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RDF)는 메타데이터의 일관된 인코딩, 교환, 생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모델로, 정보 자원, 속성 유형, 속성 값으로 구성된다. RDF는 트리플(subject, predicate, object) 구조를 통해 리소스 간의 관계를 표현하며, XML, Turtle, JSON-LD 등 다양한 구문을 사용한다. RDF 스키마는 어휘를 정의하고, SPARQL을 통해 질의하며, SHACL을 활용하여 유효성을 검사한다. 더블린 코어, DBpedia, 위키데이터 등에서 활용되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정보 구조화와 다른 데이터 소스와의 연계를 위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 - 웹 온톨로지 언어
    웹 온톨로지 언어(OWL)는 시맨틱 웹 구축을 위한 지식 표현 언어로, W3C 웹 표준이며, 온톨로지 명시적 표현을 통해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술 논리에 기반하여 표현력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제공한다.
  •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 - 데이터 카탈로그 어휘
  • 모델링 언어 - 차트
    차트는 통계 데이터를 점, 선, 도형 등으로 묘사하여 데이터의 규칙성, 경향 등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분석 방향을 제시하는 도표이며, 히스토그램, 막대그래프, 원그래프, 선 그래프 등이 흔히 사용된다.
  • 모델링 언어 - 순서도
    순서도는 컴퓨터 알고리즘이나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흐름 공정 차트에서 기원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종류와 소프트웨어 도구가 존재한다.
  • XML - 오피스 오픈 XML
    오피스 오픈 XML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XML 기반의 파일 포맷으로,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등의 사무용 전자 문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부터 기본 파일 형식으로 채택되어 ECMA 인터내셔널 및 ISO/IEC 국제 표준으로도 표준화되었다.
  • XML - XSLT
    XSLT는 XML 문서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언어로서, 함수형 프로그래밍 및 패턴 매칭 언어의 영향을 받아 W3C 표준으로 발전해 왔으며 XPath를 사용하여 XML 문서의 특정 부분을 선택 및 조작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

2. RDF 데이터 모형

RDF 데이터 모형은 메타데이터의 일관적인 인코딩, 교환 및 생성을 지원하기 위한 표현 모형이다. 여러 유형의 메타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의미(semantics)를 정의하여 구조적인 상호 호환성을 제공한다.[1] RDF 데이터 모형은 정보 자원(Resource), 속성 유형(Property Type), 속성값(Value)으로 구성된다.


  • 정보 자원(Resource): URI로 식별 가능한 모든 객체를 의미하며, 형태에 관계없이 하나의 정보 자원은 여러 개의 속성 유형과 속성값을 가질 수 있다.
  • 속성 유형(Property Type): '저자', '서명' 등과 같이 자원의 속성을 적절한 이름으로 표현한 것이다.
  • 속성값(Value): 속성 유형에 상응하는 값으로, 문자열이나 숫자 등과 같은 자연어로 상세하게 기술될 수도 있으며, 속성값 자체가 하나의 정보 자원이 되어 고유의 속성(Property)을 가질 수 있다.

속성(Property)은 정보 자원, 속성 유형, 속성값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속성 자체가 다른 속성의 값이 되기도 하며, 또는 그 자신이 또 다른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동일한 정보 자원을 참조하고 있는 속성들의 집합을 기술(Description)이라고 한다.

RDF 데이터 모델[1]개체-관계 모델이나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전적인 개념 모델링 방식과 유사하다. 주어술어객체 형태의 표현으로, 자원(특히 웹 자원)에 대한 명제를 만드는 아이디어에 기반하며, 이를 ''트리플''이라고 한다.

  • 주어(Subject): 자원을 나타낸다.
  • 술어(Predicate): 자원의 특성 또는 측면을 나타내며, 주어와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한다.
  • 객체(Object): 주어와 술어에 의해 연결되는 값이다.


예를 들어, "하늘은 파란색이다"라는 개념을 RDF로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은 "하늘"을 나타내는 주어, "색상을 가지다"를 나타내는 술어, "파란색"을 나타내는 객체와 같은 트리플이다.

