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의 고향 - 199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설의 고향 - 1999년》은 1999년에 방영된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총 12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으며, 각 에피소드는 다양한 한국 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주요 에피소드로는 〈신조〉, 〈살아있는 무덤〉, 〈진사골의 한〉, 〈구미호〉, 〈재인의 아내〉, 〈깍짓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수재 시나리오 작품 - 땅울림 (드라마)
1995년에 방영된 드라마 《땅울림》은 김영철, 정애리 등이 출연하여 고산자 김정호가 대동여지도 제작에 평생을 바치는 이야기를 그린다.
전설의 고향 - 1999년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명 | 1999 전설의 고향 |
장르 | 공포 |
방송 기간 | 1999년 6월 28일 ~ 1999년 8월 3일 |
방송 횟수 | 12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연출 | 고영탁, 이강현, 이덕건, 전기상 |
책임 프로듀서 | 안영동 |
고화질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1999 전설의 고향 다시보기 |
이전 시리즈 | 전설의 고향 - 1998년 |
다음 시리즈 | 2008 전설의 고향 |
2. 각 에피소드
1999년에 방영된 '전설의 고향' 각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
- 제1화: 신조(神鳥) - 신녀 아란설(김소희 분)과 신궁무사 을비형(김래원 분)이 신조가 되어 고구려를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는 이야기.[1]
- 제2화: 살아있는 무덤 - 홍판서(한인수 분)의 죽은 막내아들 기두(안재모 분)의 스무 살 생일에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1]
- 제3화: 진사골의 한 - 몸종 분녀(이재은 분)가 김진사의 후처 추부인(이경표 분)의 투기로 인해 겪는 비극.[1]
- 제4화: 열녀문 - 소영(나경미 분)을 중심으로 열녀문에 얽힌 이야기.[1]
- 제5화: 호몽 - 이 진사(서인석 분)와 월례(노현희 분)를 중심으로 꿈과 현실을 넘나드는 이야기.[1]
- 제6화: 오세암(五歲庵) - 설정(김영기 분)과 무상(맹세창 분)을 중심으로 오세암 설화.
- 제7화: 구미호 - 호녀진과 호녀비(1인 2역, 김지영 분)와 갑수(최재원 분)를 중심으로 한 구미호 전설.[1]
- 제8화: 재인(才人)의 아내 - 재인폭포 전설 바탕, 재인(이상인 분)과 섬섬이(신은정 분)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 제9화 ~ 제10화: 깍짓손 - 관광가이드 정인(안연홍 분)과 일본인 관광객 쇼지(이세창 분)의 400년을 뛰어넘는 인과관계.[1]
- 제11화: 궁녀 - 궁녀 명아(고은아 분)를 중심으로 궁궐 내 기이한 사건.
- 제12화: 상사요(相思謠) - 백인옥(박찬환 분)과 황 낭자(이현경 분)의 사랑과 원한 이야기. 相思謠중국어는 1999년 8월 3일에 방영.[1]
2. 1. 제1화 : 신조(神鳥)
신녀 아란설과 신궁무사 을비형의 넋은 신조(神鳥)가 되어 고구려를 지켜주는 수호신이 되었다. 그들의 구국충정은 솟대로 전승되어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1]
2. 2. 제2화 : 살아있는 무덤
을씨년스러운 달밤, 주모는 암죽을 얻으러 온 귀기 어린 여인의 모습에 놀란다. 암죽을 얻어간 이 미모의 여인을 쫓아가던 건달들은 처참하게 죽고 여인은 갈라진 무덤 속으로 사라진다. 다음 날 홍판서의 집에는 험상궂은 무사들이 잔뜩 모여있다. 홍판서의 죽은 막내아들 기두의 스무 살 생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게 불러 모은 무사들이 까마귀 형태의 괴인에 의해 맥없이 죽어간다.[1]'''주요 등장인물'''
- 조은숙 : 기두의 전 부인 역
- 안재모 : 기두 역
- 한인수 : 홍판서 (기두의 아버지) 역
- 임혁 : 월하 (까마귀 악귀) 역
- 정재순 : 기두의 어머니 역
- 도지영 : 기두의 새 부인 역
- 이애정 (아역)
2. 3. 제3화 : 진사골의 한
비록 진사댁의 몸종이라는 천한 신분이지만 아리따운 용모를 가지고 태어난 분녀는 그 용모 때문에 천추의 한을 안고 살아간다. 김진사의 후처인 추부인의 투기로 인해 얼굴에 인두로 지지는 화상을 입게 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돌석과의 혼사를 앞둔 어느 날, 분녀는 망나니 하인인 꺽쇠에게 몸을 버리게 되고 돌석에게 결별을 선언한다. 분녀를 이해하지 못한 돌석은 자결을 하고 만다. 하지만 분녀는 이 모든 것이 추부인의 투기로 인한 소행임을 알게 된다.[1]'''주요 등장인물'''
2. 4. 제4화 : 열녀문
1999년 7월 6일에 방영된 제4화 '열녀문'은 홍영희가 극본을, 전성홍이 연출을 맡았다. 출연진으로는 소영 역의 나경미를 비롯하여 반효정, 이원희, 이기철, 양세윤, 김민정, 이재연, 이일웅, 이숙, 양재원, 장영주, 이경실 등이 있다.[1]2. 5. 제5화 : 호몽
다음은 1999년 7월 12일에 방영된 전설의 고향 - 제5화 호몽의 주요 등장인물이다.[1]2. 6. 제6화 : 오세암(五歲庵)
2. 7. 제7화 : 구미호
김지영은 호녀진과 호녀비 역(1인 2역)을, 최재원은 갑수 역을, 임혁은 사냥꾼 역을 연기했다.[1]2. 8. 제8화 : 재인(才人)의 아내
1999년 7월 20일에 방영된 〈재인의 아내〉는 김규완이 극본을, 고영탁이 연출을 맡았다. 재인폭포에 얽힌 전설을 바탕으로 재인(이상인 분)과 섬섬이(신은정 분)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황 부자 역은 김흥기가 맡았다.2. 9. 제9화 ~ 제10화 : 깍짓손
관광가이드인 정인이 일본인 관광객 쇼지를 만나면서 이상한 일들을 겪는다. 400년을 뛰어넘는 인과관계, 전생과 현생을 보여주는 점이 특이하다.[1]등장인물 |
---|
안연홍 : 전생 / 현생 정인 역 |
이세창 : 전생 / 현생 쇼지 역 |
선우재덕 : 전생 정인의 오빠 / 현생 김 형사 역 |
연규진 : 전생 / 현생 정인의 아버지 역 |
김주영 : 전생 일본 장수 / 현생 출판사 사장 역 |
이은주 : 미쯔오 (쇼지의 애인) 역 |
양영준 : 스님 역 |
손호균 : 전생 병사 / 현생 가와시마 역 |
2. 10. 제11화 : 궁녀
2. 11. 제12화 : 상사요(相思謠)
相思謠중국어는 1999년 8월 3일에 방영된 전설의 고향 12화이다. 극본은 임충, 윤색은 박성진, 연출은 이원익이 맡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