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D수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D수첩은 사회 전반의 이슈와 사건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MBC TV의 탐사보도 프로그램이다. 1990년 5월 8일부터 매주 화요일에 방송되며, 2024년 8월 13일부터는 밤 10시 20분부터 11시 20분까지 방송된다. 황우석 사건,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 검사와 스폰서, 4대강 사업 의혹 등 사회적으로 민감한 주제들을 다루며, 잦은 결방과 편성 변경, 편향성, 선정성, 취재 윤리 위반 등의 논란과 비판을 받아왔다. YMCA 올해 좋은 프로그램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추적 60분, 그것이 알고싶다와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PD수첩 - 전종환
    전종환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으로,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뉴스 앵커, 시사 프로그램 진행, 라디오 DJ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PD수첩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데스크는 1970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저녁 뉴스 프로그램으로, 앵커 시스템 도입 등 새로운 형식을 제시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시청률 하락과 공정성 논란을 겪기도 했으며 현재 평일 저녁 7시 40분, 주말 저녁 7시 55분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MBC 100분 토론은 1987년 일요토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방송 시간 변경을 거쳐 1999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대담한 주제 선정과 토론을 지향하는 MBC의 토론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탐사보도 - 프로퍼블리카
    프로퍼블리카는 권력 남용 고발과 공공의 이익 기여를 목표로 2007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로, 심층적인 탐사보도를 통해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여러 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을 강화하고 있다.
  • 탐사보도 - 그것이 알고싶다
    《그것이 알고싶다》는 1992년 SBS에서 첫 방송된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문제의 진실을 파헤치고 사회적 약자의 권익을 보호하며 정의로운 사회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김상중이 진행하고 있으며, 여러 논란 속에서도 한국 사회 주요 이슈를 다루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고,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최초로 중간광고를 도입하는 등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PD수첩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다른 이름Producer's Note
장르탐사보도
시사
진행자전종환
서정문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에피소드 수1395
프로듀서박상일
촬영 장소대한민국
방송 시간55분
제작사MBC 뉴스 (시사교양본부)
방송국MBC
첫 방송일1990년 5월 1일
마지막 방송일현재
추가 정보
기획김환균
프로듀서최승호
출연자김환균
문지애
방송 시간 (요일)매주 화요일 밤 10시 20분 ~ 11시 20분
방송 기간1990년 5월 8일 ~ 2012년 1월 17일
2012년 12월 11일 ~ 2017년 7월 18일
2017년 12월 12일 ~ 현재
총 방송 횟수1446회 (2025년 1월 7일 기준)
방송 채널MBC TV
진행자오승훈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공식 웹사이트MBC TV PD수첩 홈페이지
언어 (시사매거진)시사매거진

2. 기획 의도

PD수첩은 사회 전반의 이슈와 사건에 대한 단순 보도를 넘어, 프로듀서들이 후속 취재 및 심층 취재를 통해 진실을 밝히는 탐사보도 프로그램이다.[10][11][12]

3. 방송 시간

PD수첩은 1990년 5월 8일 첫 방송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MBC TV에서 매주 화요일 밤에 방송되고 있다. 2024년 8월 13일부터 화요일 밤 10시 20분 ~ 11시 20분에 방송되고 있다.

4. 제작진

PD수첩은 책임프로듀서 박상준, 프로듀서 김종우를 비롯하여 조윤미, 유성은, 김신완, 김보람, 조철영, 최원준, 성승민, 박해인 등 다수의 연출PD가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김지훈, 이정은, 황준호, 장아연 등의 취재PD와 이주연, 김선주, 서정민, 전민제, 문기주 등의 AD, 그리고 정예림, 김주희, 이도현, 이재민, 이주영 등의 FD가 협력하고 있다. 또한 정재홍, 이아미, 김세진, 장형운, 이순남, 정이랑 등의 구성작가와 신현지, 김신아, 박송이, 김대성, 이은이, 가정인, 김희영 등의 취재작가가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한다. 초대 책임 프로듀서는 1986년에 입사한 최승호(崔昇浩)였다.

