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솨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솨이는 2003년 프로 테니스 선수로 데뷔하여, 2013년 광저우 오픈에서 첫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6년 호주 오픈에서 세계 랭킹 2위 시모나 할레프를 꺾고 메이저 대회 8강에 진출하며, WTA '이달의 획기적인 성과상'을 수상했다. 2019년 호주 오픈 여자 복식에서 우승했으며, 2021년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도 우승하며 두 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2024년에는 차이나 오픈에서 승리하며 단식 연패를 끊었고,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정친원
중국의 프로 테니스 선수인 정친원은 2024년 호주 오픈 준우승, 파리 올림픽 여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최초 올림픽 테니스 단식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WTA 투어에서 5개의 단식 타이틀, WTA 파이널스 준우승을 기록하며 세계 랭킹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펑솨이
펑솨이는 2003년 프로로 전향한 중국의 테니스 선수로, US 오픈 4강 진출, 윔블던 선수권 대회와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 우승을 했으며, 2021년 장가오리에게 성폭행 피해를 폭로한 후 행적이 묘연해져 국제적인 우려를 낳았다. - 중국의 여자 테니스 선수 - 리나 (테니스 선수)
리나는 1999년 프로로 데뷔하여 2011년 프랑스 오픈에서 아시아 선수 최초로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을 차지하고 2014년 호주 오픈에서 우승했으며, 공격적인 베이스라인 플레이를 구사했던 중국의 은퇴한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 중국의 여자 테니스 선수 - 정친원
중국의 프로 테니스 선수인 정친원은 2024년 호주 오픈 준우승, 파리 올림픽 여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최초 올림픽 테니스 단식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WTA 투어에서 5개의 단식 타이틀, WTA 파이널스 준우승을 기록하며 세계 랭킹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아크굴 아만무라도바
우즈베키스탄의 여자 테니스 선수인 아크굴 아만무라도바는 페드컵 대표로 활동하며 WTA 투어 복식 2회 우승 및 ITF 서킷 단식 10회 우승을 기록했고,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권순우
권순우는 2013년 프로 데뷔 후 ATP 투어에서 두 차례 우승한 대한민국 프로 테니스 선수로, 하드코트에서 직선 포핸드와 드롭샷을 주무기로 사용하며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지만, 아시안 게임에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장솨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한자) | 张帅 |
중국어 병음 | Zhāng Shuài |
출생일 | 1989년 1월 21일 |
출생지 | 톈진시, 중국 |
거주지 | 톈진시, 중국 |
신장 | 1.77m |
프로 데뷔 | 2003년 |
은퇴 | (정보 없음) |
경기 스타일 | 오른손 (양손 백핸드) |
코치 | 류숴 |
웹사이트 | zhang-shuai.com |
경력 | |
통산 상금 | $10,787,845 |
단식 | |
통산 전적 | 556승 424패 |
통산 타이틀 | 3회 |
최고 랭킹 | 22위 (2023년 1월 16일) |
현재 랭킹 | 223위 (2024년 10월 28일)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16년)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4회전 (2020년)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8강 (2019년) |
US 오픈 최고 성적 | 4회전 (2022년) |
복식 | |
통산 전적 | 357승 286패 |
통산 타이틀 | 14회 |
최고 랭킹 | 2위 (2022년 7월 11일) |
현재 랭킹 | 26위 (2024년 10월 28일)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2019년)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19년)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2022년) |
US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2021년) |
WTA 파이널스 최고 성적 | 준결승 (2019년) |
혼합 복식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최고 성적 | 준결승 (2022년)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19년, 2024년)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준결승 (2021년) |
US 오픈 최고 성적 | 준결승 (2018년, 2022년) |
국가대표 | |
페드컵 전적 | 13승 9패 |
아시안 게임 | |
2010년 아시안 게임 | 금메달 (단체전) |
2014년 아시안 게임 | 은메달 (단체전) |
2018년 아시안 게임 | 은메달 (단식) |
동아시아 경기 대회 | |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 은메달 (단식) |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 동메달 (복식) |
기타 토너먼트 | |
올림픽 최고 성적 | 2회전 (2016년) |
올림픽 복식 최고 성적 | 2회전 (2016년) |
2. 경력
장솨이는 6세에 테니스를 시작하여 2003년 프로 선수로 전향한 후 ITF 여자 서킷 대회에 출전했다. 2007년 호주 오픈을 시작으로 4대 메이저 대회 예선에 도전했고, 2008년 US 오픈에서 처음 본선에 진출했다.
