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렘센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틀렘센 왕국은 13세기 초 베르베르계 부족이 무와히드 왕조의 쇠퇴를 틈타 건국한 왕국이다. 초대 국왕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의 이름을 따 자이얀 왕조라고도 불리며, 14세기에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마그레브 중부 지역의 패권을 확립했다. 동서쪽의 강대국과 남쪽의 아랍 유목민의 위협 속에서 여러 차례 마린 왕조의 침공을 받았으며, 15세기 말 아라곤 연합왕국의 개입과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틀렘센은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여 유럽과의 무역이 활발했으며, 학문과 건축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베르 왕조 - 와타스 왕조
와타스 왕조는 13세기 후반 모로코 리프 지역에서 자치권을 누리다 15세기 말 페스 왕국을 건국했지만, 포르투갈의 침략과 사드 왕조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554년 멸망했다.
틀렘센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현지 이름 | 틀렘센 왕국 |
현지 이름 (아랍어) | مملكة تلمسان (맘라카트 틀림산) |
존속 기간 | 1235년 ~ 1556년 |
수도 | 틀렘센 |
공용어 | 베르베르어 마그레브 아랍어 |
종교 | 수니파 이슬람 |
정치 체제 | 군주제 |
지도자 | |
지도자 칭호 | 술탄 |
통치 기간 | 1236년 ~ 1283년 |
이름 | 야그무라센 이븐 자얀 |
통치 기간 | 1550년 ~ 1556년 |
이름 | 알 하산 벤 아부 무흐 |
역사 | |
사건 | 건국 |
날짜 | 1235년 |
사건 | 무와히드 공세 격퇴 |
날짜 | 1248년 |
사건 | 시질마사 점령 |
날짜 | 1264년 |
사건 | 틀렘센 공성전 |
날짜 | 1299년 ~ 1307년 |
사건 | 마린조의 속국 |
날짜 | 1337년 ~ 1348년 |
사건 | 마린조의 속국 |
날짜 | 1352년 ~ 1359년 |
사건 | 페스 점령 |
날짜 | 1411년 |
사건 | 스페인과의 갈등 |
날짜 | 1504년 ~ 1512년 |
사건 | 오스만 제국에게 멸망 |
날짜 | 1556년 |
영토 변화 | |
이전 | 무와히드 칼리파국 |
![]() | |
이후 | 스페인령 오랑 알제리 섭정국 에이트 아바스 왕국 쿠쿠 왕국 알제리 토후국 |
위치 | |
![]() |
2. 역사
1235년 베르베르계 부족인 '바누 아브드 알와드'가 무와히드 왕조가 멸망할 조짐을 보이자 독립하여 틀렘센 왕국을 건국했다. 초대 국왕은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자이얀 왕조라고도 부른다. 야그무라센은 제나티 방언으로 말했으며 족보학자들이 선사한 혈통도 부인하였다.[11] 그는 다른 베르베르계 경쟁 부족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였으며, 이웃한 마린 왕조의 침공 위협에 직면하자 그라나다 토후국 및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체결했다.[13] 1264년에는 시질마사를 정복하여 11년간 점령하기도 했다.[14][15][16]
14세기 초, 아부 함무 1세와 아부 타슈핀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틀렘센 왕국은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했다.[16] 그러나 마린 왕조의 지속적인 침략과 포위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다.