5. 주요 방영 목록

5. 1. 황우석 사건

2005년, PD수첩은 당시 대한민국 과학계의 스타였던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난자 채취 윤리 문제와 논문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3][4] 11월 22일 〈황우석 신화의 난자 의혹〉편에서 실험용 난자매매 의혹을 보도했다. 이후 12월 15일에는 [특집] PD수첩은 왜 재검증을 요구했는가?를 방영하였고, 2006년 1월 3일에는 줄기세포 신화의 진실을 방영하였다.

PD수첩의 방송 직후 황우석을 비판하는 것이 국익에 반하는 것이라 여겨 PD수첩을 비난하는 여론이 거셌고, 14개 광고주가 계약을 취소하여 문화방송은 광고 없이 방송을 해야 했다. 11월 하순에는 PD수첩의 광고주들을 대상으로 불매운동이 시작되기도 하였다.[3]

하지만,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게시판 등을 통해 연구 결과의 문제점이 과학적으로 지적되었고, 결국 황우석 교수는 논문 조작을 사실상 시인하면서 PD수첩의 보도는 사실로 입증되었다.

다만, PD수첩은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와 관련한 보도에서 취재 윤리를 어기면서 무리하게 취재했음이 인정되어, 최승호 책임 PD, 한학수 PD는 감봉 1개월, 최진용 시사교양국장은 근신 15일 등의 징계를 받았다. 주요 취재 기자는 한 과학자에게 자신이 형사 고발당했다고 허위 진술하는 등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수사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3]

5. 2.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

2008년 PD수첩은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과정의 문제점과 광우병 위험성을 보도했다.[18] 4월 29일 《미국산 쇠고기, 과연 광우병에서 안전한가?》편을 시작으로[18], '미국산 쇠고기, 과연 광우병에서 안전한가? 2'(5월 13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언론 보도'(5월 27일), '쇠고기추가협상과 PD수첩 오보논란의 진실'(6월 24일), 'PD수첩 진실을 왜곡했는가?'(7월 15일), '한미 쇠고기 협상, 그 후 1년'(2009년 4월 28일) 등 관련 내용을 여러 차례 다루었다.

PD수첩은 "한국인이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섭취할 경우 인간 광우병이 발병할 확률이 94%에 이르며, 이는 영국인보다 3배 미국인보다 2배 높은 수치", "미국에서 인간 광우병이 발생한다고 해도 우리 정부가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 "우리 측 협상팀이 미국 도축시스템을 잘 몰랐거나 알면서도 위험성을 은폐 또는 축소하려 한 게 아닌가"라고 보도하였다.[23] 또한, 이른바 '다우너 소'(주저앉는 소)들이 광우병에 걸린 것처럼 묘사하여 위험성을 과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23]

이에 대해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현 국민의힘)과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 언론은 광우병 위험이 과장되었다고 비판했다.[18] 반면, 당시 야당인 통합민주당(현 더불어민주당)과 한겨레,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등 진보 언론은 정부의 협상 실패를 지적하며 PD수첩 보도를 옹호했다.[18]

언론중재위원회는 농림수산식품부가 제기한 정정·반론 요청에 대해 정정·반론 취지문 보도가 필요하다고 결정했으며[19], 아레사 빈슨의 사인이 인간 광우병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서 논란이 커졌다.[20]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PD수첩에 '시청자에 대한 사과' 게재 중징계를 내렸고, MBC는 사과문을 낭독했다.[21] 문화방송노조는 이에 반발하며 투쟁을 펼치겠다고 밝혔다.[21]

서울남부지방법원은 농림수산식품부가 청구한 정정 및 반론보도 내용 중 일부에 대해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판결을 내렸다.[22] MBC PD수첩 측은 항소했으나, 서울고등법원은 2009년 6월 17일 정정보도 판결을 유지했다.[23] 그러나 2010년 1월 19일, 법원은 검찰이 기소한 PD수첩 제작진 전원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26] 재판부는 다우너 소, 아레사 빈슨 허위 번역, 명예훼손, 업무방해 등의 모든 혐의를 부정했다.

2010년 12월 7일, 2심 공판에서도 법원은 PD수첩 제작진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다.[28] 재판부는 일부 허위 사실이 인정되나, 명예훼손이나 업무방해의 고의가 없었고 언론의 자유를 고려할 때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다.[28]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부당한 탄압으로 규정하고 있다.

