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얀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이얀 왕조는 1236년 무와히드 칼리파국이 멸망한 후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에 의해 틀렘센에 건국된 독립 왕국이다. 베르베르계 부족을 통제하고 주변 마린 왕조, 그라나다 토후국, 카스티야 왕국 등과 외교 관계를 맺으며 세력을 유지했다. 14세기 아부 함무 1세와 아부 타슈핀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마린 왕조의 침략으로 쇠퇴를 겪었다. 15세기에는 영토 확장에 실패하고 여러 국가의 속국으로 전락했으며, 16세기 초 스페인 제국과 알제리의 오스만 제국 간의 세력 다툼 속에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 아프리카의 나라 - 와타스 왕조
와타스 왕조는 13세기 후반 모로코 리프 지역에서 자치권을 누리다 15세기 말 페스 왕국을 건국했지만, 포르투갈의 침략과 사드 왕조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554년 멸망했다. - 틀렘센주 - 틀렘센 함락 (1518년)
1518년 틀렘센 함락은 스페인 제국이 오루츠 레이스의 세력 확장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오루츠를 제거한 사건으로, 이후 하이레딘 파샤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저항하고 오스만 제국이 틀렘센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 16세기 알제리 - 틀렘센 함락 (1518년)
1518년 틀렘센 함락은 스페인 제국이 오루츠 레이스의 세력 확장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오루츠를 제거한 사건으로, 이후 하이레딘 파샤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저항하고 오스만 제국이 틀렘센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이얀 왕조 | |
---|---|
정보 | |
개요 | |
국가 | 알제리 |
민족 | 베르베르인 |
종교 | 이슬람 |
역사 | |
존속 기간 | 1235년 – 1556년 |
이전 | 알모하드 왕조 |
다음 | 오스만 제국 |
2. 역사
자이얀 왕조는 1236년경 무와히드 칼리파국이 멸망한 후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의 주도로 틀렘센 왕국을 건국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4] 야그무라센은 베르베르계 경쟁 부족을 통제하고 이웃 마린 왕조의 위협에 맞서 그라나다 토후국과 카스티야 국왕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맺었다.[4]
아부 함무 1세(재위 1308년~1318년)와 아부 타슈핀 1세(재위 1318년~1337년) 시대에 자이얀 왕조는 마그레브 중부 지역에 대한 통치를 공고히 하며 1차 전성기를 맞았으나, 1337년부터 1359년까지 마린 왕조에게 틀렘센을 점령당하는 시련을 겪었다.[5]
마린 왕조가 틀렘센에서 철수한 이후 1370년까지 재차 침략을 시도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결국 물러났다.[5][6] 이후 아부 함무 2세(재위 1359년~1389년)의 오랜 통치 기간 동안 자이얀 왕조는 세 번째 전성기를 맞이했다.[5]
15세기 들어 자이얀 왕조는 동쪽으로 영토 확장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이후 2세기 동안 이프리키야의 하프스 왕조, 모로코의 마린 왕조, 이베리아의 아라곤 등 여러 국가의 속국을 거쳤다.[7] 16세기 초에는 스페인 제국과 알제의 오스만 섭정국이 틀렘센의 지배권을 놓고 싸웠으며, 1551년 오스만 제국이 틀렘센을 점령하면서 자이얀 왕조는 멸망했다.[7]
2. 1. 건국과 초기 발전
1236년경 무와히드 칼리파국이 멸망하자 자이얀 가문은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의 주도하에 틀렘센 왕국을 건국하고 통치에 나섰다.[4] 야그무라센은 베르베르계 경쟁 부족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면서도 이웃 마린 왕조의 위협에 맞서 그라나다 토후국과 카스티야 국왕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맺었다.[4]2. 2. 1차 전성기와 마린 왕조의 침입