2009년 차이나 오픈에서는 세계 랭킹 226위였으나 1회전에서 이베타 베네쇼바를, 2회전에서 세계 랭킹 1위였던 디나라 사피나를 꺾고 3회전에 진출했다. 2013년 광저우 국제 여자 오픈 단식에서는 와일드 카드로 참가하여 결승에서 바니아 킹을 꺾고 첫 WTA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4년 BNL 이탈리아 국제 오픈 2회전에서는 세계 랭킹 5위였던 페트라 크비토바를 꺾고 3회전에 진출했다. 2016년 호주 오픈에서는 시모나 할레프를 꺾고 4대 메이저 대회 첫 승을 기록, 8강까지 진출하며 개인 최고 성적인 23위를 기록했다.
2011년 오사카 HP 오픈에서는 다테 기미코와 복식조를 이루어 투어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리나와 복식조로 2회전에 진출했다. 2019년 호주 오픈에서는 서맨사 스토서와 여자 복식에서 우승하며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2021년 US 오픈에서도 스토서와 함께 여자 복식에서 우승하며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7년 광저우 오픈에서 알렉산드라 크루니치를 꺾고 두 번째 WTA 투어 타이틀을, 2022년 리옹 오픈에서는 다야나 야스트렘스카를 꺾고 세 번째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여자 단식 8강, 2020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4라운드에 진출했다. 202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엘리서 메르턴스와 여자 복식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3년 US 오픈 단식 및 복식에서 기권한 후 단식 랭킹이 100위 밖으로 밀려났으나, 2024년 차이나 오픈에서 8강에 진출하며 재기했다.
2. 1. 초기 경력 (2003-2012)
장솨이는 6세에 테니스를 시작하여 2003년에 프로 선수로 전향, ITF 여자 서킷 대회에 출전했다. 2007년 호주 오픈을 시작으로 4대 메이저 대회 예선에 도전하기 시작했고, 2008년 US 오픈에서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2015년 프랑스 오픈까지 14차례의 메이저 대회에서 연속으로 첫 경기에서 패배했다.2009년 10월 차이나 오픈에서는 당시 세계 랭킹 226위였음에도 불구하고, 1회전에서 이베타 베네쇼바를 꺾고, 2회전에서 세계 랭킹 1위였던 디나라 사피나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3회전에 진출했다.[131]
2011년 오사카 HP 오픈에서는 다테 기미코와 함께 복식조를 이루어 바니아 킹-야로슬라바 시베도바 조를 꺾고 투어 첫 우승을 차지했다.[133]
2012년에는 런던 올림픽 여자 복식에 리나와 함께 출전하여 2회전에 진출했다.[3]
2012년 블라썸 컵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1, 2 라운드에서 승리했으나 8강에서 티메아 바보스에게 패했다. 호주 오픈에서는 와일드 카드를 받아 출전했으나 1라운드에서 패하며 메이저 대회 1라운드 7번째 패배를 기록했다. 몬테레이 오픈과 인디언 웰스 예선에서도 1라운드에서 패했고, 프랑스 오픈 1라운드에서도 패배했다.