RDF는 객체 지향 설계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인 개체(하늘), 속성(색상), 값(파란색)과 대조적으로 객체 대신 주어를 사용한다.

RDF는 여러 직렬화 형식을 가진 추상 모델이며, 본질적으로 특수한 파일 형식이다. 자원 또는 트리플에 대한 특정 인코딩은 형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자원을 설명하는 이 메커니즘은 W3C의 시맨틱 웹 활동의 주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이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의 진화적 단계로, 자동화된 소프트웨어가 웹 전체에 분산된 기계 판독 정보를 저장, 교환 및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더 효율적이고 확실성 있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RDF의 단순한 데이터 모델과 다양한 추상적 개념을 모델링하는 능력은 시맨틱 웹 활동과 관련 없는 지식 관리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점점 더 많이 사용되게 한다.

RDF 명제의 집합은 본질적으로 라벨링된, 방향 멀티그래프를 나타낸다. 이는 RDF 데이터 모델이 다른 관계형 모델 또는 온톨로지 모델보다 특정 종류의 지식 표현에 더 적합하게 만든다.

RDFS, OWL 및 SHACL이 보여주는 것처럼, RDF 위에 추가적인 온톨로지 언어를 구축할 수 있다.

3. RDF 구조

RDF는 주어(subject), 술어(predicate), 목적어(object)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트리플(triple)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여 리소스 간의 관계를 표현한다.

트리플은 그래프 이론의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리소스 노드는 원으로, 텍스트 노드는 사각형으로 나타내며, 트리플의 관계는 이들 노드를 술어(관계)를 가중치로 하는 간선(edge)으로 연결하여 표현한다.[64][65][66][67]

RDF는 트리플에 기반한 추상 구문을 정의하며, 구체적인 표현 형식으로는 XML을 이용한 RDF/XML이 있다. 또한, 트리플을 간편하게 나타내는 방법으로 N-Triples, Notation3, Turtle 등이 사용된다.


  • N-Triples: 한 줄에 하나의 트리플을 주어, 술어, 목적어 순서로 나열하고 공백으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 Notation3: N-Triples를 확장한 형식으로, XML과 같이 접두사와 로컬 이름을 함께 사용하는 표기법을 사용하며, 실험적으로 추론 규칙 등도 표현할 수 있다.
  • Turtle: N-Triples에 Notation3의 편리한 형식을 도입한 형식이다.


RDF 문장에서 주어는 통합 자원 식별자(URI) 또는 빈 노드(blank node)로 표현되며, 이 둘은 모두 웹 리소스를 나타낸다.[1] 빈 노드는 익명 리소스를 나타내며, RDF 문장에서 직접 식별할 수는 없다. 술어는 URI로 표현되며, 주어와 목적어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1] 목적어는 URI, 빈 노드, 또는 유니코드 문자열 리터럴 중 하나로 표현된다.[1]

RDF 1.1부터는 리소스 식별에 국제화된 자원 식별자(IRI)가 사용된다. IRI는 URI를 일반화한 것이다.[33]

시맨틱 웹 애플리케이션, RSS (파일 형식), FOAF (소프트웨어) 등에서는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해 월드 와이드 웹에서 실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URI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RDF는 인터넷 기반 리소스 설명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리소스 URI가 반드시 참조 가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http:"로 시작하는 URI가 RDF 문장의 주어로 사용될 때, HTTP를 통해 접근 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낼 필요도 없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접근 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낼 필요도 없다. 이러한 URI는 어떤 것이든 나타낼 수 있다. 다만, HTTP GET 요청 시 300 레벨 코딩 응답을 반환하는 베어 URI(# 기호 없음)는 접근 가능한 인터넷 리소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광범위한 합의가 존재한다.

