명은 충성도와 군사적 활용도가 다양한 소수 민족이었다. 또한, 제국은 다른 강대국에 비해 GDP, 인프라, 산업 능력이 매우 부족했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 면적의 5분의 1에 불과했지만, 철도 길이는 51,000km로 오스만 제국의 5,759km보다 훨씬 길었다. 오스만 제국의 석탄 생산량은 1914년 기준 826,000톤으로, 프랑스의 4,000만 톤, 영국의 2억 9,200만 톤에 비해 매우 적었다.[43] 제국에는 대포와 소총 주조 공장, 포탄과 탄환 공장, 화약 공장이 각각 하나씩 있었는데, 모두 콘스탄티노플 교외에 위치했다. 오스만 경제는 양모, 목화, 가죽과 같은 농산물에 의존하는 농업 경제였다.[44]
이 기간 동안 제국은 군대를 여러 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 본부는 참모총장, 작전부, 정보부, 물류부, 인사부로 구성되었다. 오스만 군대의 전통에 따라 보급, 의무, 수의 서비스도 포함되었다. 전쟁 전 터키 총참모부는 한 번에 10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할 수 있으며, 이 중 50만 명은 기동 야전군으로, 나머지는 수비대, 해안 방어, 통신 및 수송 지원에 배치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45] 기동 군대에는 약 900문의 야포가 있었는데, 이는 전시 편제보다 280문 적었지만, 곡사포는 충분했다. 아드리아노플, 에르주룸, 보스포루스 해협, 다르다넬스 해협, 카탈카 등 해안과 요새 수비대에는 추가로 900문의 고정 또는 반고정식 포대가 배치되어 있었다. 탄약 부족으로 대포당 약 588발의 포탄만 있었다.[46] 군대는 편제를 채우기 위해 수천 정의 기관총이 더 필요했고, 소총은 150만 정의 재고로 충분했지만, 20만 정이 더 필요했다.
1914년 제국이 전쟁에 참전하기 전, 4개 군은 군단과 사단으로 병력을 배치하여 각 사단에 보병 연대 3개와 포병 연대 1개를 배치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
부대 | 구성 |
---|---|
제1군 | 15개 사단 |
제2군 | 4개 사단, 독립 보병 연대 3개, 포병 여단 1개 |
제3군 | 9개 사단, 독립 보병 연대 4개, 독립 기병 연대 4개(부족 부대) |
제4군 | 4개 사단 |
1914년 8월, 편성된 36개 보병 사단 중 14개가 새로 편성되었고, 이 중 8개 사단은 대규모 재배치를 거쳤다. 전쟁 중에는 제5군, 제6군(1915년), 제7군, 제8군(1917년), 쿠바이 인지바티예, 군단 하나만 보유한 이슬람 군대(1918년)가 편성되었다.
1918년까지 원래 군대는 심하게 감소하여 동부군 집단과 일디림 군 집단으로 통합되었다. 전쟁 4년 동안 군대 수는 증가했지만, 인력과 보급 자원은 감소하여 1918년의 군 집단은 1914년의 군대보다 규모가 작았다. 오스만 군대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부분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대부분의 군사 장비는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제조되었고, 독일과 오스트리아 기술자들이 유지 관리했다. 독일은 군사 고문도 제공했고, 1917년에는 특수 부대(아시아 군단)가 파견되어 1918년에는 2개 연대 규모의 전투 부대로 증강되었다. 독일 코카서스 원정대는 1918년 초 러시아 트란스코카서스 지역에 설립되었고, 주요 목표는 독일의 석유 공급 확보와 친독일 성향의 신생 그루지야 민주 공화국 안정화였다.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과 독일은 갈등을 빚었고, 전쟁 마지막 몇 달 동안 양국 간에 공식적인 비난이 오갔다.
