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형 웹 디자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응형 웹 디자인은 서버 측에서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감지하여 접속 기기의 종류와 화면 크기에 맞는 레이아웃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는 다양한 기기 환경에 최적화된 웹 경험을 제공하며, 반응형 웹 디자인보다 더 자유로운 디자인과 시스템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적응형 웹 디자인은 초기에는 데스크톱 중심의 웹 디자인에서 시작하여,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웹 디자인 접근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디자인 - 웹 접근성
웹 접근성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및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며, 웹 콘텐츠, 저작 도구,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과 법률,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접근성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웹 디자인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적응형 웹 디자인 |
|---|
2. 적응형 웹 디자인의 기술적 정의
적응형 웹 디자인은 기획 첫 단계부터 기기에 알맞은 해상도를 고려하여, 콘텐츠 양이 많을 경우 화면에 담길 콘텐츠의 양을 조절하고 기기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함으로써 가독성을 높이는 데 반응형 웹보다 자유롭다. 그리드 형태의 데이터 표현이 빈번할 경우, 디바이스 화면 크기에 맞는 열의 개수를 감안해 디자인하므로 반응형 웹에서 스크롤이 생기거나 해상도에 따라 열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해당하는 기기의 CSS 스타일과 소스만 로드하므로 반응형 웹에 비해 시스템 성능에 끼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2]
2. 1. 용어 정의
적응형 웹 디자인은 서버 측 감지를 통해 표시할 디자인 레이아웃과 크기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이다. 반응형 레이아웃을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웹 디자인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있다. 적응형 디자인은 일반적인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장치에 서로 다른 버전의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 용어는 에런 구스타프손(Aaron Gustafson)이 2011년에 쓴 그의 저서 ''적응형 웹 디자인: 프로그레시브 향상을 통해 풍부한 경험 구축''에서 처음 사용했다.[2]적응형 웹 디자인은 단일 웹 페이지에 여러 페이지 레이아웃을 사용하며 때로는 점진적 향상 (PE)을 사용한다. 적응형 모델은 "모바일 별도" 레이아웃이며, 이는 모바일 우선 JavaScript 및 반응형 웹 디자인의 점진적 향상과 대조된다. "모바일 별도"는 "모바일 우선"과 동일한 개념이지만, AWD의 디자인 레이아웃은 반응형 웹 디자인의 단일 디자인 레이아웃과 달리 별도의 기본 모바일 레이아웃을 갖는다는 점이 다르다.
기본 휴대폰의 웹 브라우저는 JavaScript 또는 미디어 쿼리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권장되는 방법은 복잡하고 이미지 중심적인 사이트가 작동하도록 우아한 성능 저하에 의존하기보다는 기본 모바일 레이아웃을 만들고 스마트폰에 점진적 향상을 사용하는 것이다.[3][4]
2. 2. 반응형 웹 디자인과의 비교
적응형 웹 디자인(Adaptive web design영어)은 서버 측 감지를 통해 표시할 디자인 레이아웃과 크기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이다. 반응형 레이아웃을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웹 디자인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있다. 적응형 디자인은 일반적인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장치에 서로 다른 버전의 페이지를 제공한다.[2]적응형 웹 디자인은 단일 웹 페이지에 여러 페이지 레이아웃을 사용하며 때로는 점진적 향상 (PE)을 사용한다. 적응형 모델은 "모바일 별도" 레이아웃이며, 이는 "모바일 우선" JavaScript 및 반응형 웹 디자인의 점진적 향상과 대조된다. "모바일 별도"는 "모바일 우선"과 동일한 개념이지만, 적응형 웹 디자인의 디자인 레이아웃은 반응형 웹 디자인의 단일 디자인 레이아웃과 달리 별도의 기본 모바일 레이아웃을 갖는다는 점이 다르다.