따라서 RDF 문장 생성자와 소비자는 리소스 식별자의 의미에 대해 합의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등 널리 사용되는 제어 어휘를 통해 리소스 식별자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경우가 많다. RDF 기반 온톨로지를 웹에 게시하는 목적은 RDF 데이터 표현에 사용되는 리소스 식별자의 의미를 설정하거나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3. 1. 트리플(Triple)

RDF 메타데이터 모델에서 '''트리플'''(triple)은 주어(subject), 술어(predicate), 목적어(object)의 3가지 요소로 리소스에 관한 관계 정보를 표현한다.[1] 주어는 기술 대상인 리소스이다. 술어는 주어의 특징이나 주어와 목적어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목적어는 주어와 관계가 있는 물건이나 술어의 값이다.

예를 들어, "하늘은 파란색이다"라는 개념을 RDF로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은 "하늘"을 주어, "색상을 가지다"를 술어, "파란색"을 객체로 하는 트리플이다.[1]

트리플은 그래프 이론에서의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리소스의 노드는 원으로, 텍스트의 노드는 사각형으로 나타내며, 트리플의 관계는 이들 노드를 술어를 가중치로 한 에지로 연결하여 표현한다.[64][65][66][67]

RDF는 이 트리플에 기반한 추상 구문을 정의하며, 구체 구문으로는 XML을 이용한 RDF/XML이 있다. 또한, 트리플을 나타내는 간이 표기 방법으로 N-Triples, Notation3, Turtle 등이 있다.

  • N-Triples: 1행마다 1개의 트리플을 주어·술어·목적어 순으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 Notation3: N-Triples를 확장하여, XML과 같은 접두사+로컬명에 기반한 표기나, 실험적으로 추론 규칙 등도 가능하게 한 형식이다.
  • Turtle: N-Triples에 Notation3의 편리한 서식을 도입한 형식이다.

3. 2. 리소스 식별 (Resource Identification)

RDF 문장에서 주어는 통합 자원 식별자(URI) 또는 빈 노드로 표현되며, 이 둘은 모두 웹 리소스를 나타낸다.[1] 빈 노드로 표시된 리소스는 익명 리소스라고 불리며, RDF 문장에서 직접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술어는 URI로 표현되며, 관계를 나타내는 리소스이다.[1] 객체는 URI, 빈 노드, 또는 유니코드 문자열 리터럴 중 하나이다.[1]

RDF 1.1부터는 리소스 식별에 국제화된 자원 식별자(IRI)가 사용된다. IRI는 URI를 일반화한 것이다.[33]

시맨틱 웹 애플리케이션, RSS (파일 형식), FOAF (소프트웨어) 등에서는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해 월드 와이드 웹에서 실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URI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RDF는 인터넷 기반 리소스 설명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리소스 URI가 반드시 참조 가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http:"로 시작하는 URI가 RDF 문장의 주어로 사용될 때, HTTP를 통해 접근 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낼 필요도 없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접근 가능한 리소스를 나타낼 필요도 없다. 이러한 URI는 어떤 것이든 나타낼 수 있다. 다만, HTTP GET 요청 시 300 레벨 코딩 응답을 반환하는 베어 URI(# 기호 없음)는 접근 가능한 인터넷 리소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광범위한 합의가 존재한다.

따라서 RDF 문장 생성자와 소비자는 리소스 식별자의 의미에 대해 합의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등 널리 사용되는 제어 어휘를 통해 리소스 식별자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경우가 많다. RDF 기반 온톨로지를 웹에 게시하는 목적은 RDF 데이터 표현에 사용되는 리소스 식별자의 의미를 설정하거나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4. RDF 구문

RDF 데이터 모형은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사용하기 위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실제로 메타데이터를 교환하고 작성하려면 구체적인 구문(syntax)이 필요하다. RDF는 상호호환성, 확장성, 검증, 가독성(인간 및 기계 모두), 웹 상에서의 운용 가능성, 복잡한 문서의 논리적 구조 표현 등의 장점을 가진 XML을 주로 사용한다. 다만, RDF는 XML 문서유형정의부(DTD)를 정의하지 않는 유연한 구조를 취한다.