10. 1. 1. 징집
오스만 제국은 1914년 5월 12일 새로운 징병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징병 연령을 20세에서 18세로 낮추고 예비군 제도인 "레디프(redif)"를 폐지했다. 복무 기간은 보병 2년, 다른 군 부대 3년, 해군 5년으로 정해졌으나, 이러한 조치들은 전쟁 중 대부분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렀다.[1]
전통적으로 오스만 군대는 제국의 무슬림 인구로부터 자원병에 의존했다. 메브레비(Mevlevi)와 카디리(Kadiri) 등 오스만 사회의 여러 집단과 개인들이 제1차 세계 대전 중 현역 복무를 자원했다.[1]
코카서스와 루멜리아 튀르크인들로 구성된 부대도 있었으며, 이들은 메소포타미아와 팔레스타인 전투에 참여했다. 오스만군 자원병은 튀르크계 집단뿐만 아니라 아랍인과 베두인족 자원병들도 소수 있었는데, 이들은 수에즈 운하 점령을 위한 영국군과의 전투와 메소포타미아 전투에 참전했다. 하지만 자원병들은 훈련 부족과 아랍 및 베두인족 자원병들의 용병적인 이익 추구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정규군에게 신뢰받지 못했다. 격렬한 전투는 오스만 자원병 제도에도 압력을 가했다.[1]
10. 2. 연합국

전쟁 전 러시아는 러시아 코카서스 군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탄넨베르크 전투와 마주리 호 전투에서 패배한 후 병력의 거의 절반이 프로이센 전선으로 재배치되어 이 전선에는 6만 명의 병력만 남게 되었다. 1914년 여름, 러시아군 산하에 아르메니아 자원군 부대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초기에만 약 2만 명의 아르메니아 자원병이 오스만 제국에 맞서 무기를 들 준비가 되어 있었다.[47] 이 자원 부대는 전쟁 중 규모가 커져서 보고스 누바르가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그 수가 15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48]
동남 아나톨리아, 메소포타미아 북부, 페르시아 북서부의 아시리아인들은 아가 페트로스와 말릭 코샤바의 지휘 아래 러시아와 영국 편에 가담했다.[19]
1914년, 페르시아 남부 지역에는 일부 영국 인도군 부대가 있었다. 이 부대들은 반란군 부족 세력과의 대처 경험이 풍부했다. 영국은 나중에 지중해 원정군, 영국 다르다넬스 군, 이집트 원정군을 창설했고, 1917년에는 라이오넬 던스터빌 지휘 아래 던스터군을 창설하여 코카서스에서 오스만과 독일군에 대항했다. 이 부대는 1,000명이 채 안 되는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군인들과 장갑차로 구성되었다.
1916년 헤자즈에서 아랍 반란이 시작되었다. 약 5,000명의 정규군(대부분 아랍 출신 전쟁 포로)이 반란군에서 복무했다. 에미르 파이살과 T.E. 로렌스를 포함한 영국 고문의 지휘 아래 많은 불규칙적인 부족민들이 있었다.
프랑스는 더 큰 프랑스 외인부대의 일부로 이 전선에 프랑스 아르메니아 레기옹을 파병했다. 외무장관 아리스티드 브리앙은 여전히 비밀이었던 사이익스-피코 협약에서 프랑스가 한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군대를 제공해야 했다.[49] 아르메니아 국민의회 지도자 보고스 누바르는 마크 사이익스 경과 조르주 피코를 만났다.
이집트 원정군 사령관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은 원래 협정을 확대했다. 아르메니아 레기옹은 팔레스타인과 시리아에서 싸웠다. 많은 자원병들이 나중에 레기옹에서 해방되어 각자의 국군에 합류했다.
아르메니아 민족 해방 운동은 이러한 갈등 동안 아르메니아 페다예인 ()을 지휘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 민병대로 불렸다. 1917년, 다슈나크는 토브마스 나자르베키안 장군의 지휘 아래 아르메니아 군단을 창설했는데,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의 선포와 함께 이 새로운 아르메니아 국가의 군사적 중심이 되었다. 나자르베키안은 초대 총사령관이 되었다.
