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석진 (언어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석진은 대한민국의 언어학자이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과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수상업고등학교 영어 교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상과대학, 어학연구소, 인문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언어학회 회장과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하버드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했고,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화용론, 담화 분석, 통합 문법 이론,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으며,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2. 학력

장석진은 1955년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4년도에 미국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두번째 석사학위를 받았다. 1972년에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A Generative Study of Discourse: Pragmatic Aspects of Korean with Reference to English''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 1. 학사 및 석사 (대한민국)

장석진은 1955년도에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 2. 석사 (미국)

1964년 하와이 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받은 석사 학위에 이어 두 번째 석사 학위였다.

2. 3. 박사 (미국)

1955년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4년도에 미국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두번째 석사학위를 받았다. 1972년에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A Generative Study of Discourse: Pragmatic Aspects of Korean with Reference to English''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경력

1956년부터 1960년까지 덕수상업고등학교 영어 교사로 재직하였다. 1958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상과대학, 어학연구소, 인문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75년부터 1978년까지 한국언어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1976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부터 1981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1989년부터 1990년까지는 스탠퍼드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1999년에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초빙교수(LSA Linguistic Institute)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1994년부터 활동했다. 1998년부터는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다.

3. 1. 교수 (대한민국)

1956년부터 1960년까지 덕수상업고등학교 영어 교사로 재직하였다. 1958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상과대학, 어학연구소, 인문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75년부터 1978년까지 한국언어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1976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3. 2. 교수 (미국)

1980년부터 1981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1989년부터 1990년까지는 스탠퍼드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1999년에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초빙교수(LSA Linguistic Institute)를 역임했다.

3. 3. 명예 교수 및 학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1994년부터 활동했다. 1998년부터는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다.

4. 연구 분야 및 업적

4. 1. 화용론 및 담화 분석

4. 2. 통합 문법 이론

4. 3. 자연어 처리

4. 4. 기타 연구 분야

5. 저서


  • 1977년 현대언어학 (''Modern Linguistics'') (공저). 서울: 한신문화사.
  • 1985년 화용론연구(''Studies in Pragmatics)''. 서울: 탑출판사.
  • 1986년 영문법개론 2 (''Introduction to English Grammar 2'') (공저).서울: 신아사.
  • 1987a 오스틴: 화행론 (''Austin: Speech Acts'')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1987b 한국어 일어 대조분석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공저). 서울: 명지출판사.
  • 1989a 자연언어처리의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한국과학재단 (KOSEF860207).
  • 1989b 한영 동사의 하위범주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992년 한국어문법: NLP를 위한 (''Korean Grammar for NLP'' ). HPSG/K. COSMOS-92-2
  • 1993a 정보기반 한국어문법(''Information-Based Korean Grammar''). 서울: 언어와 정보.
  • 1993b 문법화용론 (''Grammar and Pragmatics'')''.'' 서울: 탑출판사.
  • 1994a 통합문법: 담화와 화용론 (''A Unified Grammar: Discourse and Pragmatics''). 서울대학교 출판부.
  • 1994b 현대언어학: 지금 어디로 (''Modern Linguistics: Whereto Now'') (편집/editor). 서울: 한신문화사.
  • 1996년 ''Korean.'' Amsterdam: John Benjamins.
  • 2002년 전산언어학의 기초 (''Foundations of Computational Linguistics'' ) (Roland Hausser 2001, 2nd edition). 공역(이기용, 이민행, 최기선 외). 한국문화사.
  • 2007년 한국의 학술연구: 언어학 (Academic Studies in Korea: Linguistics) 공저. 대한민국학술원.

6. 논문

장석진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초기 연구는 한국어 명사화, 영어 읽기에서의 음소-문자 대응, 한국어-알타이어 연구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1970년대에는 담화 분석, 화용론, 한국어 교육 등으로 연구 범위를 넓혔다. 1980년대 이후에는 조응(anaphora), 화행(speech act), 통합 문법(unified grammar),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다음은 장석진의 주요 논문 목록이다.