기본 휴대폰의 웹 브라우저는 JavaScript 또는 미디어 쿼리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복잡하고 이미지 중심적인 사이트가 작동하도록 우아한 성능 저하에 의존하기보다는 기본 모바일 레이아웃을 만들고 스마트폰에 점진적 향상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 방법이다.[3][4]
명칭에 대한 합의는 없으며, 적응형(adaptive)과 반응형(responsive) 모두 동일한 동작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반응형 디자인이라고 불리는 것은 표준 적응형 디자인보다 적은 수의 페이지 레이아웃(일반적으로 하나만)을 사용한다. 적응형 디자인은 일반적인 장치의 화면 크기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매우 가변적이므로 반응형 디자인보다 미래 보장성이 낮고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여겨진다. 하이브리드 적응형/반응형 디자인 모델은 반응형 레이아웃을 가진 여러 버전의 페이지를 포함한다.[8]
표준 적응형 레이아웃은 뷰포트의 페이지 반응형 스케일링(반응형 웹 디자인과 같이)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장치 또는 해상도에 대해 서로 다른 레이아웃을 만드는 접근 방식은 현재 드물며, 사이트가 새로운 반응형 디자인에 필요한 기술을 사용할 수 없는 비(非)스마트 인터넷 지원 모바일 장치 및 구식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려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8]
3. 적응형 웹 디자인의 역사와 발전
적응형 웹 디자인은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기 위한 웹 디자인 접근 방식의 발전 과정에서 등장했다. 특히, 모바일 기기가 데스크톱보다 더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러한 접근 방식이 중요해졌다.[5]
초기에는 데스크톱 환경에 최적화된 웹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으나,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화면 크기와 해상도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3G, 4G LTE와 같은 모바일 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했다. 특히,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등장은 적응형 웹 디자인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초기: 기술 발전과 필요성
초기에는 데스크톱 환경에 최적화된 웹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으나, 모바일 기기가 현재 데스크톱보다 더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함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적합하도록 초점을 맞춘 광범위한 웹 디자인 접근 방식이 중요해졌다.[5] 동적 웹 기술은 20년 이상 존재해 왔지만, 그래픽 레이아웃, 특히 모바일 기기용 동적 디자인은 비교적 최근의 개념이다. 데스크톱에서 모바일로의 전환은 적응형 웹 디자인에서 반응형 웹 디자인으로의 이동을 이끌었다.[6][7]3. 2. 표준 적응형 웹 디자인의 등장
적응형 웹 디자인은 페이지가 제공되기 전 HTTP GET 요청 중에 화면 크기를 감지하여 사용자 에이전트에 맞게 설계된 페이지를 로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표준 적응형 레이아웃은 일반적으로 320, 480, 760, 960, 1200, 1600 픽셀의 6가지 표준 화면 너비에 맞춰 설계된다.[8][9] 이는 모바일 최적화뿐만 아니라, 낮은 광학 해상도의 4:3 CRT 모니터에서 고해상도 16:9 LCD 모니터로 전환되는 과도기에도 필요했다. 다양한 모니터에 대해 유동적인 레이아웃을 만들기 위해 표준 적응형 웹 디자인이 사용되었다.[8]3. 3. 스마트폰 시대와 변화
스마트폰 초기에는 화면 크기가 매우 다양했고,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데스크톱 브라우저에서 풍부한 환경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고급 기능과 플러그인이 부족했다. 또한 모바일 인터넷 사용은 비용이 많이 들고 매우 느렸기 때문에, 더 적거나 품질이 낮은 이미지와 선명한 텍스트 래핑을 사용하여 "축소된" 모바일 페이지(m.* 형태의 하위 도메인)를 설계해야 했다.[8] 아이폰의 등장과 광범위한 3G 가용성은 적응형 표준 웹 디자인의 다음 주요 변화를 가져왔는데, 3G는 연결 속도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로 인해 사이트는 아이폰에 최적화된 모바일 레이아웃과 데스크톱 레이아웃의 두 가지 버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모바일 버전은 로딩 시간을 줄이기 위해 여전히 품질이 낮은 이미지로 "축소"되었으며, 때로는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가 없기도 했다. 디자인은 터치스크린 장치의 확산에도 영향을 받았으며, 웹사이트는 손가락을 포인터로 사용하여 탐색을 더 쉽게 만드는 더 큰 링크와 버튼을 사용했다. 이후 4G LTE의 빠른 모바일 광대역의 광범위한 구현은 느린 연결 속도에 대처하기 위해 모바일 미디어 품질을 낮추거나 콘텐츠를 줄일 필요가 없어짐을 의미했다.[8] 안드로이드 OS가 인기를 얻으면서 스마트폰 시장에 더 많은 변화를 도입했고, 표준 동적 웹 디자인의 다중 페이지 패러다임은 덜 일반적이 되었지만, 터치스크린 콘텐츠 디자인을 데스크톱 디자인과 완전히 분리하는 데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3. 4. 안드로이드 시대와 현재