10. 2. 1. 징집
전쟁 전, 러시아는 카프카스 전선에서 활용할 자원병 제도를 수립했다. 1914년 여름, 안드라니크 오자니안의 지휘 아래 아르메니아 자원병 부대가 러시아군 내에 창설되었다. 러시아 아르메니아 징집병들은 이미 유럽 전선으로 보내졌기 때문에, 이 부대는 러시아 국적자가 아니거나 징집 의무가 없는 아르메니아인들로만 구성되어 독특했다. 아르메니아 부대는 현지 출신으로 기후에 익숙했고, 모든 길과 산길을 잘 알았으며, 싸워야 할 실질적인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군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50]
아르메니아 자원병들은 규모가 작고 기동성이 뛰어났으며, 반게릴라전에 적합했다.[51] 이들은 정찰병으로 활약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주요 전투에도 참가했다.[51]
1914년 12월,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는 카프카스 전선을 방문했다. 그는 아르메니아 교회 수장과 티플리스 아르메니아 민족위원회 의장인 알렉산더 카티시안을 만나 다음과 같이 말했다.
Все сыны армянского народа спешат стать под славные знамена русской армии, чтобы своею кровью содействовать победе русского оружия... Пусть над Дарданеллами и Босфором гордо реет русский флаг... Пусть... народы, [армяне] находящиеся под игом Турции, получат свободу. Пусть армянский народ Турции, пострадавший за веру Христову, воскреснет для новой свободной жизни...ru[52]
(번역: 모든 나라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군의 영광스러운 깃발 아래 모여들어, 그들의 피로 러시아군의 승리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 위에 러시아 국기가 자유롭게 펄럭이게 합시다. [...] 터키의 압제하에 있는 [아르메니아] 국민들이 자유를 얻게 합시다. 그리스도의 신앙을 위해 고통받은 터키 아르메니아 국민들이 새롭고 자유로운 삶을 위한 부활을 맞이하게 합시다....)[52]
10. 3. 비대칭 전력
중동 전구에는 정규군뿐만 아니라, 오늘날 "비대칭 전쟁"으로 알려진 전투를 수행한 비정규군도 참여했다.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중동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한 내부 반란 작전을 구상한 것은 T. E. 로렌스나 영국군이 아니었다. 영국 외무부 산하 아랍국이 아랍 반란을 고안했다. 아랍국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불만을 품은 부족과 지역 세력들을 지원하여 반란을 일으키면 오스만 제국의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고 오랫동안 판단했다. 실제로 오스만 당국은 이러한 내부 반란을 진압하는 데 연합군보다 훨씬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했다.
아랍 반란의 주요 지도자는 메카의 샤리프이자 헤자즈 왕국의 왕이었던 후세인 빈 알리였다. 그는 자치권 확보와 오스만 제국의 통치 종식을 목표로 반란을 이끌었다.
독일은 전쟁 발발 직전에 동방 정보국을 설립했다. 이 기관은 영국령 인도 제국, 페르시아, 이집트에서 파괴 활동과 민족주의 선동을 지원했다. 페르시아에서의 작전은 페르시아 만에서 영국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아라비아의 로렌스" 또는 "페르시아의 바스무스"로 알려진 독일 외교관 빌헬름 바스무스가 이끌었다.[24]
11. 손실
연합군의 군사적 손실은 사망, 부상, 포로, 실종자를 포함하여 100만 명에서 150만 명 사이로 추산된다.[79][80][81] 영국군 사상자 대부분은 전투 외 사상자였으며, 오스만 제국이 영국군에게 입힌 전투 사상자는 필드 마셜 로드 카버에 의해 26만 4천 명으로 추산되었다.[82]