14세기 말부터 틀렘센 왕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하프스 왕조, 마린 왕조, 아라곤 연합왕국 등 주변 강대국의 속국으로 전락하기도 했다.[19]
15세기 말, 아라곤 연합왕국은 틀렘센의 왕위 분쟁에 개입하여 실질적인 통치권을 확보했다. 1551년에는 알제리 섭정국에 파견된 오스만 제국군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19] 자이얀 왕조의 마지막 술탄 하산 알압달라는 스페인군의 보호 아래 오랑으로 탈출했다.[19] 하산 알압달라는 기독교로 개종하고 '카를로스'라는 이름으로 살다가 몇 년 후 사망하여 자이얀 왕조의 명맥은 끝이 났다.[22][19]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인 틀렘센은 한 나라의 수도라는 지위를 상실하고 지방 도시로 변모했다.[19]
2. 1. 13세기 건국과 발전
마그레브 중부를 오랫동안 거점으로 삼고 있던 베르베르계 부족민 '바누 아브드 알와드'는 무와히드 왕조가 멸망할 조짐을 보이자 1235년 독립을 선언하여 틀렘센 왕국을 건국하였다. 초대 국왕은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자이얀 왕조라고도 부른다. 야그무라센 이븐 자이얀은 제나티 방언으로 말했으며 족보학자들이 선사한 혈통도 부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1]야그무라센은 다른 베르베르계 경쟁 부족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였으며, 이웃한 마린 왕조의 침공 위협에 직면하자 그라나다 토후국의 에미르 및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체결했다.[13] 1264년에는 시질마사를 정복하여 11년간 점령함으로써 사하라 횡단무역의 주요 거점이었던 시질마사와 틀렘센을 하나의 강역으로 통합하였다.[14][15][16]
2. 2. 14세기 전성기와 시련
14세기 초, 아부 함무 1세와 아부 타슈핀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틀렘센 왕국은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하여 마그레브 중부 지역의 패권을 확립했다.[16] 그러나 마린 왕조의 지속적인 침략과 포위 공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아부 야쿠브 유수프 안나스르의 8년간에 걸친 포위 공격은 틀렘센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이 기간 동안 유수프는 '알만수라'라는 신도시를 건설하여 무역로의 대부분을 이 도시로 돌렸다.1307년 마린군이 철수하자 자이얀 세력은 알만수라를 파괴했다. 1308년 아부 자이얀 1세가 사망하고 아부 함무 1세가 왕위에 올랐으나, 1318년 아들 아부 타슈핀 1세의 음모로 살해당했다.[16]
마린 왕조의 아부 알하산은 1337년 틀렘센을 점령했고, 아부 타슈핀 1세는 전투 중 사망했다. 아부 알하산은 마그레브 전역을 통일했으나, 1348년 아랍 부족의 반란으로 카이루안 인근에서 패배했다. 이후 아부 이난 파리스가 술탄을 선언하고, 자이얀 왕조의 아부 타비트 1세가 틀렘센의 국왕을 자처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아부 알하산은 틀렘센 탈환에 실패하고 1351년 사망했다.
1352년 아부 이난 파리스가 틀렘센을 되찾았으나, 1359년 아부 함무 무사 2세가 즉위하여 마린 왕조와 장기간의 전쟁을 벌였다.[18] 마린 왕조는 1360년과 1370년 두 차례 틀렘센을 점령했지만, 지역민의 저항으로 물러났다.
이븐 할둔은 이 시기 틀렘센에 머무르며 학문과 예술 발전에 기여했다.
2. 3. 14세기~15세기 쇠퇴와 멸망
14세기 말부터 틀렘센 왕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하프스 왕조, 마린 왕조, 아라곤 연합왕국 등 주변 강대국의 속국으로 전락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19]1386년 아부 함무는 수도를 알제로 옮겼으나, 1년 뒤인 1387년 아들 아부 타슈핀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를 포로로 잡았다. 아부 함무는 알렉산드리아로 보내졌으나 튀니스를 거치는 과정에서 탈출, 1388년 틀렘센을 탈환했다. 아부 타슈핀은 페스로 건너가 마린 왕조의 군사 지원을 받아 틀렘센을 점령하고 다시 즉위했다. 이로써 아부 타슈핀과 그 후대 국왕들은 마린 왕조를 종주국으로 삼고 해마다 공물을 바치게 되었다.[19]
마린 왕조의 아부 사이드 우트만 3세 재위 기간 동안 자이얀 왕조는 수차례 반란을 일으켰고, 아부 사이드 역시 틀렘센에 대한 지배력을 계속해서 입증해야 했다.[20] 1420년 아부 사이드가 사망하자 마린 왕조는 혼란기에 접어들었고, 자이얀 왕조의 에미르 아부 말레크는 이를 기회로 삼아 마린 왕조의 지배에서 벗어나 1423년 페스를 점령했다.[21][20]
이때 하프스 왕조의 술탄 아브드 알아지즈 2세는 아부 말레크의 영향력 확대에 맞서 서쪽으로 원정군을 파견, 틀렘센을 점령하고 자국에 예속된 자이얀 가문 출신 국왕 (아부 압달라 2세)를 옹립했다. 이후 자이얀 왕조는 하프스 왕조의 가신으로 남아 있었으며, 15세기 말 스페인의 북아프리카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이 관계에서 벗어났다.[19]