RDF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여러 표현 간의 불명확성을 해소하기 위해 XML의 Namespace 기법을 사용한다. 즉, RDF 기술 내에서 사용되는 어휘들에 대한 정의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URI로 선언하여, 새롭게 작성된 메타데이터 어휘를 기계가 해독할 수 있도록 한다. Namespace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선언된다.

```xml



```

RDF 구문은 나열형 구문(Serialization Syntax)과 축소형 구문(Abbreviated Syntax)으로 표현할 수 있다. 축소형 구문은 HTML 문서 내에 RDF 메타데이터를 포함시킬 때 사용된다.

다음은 W3C 웹사이트[45]에서 가져온 예시로, "http://www.w3.org/People/EM/contact#me"로 식별되는 리소스에 대한 설명이다. 이 리소스는 이름이 에릭 밀러(Eric Miller)이고, 이메일 주소는 e.miller123(at)example (보안상의 이유로 변경됨)이며, 직함은 박사(Dr.)이다.

이 예시에서 "http://www.w3.org/People/EM/contact#me" 리소스는 주어(subject)이다. 객체(object)는 "에릭 밀러"(이름), mailto:e.miller123(at)example (이메일 주소), "박사"(직함)이다. 주어와 술어(predicate)는 모두 URI로 표현된다. "이름"은 `http://www.w3.org/2000/10/swap/pim/contact#fullName`, "이메일 주소"는 `http://www.w3.org/2000/10/swap/pim/contact#mailbox`, "직함"은 `http://www.w3.org/2000/10/swap/pim/contact#personalTitle` URI를 가진다. 주어는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type` URI를 통해 `http://www.w3.org/2000/10/swap/pim/contact#Person`(사람) 유형임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표현할 수 있는 RDF 삼중항(triple)은 다음과 같다.


  • `
  • `
  • `
  • `


이 RDF 삼중항은 N-Triples, Turtle, RDF/XML 등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 리소스(위키백과 토니 벤 문서)의 제목이 "토니 벤"이고 게시자가 "위키백과"라는 것을 RDF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N-Triples 형식)

```turtle

"Tony Benn" .

"Wikipedia" .