오스만 제국군 사상자 추산은 매우 다양하다. 오스만 제국의 관료제와 정부 붕괴로 인해 156만 5천 명의 병력에 대한 기록이 전쟁 후 사라졌기 때문이다.[83] 1922년 발표된 오스만 제국의 공식 사상자 통계는 사망자 32만 5천 명, 부상자 40만 명, 미상 포로 수였다.[84] 미국의 역사학자 에드워드 J. 에릭슨은 오스만 제국 기록 보관소에 있는 미발표 제1차 세계 대전 개별 전역사에 근거하여 오스만 제국군 사상자를 1,680,701명으로 추산했다. 이는 사망/실종 77만 1,844명(전사 17만 5,220명, 부상으로 인한 사망 6만 8,378명, 전투 중 실종 6만 1,487명, 질병으로 인한 사망 46만 6,759명), 부상자 69만 5,375명(부상으로 인해 사망한 자를 포함한 총 부상자 76만 3,753명, 기록에 실제로 기재된 부상자 30만 3,150명, 저자는 이들이 중상자일 뿐이라고 가정하고 나머지를 추산함), 포로 14만 5,104명이다. 전투 사망자에 대한 질병 사망자의 매우 높은 비율은 오스만 제국의 의료 서비스 붕괴로 인한 것이었다. 영국군에서는 후송 후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이 오스만 제국군에서는 종종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85] 제1차 세계 대전 중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351만 5,471명의 오스만 제국 군인이 질병에 걸렸다.[86]
이 전선에서 질병의 중요성은 영국군의 질병/부상(동상, 참호 발 등)으로 인한 입원 수를 서부 전선과 비교하면 잘 알 수 있다. 전투 사상자 1명당 전투 외 사상자 비율은 서부전선에서는 1.3명, 메소포타미아와 시나이-팔레스타인에서는 약 10명이었다. 메소포타미아와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의 전투 사상자는 서부 전선의 5%에 불과했지만, 질병 사망자는 70% 이상을 차지했다.[87]
민간인을 포함한 오스만 제국의 총 손실은 인구의 거의 25%에 달하는 약 500만 명의 사망자로 기록되었다.[88] 터키의 카메르 카심 교수는 누적 비율이 실제로 인구의 26.9%이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모든 국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이라고 밝혔다.[90]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1,314문의 야포(대부분 87mm~122mm급)를 노획했다. 이 중 대부분은 러시아제였지만, 루마니아, 독일, 일본산도 포함되어 있었다. 노획한 대포는 전쟁 말기 오스만 제국의 야포 전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91]
12. 연표
날짜 | 사건 |
---|---|
1914년 10월 29일 | 오데사 포격: 오스만 제국 해군이 러시아 제국 흑해 항구 오데사를 포격하면서 연합군과 최초로 무력 충돌. |
1914년 11월 1일 | 베르크만 공세: 코카서스 전역의 첫 번째 무장 충돌. 러시아군이 국경을 넘어 도우베야즈이트와 쾨프뤼쾨이 점령 시도. |
1914년 11월 2일 | 오데사 포격 이후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 |
1914년 11월 3일 | 영국 해군이 다르다넬스 해협 공격. |
1914년 11월 5일 | 영국과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55] |
1914년 11월 6일 | 영국 해군이 파오의 옛 요새를 폭격. 영국 인도 원정군 D(IEF D)의 파오 상륙작전 개시. |
1914년 11월 7일 | 오스만 제국 제3군이 코카서스 공세 시작. |
1914년 11월 11일 | 오스만 제국의 지하드 선언 작성.[56] |
1914년 11월 14일 | 오스만 제국의 지하드 선언 공표.[56] |
1914년 11월 22일 | 영국군이 바스라 점령. |
1914년 12월 14일 | 반憲兵대대가 페르시아 원정에서 카투르 시 점령. |
1914년 12월 29일 | 오스만 제3군이 카르스로 진격 명령을 받음. 사리카미슈 전투 시작. |
1915년 1월 2일 | 슐레이만 아스케리 베이가 이라크 지역 사령관직을 맡음. |
1915년 1월 3일 | 쿠르나 전투: 오스만군이 바스라 시 탈환 시도. |
1915년 1월 6일 | 사리카미슈 전투에서 오스만 제3군이 전면 후퇴 명령을 받음. |
1915년 2월 19일 | 영국 전함 HMS 퀸 엘리자베스(1913년 진수)를 포함한 영불 연합 함대가 다르다넬스 해협 연안의 포병 진지를 폭격. |
1915년 2월 | 알렉산드르 자카레비치 미쉴라예프스키 대신 유데니치 장군이 러시아 카프카스군 사령관으로 승진. |
1915년 3월 18일 |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첫 번째 대규모 해군 공격 시작. 프랑스 전함 침몰. |
1915년 4월 12일 | 샤이바 전투: 슐레이만 아스케리가 이끄는 오스만군이 샤이바에 있는 영국군 진영 공격. |
1915년 4월 20일 | 반 포위 공격 시작. |
1915년 4월 24일 | 탈라트 파샤가 4월 24일 명령 발표. |
1915년 4월 25일 | 연합군이 다르다넬스 해협의 유럽 쪽인 갈리폴리 반도에 상륙 작전 시작. |
1915년 5월 6일 | 유데니치 장군이 오스만 영토로 공세 시작. |
1915년 5월 11일 | 만지케르트 함락. |