  • 1966, 'Some Remarks on Korean Nominalizations,' <어학연구> 2:1.18-31
  • 1966,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s and Hierarchical Difficulties in Reading English,' ''Athenaelum'' 4.41- 61.
  • 1966, 'A Synopsis of Korean-Altaic Studies,' <권중휘선생화갑기념논문집>, 151-162.
  • 1966, (서평) Hill, A. A. ed. 1962. ''Third Texas Conference on Problems of Linguistic Analysis in English''. <어학연구> 2:2.163-173.
  • 1972, 'Some Remarks on Mixed Modality and Sentence Types,' <영어영문학> 44.95- 110.
  • 1972, 'Deixis의 생성적 고찰 (A Generative Study of Deixis),' <어학연구> 8:2.26-43.
  • 1973, A Generative Study of Discourse in Korean: On Connecting Sentences,' <어학연구> 9:2. 226-238.
  • 1973, '시상의 양상: 계속, 완료의 생성적 고찰 (Some Aspects of Aspect: A Generative Study of Duration and Completion),' <어학연구> 9:2 56-72.
  • 1974, '보이나 안들리는 너와 나: 화용론의 기술 (Visible but Inaudible ''You'' and ''I'': Describing Pragmatics),' <어학연구> 10:2.54-65.
  • 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교재편찬을 위한 기초연구 (Teaching Korean as Foreign Language: A Basic Study for Writing Korean Textbooks),' <언어교육> 6:2. 169-207.
  • 1975, '비단절문법: 스퀴쉬와 불투명 논리를 중심으로 (Non-discrete Grammar: Squish and Fuzzy Logic),' <언 어와 언어학> 3.117-131.
  • 1975, '문답의 화용론 (Pragmatics of Question-Answer),' <어학연구> 11:2.185-198.
  • 1975, Review: Song, Yo-In. 'Translation Theory and Practice', ''Korea Journal'' 15:5.70- 71.
  • 1976, '화용론의 기술 (Describing Pragmatics),' <어학연구> 12:2.283-298.
  • 1977, '대화의 분석: 정보와 조응 (Analysis of Dialog: Information and Anaphora),' <응용언어학> 8:2.105- 121.
  • 1978, 'Anaphora in Korean,' in J. Hinds, ed. ''Anaphora in Discourse'' (Alberta: Linguistic Research), 223-278.
  • 1979, 'Reference in Korean Discourse,' ''Korea Journal'' 19:2.20-39.
  • 1981, '한국인 언어의식: 언어접촉과 관련된 사회언어학적 연구 (Linguistic Consciousness of Koreans: A Sociolinguistic Study Related to Language Contact)' (공저), <어학연구> 17:2.17-197.
  • 1981, '국어의 반복표현 (Repetitive Expressions in Korean),' <말> 6.85-98.
  • 1982, 'Echo Utterances in Korean,' in ''Linguistics in the Morning Calm'' (서울: 한신문화사), 317-332.
  • 1982, 'Nonstandard Questions: Polarity and Contrast,' <어학연구> 18:1.157-170.
  • 1983, 'Linguistics and Written Discourse in English and Korean,'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3.85-98.
  • 1984, '지시와 조응 (Reference and Anaphora),' <한글> 186.115-149.
  • 1984, '화행의 이론과 실제: 동문서답 (Speech Act: Theory and Practice),' <어학연구> 20:1.1-18.
  • 1985, 'Tag Questions in Korean: Form and Function,' <오미당 김형기 팔지기념 국어학논총> (대전: 창학사), 607-621.
  • 1986, '조응의 담화기능: 재귀표현을 중심으로 (Discourse Functions of Anaphora: Reflexives)' <한글> 194.121-155.
  • 1987, 'HPSG: 통사와 의미의 통합 (HPSG: Integration of Syntax and Semantics),' <최준기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001-1029.
  • 1989,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통합문법: 하위범주화와 잉여성을 중심으로 (Unified Grammar for NLP: Subcategorization and Redundancy),' <이혜숙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서울: 한신문화사), 307-328.
  • 1990, '화용과 문법: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화맥연구 (Pragmatics and Grammar: Context for NLP),' <언어> 15.499-538.
  • 1991, '자연언어와 논리 (Natural Language and Logic),' <화용론 논집> 1.1-16.
  • 1991, '화용의 논리: 한국어의 양화와 한정 표현을 중심으로 (Logic for Pragmatics: Quantification and Definite Expressions in Korean),' <애산학보> 11.1-37.
  • 1993, 'Toward Understanding Discourse Structure: Flow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Spoken Korean.' (co-author: Jae-Woong Choe) in C. Lee and B. Kang, eds.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1-13.
  • 1997, '번역: 대응과 평가 (Translation: Mapping and Evaluating),' < 언어와 정보> 2:1-41.
  • 1999, 'Where Grammar Meets Pragmatics: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Korean Discourse,' (Paper presented at LSA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 1999, 'Development of a Multilingual Information Retrieval and Check System Based on Database Semantics,' (co- author) DV- FORUM 16:1/2:81-99.
  • 2000, '통합문법의 기술: 주제-초점과 시점 ('Unified Grammar: Topic-Focus and Point of View),' <언어와 정보사회> 1:145-175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 2001, '자연연어 이해를 위한 중간언어 표상 (‘An Interlingual Representation for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40:43-85.
  • 2002, 'Information Unpackaging: A Constraint-based Grammar Approach to Topic- Focus Articulation,' ''Japanese/Korean Linguistics'' 10:451-464.
  • 2003, 'Jespersen의 ''Analytic Syntax''와 한국어 통사분석,' <영어학연구> 16:131-160.
  • 2004, 'Analytic Syntax: Appraisal and Augmentation,' ''in Otto Jespersen'' (한국영어학학회 편; 한국문화사), 397- 441.
  • 2005, 'Retrospective Mood in Korean: A Constraint-based Approach' in S. S. Mufwene, E. J. Francis and R. S.Wheeler, eds. ''Multiphormous Linguistics'': ''Jim McCawley's Legacy.'' MIT Press, 295- 326.
  • 2005, 'Form-Meaning Interface in Constraint-based Unified Grammar: Prosody and Pragmatics,' ''Proceedings of PACLIC 19'': 13- 29.
  • 2006, 'Constraint-based Unified Grammar of Korean: on Emotive Retrospectives,' ''European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ECKL)-1'':1-16.
  • 2007, 'Pragmatics-Prosody Interface in Constrant-based Unified Grammar,' in S. O. Lee, C.Y. Park & J. H. Yoon, eds. ''Promenades in Langauge: To Honor Professor Chin-Woo Kim''. Seoul: 한국문화사, 1-35.
  • 2008, 'Modal, Temporal, and Evidential Aspects of Korean Quotative Constructions,' paper presented at CIL-18 (1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Linguists, July 20~26, Seoul).
  • 2011, 'An Analysis of Reduced Quot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 Constraint-based Unified Grammar Approach,' in E. Lee and A Yoon, eds. ''Recent Trends in Language and Knowwledge Processing'', 50-76. Seoul: 한국문화사.
  • 2012, '話行의 統合文法的 記述,' <學術院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 51輯1號, 37-87.

7.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