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코비니-지너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코비니-지너 혜성은 1900년 미셸 자코비니에 의해 발견된 주기 6.4년의 혜성이다. 이 혜성은 용자리 감마 유성우(자코비니 유성우)의 모혜성이며, 1933년과 1946년에 대규모 유성우를 발생시켰다. 1985년에는 ICE 탐사선이 근접하여 물과 일산화 탄소를 검출했으며, 규산염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0년 발견한 천체 - 463 로라
- 우주선이 방문한 혜성 - 핼리 혜성
핼리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혜성으로, 기원전 240년경 최초 관측 이후 뉴턴의 법칙으로 주기성이 예측되었고, 1910년과 1986년에 근접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핵이 태양 접근 시 코마와 꼬리를 형성한다. - 우주선이 방문한 혜성 - 보렐리 혜성
보렐리 혜성은 1904년에 발견된 주기 혜성으로, 약 6.8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2001년 딥 스페이스 1호 탐사선이 핵 사진을 전송했는데, 핵은 8km x 4km x 4km 크기에 알베도가 2.2%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혜성 - 핼리 혜성
핼리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혜성으로, 기원전 240년경 최초 관측 이후 뉴턴의 법칙으로 주기성이 예측되었고, 1910년과 1986년에 근접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핵이 태양 접근 시 코마와 꼬리를 형성한다. - 혜성 - 비엘라 혜성
비엘라 혜성은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두 개의 핵으로 분리 후 붕괴되었으며, 잔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로 관측되고 과거 광에테르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자코비니-지너 혜성 | |
---|---|
개요 | |
![]() | |
명칭 | 21P/자코비니-지너 |
유형 | 주기 혜성 |
발견자 | 미셸 자코비니, 에른스트 치너 |
발견일 | 1900년 12월 20일 |
임시 명칭 | 1900 III P/1900 Y1 1913 V P/1913 U1 1926 VI 1933 III 1940 I 1946 V 1959 VIII 1966 I 1972 VI 1979 III 1985 XIII 1992 IX |
기타 명칭 | 자코비니-지너 혜성 자코비니-치너 혜성 자코비니-친너 혜성 Comet G-Z |
궤도 요소 | |
원기 | 2025년 3월 26일 |
지구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18 AU (약 270만 km) |
궤도 긴반지름 | 3.492 AU |
근일점 거리 | 1.009 AU |
원일점 거리 | 5.97 AU |
궤도 이심률 | 0.7110 |
공전 주기 | 6.52 년 |
궤도 경사 | 32.050° |
마지막 근일점 통과 | 2018년 9월 10일 |
다음 근일점 통과 | 2025년 3월 25일 |
티스랑 매개변수 | 2.465 |
물리적 특성 | |
핵 지름 | 2 km |
기타 정보 | |
관련 유성우 | 자코비니 유성우 (용자리 유성우) |
JPL 소행성체 데이터베이스 | 21P/자코비니-지너 |
2. 발견
1900년 12월 20일, 프랑스 니스의 니스 천문대의 미셸 자코비니는 물병자리에서 혜성을 발견했다. 당시의 겉보기 등급은 10.5~11등급 정도였다. 1900년 회귀 때에는 이듬해 1901년 2월 16일까지 관측되었다. 6.8년의 공전 주기가 계산되었고, 1907년의 회귀가 예측되었으나 그 해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코비니-지너 혜성은 주기적으로 근일점을 통과한다. 2018년 9월 10일에 가장 최근의 근일점 통과가 있었다.[8]
1913년 10월 23일, 독일 밤베르크의 에른스트 치너는 방패자리 β별 근처의 변광성을 관측하던 중 자코비니 혜성을 재발견했다.
3. 근일점 통과
과거 근일점 통과 기록은 다음과 같다.
21P/자코비니-지너 혜성은 2025년 3월 25일에 근일점을 통과할 예정이며, 3월 21일에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예정이다. 예상 밝기는 ~11등급이다.[8]
미래 근일점 통과는 다음과 같다.
4. 용자리 감마 유성우 (자코비니 유성우)
자코비니-지너 혜성은 용자리 감마 유성우(자코비니 유성우, 10월 용자리 유성우)의 모혜성이다. 주기 6.4년의 이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한 1933년 10월 9일 밤, 유럽에서는 1분간 1000개 이상의 유성이 관측되는 대유성우가 기록되었다. 1946년 미국에서도 대규모 유성우가 관측되었다. 1972년 대한민국에서는 대규모 유성우가 예측되었으나, 실제로는 뚜렷한 유성우 현상이 관측되지 않았다. 1998년에는 아시아에서 동유럽까지 1시간 최대 500개의 유성이 관측되었다.
5. 탐사
1978년 8월 12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태양풍 탐사선 ISEE-3를 발사했다. ISEE-3는 지구-달L-1점에서 오랫동안 운용된 후, 궤도를 변경하여 혜성 탐사선 ICE로 운용되게 되었다.
ICE는 이후 궤도를 변경하여 1983년 12월에는 자코비니-지너 혜성에 접근할 수 있는 궤도가 되었다. 1985년 9월 11일, 자코비니-지너 혜성으로부터 7862 km의 거리를 통과하여, 물과 일산화 탄소를 검출했다. ICE는 이후 1986년 3월 28일, 핼리 혜성에 접근하여 탐사했다.
5. 1. 대한민국 관련 탐사 시도 (추가)
6. 유기물
최근 JAXA의 오오츠보 타카후미 등의 연구에 의해 자코비니-지너 혜성에는 규산염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외에도 복잡한 유기물이 풍부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물질이 생성된 것을 고려하면 자코비니-지너 혜성은 비교적 고온인 장소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또한 자코비니-지너 혜성에서는 일반적인 혜성과는 달리 C₂、C₃、NH₂와 같은 라디칼이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 2020년에 교토 산업 대학의 신나카 요시하루 등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이산화 탄소도 일반적인 혜성에 비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7. 대중문화
일본 가수 마츠토야 유미의 앨범 《슬플 정도로 날씨가 좋아》에 〈자코비니 혜성의 날〉이 수록되어 있다. 이 곡은 1972년 10월 9일 자코비니 유성군을 노래한 곡이다. 가사에는 '72년 10월 9일', '유성군'이라는 단어가 있지만, 혜성 자체는 등장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21P/Giacobini-Zinner (NK 2191)
http://www.oaa.gr.jp[...]
OAA Computing and Minor Planet Sections
2012-02-05
[2]
문서
21p
[3]
Perihelion occurs when rdot flips from negative to positive
Horizons Batch for 21P/Giacobini-Zinner (90000322) on 2025-Mar-25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1-04-10
[4]
last observation:2013-04-01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1P/Giacobini–Zinner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6-01-10
[5]
뉴스
Comet 21P/Giacobini-Zinner Shines in September – Sky & Telescope
https://www.skyandte[...]
2018-08-29
[6]
서적
Robotic Exploration of the Solar System Part I: The Golden Age 1957–1982
Springer
2007
[7]
논문
High-resolution Optical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Comet 21P/Giacobini–Zinner in its 2018 Apparition
[8]
웹사이트
21P/Giacobini-Zinner {{!}} astro.vanbuitenen.nl
http://astro.vanbuit[...]
2024-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