1915년 5월 21일 | 유데니치 장군이 반 시와 성채의 열쇠를 받고, 아람 마누키안을 주지사로 임명하여 아르메니아 임시 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21] |
1915년 5월 27일 | 러시아군의 공세가 정점에 달했을 때, 오스만 의회가 테치르 법 통과. |
1915년 6월 19일 | 러시아군이 반 호수 북서쪽에서 공세 개시. 만지케르트 전투 발발. |
1915년 9월 24일 | 유데니치 장군이 이 지역 모든 러시아군의 최고 사령관이 됨. |
1915년 11월 22일 | 크테시폰 전투 발발. |
1915년 12월 7일 | 쿠트 포위전 시작. |
1916년 1월 6일 | 코프루쾨이 전투 발발. |
1916년 2월 | 에르주룸 함락. |
1916년 4월 | 트라브존 함락. |
1916년 4월 29일 | 쿠트 포위전에서 타운젠드가 그의 모든 부대를 항복.[64] |
1916년 | 메카의 셰리프 후세인 빈 알리가 반란을 일으킴. |
1916년 7월 | 에르진잔 전투: 오스만 제국 제3군은 더 이상 공세를 펼칠 능력이 없었고 러시아군의 진격을 막을 수도 없었다. |
1917년 3월 | 영국 제국군이 바그다드 함락. |
1917년 12월 16일 | 에르진잔 휴전 협정 체결로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간의 적대 행위 공식 종식. |
1917년 말 | 에드먼드 앨런비의 이집트 원정군이 오스만군의 방어선을 무너뜨리고 가자를 점령한 다음 크리스마스 직전에 예루살렘 점령. |
1918년 3월 3일 | 탈라트 파샤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서명. |
1918년 3월 16일 | 심코 시카크가 차라 요새를 공격. |
1918년 5월 초 | 오스만 군대가 제1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선포한 동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의회의 아르메니아 군단과 맞섬. |
1918년 5월 | 사르다라파트 전투, 카라 킬리세 전투 (1918), 바쉬 아바란 전투 발발.[72] |
1918년 6월 | 바투미 조약 체결. |
1918년 여름 | 안드라닉 오자니안의 지휘하에 나고르노-카라바흐 산악 지방의 아르메니아인들이 오스만 제국 제3군에 저항하여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 수립.[72] |
1918년 9월 14일 | 바쿠 전투: 이슬람 군대가 바쿠에서 1,000명의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군을 몰아냄.[73] |
1918년 9월 | 앨런비 장군이 메기도 전투 (1918)를 시작하여 오스만 군대를 전면 후퇴로 몰아넣음.[74][75] |
1918년 10월 30일 | 무드로스 휴전 협정 체결. |
1918년 11월 13일 | 콘스탄티노플 점령 (현재의 이스탄불). |
13. 참고 문헌
- David R. Woodward영어, ''Hell in the Holy Land: World War I in the Middle East'' (University Press of Kentucky영어, 2013년 12월 6일)
- William Edward David Allen영어, Paul Muratoff영어, ''Caucasian Battlefields, A History of Wars on the Turco-Caucasian Border, 1828–1921'' (Cambridge University Press영어, 2011년 2월 17일)
- https://web.archive.org/web/20061205225953/http://www.lib.byu.edu/~rdh/wwi/1914m/anglruss.html 영러 협상: 페르시아에 관한 협정 (1907년)
- 프랑스, 영국, 러시아의 http://www.armenian-genocide.org/Affirmation.160/current_category.7/affirmation_detail.html 1915년 5월 24일 아르메니아 상황에 대한 공동 선언
- 사이크스-피코 협정 (1916년 5월 15일 & 16일)
- BBC의 Professor David R Woodward영어가 작성한 http://www.bbc.co.uk/history/war/wwone/middle_east_01.shtml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중동
- https://web.archive.org/web/20090710052648/http://www.tech2classroom.com/Edw11/africa.html 중동 전선의 빈티지 및 현대 지도
- http://www.turkeyswar.com 제1차 세계 대전 속 터키 웹사이트
- 프란체스코 퐁길루피 (2015). ''에너지 문제: 오스만 제국의 몰락의 주요 요인''. "제1차 세계 대전: 분석과 해석" (비아지니와 모타 편), 2권, 뉴캐슬: 캠브리지 스콜라스 출판사, 453–464쪽.