2. 2. WTA 투어 첫 우승 (2013)
2013년 9월에 열린 광저우 국제 여자 오픈 단식에서는 와일드 카드로 참가했고 결승전에서 바니아 킹을 7-6, 6-1로 꺾으면서 첫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28] 닝보 인터내셔널 오픈 결승에서는 보야나 요바노프스키에게 패했다.[30]2. 3. 2014-2015: 메이저 대회 부진
2014년 5월에 열린 BNL 이탈리아 국제 오픈 2회전에서 당시 세계 랭킹 5위였던 페트라 크비토바를 꺾고 3회전에 진출했다.[28] 2014년 프랑스 오픈까지 출전한 14차례의 메이저 대회에서 장솨이는 첫 경기 연속 패배를 기록하며 부진했다.2. 4. 2016: 메이저 대회 첫 승 및 8강 진출
2016년 호주 오픈에서는 시모나 할레프를 6-4, 6-3으로 꺾고 4대 메이저 대회에서 첫 승을 기록했고, 8강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기록했다.[91] 15번째 시도 만에 메이저 대회 본선 승리 가뭄을 끝냈으며, 이후 알리제 코르네와 바르바라 렙첸코를 연달아 꺾고 4라운드에 진출했다.[93][94] 4라운드에서는 부상당한 매디슨 키스를 세트 스코어 2-1로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요한나 콘타에게 4-6, 1-6으로 패했다.[95] 장솨이는 리나, 정제, 펑솨이에 이어 메이저 대회 8강에 진출한 네 번째 중국 선수가 되었다.[95] 이 활약으로 1월 WTA(여자 테니스 협회)가 선정하는 '이달의 획기적인 성과상'을 수상했으며, WTA 공식 웹사이트 투표에서 4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96] 또한, 랭킹이 133위에서 65위로 68계단 상승하며 중국 선수 중 1위가 되었다.[97]2016 올림픽에서 그녀는 단식과 복식(펑솨이와 함께)에 출전했다. 두 종목 모두 2라운드에 진출했다.[3] 2016년 11월 14일에는 자신의 개인 최고 세계 랭킹인 23위를 기록했다.
2. 5. 2017-2018: 두 번째 WTA 투어 타이틀
张帅중국어는 2017년 9월 광저우 오픈 결승에서 알렉산드라 크루니치를 꺾고 두 번째 WTA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99] 2018년에는 이스탄불 컵과 히로시마 오픈 복식에서 각각 량첸, 호즈미 에리와 파트너를 이뤄 우승했다.2. 6. 2019: 호주 오픈 복식 우승 및 윔블던 8강
张帅|장솨이중국어는 2019년 호주 오픈에서 서맨사 스토서와 함께 여자 복식에서 우승하며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100] 이들은 결승전에서 전년도 우승팀인 버보시 티메어-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조를 6-3, 6-4로 꺾었다. 장솨이는 정제, 옌쯔, 펑솨이에 이어 메이저 여자 복식에서 우승한 네 번째 중화인민공화국 선수가 되었다.
또한, 이들은 마이애미 오픈 결승에 진출했지만, 엘리제 메르텐스와 아리나 사발렌카에게 패했다. 2019년 5월 13일, 장솨이는 복식 세계 랭킹 10위 안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201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장솨이는 여자 단식 8강에 진출했으나, 시모나 할레프에게 패했다.[100]
2. 7. 2020-2021: 프랑스 오픈 4라운드, US 오픈 복식 우승
张帅|장솨이중국어는 2020년 프랑스 오픈에서 생애 처음으로 4라운드에 진출했으나, 7번 시드였던 페트라 크비토바에게 패했다.2021년 US 오픈에서는 서맨사 스토서와 함께 여자 복식에서 우승하며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101] 이 시즌을 복식 랭킹 8위로 마감했는데, 이는 그녀의 커리어에서 가장 높은 랭킹이자 연말 순위였다.