5. 3. 검사와 스폰서

2010년 4월 20일, 문화방송의 PD수첩은 부산 지역 건설업자가 57명의 전·현직 검사에게 지속적으로 금전, 향응, 성상납 등의 스폰서 행위를 해왔다는 제보 문서를 바탕으로 검찰의 비리와 부패 문제를 폭로했다.[29] PD수첩은 제보자와 주변 인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스폰서 행위의 실체를 파헤쳤다. 방송에서 실명이 거론된 한승철과 박기준 검사는 제보자의 발언에 신빙성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고, 서울대 법대 성낙인 교수를 위원장으로 한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nil_ch=&rtupcoll=&w=news&m=&f=&lpp=&q=%BD%BA%C6%F9%BC%AD+%B0%CB%BB%E7+%C0%C7%C8%A4+%B1%D4%B8%ED%C0%BB+%C0%A7%C7%D1+%C1%F8%BB%F3%B1%D4%B8%ED%C0%A7%BF%F8%C8%B8 스폰서 검사 의혹 규명을 위한 진상규명위원회]가 발족되었다.

PD수첩의 보도는 큰 파장과 호응을 불러 일으켰다. 해당 홈페이지에는 5000여 건의 격려 글이 쏟아졌으며 언론의 존재 이유를 보여준 것이란 평가를 받았다. 성공회대 김서중 교수는 이번 보도에 대해“이번 보도는 집권세력들이 왜 MBC를 장악하려는지를 잘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다.[29]

6월 8일 PD수첩은 '검사와 스폰서' 2편을 방영하였고, 이 역시 큰 호응을 불러왔다. 정치권에서도 검찰의 비리문제와, 기소독점주의와 같은 부분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였으며, 6월 15일 여야는 검사들의 향응접대나, 금품수수에 대한 수사를 할 특별검사를 도입하기로 합의하였다.[30]

5. 4. 4대강 사업 의혹

2010년, PD수첩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정비 사업의 문제점과 수심 6m 유지의 비밀을 추적했다.[31][32] '4대강 수심 6m ··· 누가 밀어 붙였나?' 방송을 통해 사업 추진 과정의 불투명성과 환경 파괴 문제를 제기했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MBC PD수첩이 방송을 앞두고 사전배포한 보도자료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으나,[31]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32] 재판부는 결정문에서, "기록만으로는 방송예정인 프로그램의 내용이 명백히 진실이 아니고 방송 목적이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렵다."라고 밝혔다.[32] PD수첩 제작진에 주장에 의하면 김재철 문화방송 사장은 임원회의에서 사규위반을 이유로 처음에 방송 보류를 지시했다고 한다.[33] 그러나 이 방송은 2010년 8월 24일에 방송된다.[34] 더불어민주당은 4대강 사업이 국민적 동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된 대표적인 실정(失政)이라고 비판하며, PD수첩 보도가 진실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6. 결방 및 편성 변경

PD수첩은 잦은 결방 및 편성 변경이 이루어져 왔다. 주요 원인으로는 MBC 파업, 특별 프로그램(각종 토론회, 다큐멘터리 등) 편성, 스포츠 중계(2008 베이징 하계 올림픽, 2006 독일 FIFA 월드컵,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프로야구 등), 선거 개표 방송 등이 있다.



특히 2010년 이후로는 정치적인 외압 의혹과 관련된 결방 및 편성 변경이 잦아지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7. 논란 및 비판

PD수첩은 사회적으로 민감한 주제를 다루면서 다양한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왔다. 주요 논란으로는 편향성 논란, 선정성 논란, 취재 윤리 위반 논란 등이 있다.

8. 수상

YMCA 올해 좋은 프로그램상, 제1회 앰네스티 언론상,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특별상, 제7회 송건호언론상, 한국PD연합회 이달의 PD상 등을 수상했다.

9. 경쟁 탐사보도 프로그램

KBS 1TV추적 60분, SBS TV그것이 알고싶다 등과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꼽힌다.