안드로이드 OS의 확산으로 표준 동적 웹 디자인의 다중 페이지 패러다임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지만, 터치스크린 환경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위해 여전히 활용되기도 한다. 일부 개발자들은 머티리얼 디자인 등을 활용하여 기기별 레이아웃(Android, iOS, 데스크톱)을 별도로 제작하기도 한다. 이 방식은 페이지 디자인과 코드를 간소화하지만, 업데이트 시 세 가지 템플릿을 모두 편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8]4. 적응형 웹 디자인의 특징
적응형 웹 디자인은 기획 단계부터 다양한 기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콘텐츠와 디자인을 최적화한다. 서버 측 감지를 통해 표시할 디자인 레이아웃과 크기를 선택하며, 일반적인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장치에 서로 다른 버전의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 용어는 2011년 에런 구스타프손(Aaron Gustafson)이 쓴 저서 ''적응형 웹 디자인: 프로그레시브 향상을 통해 풍부한 경험 구축''에서 처음 사용되었다.[2]
적응형 웹 디자인은 단일 웹 페이지에 여러 페이지 레이아웃을 사용하며, 때로는 점진적 향상(PE)을 사용한다. "모바일 별도" 레이아웃은 "모바일 우선" JavaScript 및 반응형 웹 디자인의 점진적 향상과 대조된다. 기본 휴대폰의 웹 브라우저는 JavaScript 또는 미디어 쿼리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복잡하고 이미지 중심적인 사이트가 작동하도록 기본 모바일 레이아웃을 만들고 스마트폰에 점진적 향상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3][4]
4. 1. 가독성 향상
콘텐츠 양이 많을 경우, 각 기기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배치하여 가독성을 높인다.[1] 반응형 웹에 비해 기기에 알맞은 해상도를 고려하여 화면에 담길 콘텐츠의 양을 조절하고 기기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하는 데 자유롭다.[1]그리드 형태의 데이터 표현이 빈번할 경우, 디바이스 화면 사이즈에 맞는 열의 개수를 감안해 디자인하므로 반응형 웹에서 스크롤이 생기거나 해상도에 따라 열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1]
4. 2. 그리드 데이터 표현 최적화
그리드 형태의 데이터를 표현할 때, 각 기기 화면 크기에 맞는 열(column) 개수를 고려하여 디자인한다. 따라서 반응형 웹에서 스크롤이 발생하거나 해상도에 따라 열의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2]4. 3. 시스템 성능 영향 최소화
해당하는 기기의 CSS 스타일과 소스만 로드하므로 CSS 스타일과 소스들을 전부 로딩하는 반응형 웹에 비해 시스템 성능에 끼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Legacy Twitter Shutdown Means You Can't Tweet From The 3DS Anymore
https://screenrant.c[...]
2020-11-28
[2]
서적
Adaptive Web Design: Crafting Rich Experiences with Progressive Enhancement
Easy Readers, LLC
2011
[3]
웹사이트
Graceful degradation versus progressive enhancement
https://web.archive.[...]
2016-12-21
[4]
서적
Designing with Progressive Enhancement
http://filamentgroup[...]
2010-03-01
[5]
웹사이트
Desktop vs Mobile Market Share Worldwide
https://gs.statcount[...]
2024-02-19
[6]
웹사이트
The exodus from desktop to mobile: Why it matters and what to do about it
https://www.smartins[...]
2024-12-12
[7]
웹사이트
Desktop to mobile transition- Website Design in The USA
https://www.affordab[...]
2024-12-12
[8]
웹사이트
Choosing a web design: Responsive Vs Adaptive
https://www.justinmi[...]
2016-03-01
[9]
웹사이트
Designing for 10000 screens 4 layout tips for responsive web design
http://blog.venturep[...]
[10]
서적
Programming the Mobile Web
https://archive.org/[...]
2010-07-30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