2. 8. 2022: 리옹 오픈 우승, 윔블던 복식 준우승
张帅|장솨이중국어는 리옹 오픈에서 8번 시드로 출전하여 아란차 루스, 비탈리아 디아첸코, 캐롤라인 가르시아를 꺾고 결승에 진출, 와일드카드 다야나 야스트렘스카를 꺾고 2017년 이후 처음이자 통산 세 번째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103]윔블던에서는 엘리서 메르턴스와 짝을 이뤄 여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와 카테리나 시니아코바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105]
2. 9. 2023-2024: 부상, 차이나 오픈 8강
장솨이는 2023년 US 오픈 단식 및 복식에서 기권한 후 단식 랭킹이 100위 밖으로 밀려났다.[112][113] 2024년 코리아 오픈에서는 1라운드에서 베로니카 쿠데르메토바에게 패하며 단식 24연패를 기록, 오픈 시대에서 29연패를 기록한 매들린 페겔에 이어 여자 선수 중 두 번째로 많은 연패 기록을 세웠다.[117][116]2024년 차이나 오픈에서 랭킹 595위였던 장솨이는 매카트니 케슬러를 상대로 승리하며 2023년 1월 이후 첫 승을 기록, 연패를 끊었다.[117][118] 6번 시드인 엠마 나바로를 상대로 2라운드에서 승리하면서, 2004년 토너먼트 시작 이래 10위권 선수를 꺾은 가장 낮은 랭킹의 선수가 되었다.[119][120][121][122] 그리트 미넨과 마그달레나 프레흐를 상대로 승리하며 통산 다섯 번째 WTA 1000 8강에 진출했고, 단식 랭킹 250위권으로 복귀했다.[123][124]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짝을 이룬 장솨이는 2024년 US 오픈 여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옐레나 오스타펜코와 류드밀라 키체노크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114][115] 카테리나 시니아코바와 함께 2024년 광저우 오픈 복식에서 우승했다.[127]
3. 선수 경력 통계
장솨이는 WTA 투어 단식에서 2회 우승했다. 2013년과 2017년 광저우 오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8][99]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우승 | 1. | 2013년 9월 21일 | 광저우 | 하드 | 바니아 킹 | 7–6, 6–1 |
우승 | 2. | 2017년 9월 23일 | 광저우 | 하드 | 알렉산드라 크루니치 | 6–2, 3–6, 6–2 |
장솨이는 WTA 투어 복식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특히, 사만다 스토서와 함께 2019년 호주 오픈[35], 2021년 US 오픈에서 그랜드 슬램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37] 202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엘리세 메르텐스와 함께 여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며, 2024년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도 결승에 진출했다.
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우승 | 2019 | 호주 오픈 | 하드 | 사만다 스토서 | 티메아 바보스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 6–3, 6–4 |
우승 | 2021 | US 오픈 | 하드 | 사만다 스토서 | 코코 고프 케이티 맥낼리 | 6–3, 3–6, 6–3 |
준우승 | 2022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잔디 | 엘리세 메르텐스 |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 카테리나 시니아코바 | 2–6, 4–6 |
준우승 | 2024 | US 오픈 | 하드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 옐레나 오스타펜코 류드밀라 키체노크 | 4–6, 3–6 |
2018년에는 이스탄불과 히로시마 복식에서 각각 량첸과 호즈미 에리와 파트너를 이뤄 우승했다.
3. 1.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성적
; 약어 설명우승 | 준우승 | 4강 | 8강 | #회전 탈락 | Q# | LQ | 불참 | Z# | PO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NMS | 개최 연기 | NH |
- 우승=우승, F=준우승, SF=4강, QF=8강, #R=#회전 탈락, RR=라운드 로빈 탈락, Q#=예선#회전 탈락, LQ=예선 탈락, A=대회 불참, Z#=데이비스 컵/BJK 컵 지역 존, PO=데이비스 컵/BJK 컵 플레이오프, G=올림픽 금메달, S=올림픽 은메달, B=올림픽 동메달, NMS=마스터스 시리즈에서 강등, P=개최 연기, NH=개최 없음.
장솨이는 그랜드 슬램 대회 단식에서 최고 성적은 8강(2회)이며, 복식에서는 2회 우승하였다.