```

이는 "위키백과에서 게시한 이 리소스의 제목은 '토니 벤'입니다."라는 문장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게 공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RDF는 소프트웨어가 리소스 (컴퓨터 과학)를 설명하고, 의미론적으로 인코딩하여 정보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RDF 리소스(주어, 술어)는 고유해야 한다. 주어는 설명되는 리소스를 정확히 지칭해야 하며, 술어는 제목, 게시자 같은 개념이 모호해지지 않도록 고유한 정의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http://purl.org/dc/elements/1.1/title`을 인식하면, 이것이 토지 소유권, 명예 칭호 등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Turtle로 작성된 예시로, 여러 RDF 어휘를 결합하여 위키백과 페이지의 주요 주제가 "토니 벤"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낸다.

```turtle

@prefix rdf: .

@prefix foaf: .

@prefix dc: .



dc:publisher "Wikipedia" ;

dc:title "Tony Benn" ;

foaf:primaryTopic [

a foaf:Person ;

foaf:name "Tony Benn"

] .

4. 1. 직렬화 형식 (Serialization Formats)

RDF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직렬화 형식이 존재한다. 주요 형식들은 다음과 같다:[24][25][26][27][28][29][30][31]

  • '''터틀''': 간결하고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이다.
  • '''TriG''': 데이터 세트로의 터틀 확장이다.
  • '''N-트리플''': 매우 간단하고 파싱하기 쉬운, 줄 기반 형식으로 터틀만큼 간결하지는 않다.
  • '''N-쿼드''': 여러 RDF 그래프를 직렬화하기 위한 N-트리플의 상위 집합이다.
  • '''JSON-LD''': JSON 기반 직렬화이다.
  • '''N3''' 또는 표기법3: 터틀과 매우 유사하지만 추론 규칙을 정의하는 기능과 같은 몇 가지 추가 기능을 가진 비표준 직렬화이다.
  • '''RDF/XML''': RDF를 직렬화하기 위한 최초의 표준 형식이었던 XML 기반 구문이다.
  • '''RDF/JSON''': 간단한 JSON 표기법을 사용하여 RDF 삼중항을 표현하는 대안적 구문이다.


RDF/XML은 W3C의 다른 사양과 함께 도입되었고 역사적으로 최초의 W3C 표준 RDF 직렬화 형식이었기 때문에 단순히 RDF라고 오해받기도 한다. 그러나 RDF/XML 형식과 추상 RDF 모델 자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RDF/XML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RDF 그래프가 XML QName 구문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RDF/XML로 표현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RDF 직렬화 방식이 더 인간 친화적[32]이라는 이유로 많은 RDF 사용자들이 선호한다.

RDF 직렬화 형식
이름확장자MIME 타입표준비고
터틀.ttltext/turtle[21][http://www.w3.org/TR/turtle/ RDF 1.1 Turtle: Terse RDF Triple Language]간결하고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
TriG.trigapplication/trig[22][http://www.w3.org/TR/trig/ RDF 1.1 TriG: RDF Dataset Language]데이터 세트로의 터틀 확장
RDF/XML.rdfapplication/rdf+xml[23][http://www.w3.org/TR/2004/REC-rdf-concepts-20040210/ Concepts and Abstract Syntax]XML 기반 구문, 최초의 표준 형식
N-트리플.nttext/plain매우 간단하고 파싱하기 쉬운 줄 기반 형식
N-쿼드.nqapplication/n-quads여러 RDF 그래프 직렬화를 위한 N-트리플 상위 집합
JSON-LD.jsonldapplication/ld+json[https://www.w3.org/TR/json-ld/ JSON-LD 1.1: A JSON-based Serialization for RDF]JSON 기반 직렬화
표기법3.n3text/n3터틀과 유사, 추론 규칙 정의 등 추가 기능 (비표준)
RDF/JSON.jsonapplication/rdf+jsonJSON 표기법을 사용한 RDF 삼중항 표현


5. RDF 스키마

RDF 스키마는 특정 메타데이터에서 정의하고 있는 어휘들을 선언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휘(Vocaburaries)란 자원을 기술하기 위해 각 메타데이터 형식들에서 정의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요소집합인 속성집합을 말한다. 인간이 읽을 수 있고(human-readable) 기계처리가 가능한(machine-processable) 어휘들을 정형화하는 것은 상이한 메타데이터 형식들 간의 어휘 확장과 재사용, 상호교환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며, 이러한 정형화를 위한 것이 바로 RDF 스키마이다. RDF 스키마는 RDF의 데이터 모형과 구문 명세에 의해서 표현된다.[1] 기본적인 RDF 스키마 유형으로는 property, propertyType, instanceOf, subclassof, allowedPropertyType, Range가 있다.

6. RDF 질의 및 추론

RDF 질의 및 추론에는 RDF 그래프에 질의하고 유효성을 검사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RDF 그래프의 주요 질의 언어는 SPARQL이다. SPARQL은 SQL과 유사하며, 2008년 1월 15일 W3C의 권고가 되었다. RDF 그래프 질의를 위한 다른 비표준 방법으로는 RDQL, Versa, RQL, SeRQL, XUL 등이 있다.

RDF 그래프를 설명하고 유효성을 검사하는 주요 언어는 SHACL(셰이프 제약 언어)이다.[41] SHACL 명세는 SHACL 코어와 SHACL-SPARQL로 나뉜다. SHACL 코어는 카디널리티, 값의 범위 등 내장 제약 조건 목록으로 구성된다. SHACL-SPARQL은 SPARQL 기반 제약 조건과 새로운 제약 조건 구성 요소를 선언하기 위한 확장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RDF 그래프 설명 및 유효성 검사를 위한 다른 비표준 방법으로는 SPARQL 추론 표기법(SPIN), ShEx(셰이프 표현) 등이 있다.

6. 1. 질의 언어 (Query Languages)

RDF 그래프에 대한 주요 질의 언어는 SPARQL이다. SPARQL은 SQL과 유사한 언어이며, 2008년 1월 15일 W3C의 권고이다.

다음은 가상의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아프리카의 국가 수도를 표시하는 SPARQL 쿼리의 예이다.