- 데이비드 머피 (2008) ''아랍 반란 1916~18: 로렌스가 아라비아에 불을 지피다''. 오스프리: 런던.
- B.J. 슬롯 (2005) ''무바라크 알 사바: 현대 쿠웨이트의 창립자 1896–1915''. Arabian Publishing영어: 런던
참조
[1]
웹사이트
Atatürk’ü Ölmekten Kurtaran Saate Ne Oldu?
https://www.konyalis[...]
2024-10-25
[2]
웹아카이브
Austro-Hungarian Army in the Ottoman Empire 1914–1918
http://www.sacktrick[...]
2008-06-18
[3]
서적
Austro-Hungarian Forces in World War I
Osprey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Turkey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Taylor & Francis
[6]
문서
Murphy
[7]
서적
Mecca-Medina: the Yıldız albums of Sultan Abdülhamid II
Tughra Books
[8]
웹사이트
The French gave us 20,000 Lebel rifles, whilst several French officers, together with the few Russian officers who had remained behind, set about organisms our Assyrian army, the numbers of which had grown to more than 20,000
http://www.aina.org/[...]
[9]
서적
The Economics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Enzyklopädie Erster Weltkrieg
https://books.google[...]
UTB
[11]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Late Ottoman Empire
[12]
웹사이트
MK/QİO ilə işğalçı qoşunların say tərkibi, silah və hərbi texnikasına BAXIŞ (FOTOLAR) - I Yazı
https://ordu.az/az/n[...]
[13]
서적
The Making of Saudi Arabia, 1916–1936: From Chieftaincy to Monarchical St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Ordered to Die: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15]
서적
[16]
문서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The War Office
[17]
서적
The Emergence of Kurdish Nationalism and the Sheikh Said Rebellion, 1880-192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8]
서적
From Culture to Ethnicity to Conflict: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on International Ethnic Conflic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
서적
Shall This Nation Die?
[20]
웹아카이브
The Treaty of Alliance Between Germany and Turkey
http://www.yale.edu/[...]
2001-11-16
[21]
서적
Marshall Cavendish Illustrated Encyclopedia
[22]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23]
서적
Intelligence and Imperial Defence: British Intelligence and the Defence of the Indian Empire, 1904–1924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4]
서적
Intelligence and Imperial Defence: British Intelligence and the Defence of the Indian Empire 1904–1924
https://web.archive.[...]
Routledge
2009-04-04
[25]
서적
Modern England: 1885–1945
[26]
서적
Armenia on the Road to Independence, 1918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Massacres, Resistance, Protectors: Muslim-Christian Relations in Eastern Anatolia During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8]
서적
Shall This Nation Die?
https://books.google[...]
[29]
서적
Our Smallest Ally; Wigram, W[illiam] A[inger]; A Brief Account of the Assyrian Nation in the Great War. Introd. by General H.H. Austin
https://books.google[...]
Soc.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30]
서적
Minorities in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struggle and self-express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31]
서적
A Modern History of the Kurds
I.B. Tauris
[32]
학술지
The Ideological And Historical Roots Of Kurdist Movements In Turkey: Ethnicity Demography, Politics
http://www.turkishwe[...]
2004
[33]
웹사이트
Britain's Policy Towards The Kurdish Question, 1915-1923
http://etheses.lse.a[...]
[34]
서적
Social Relations in Ottoman Diyarbekir, 1870-1915
Brill
[35]
문서
The Margins of the Empire
[36]
서적
Social Relations in Ottoman Diyarbekir, 1870-1975
[37]
서적
The Young Turks: Prelude to the Revolution of 1908
Khayats
[38]
서적
The Margins of Empire: Kurdish Militias in the Ottoman Tribal Zone
Stan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Armenian Genocide: A Complete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40]
서적
Days of Tragedy in Armenia: Personal Experiences in Harpoot
[41]
서적
(Title unknown)
[42]
서적
(Title unknown)
[43]
서적
(Title unknown)
[44]
서적
(Title unknown)
[45]
서적
(Title unknown)
[46]
서적
(Title unknown)
[47]
뉴스
Armenians Join Russians
The Washington Post
1914-11-12
[48]
서적
Merchants in Exile: The Armenians of Manchester, England, 1835–1935
[49]
서적
The Lions of Marash: personal experiences with American Near East Relief, 1919–1922
[50]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Company ltd.