대회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통산 성적 |
---|---|---|---|---|---|---|---|---|---|---|---|---|---|---|
호주 오픈 | LQ | LQ | 불참 | LQ | 1R | 1R | 불참 | 1R | 1R | 8강 | 2R | 2R | 3R | 8–8 |
프랑스 오픈 | 불참 | LQ | 불참 | 1R | 1R | 1R | 불참 | 1R | 1R | 2R | 3R | 2R | 4–8 | |
윈블던 | 불참 | 불참 | 불참 | LQ | 1R | LQ | 불참 | 1R | LQ | 1R | 1R | 1R | 0–5 | |
US 오픈 | LQ | 1R | LQ | LQ | 1R | LQ | LQ | 1R | LQ | 3R | 3R | 1R | 4–6 |
대회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SR | 전적 | 승률 |
---|---|---|---|---|---|---|---|---|---|---|---|---|---|---|---|---|---|---|
호주 오픈 | A | 2R | 1R | A | 1R | 1R | A | 2R | A | 우승 | 1R | 1R | 2R | 2R | A | 1 / 10 | 10–9 | |
프랑스 오픈 | A | 2R | 3R | 3R | 1R | A | 1R | 1R | 1R | 8강 | 3R | 2R | 3R | 2R | 1R | 0 / 13 | 14–13 | |
윔블던 | 2R | 3R | 1R | 2R | 1R | A | 2R | 1R | 1R | 2R | NH | 1R | 결승 | 4강 | 2R | 0 / 13 | 16–13 | |
US 오픈 | A | 2R | 8강 | 1R | A | A | 2R | 8강 | 4강 | 1R | 1R | 우승 | 3R | A | 결승 | 1 / 11 | 25–10 |
3. 1. 1. 단식
장솨이는 ITF 투어인 플로리다의 이니스브룩 오픈에서 468위 와일드카드 선수 아시아 무하마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하며 클레이 코트에서 시즌을 시작했다.[4] 호주 오픈을 건너뛰고 플로리다에 남아 또 다른 ITF 클레이 코트 토너먼트인 25000USD 규모의 포트 세인트 루시의 테소로 오픈에 출전하여 214위이자 4번 시드인 타데야 마예리치에게 준결승에서 패했다.[5]장솨이는 3개의 WTA 투어 토너먼트에 출전했다. 예선에서 3번 시드를 받았지만, 도하에서 열린 카타르 오픈 예선 1라운드에서 647위 애비게일 스피어스에게 패했다.[6]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예선 2라운드에서 61위 아나벨 메디나 가리가스에게 패했다.[7] 말레이시아 오픈 2라운드에서 23위이자 2번 시드인 셰수웨이에게 패했다.[7] 미국으로 돌아와 마이애미 오픈 예선 결승에서 131위 와일드카드 베서니 매텍샌즈에게 패했다.[8] 장솨이는 찰스턴 오픈에서 7번 시드를 받아 페트라 람프레(282위)에게 예선 1라운드에서 패했다.[9] 앨라배마주 펠햄에서 열린 25000USD 챌린저에서 5번 시드를 받아 197위 애슐리 바티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10] 도선 프로 클래식에서 8번 시드를 받아 생애 첫 결승에 진출하여 아일라 톰야노비치(171위)에게 패했다.[11] ITF 샬러츠빌에서 7번 시드를 받아 381위 와일드카드 선수 앨리 윌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12]
로마에서는 이탈리아 오픈 예선 1라운드에서 5번 시드 매디슨 키스(60위)에게 패했다.[14]
베이징 챌린저에서 3번 시드를 받아 연중 두 번째 결승에 진출하여 1번 시드 도이 미사키를 꺾었다. 결승에서는 4번 시드 저우이먀오를 꺾고 인폰드 오픈에서 마리보르에서 2010년 5월 31일 이후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19][20] 장솨이는 7월 말에 열린 중국 전국 운동회 개인 결승에 출전했다. 3번 시드를 받아 728위 장카이린에게 (부전승 후) 2라운드에서 패했다.[21]
