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널리즘 토크쇼 J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널리즘 토크쇼 J는 2018년 6월 17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대한민국의 비평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기자들의 취재와 전문가 패널의 토크를 통해 사회 부조리와 저널리즘의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 언론 비판적인 시청자들의 기대를 받았으나, 편향성 및 친정부적인 내용으로 공정성 및 객관성 위반 논란이 있었다. 정세진, 이상호, 이승현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으며, 결방 및 편성 변경 사례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어 비평 - 질문하는 기자들 Q
    질문하는 기자들 Q는 KBS 1TV에서 방송된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으로, 언론 신뢰도 하락 시대에 미디어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것을 기획 의도로 하며, KBS의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 시리즈 중 하나이다.
  • 미디어 비평 - 미디어 포커스
    미디어 포커스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김신명숙, 이재강, 박상범, 김현석, 조현진 등이 진행했으며, 이후 여러 제목 변경을 거쳐 현재는 《더 보다》로 방송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퀸덤 (텔레비전 프로그램)
    《퀸덤》은 Mnet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여성 K-POP 그룹들이 경연을 펼쳐 시즌 1에서는 마마무가, 시즌 2에서는 우주소녀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내 남자는 큐피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제작되어 장동윤과 나나가 주연을 맡은 16부작 드라마 《내 남자는 큐피드》는 2023년 11월 예고편 공개 후 24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시청 가능하며, 2024년 1월 21일에는 전 세계 7위를 기록했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저널리즘 토크쇼 J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저널리즘 토크쇼 J
시청 등급모든 연령 시청 가능
장르비평
방송 시간역대 방송시간 참조
방송 기간2018년 6월 17일 ~ 2020년 12월 13일
방송 횟수117부작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시즌2
방송 채널KBS 1TV
기획정창준
연출김양순, 신지원, 엄진아
작가허소라, 김명길, 김연욱, 문보성
출연자손석춘, 최경영, 최욱, 강유정, 임자운, 정준희
진행자역대 진행자 참조
음성1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KBS 1TV 저널리즘 토크쇼 J 공식 홈페이지
이전 프로그램미디어 인사이드
이후 프로그램질문하는 기자들 Q
비고KBS 뉴스 홈페이지의 본 프로그램의 매주 한 회마다 다시보기 속에 대본 제공
KBS News 24와 동시 방송
OP멘트의 진행자(아나운서)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멘트했던
OP멘트 - 안녕하십니까(정세진), 안녕하세요(이상호)
매년 연말 12월 마지막 주 일요일은 방송되지 않음

2. 기획 의도

기자들의 취재와 전문가 패널의 신랄한 토크를 통하여 대한민국 사회 부조리와 그 안에 깔려있는 저널리즘의 문제를 조목조목 파헤치고자 했던 비평 프로그램이었다.

3. 평가

기레기(기자+쓰레기의 합성어)로 대별되는 '언론 불신' 지형을 KBS가 자사와 타사를 넘나들며 정확한 비판을 통한 질적 향상에 도움을 주고 칭찬도 아끼지 않는 프로가 되길 바라는 기대 속에서[3] 자사 보도국을 포함한 '저널리즘 비판'을 표방했기 때문에 쉽지 않을 거란 전망과 함께 언론에 비판적인 시청자층의 응원을 동시에 받았다. 첫 방송에서 한국의 언론신뢰도가 낮음을 이야기하며 자기반성적 태도를 보여주었다.[4]

한편, 기획 의도와는 다르게 편향적인 내용으로 공정성과 객관성 위반으로 제재를 받거나[1] 친정부적인 성향을 보여주며 저널리즘에 대한 비판보다는 정부 입맛에 맞지 않는 언론을 비판하는 내용이 주로 다뤄졌다[2]는 비판을 받는다. 출연자 정준희 교수는 33회 지상파 시사보도, 정말 편향됐을까? 방송분에서 개인의 정치색이 없을 수는 없지만 언론보도 행태 문제에서의 심각성과 사회적 영향력 측면을 고려해서 비판했을 뿐 조선일보를 비롯한 메이져 언론들만을 한정해서 비평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4. 방송 시간

저널리즘 토크쇼 J영어2018년 6월 17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 KBS 1TV에서 매주 일요일 밤 시간대에 방영되었다. 방송 시간은 2018년 6월 17일부터 2018년 12월 23일까지는 매주 일요일 밤 10시 30분부터 11시 20분까지였다. 2019년 1월 6일부터 2019년 9월 15일까지는 매주 일요일 밤 10시 30분부터 11시 25분까지 방송되었다. 2019년 9월 22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는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부터 10시 35분까지 방송되었다.