```sparql

PREFIX ex:

SELECT ?capital ?country

WHERE {

?x ex:cityname ?capital ;

ex:isCapitalOf ?y .

?y ex:countryname ?country ;

ex:isInContinent ex:Africa .

}

```

RDF 그래프를 질의하는 다른 비표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RDQL: SPARQL의 전신, SQL 유사
  • Versa: 간결한 구문 (SQL 유사 아님), 4Suite (파이썬)에만 구현.
  • RQL: RDF 스키마 및 리소스 설명을 균일하게 질의하기 위한 최초의 선언적 언어 중 하나로, RDFSuite에 구현되었다.[39]
  • SeRQL: Sesame의 일부
  • XUL: RDF의 데이터를 일치시키기 위한 규칙을 선언하는 템플릿 요소가 있다. XUL은 데이터 바인딩에 RDF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SHACL 고급 기능 사양[40](W3C 실무 그룹 노트)은 [https://w3c.github.io/shacl/shacl-af/ 최신 버전]으로 SHACL 커뮤니티 그룹에서 유지 관리되며 SHACL 셰이프를 기반으로 RDF의 데이터 변환, 추론 및 매핑에 사용되는 SHACL 규칙에 대한 지원을 정의한다.

6. 2. 검증 및 추론 (Validation and Inference)

RDF 그래프를 설명하고 유효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SHACL(셰이프 제약 언어)이다.[41] SHACL 명세는 SHACL 코어와 SHACL-SPARQL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SHACL 코어는 카디널리티, 값의 범위 등 많은 내장 제약 조건 목록으로 구성된다. SHACL-SPARQL은 SPARQL 기반 제약 조건과 새로운 제약 조건 구성 요소를 선언하기 위한 확장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RDF 그래프를 설명하고 유효성을 검사하는 다른 비표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SPARQL 추론 표기법(SPIN)[42]은 SPARQL 쿼리를 기반으로 했다. SHACL을 선호하여 효과적으로 사용 중단되었다.[43]
  • ShEx(셰이프 표현)[44]은 RDF 유효성 검사 및 설명을 위한 간결한 언어이다.

7. RDF의 활용

더블린 코어 제5차 워크숍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메타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구조로 RDF를 채택했으며, 특히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를 RDF로 구현하여 상호 운용성을 높였다.[1] RDF 데이터 모델은 개체-관계 모델이나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같은 개념 모델링 방식과 유사하며, 주어술어객체 형태의 트리플로 표현된다.

RDF는 시맨틱 웹 활동의 주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로, 웹 상의 자원에 대한 의미 정보를 표현하고 연결하여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웹을 구축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RDF는 다양한 추상적 개념을 모델링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지식 관리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RDF 명제 집합은 라벨링된, 방향 멀티그래프를 나타내므로, RDF 데이터 모델은 특정 종류의 지식 표현에 적합하다. RDFS, OWL, SHACL과 같이 RDF를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 언어를 통해 복잡한 지식 체계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

RDF는 서로 다른 데이터 소스의 정보를 통합하고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Bpedia, YAGO, 위키데이터와 같이 위키백과나 위키미디어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RDF 데이터로 게시하거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처럼 웹 페이지 및 파일에 라이선스 정보를 RDF로 포함할 수 있다. FOAF는 사람, 관심사, 상호 연결을 설명하며, MusicBrainz는 음악 앨범 정보를 게시한다.[50]

RDF는 소셜 네트워킹 연구[55], 비즈니스 분야의 관계 이해, 도로 교통 패턴[56]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SKOS는 어휘/테소러스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SIOC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설명하고 인터넷 기반 토론 간의 연결을 생성한다.[52]

참조

[1]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Model and Syntax Specification http://www.w3.org/TR[...] 1999-01-05