장솨이는 4번 시드를 받아 쑤저우 오픈에 출전하여 8강에서 비랭킹 정싸이싸이(195위)에게 패했다.[23] 그 후, 뉴 헤이븐 예선에 출전했다. 1라운드에서 12번 시드 요한나 라르손을 꺾은 후, 최종 예선 통과자인 안나 카롤리나 슈미에들로바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25] US 오픈 예선에서 5번 시드를 받아 1라운드에서 줄리 코인을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코코 반데베게(192위)에게 패했다.[26] 중국 싼야에서 열린 ITF 싼야 대회에서 2번 시드를 받아 1라운드에서 정싸이싸이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27] 장솨이는 와일드카드로 광저우 인터내셔널 오픈에 출전하여 예선 통과자 바니아 킹(124위)를 꺾고 생애 첫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28] 닝보 인터내셔널 오픈에서 결승 라운드에서 1번 시드 보야나 요바노프스키에게 패했다.[30] 베이징에서 열린 차이나 오픈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아 10번 시드 로베르타 빈치에게 2라운드에서 3세트 만에 패했다.[32]
장솨이는 오사카에서 열린 일본 여자 오픈에 출전하여 6번 시드 매디슨 키스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34] 난징 레이디스 오픈에서 3번 시드를 받아 4번 시드 모리타 아유미와의 경기가 1세트 후 기권으로 단축되면서 올해 세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36] 그녀는 2013년 11월 4일에 생애 최고 랭킹인 단식 51위에 도달했다.[38] 그녀는 카펫에서 열린 타이페이 오픈에 3번 시드를 받아 출전하여 1세트에서 패한 후 2세트 첫 게임에서 기권하며 카타르지나 피터(122위)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39]
2017년 9월, 장솨이는 광저우 오픈에서 두 번째 WTA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2번 시드를 받은 그녀는 세트를 잃지 않고 결승에 진출하여 비시드 선수인 알렉산드라 크루니치를 결승에서 세 세트 만에 꺾고 두 번째로 타이틀을 거머쥐었다.[99]
2018년, 장솨이는 프라하와 히로시마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안젤리크 케르버를 꺾은 후, 차이나 오픈 8강에서 오사카 나오미에게 패했는데, 당시 첫 세트를 따냈다.
장솨이의 그랜드 슬램 대회 최고 성적은 8강(2회)이다.
대회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승률 |
---|---|---|---|---|---|---|---|---|---|---|---|---|---|---|---|---|---|---|---|
호주 오픈 | Q1 | Q3 | A | Q1 | 1R | 1R | A | 1R | 1R | QF | 2R | 2R | 3R | 3R | 1R | 3R | 4R | A | 0 / 12 |
프랑스 오픈 | A | Q2 | A | 1R | 1R | 1R | A | 1R | 1R | 2R | 3R | 2R | 2R | 4R | 1R | 1R | 1R | A | 0 / 13 |
윔블던 | A | A | A | Q2 | 1R | Q2 | A | 1R | Q3 | 1R | 1R | 1R | QF | NH | 1R | 3R | 1R | 1R | 0 / 10 |
US 오픈 | Q2 | 1R | Q2 | Q2 | 1R | Q3 | Q2 | 1R | Q2 | 3R | 3R | 1R | 3R | 1R | 2R | 4R | A | 1R | 0 / 11 |
승-패 | 0–0 | 0–1 | 0–0 | 0–1 | 0–4 | 0–2 | 0–0 | 0–4 | 0–2 | 7–4 | 5–4 | 2–4 | 9–4 | 5–3 | 1–4 | 7–4 | 3–3 | 0–2 |
장솨이는 WTA 투어 단식에서 2회 우승했다.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우승 | 1. | 2013년 9월 21일 | 광저우 | 하드 | 바니아 킹 | 7–6, 6–1 |
우승 | 2. | 2017년 9월 23일 | 광저우 | 하드 | 알렉산드라 크루니치 | 6–2, 3–6, 6–2 |
3. 1. 2. 복식
장솨이는 샤론 피치만과 짝을 이뤄 복식 2번 시드를 받았으나, ITF 투어 포트 세인트 루시 테소로 오픈 결승에서 우승한 예선 통과자 안젤리나 가부에바 & 앨리 윌에게 8강에서 패했다.[5] 자네트 후사로바와 복식 WTA 투어에 출전했으나, 카타르 오픈 예선 1라운드에서 애비게일 스피어스에게 패하고, 리사 레이먼드 & 사만다 스토서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6]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예선 2라운드에서 아나벨 메디나 가리가스에게 패했고, 율리아 괴르게스 & 안젤리크 케르버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7] 말레이시아 오픈 2라운드에서 셰수웨이에게 패했고, 아오야마 슈코와 장카이천 팀에게 결승전에서 패했다.