무와히드 칼리파국이 멸망한 후,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의 주도로 틀렘센 왕국을 세우며 자이얀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4]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은 베르베르계 경쟁 부족을 견제하고 이웃 마린 왕조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그라나다 토후국, 카스티야 국왕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맺었다.[4]1299년부터 8년간 이어진 마린 왕조의 틀렘센 공성전이 끝난 직후, 아부 함무 1세 (재위: 1308년~1318년)와 아부 타슈핀 1세 (재위: 1318년~1337년) 시대에 자이얀 왕조는 마그레브 중부 지역에 대한 통치를 공고히 하며 1차 전성기를 맞았다.[5] 그러나 이 전성기는 오래가지 못했고, 1337년부터 1359년까지 마린 왕조에게 다시 틀렘센을 점령당하는 시련을 겪었다.[5]
2. 3. 아부 함무 2세 시대의 중흥
마린 왕조가 틀렘센에서 철수한 이후 1370년까지 재차 침략을 시도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결국 물러났다.[5][6] 이후 아부 함무 2세(재위: 1359년~1389년)의 오랜 통치 기간 동안 자이얀 왕조는 세 번째 전성기를 맞이했다.[5]2. 4. 쇠퇴와 멸망
15세기 들어서 자이얀 왕조는 동쪽으로 영토 확장을 시도했으나 대참사로 끝났다. 침공의 결과 국력이 크게 약화된 자이얀 왕조는 이후 2세기 동안 이프리키야의 하프스 왕조, 모로코의 마린 왕조, 이베리아의 아라곤 등 여러 국가의 속국을 거쳐갔다.[7] 16세기 초에는 스페인 제국과 알제의 오스만 섭정국이 틀렘센의 지배권을 놓고 싸웠으며 자이얀 왕조의 술탄은 한쪽 세력의 꼭두각시로 추대되기를 반복하였다.[7] 1551년 오스만 제국이 틀렘센을 점령, 자이얀 왕조 최후의 통치자였던 하산 알압둘라는 스페인군의 보호 하에 오랑으로 도피했다가 몇 년 후 사망하면서 자이얀 왕조의 통치는 막을 내렸다.[7]3. 역대 국왕 목록
자이얀 왕조의 역대 국왕 목록은 존 스튜어트의 《African States and Rulers》(1989)에 수록되어 있다.[8] 자세한 내용은 "통치 기간 및 이명"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통치 기간 및 이명
존 스튜어트의 《African States and Rulers》(1989)에 따르면,[8] 자이얀 왕조의 통치 기간 및 이명은 다음과 같다.대 | 이름 | 이명 | 즉위 | 퇴위 | 주 |
---|---|---|---|---|---|
1 |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 | 아부 야흐야 1세 빈 자이얀 | 1236년 | 1283년 3월 | 초대 국왕 |
2 | 아부 사이드 우트만 1세 | 오트마네 이븐 야그모라센 | 1283년 3월 | 1304년 6월 6일 | 아부 야흐야 1세의 아들 |
3 | 아부 자이얀 1세 | 아부 자이야르 1세 무함마드 | 1304년 6월 6일 | 1308년 4월 14일 | 아부 사이드 우트만 1세의 아들 |
4 | 아부 함무 1세 | 아부 함마 1세 무사 | 1308년 4월 14일 | 1318년 7월 22일 | 아부 자이얀 1세의 형제 아들 아부 타슈핀 1세에게 암살 |
5 | 아부 타슈핀 1세 | 아부 타슈핀 1세 아브달 라흐만 | 1318년 7월 22일 | 1336년 5월 | 아부 함무 1세의 아들 |
제1차 마린 왕조 침공기 (1337년~1348년 / 당시 마린 왕조 국왕은 아부 알하산 알리) | |||||
6 | 아부 사이드 우트만 2세 | 아부 사이드 우트만 2세 아브달 라흐만 | 1348년 | 1352년 | 아부 타슈핀 1세의 아들 아부 타비드 1세와 공동통치 |
7 | 아부 타비드 1세 | 아부 타비트 | 1348년 | 1352년 | 아부 타슈핀 1세의 아들 아부 사이드 우트만 2세와 공동통치 |
제2차 마린 왕조 침공기 (1352년~1359년 / 당시 마린 왕조 국왕은 아부 이난) | |||||
8 | 아부 함무 2세 무사 | 아부 함무 2세 이븐 아비 야쿠브 | 1359년 2월 | 1360년 5월 20일 | 아부 사이드 우트만 2세의 형제, 첫 번째 즉위 |
9 | 아부 자이얀 2세 | 아부 자이얀 무함마드 2세 이븐 우트만 | 1360년 5월 20일 | 1360년 | 아부 함무 2세 강제 퇴위 후 찬탈 |
- | 아부 함무 2세 | - | 1360년 | 1370년 | 두 번째 즉위, 1366년 베자이아 원정 패배 |
- | 아부 자이얀 2세 | - | 1370년 | 1372년 | 두 번째 즉위 |
- | 아부 함무 2세 | - | 1372년 | 1383년 | 세 번째 즉위 |