참조

[1] 웹사이트 in-house title provided by MBC in English versions of its episodes https://www.youtube.[...]
[2] 웹사이트 PD Note http://www.imbc.com/[...] 2012-04-11
[3] 뉴스 'Clone-Gate' scoop hits Korean news program https://www.nytimes.[...] 2023-03-05
[4] 뉴스 Koreans 'Blinded' to Truth About Claims on Stem Cells https://www.washingt[...] 2023-03-05
[5] 뉴스 韓国情報機関と日本の極右団体が「不当取引」 韓国テレビ局があす報道へ https://jp.yna.co.kr[...] 聨合ニュース 2021-08-09
[6] Youtube 不当な取引 - 国家情報院と日極右 https://www.youtube.[...] 2021-08-10
[7] 웹사이트 “統一教会”信者ら「事実を歪曲」韓国テレビ局前で大規模抗議集会 https://news.ntv.co.[...] 2022-09-01
[8] 웹사이트 「歪曲放送だ」旧統一教会の信者ら2000人が韓国テレビ局前でデモ https://newsdig.tbs.[...] 2022-09-01
[9] 웹사이트 “統一教会”ソウルで抗議デモ TV局前で「弾圧、謝罪しろ」 https://www.fnn.jp/a[...] 2022-09-01
[10] 기타
[11] 뉴스인용 [방송가] 방송3사 가을 개편 `오락성 강화`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8-09-18
[12] 뉴스인용 MBC 시트콤 '연인들' 표절의혹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8-09-18
[13] 뉴스인용 MBC장악 노린 손주환.최창봉의 오판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0-08-17
[14] 뉴스 MBC 김재철 사장, PD수첩 4대강 비밀팀, 방송 보류하라 지시 http://media.daum.ne[...] 노컷뉴스 2010-08-17
[15] 웹사이트 MBC 사장 최종후보, 구영회 김재철 박명규 http://www.mediatoda[...]
[16] 뉴스 PD수첩 ‘4대강 수심 6m 비밀’ 김재철 MBC사장 지시로 불방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8-18
[17] 웹사이트 PD수첩 '4대강편' 24일 방송될 듯 http://www.asiatoday[...]
[18] 뉴스인용 두 개의 시선, ‘미디어와 미디어 대리전쟁’ http://breaknews.com[...] 브레이크뉴스 2008-07-16
[19] 뉴스인용 “언론중재위, PD수첩 정정·반론보도 결정”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5-19
[20] 뉴스 법원·검찰·방통심의위 ‘광우병 왜곡-허위보도’ 확인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8-08-01
[21] 뉴스인용 이대로 갈 수는 없다 http://www.pdjournal[...] PD저널 2008-09-09
[22] 뉴스 법원, PD수첩 광우병 정정보도하라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8-07-31
[23] 뉴스 고법(高法)도 "PD수첩 광우병 정정보도하라"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2009-06-18
[24] 웹인용 PD수첩 사건 관련 언론탄압 주장에 대한 입장 http://www.spo.go.kr[...] 검찰 2009-04-29
[25] 웹사이트 http://www.imbc.com/[...]
[26] 뉴스인용 `광우병 보도' PD수첩 제작진 무죄(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22
[27] 뉴스인용 법원, PD수첩 손해배상 청구 또 기각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0-01-27
[28] 뉴스 PD수첩 광우병 보도 상당수 허위지만 무죄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0-12-02
[29] 뉴스인용 PD수첩의 ‘존재 이유’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4-23
[30] 뉴스 여야, 세종시법·스폰서검사 특검법 6월 처리 '합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6-15
[31] 뉴스인용 국토부, PD 수첩 '4대강 수심 6m의 비밀'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 http://www.ytn.co.kr[...] YTN 2010-08-17
[32] 뉴스인용 PD수첩 ‘4대강 비밀팀’ 방송금지 가처분 기각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8-17
[33] 뉴스인용 MBC 김재철 사장 "'PD수첩 4대강 비밀팀', 방송 보류하라" 지시(종합)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8-17
[34] 뉴스 MBC PD수첩 ‘4대강 수심 6m의 비밀’ 방영 이후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0-08-26
[35] 뉴스인용 'MB 무릎 기도사건' 보도 PD수첩 '입막음'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3-08
[3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