[7] 마이애미 오픈 예선 결승에서 베서니 매텍샌즈에게 패했고, 메건 몰턴-레비와 팀을 이뤄 나디아 페트로바와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에게 2라운드에서 패했다.[8] 찰스턴 오픈에서 페트라 람프레에게 예선 1라운드에서 패했고, 몰턴-레비와 함께 안드레아 흘라바치코바 & 라이젤 후버 팀에게 준결승에서 패했다.[9]마드리드 오픈 복식에 정제와 함께 출전했으나 1라운드에서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 갈리나 보스코보예바에게 패했다.[13] 로마 오픈에서 다시 정제와 파트너를 이뤄 8번 시드를 받았으나 도미니카 시불코바 & 모니카 니쿨레스쿠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15] 프랑스 오픈 복식에 정제와 함께 13번 시드를 받아 3라운드에서 안드레아 흘라바치코바와 루치에 흐라데츠카에게 패했다.[16] 윔블던 복식에 몰턴-레비와 출전하여 2라운드에서 애슐리 바티 & 케이시 델라쿠아에게 패했다.[18] 중국 전국 운동회 개인 복식 토너먼트에서는 펑솨이와 함께 1번 시드를 받아, 톈진의 2팀인 쉬이판과 정싸이싸이가 정싸이싸이의 준결승 단식 부상으로 기권하면서 부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22]
신시내티 오픈 복식 경기에서 이리나 카멜리아 베구와 함께 1라운드에서 베라 두셰비나와 실비아 솔레르 에스피노사에게 패했다.[24] US 오픈에서 야로슬라바 슈베도바와 복식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1라운드에서 알라 쿠드리아브체바 & 아나스타샤 로디오노바에게 패했다.[26] 광저우 인터내셔널 오픈에서 슈베도바와 복식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티메아 바보스 & 올가 고보르초바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29] 닝보 인터내셔널 오픈에서 찬융자와 복식에 출전하여 이리나 부랴초크 & 옥사나 칼라시니코바 팀을 꺾고 우승했다.[31] 베이징 오픈에서 슈베도바와 복식 토너먼트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아 찬융자와 정제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33]
일본 여자 오픈에서 사만다 스토서와 복식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결승에서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 플라비아 페네타에게 패했다.[35] 난징 레이디스 오픈에서 슈베도바와 함께 복식 결승에 진출하여 도이 미사키와 쉬이판에게 패했다.[37] 타이페이 오픈에서 키미코 다테-크럼과 함께 복식 경기에 출전하여 1번 시드를 받았지만, 도이 미사키 & 시에수잉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40]
2018년, 이스탄불과 히로시마 복식에서 각각 량첸과 호즈미 에리와 파트너를 이뤄 우승했다.
대회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SR | 전적 | 승률 |
---|---|---|---|---|---|---|---|---|---|---|---|---|---|---|---|---|---|---|
호주 오픈 | A | 2R | 1R | A | 1R | 1R | A | 2R | A | 우승 | 1R | 1R | 2R | 2R | A | 1 / 10 | 10–9 | |
프랑스 오픈 | A | 2R | 3R | 3R | 1R | A | 1R | 1R | 1R | 8강 | 3R | 2R | 3R | 2R | 1R | 0 / 13 | 14–13 | |
윔블던 | 2R | 3R | 1R | 2R | 1R | A | 2R | 1R | 1R | 2R | NH | 1R | 결승 | 4강 | 2R | 0 / 13 | 16–13 | |
US 오픈 | A | 2R | 8강 | 1R | A | A | 2R | 8강 | 4강 | 1R | 1R | 우승 | 3R | A | 결승 | 1 / 11 | 25–10 | |
전적 | 1–1 | 5–4 | 5–4 | 3–3 | 0–3 | 0–1 | 2–3 | 4–4 | 4–3 | 10–3 | 2–3 | 7–3 | 10–4 | 6–3 | 6–3 | 2 / 47 | 65–45 | |
연말 랭킹 | 158 | 49 | 34 | 57 | 63 | 447 | 234 | 64 | 33 | 10 | 27 | 8 | 25 | 34 | colspan="3" | |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우승 | 1. | 2011년 10월 16일 | 오사카 | 하드 | 쿠루미 다테 | 바니아 킹 야로슬라바 시베도바 | 7–5, 3–6, [11–9] |