[2] 뉴스 World Wide Web Consortium Publishes Public Draft of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http://www.w3.org/Pr[...] 1997-10-03
[3] 서적 Developing Feeds with RSS and Atom https://archive.org/[...] O’Reilly 2005
[4]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Model and Syntax http://www.w3.org/TR[...] 2015-11-24
[5]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http://www13.w3.org/[...] 2015-11-24
[6] 뉴스 W3C takes first step toward RDF spec http://news.cnet.com[...] 2015-11-28
[7]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Model and Syntax Specification http://www.w3.org/TR[...] 2014-05-05
[8] 간행물 RDF Primer http://www.w3.org/TR[...] W3C 2015-11-21
[9] 간행물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Concepts and Abstract Syntax http://www.w3.org/TR[...] W3C 2015-11-21
[10] 간행물 RDF/XML Syntax Specification (Revised) http://www.w3.org/TR[...] W3C 2015-11-21
[11] 간행물 RDF Semantics http://www.w3.org/TR[...] 2015-11-21
[12] 간행물 RDF Vocabulary Description Language 1.0: RDF Schema: W3C Recommendation 10 February 2004 http://www.w3.org/TR[...] W3C 2015-11-21
[13] 간행물 RDF Test Cases http://www.w3.org/TR[...] W3C 2015-11-21
[14] 간행물 RDF 1.1 Primer http://www.w3.org/TR[...] W3C 2015-11-22
[15] 간행물 RDF 1.1 Concepts and Abstract Syntax http://www.w3.org/TR[...] W3C 2015-11-22
[16] 간행물 RDF 1.1 XML Syntax http://www.w3.org/TR[...] W3C 2015-11-22
[17] 간행물 RDF 1.1 Semantics http://www.w3.org/TR[...] W3C 2015-11-22
[18] 간행물 RDF Schema 1.1 http://www.w3.org/TR[...] W3C 2015-11-22
[19] 간행물 RDF 1.1 Test Cases http://www.w3.org/TR[...] W3C 2015-11-22
[20] 웹사이트 RDF Vocabulary Description Language 1.0: RDF Schema http://www.w3.org/TR[...] W3C 2011-01-05
[21] 웹사이트 RDF 1.1 Turtle: Terse RDF Triple Language http://www.w3.org/TR[...] W3C 2014-02-22
[22] 웹사이트 RDF 1.1 TriG: RDF Dataset Language http://www.w3.org/TR[...] W3C 2022-12-21
[23] 뉴스 application/rdf+xml Media Type Registration http://tools.ietf.or[...] IETF 2011-01-08
[24] 웹사이트 RDF 1.1 Turtle: Terse RDF Triple Language http://www.w3.org/TR[...] W3C 2014-01-09
[25] 웹사이트 RDF 1.1 TriG: RDF Dataset Language http://www.w3.org/TR[...] W3C 2014-02-25
[26] 웹사이트 RDF 1.1 N-Triples: A line-based syntax for an RDF graph http://www.w3.org/TR[...] W3C 2014-01-09
[27] 웹사이트 N-Quads: Extending N-Triples with Context http://sw.deri.org/2[...] 2012-06-25
[28] 웹사이트 RDF 1.1 N-Quads http://www.w3.org/TR[...] W3C 2014-01
[29] 웹사이트 JSON-LD 1.0: A JSON-based Serialization for Linked Data http://www.w3.org/TR[...] W3C
[30] 웹사이트 RDF 1.1 XML Syntax http://www.w3.org/TR[...] W3C 2014-02-25
[31] 웹사이트 RDF 1.1 JSON Alternate Serialization (RDF/JSON) https://www.w3.org/T[...] W3C 2013-11-07
[32] 웹사이트 Problems of the RDF syntax http://milicicvuk.co[...] Vuk Miličić
[33] 웹사이트 RDF 1.1 Concepts and Abstract Syntax https://www.w3.org/T[...] 2014-02-25
[34] 웹사이트 Contexts for Information Modelling in RDF http://www.ninebynin[...]