15세기 말, 아라곤 연합왕국은 틀렘센의 왕위 분쟁에 개입하여 실질적인 통치권을 확보했다. 이 시점에서 틀렘센 왕국은 틀렘센 시와 그 인접 지역으로 지배력이 쪼그라든 상태였다.[19] 1551년에는 알제리 섭정국에 파견된 오스만 제국군에 의해 점령되는 일이 있었으며, 자이얀 왕조의 마지막 술탄 하산 알압달라는 스페인군의 보호 아래 오랑으로 탈출했다.[19] 하산 알압달라는 기독교로 개종하고 '카를로스'라는 이름으로 살다가 몇 년 후 사망하여 자이얀 왕조의 명맥은 끝이 났다.[22][19]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인 틀렘센은 한 나라의 수도라는 지위를 상실하고 지방 도시로 변모했다.[19]
3. 경제
틀렘센은 페스와 이프리키야를 잇는 동서 무역로와 오랑에서 사하라 사막을 거쳐 서아프리카 수단으로 이어지는 남북 무역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14] 안달루시아인들이 건설한 항구도시 오랑을 통해 유럽과 무역할 수 있었으며, 아틀라스 산맥을 넘어야 하는 페스보다 상인들이 왕래하기 원만했다.[15] 1264년 시질마사를 점령하여 10년간 사하라 횡단 무역로를 장악하기도 했다.[16]
틀렘센에는 유럽인들이 세운 무역소(푼두크)가 있어 아프리카와 유럽 상인들의 교류를 주선했다.[3] 특히 사하라 이남에서 들어오는 황금이 유럽으로 수출되는 주요 거점이었으며,[3] 제노바 공화국의 지폐가 유통되기도 했다.[17]
3. 1. 주요 교역 품목
틀렘센은 마그레브 중부의 주요 무역 거점으로서 다양한 상품을 교역했다. 틀렘센의 수크(간이시장)에서는 동방에서 온 모직물과 양탄자, 현지에서 생산된 도자기와 가죽 제품이 거래되었다.[4] 사하라 사막에서 생산되는 금과 노예도 중요한 교역 품목이었다.[4]지중해 지역과의 해상 무역을 통해 다양한 상품이 들어왔으며, 유럽산 수입품은 푼두크(유럽인들이 세운 무역소)에서 거래되거나[3] 바르바리 해적들이 가져오기도 했다.[4]
4. 건축
자이얀 왕조는 마린 왕조, 나스르 왕조와 비슷한 서부 이슬람 건축(스페인-모레스크 양식)을 발전시켜 고유 양식으로 만들었다.[24][25][26]
초대 국왕 야그무라센은 무와히드 왕조가 타그라트(현 틀렘센 일부)에 건설한 성채(카스바)를 정부청사로 사용하고, 이를 메슈아르 궁전이라 불리는 요새화된 궁전으로 발전시켰다.[26][30]
메슈아르 궁전은 중앙 정원에 분수대나 수로를 두고 젤리지나 마감장식으로 화려하게 꾸몄다.[26][31][30] 지리 토후국의 아슈이르 궁전이나 옛 파티마 왕조 왕궁처럼 대형 접객실 뒷편 중앙부에 벽감을 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설계도 확인된다.[26]
4. 1. 종교 건축

자이얀 왕조는 동시대에 공존했던 서쪽의 마린 왕조와 나스르 왕조의 건축물과 유사한 서부 이슬람 건축(스페인-모레스크 양식)을 발전시켜 고유의 양식으로 만들었다.[24][25][26]
1236년 초대 술탄 야그무라센은 틀렘센 구시가지인 아가디르의 대모스크(790년경 완공)와 11세기 말~12세기에 건설된 틀렘센 대모스크에 미나레트를 증축했다.[27][28][25] 두 모스크의 미나레트는 모두 벽돌과 석재로 건설되었으며, 마라케시의 카스바 모스크와 유사한 세브카 부조 장식에 중점을 두었다.[25] 야그무라센은 대모스크의 중정을 확장하거나 다시 지었으며, 기도실에도 장식용 돔을 쌓았다.[28] 1296년 아부 사이드 우트만은 시디 벨 하산 모스크를 새로 건설하였다.[25]
자이얀 왕조는 틀렘센 시 내외에 여러 종교시설을 세웠으나,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은 적거나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25] 마드라사는 13세기 마그레브 지방에 처음 전래되어 자이얀 왕조와 동시대 다른 국가에서도 확산되었다.[25] 아부 타슈핀 1세가 건설하여 19세기 프랑스 식민통치기에 철거된 마드라사 타슈피니야는 화려한 장식, 특히 젤리지(Zellij)라 부르는 정교한 아라베스크와 기하학적 모티프가 돋보였으며, 이는 동시대 마린 왕조의 건축에서도 반복된 양식이었다.[25][29]
4. 2. 왕궁 건축
자이얀 왕조는 무와히드 왕조가 타그라트(현 틀렘센의 일부)에 건설한 성채(카스바)를 정부청사로 사용했다. 초대 국왕 야그무라센은 카스바를 요새화된 궁전으로 발전시켰는데, 이를 메슈아르 궁전이라 불렀다.[26][30] 아부 타슈핀 1세는 다르 알수루, 다르 아비피흐르, 다르 알물크 등 최소 3곳의 왕궁을 건설했다.메슈아르 궁전은 중앙 정원에 분수대나 수로를 두고 젤리지나 마감장식으로 화려하게 꾸몄다.[26][31][30] 일부 왕궁 설계에는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었는데, 지리 토후국의 아슈이르 궁전이나 옛 파티마 왕조의 왕궁처럼 대형 접객실 뒷편 중앙부에 벽감을 둔 것이 확인된다.[26] 2010년에는 왕궁 유적 복원사업을 통해 젤리즈 장식을 보존했다.[26][32]
1317년 아부 함무 마사는 왕궁 내에 메슈아르 모스크를 건설했다.[30][26] 틀렘센 대모스크 옆에는 '카스르 알카딤'(옛 궁전)이라 불린 궁전이 있었는데, 야그무라센이 왕궁으로 사용하다가 13세기 중반에 메슈아르 궁전으로 옮겼지만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26]
카스르 알카딤에는 자이얀 왕조 술탄들의 왕가 공동묘지(라우다)가 있었으며 14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26] 1362년 아부 함무 2세는 시디 브라힘 성묘 옆에 새로운 종교단지를 건설하여 왕가 공동묘지를 이전했다. 이 종교단지에는 묘지, 모스크, 마드라사가 있었으며, 유적 발굴 결과 일부 무덤 덮개에 화려한 젤리즈 장식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6]