5. 진행자



역대 진행자는 정세진(24기) 前 아나운서, 이상호(29기) 아나운서, 이승현(39기) 아나운서이다.[5][6][7]

정세진 前 아나운서는 2018년 6월 17일부터 2020년 1월 12일까지 진행했다.[5] 이상호 아나운서는 2020년 2월 9일부터 2020년 9월 27일까지 진행했다.[6] 이승현 아나운서는 2020년 10월 11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 진행했다.[7]

6. 방영 목록

저널리즘 토크쇼 J의 에피소드 목록 문서로 분리되어 있다.

7.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2018年雅加达-巨港亚运会중국어 중계, 특집 프로그램 편성, 코로나19 관련 뉴스 특보 등으로 인해 결방되거나 편성이 변경된 사례가 있다.


  • 8월 19일 : 여기는 자카르타의 밤 9시 30분부터 11시까지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 9월 2일 : 밤 8시 40분부터 11시 20분까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폐막식 [수화]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 9월 16일 : 밤 10시 30분부터 11시 5분까지 <토론쇼 시민의회> 특집 관계로 결방되었다.
  • 12월 30일 : 2018 송년특집 관련 <KBS 영상실록> 《국제편》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 3월 3일 : KBS 공사창립 46주년 특집 관련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방송한 <토론쇼 시민의회>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 8월 4일 : KBS의 비상체제로 ‘휴가철을 맞은 혹서기 편성’으로 최대 적자로 재정 위기 상황을 맞아 밤 10시 30분 ~ 11시 30분의 <회사 가기 싫어>의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 8월 11일 : KBS의 비상체제로 ‘휴가철을 맞은 혹서기 편성’으로 최대 적자로 재정 위기 상황을 맞아 밤 10시 30분 ~ 11시 30분의 <회사 가기 싫어>의 특집 편성 관계의 1주 연기 로 결방되었다.
  • 12월 29일 : 2019 송년특집 관련 <KBS 영상실록> 《국내편》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 1월 19일 ~ 2월 2일 : 시즌 2 개편 준비로 인해 방송이 일시 중단되었다.
  • 8월 2일 : <KBS 뉴스 9 - 주말>의 일요일 20분 확대 연장으로 밤 10시부터 10시 50분까지 《코로나 200일의 기록 바이러스와 국가》 이후 10시 50분부터 11시 30분까지 <KBS 뉴스특보>[수화] 뉴스특보를 내보내기 전의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 8월 9일 : <KBS 뉴스 9 - 주말>의 일요일 20분 확대 연장으로 밤 10시부터 11시까지 1시간 동안 방송한《한국체육 100년 특집 다큐멘터리》이후 11시부터 11시 30분까지 <KBS 뉴스특보>[수화] 뉴스특보를 내보내기 전의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 10월 4일 : 《2020 추석특집 나무야 나무야》 추석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되었다.

8. 타이틀 변천사

KBS의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은 2003년 6월 28일부터 2008년 11월 15일까지 방송된 '''미디어 포커스'''를 시작으로 한다. 이후 '''미디어 비평'''( 11월 21일 ~ 4월 5일), '''미디어 인사이드'''( 4월 14일 ~ 4월 17일)로 이어졌다. '''저널리즘 토크쇼 J'''는 6월 17일부터 12월 13일까지 방송되었다. 그 후, '''질문하는 기자들 Q'''( 4월 18일 ~ 3월 6일), '''시사멘터리 추적'''( 5월 1일 ~ 12월 25일), '''9층 시사국'''( 2월 1일 ~ 12월 30일)을 거쳐, 2월 18일부터는 '''더 보다'''가 방송 중이다.

9. 같이 보기

9. 1. 관련 프로그램

9. 2. 유사 프로그램

참조

[1] 웹인용 김성태 의원 "KBS, 조국 보도는 최순실의 1/3 수준…조국 호위무사 전락" https://news.naver.c[...] 2020-05-11
[2] 웹인용 '조국 사건' 재판받는 최강욱씨, 거기서 그러시면 안됩니다 https://news.naver.c[...] 2020-05-11
[3] 웹인용 정확한 비판과 칭찬은 중요하다, 물론 언론에도 https://nocutnews.co[...] 2018-06-19
[4] 웹인용 "[스경TV연구소]KBS, '저널리즘 토크쇼 J' \"수신료 가치 보여줬다\"" http://sports.khan.c[...] 2018-06-18
[5] 문서 2024년 2월 명예퇴직
[6] 문서 이상호 아나운서의 첫 MC일 때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7] 문서 이상호(29기) 아나운서의 갑상선암 수술로 인해 현재 이슈 픽 쌤과 함께 여자MC로 진행중인 이승현(39기) 아나운서가 2020년 10월 11일부터 2020년 12월 13일까지 진행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