[35] 웹사이트 RDF Contexts - provenance and partial knowledge http://www.ninebynin[...] 2002-03-13
[36] 웹사이트 The concept of 4Suite RDF scopes http://uche.ogbuji.n[...]
[37] 웹사이트 Redland Notes - Contexts http://librdf.org/no[...] 2004
[38] 웹사이트 Named Graphs / Semantic Web Interest Group http://www.w3.org/20[...]
[39] 웹사이트 The RDF Query Language (RQL) http://139.91.183.30[...] ICS-FORTH 2011-03-29
[40] 웹사이트 SHACL Advanced Features https://www.w3.org/T[...] RDF Data Shapes Working Group 2021-04-06
[41] 문서 SHACL Specification https://www.w3.org/T[...]
[42] 웹사이트 SPIN website https://spinrdf.org/
[43] 웹사이트 Comparison of SHACL with SPIN https://spinrdf.org/[...]
[44] 웹사이트 ShEx Specification http://shex.io/shex-[...]
[45] 웹사이트 RDF Primer http://www.w3.org/TR[...] W3C 2009-03-13
[46] 간행물 DCMI Metadata Term alternative https://www.dublinco[...] Dublincore.org 2022-01-10
[47] 웹사이트 Haystack Group @ MIT CSAIL http://groups.csail.[...]
[48] 웹사이트 IDEAS Group http://www.ideasgrou[...] 2007-08-30
[49] 웹사이트 Connected Services Framework http://www.microsoft[...]
[50] 웹사이트 LinkedBrainz/RDF - MusicBrainz Wiki http://wiki.musicbra[...]
[51] 웹사이트 How knowledge graph technology is helping Cochrane respond to COVID-19 https://datalanguage[...]
[52] 웹사이트 SIOC Project http://sioc-project.[...]
[53] 간행물 Dynamic, Localized Space Based Semantic Webs IADIS Press 2008
[54] 웹사이트 LV2 core specification https://gitlab.com/l[...]
[55] 논문 An RDF Approach for Discovering the Relevant Semantic Associations in a Social Network
[56] 논문 Traffic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Fuzzy Ontology and RDF on the Semantic Web 2008
[57] 웹사이트 資源記述の枠組み(RDF) モデル及び構文規定 http://www.y-adagio.[...] 日本規格協会情報技術標準化研究センター 1999-08
[58] 웹사이트 セマンティックWeb(次世代Web)の紹介 https://s-web.sfc.ke[...] 2002-03
[59]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RDF) Model and Syntax Specification : W3C Recommendation 22 February 1999 https://www.w3.org/T[...] W3C (MIT, INRIA, Keio)
[60]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RDF) Model and Syntax Specification : Newest Version http://www.w3.org/TR[...] W3C (MIT, INRIA, Keio)
[61] 웹사이트 RDF 1.1 is a W3C Recommendation https://www.w3.org/b[...] 2014-02-25
[62] 웹사이트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RDF) Model and Syntax Specification http://www.nmda.or.j[...] W3C (MIT, INRIA, Keio)
[63] 웹사이트 著作権について http://www.nmda.or.j[...] W3C (MIT, INRIA, Keio) 1998-08-11
[64] 웹사이트 Revision: 1.9, N-Triples W3C RDF Core WG Internal Working Draft https://www.w3.org/2[...] 2001-09-06
[65] 웹사이트 Latest version, N-Triples W3C RDF Core WG Internal Working Draft https://www.w3.org/T[...]
[66] 웹사이트 Revision: 1.153, Notation 3 Logic — An early draft of a semi-formal semantics of the N3 logical properties https://www.w3.org/D[...] 2018-05-30
[67] 웹사이트 Turtle - Terse RDF Triple Language https://www.w3.org/T[...] 2011-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