[51]
서적
Armenia and the War
[52]
서적
(Title unknown)
[53]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54]
서적
(Title unknown)
[5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56]
학술지
'Holy War Made in Germany'? Ottoman Origins of the 1914 Jihad
http://www.jstor.org[...]
[57]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Great War
[58]
서적
(Title unknown)
[59]
서적
(Title unknown)
[60]
서적
(Title unknown)
[61]
서적
(Title unknown)
[62]
서적
(Title unknown)
[63]
서적
(Title unknown)
[64]
잡지
The British Empire
Time-Life Books
[65]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ABC-CLIO
[66]
서적
Lawrence of Arabia's War: The Arabs, the British and the Remaking of the
Yale University Press
[67]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68]
서적
Assyrians and Two World Wars: Assyrians from 1914 to 1945
https://books.google[...]
[69]
웹사이트
Shall This Nation Die?
http://www.aina.org/[...]
2022-07-03
[70]
서적
Shall this Nation Die?
https://books.google[...]
Chaldean rescue
[71]
웹사이트
آغا بطرس: سنحاريب القرن العشرين
http://www.a-olaf.co[...]
[72]
서적
Gha-Ra-Bagh: The emergence of the national democratic movement in Armenia
[7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ABC-CLIO
[74]
서적
The Jewish Legion during the First World War
Springer
[75]
서적
The Middle East in Modern World History
Routledge
[76]
문서
Mustafa Kemal Pasha's speech on his arrival in Ankara in November 1919
[77]
서적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International Law for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2-01-01
[78]
서적
Reclaiming a Plundered Past: archaeology and nation building in modern Iraq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5-12-20
[79]
서적
unspecified
[80]
서적
The Great War: A Combat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81]
서적
World War 1: The Definitive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ABC-CLIO
2014-10-28
[82]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Routledge
[83]
서적
Ottoman mobilization of manpower in the First World War
Brill
[84]
간행물
Military Casualties-World War-Estimated
Statistics Branch, GS, War Department
1924-02-25
[85]
서적
Ordered to Die: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86]
서적
[87]
서적
Medical Services: Casualties and Medical Statistics of the Great War
[88]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One Hundred Years of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90]
간행물
Ermeni Arastirmalari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웹사이트
Austro-Hungarian Army in the Ottoman Empire 1914–1918
http://www.sacktrick[...]
[96]
서적
Austro-Hungarian Forces in World War I
Osprey
[9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Turkey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8]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Taylor & Francis
[99]
서적
The Economics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서적
Enzyklopädie Erster Weltkrieg
https://books.google[...]
UTB
[101]
서적
The Making of Saudi Arabia, 1916–1936: From Chieftaincy to Monarchical St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2]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Late Ottoman Empire
[103]
서적
Ordered to Die: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4]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One Hundred Years of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5]
문서
オスマン軍の損害のうち2千8百は脱走者。これには2人のアルメニア人士官を含んでいる。
[106]
문서
카프카스 총독부 (1801–1917)와 일라리온 이바노비치 보론초프-다슈코프
[107]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108]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109]
서적
제목 없음
[110]
서적
제목 없음
[111]
문서
전격군 집단
[112]
문서
베엘세바 점령전
[113]
서적
제목 없음
[114]
서적
제목 없음
[115]
서적
제목 없음
[1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Turkey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7]
서적
Ottoman Arm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 a comparative study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118]
서적
The Economics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9]
서적
Enzyklopädie Erster Weltkrieg
https://books.google[...]
UTB
[120]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Late Ottoman Empire
[121]
서적
제목 없음
[122]
서적
The Making of Saudi Arabia, 1916–1936: From Chieftaincy to Monarchical St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