- | 아부 자이얀 2세 | - | 1383년 | 1384년 | 세 번째 즉위 |
- | 아부 함무 2세 | - | 1384년 | 1387년 | 네 번째 즉위 |
- | 아부 자이얀 2세 | - | 1387년 | 1387년 | 네 번째 즉위 |
- | 아부 함무 2세 | - | 1387년 | 1389년 | 다섯 번째 즉위 |
10 | 아부 타슈핀 2세 | 아부 타슈핀 2세 아브달 라흐만 | 1389년 | 1393년 5월 29일 | 아부 함무 1세의 아들 |
11 | 아부 타비드 2세 | 아부 타비트 2세 유수프 | 1393년 5월 29일 | 1393년 7월 8일 | 아부 타슈핀 1세의 아들 |
12 | 압둘 하즈자즈 1세 | 아부 하즈자즈 유수프 | 1393년 7월 8일 | 1393년 11월 | 아부 타비드 2세의 형제 |
13 | 아부 자이얀 2세 | 아부 자이얀 2세 무함마드 | 1393년 11월 | 1397년 | 아부 하즈자즈 1세의 형제 |
14 | 아부 무함마드 1세 | 아부 무함마드 압둘라 1세 | 1397년 | 1400년 | 아부 자이얀 2세의 형제 |
15 | 아부 압달라 1세 |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1세 | 1400년 | 1411년 | 아부 무함마드 1세의 형제 |
16 | 아브드 알라흐만 1세 | 아브드 알라흐만 이븐 무사 우 | 1411년 | 1411년 | 아부 무함마드 1세의 아들 |
17 | 사이드 1세 | 아부 사이드 이븐 무사 | 1411년 | 1412년 11월 | 아부 무함마드 1세의 형제 |
18 | 아부 말레크 1세 | 아부 말레크 아브드 알와히드 | 1412년 11월 | 1424년 5월 | 사이드 1세의 형제, 첫 번째 즉위 |
19 | 아부 압달라 2세 |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2세 | 1424년 5월 | 1427년 | 아브드 알라흐만 1세의 형제, 첫 번째 즉위 |
내전으로 인한 공위시대 (1427년~1429년) | |||||
- | 아부 말레크 1세 | - | 1429년 | 1430년 | 두 번째 즉위 |
- | 아부 압달라 2세 | - | 1430년 | 1430년 | 두 번째 즉위 |
20 | 아부 압바스 아흐마드 1세 | 아부 알압바스 아흐마드 1세 | 1430년 | 1462년 1월 | 아부 타비드 2세의 아들 |
21 | 아부 압달라 3세 |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3세 | 1462년 1월 | 1468년 | 아부 압바스 아흐마드 1세의 아들 |
22 | 아부 타슈핀 3세 | - | 1468년 | 1468년 | 아부 압달라 3세의 아들 |
23 | 아부 압달라 4세 |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4세 | 1468년 | 1504년 | 아부 타슈핀 3세의 형제 |
24 | 아부 압달라 5세 |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5세 | 1504년 | 1517년 | 아부 압달라 4세의 아들 |
25 | 아부 함무 3세 | 아부 함무 3세 무사 | 1517년 | 1527년 | 아부 압바스 아흐마드 1세의 아들 |
26 | 아부 무함마드 2세 | 아부 무함마드 압달라 2세 | 1527년 | 1541년 1월 | 아부 함무 3세의 형제 |
27 | 아부 자이얀 3세 | 아부 자이얀 아흐마드 | 1541년 1월 | 1543년 3월 7일 | 아부 무함마드 2세의 아들, 첫 번째 즉위 |
28 | 아부 압달라 4세 | 아부 암달라 무함마드 4세 | 1543년 3월 7일 | 1543년 6월 | 아부 자이얀 3세의 형제 |
- | 아부 자이얀 3세 | - | 1543년 6월 | 1550년 | 두 번째 즉위 |
29 | 알 하산 이븐 압달라 | - | 1550년 | 1557년 | 아부 자이얀 3세의 형제 |
참조
[1]
웹인용
Algeria – Zayanids
http://countrystudie[...]
2016-07-22
[2]
웹인용
Abd al-Wadid Dynasty {{!}} Berber dynasty
https://www.britanni[...]
2016-07-22
[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1-01
[4]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5]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6]
웹인용
Qantara – The Abdelwadids (1236-1554)
https://web.archive.[...]
[7]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https://archive.org/[...]
McFar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