준우승 | 1. | 2012년 2월 26일 | 몬테레이 | 하드 | 쿠루미 다테 | 사라 에라니 로베르타 빈치 | 2–6, 6–7(6) |
우승 | 2. | 2012년 5월 5일 | 에스토릴 | 클레이 | 좡자룽 | 야로슬라바 시베도바 갈리나 보스코보예바 | 4–6, 6–1, [11–9] |
우승 | 3. | 2012년 9월 22일 | 광저우 | 하드 | 타마린 타나수간 | 야르밀라 가이도쇼바 모니카 니쿨레스쿠 | 2–6, 6–2, [10–8] |
준우승 | 2. | 2013년 3월 3일 | 쿠알라룸푸르 | 하드 | 야네테 후사로바 | 아오야마 슈코 장카이제 | 7–6(4), 6–7(4), [12–14] |
준우승 | 3. | 2013년 10월 13일 | 오사카 | 하드 | 사만다 스토서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플라비아 페네타 | 4-6, 3-6 |
준우승 | 4. | 2014년 1월 11일 | 호바트 | 하드 | 리사 레이먼드 | 모니카 니쿨레스쿠 클라라 자코팔로바 | 2–6, 7–6(5), [8–10] |
우승 | 4. | 2014년 2월 2일 | 파타야 | 하드 | 펑솨이 | 알라 쿠드럅체바 아나스타시아 로디오노바 | 3–6, 7–6(5), [10–6] |
준우승 | 5. | 2017년 6월 25일 | 버밍엄 | 잔디 | 잔하오칭 | 애슐리 바티 케이시 델라쿠아 | 1-6, 6–2, [8–10] |
준우승 | 6. | 2017년 11월 5일 | 주하이 | 하드 (실내) | 루징징 | 두안잉잉 한신윈 | 2–6, 1–6 |
우승 | 5. | 2018년 4월 29일 | 이스탄불 | 클레이 | 량천 | 크세니아 크놀 앤 스미스 | 6–4, 6–4 |
우승 | 6. | 2018년 9월 16일 | 히로시마 | 하드 | 호즈미 에리 | 니노미야 마코토 카토 미유 | 6–2, 6–4 |
우승 | 7. | 2018년 10월 14일 | 홍콩 | 하드 | 사만다 스토서 | 아오야마 슈코 리디아 모로조바 | 6-4, 6-4 |
우승 | 8. | 2019년 1월 26일 | 호주 오픈 | 하드 | 사만다 스토서 | 티메아 바보스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 6–3, 6–4 |
3. 2.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결승
대회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SR | 전적 | 승률 |
---|---|---|---|---|---|---|---|---|---|---|---|---|---|---|---|---|---|---|
호주 오픈 | A | 2R | 1R | A | 1R | 1R | A | 2R | A | 우승 | 1R | 1R | 2R | 2R | A | 1 / 10 | 10–9 | |
프랑스 오픈 | A | 2R | 3R | 3R | 1R | A | 1R | 1R | 1R | 8강 | 3R | 2R | 3R | 2R | 1R | 0 / 13 | 14–13 | |
윔블던 | 2R | 3R | 1R | 2R | 1R | A | 2R | 1R | 1R | 2R | NH | 1R | 결승 | 4강 | 2R | 0 / 13 | 16–13 | |
US 오픈 | A | 2R | 8강 | 1R | A | A | 2R | 8강 | 4강 | 1R | 1R | 우승 | 3R | A | 결승 | 1 / 11 | 25–10 | |
전적 | 1–1 | 5–4 | 5–4 | 3–3 | 0–3 | 0–1 | 2–3 | 4–4 | 4–3 | 10–3 | 2–3 | 7–3 | 10–4 | 6–3 | 6–3 | 2 / 47 | 65–45 | |
개인 통계 | ||||||||||||||||||
연말 랭킹 | 158 | 49 | 34 | 57 | 63 | 447 | 234 | 64 | 33 | 10 | 27 | 8 | 25 | 34 | colspan="3" | |
장솨이는 사만다 스토서와 함께 2019년 호주 오픈 여자 복식에서 우승했고, 2021년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엘리세 메르텐스와 함께 여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며, 2024년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도 결승에 진출했다.
3. 2. 1. 복식: 4 (2승, 2패)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케이티 맥낼리
카테리나 시니아코바
류드밀라 키체노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