참조
[1]
웹인용
Religious motivations or feudal expansionism? The Crusade of James II of Aragon against Nasrid Almeria in 1309-10
http://capire.es/eik[...]
2017-11-19
[2]
웹인용
Abd al-Wadid Dynasty {{!}} Berber dynasty
https://www.britanni[...]
[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Webarchive
الدولة الزيانية في عهد يغمراسن: دراسة تاريخية وحضارية 633 هـ - 681 هـ / 1235 م - 1282 مخالد بلع
https://books.google[...]
2023-06-07
[5]
웹인용
The Abdelwadids (1236–1554)
http://www.qantara-m[...]
[6]
문서
L'Algérie au passé lointain – De Carthage à la Régence d'Alger, p175
https://books.google[...]
[7]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 l'Algérie
https://books.google[...]
Impr. P. Crescenzo
1910
[8]
Webarchive
Ksour et saints du Gourara: dans la tradition orale, l'hagiographie et les chroniques locales
https://books.google[...]
2023-06-07
[9]
Webarchive
Histoire es berbères, 4
https://books.google[...]
2023-06-07
[10]
Webarchive
الدولة الزيانية في عهد يغمراسن: دراسة تاريخية وحضارية 633 هـ - 681 هـ / 1235 م - 1282 مخالد بلع
https://books.google[...]
2023-06-07
[11]
서적
Histoire es berbères, 3: et des dynasties musulmanes de l'afrique septentrionale
https://books.google[...]
Imprimerie du Gouvernement
1856-01-01
[12]
서적
Histoire des monuments musulmans du Maghreb
https://books.google[...]
Impr. R. Bauche
[13]
백과사전
'Abd al-Wadid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4]
서적
Africa from the Twelfth to the Sixteenth Century - Page 94
https://books.google[...]
UNESCO
1984-12-31
[15]
서적
Histoire de l'Afrique: des origines à nos jours - Page 211
https://books.google[...]
Ellipses
2009
[16]
웹사이트
ʿAbd al- Wādids
Brill
[17]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8]
웹인용
The Abdelwadids (1236–1554)
http://www.qantara-m[...]
[19]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웹인용
Recueil des notices et mémoires de la Société archéologique de la province de Constantine
https://gallica.bnf.[...]
1919
[21]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 l'Algérie
https://books.google[...]
Impr. P. Crescenzo
1910
[22]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3]
웹인용
Abd al-Wadid Dynasty {{!}} Berber dynasty
https://www.britanni[...]
[24]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lemcen médiévale: urbanisme, architecture et arts
Éditions de Boccard
[27]
서적
L'architecture musulmane d'Occident
Arts et métiers graphiques
[28]
저널
The Great Mosque of Tlemcen and the Dome of its Maqsura
https://www.research[...]
2015
[29]
서적
Maroc médiéval: Un empire de l'Afrique à l'Espagne
Louvre éditions
[30]
서적
Islamic Palace Architectur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L'art religieux musulman en Algérie
S.N.E.D.
[32]
저널
Palais du Meshouar (Tlemcen, Algérie) : couleurs des zellijs et tracés de décors du xive siècle
https://journals.ope[...]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