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쟁해군 계급 및 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쟁해군 계급 및 표장은 제독, 장교, 부사관, 수병, 장교후보 등 다양한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각 계급은 견장, 수장, 소매장, 군모의 장식, 훈장 등으로 구분되었다. 장교는 근무복, 예복, 만찬복 등 다양한 군복을 착용했으며, 수병은 세일러복, 피 재킷, 정식 근무복 등을 사용했다. 잠수함 승무원은 U보트 내에서의 활동을 위해 독자적인 스타일의 군복을 착용했으며, 육전 부대는 육군과 유사한 야전복을 사용했다. 이 외에도 오버코트, 군모, 슈탈헬름, 휘장류 등을 통해 계급과 소속을 나타냈다.

2. 계급

그로스아트미랄/Großadmiralde상급대장
게네랄라트미랄/Generaladmiralde대장
Admiral|아트미랄de중장
비체아트미랄/Vizeadmiralde소장
콘테라트미랄/Konteradmiralde견장

90px
90px
90px
90px
90px
수장
50px
50px
50px
50px
사령기
70px
70px
60px
60px
60px
colspan=6 style="background:#dadada"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원수상급대장대장중장소장NATO 대응 계급OF-10OF-9OF-8OF-7



전쟁해군의 장교 계급은 영관급 및 위관급으로 구성된다. 영관급 장교에는 준장(코모도레(Kommodore)), 대령(카피텐 추어 지(Kapitän zur See)), 중령(프레가텐카피텐(Fregattenkapitän)), 소령(코르페텐카피텐(Korvettenkapitän))이 있다. 위관급 장교에는 대위(카피텐로이트난트(Kapitänleutnant)), 중위(오버로이트난트 추어 지(Oberleutnant zur See)), 소위(로이트난트 추어 지(Leutnant zur See))가 있다.

장교 계급장은 견장과 수장으로 구분된다. 준장과 대령의 견장은 동일한 형태(

90px
)이나, 수장은 각각 다른 형태(
50px
,
50px
)를 사용한다.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의 견장은 각각
90px
,
90px
,
90px
,
90px
,
90px
이고, 수장은 각각
50px
,
50px
,
50px
,
50px
,
50px
이다.

국방군 육군과의 대응 관계를 보면, 전쟁해군의 준장 및 대령은 육군의 대령, 중령은 육군의 중령, 소령은 육군의 소령, 대위는 육군의 대위, 중위는 육군의 중위, 소위는 육군의 소위에 해당한다. NATO 대응 계급은 준장이 OF-6, 대령이 OF-5, 중령이 OF-4, 소령이 OF-3, 대위 및 중위, 소위가 OF-2, OF-1이다.

장교후보자 계급은 상급해상장교후보(오버페흔리히 추어 지/Oberfähnrich zur Seede), 해상장교후보(페흔리히 추어 지/Fähnrich zur Seede), 해상사관생도(지카데트/Seekadettde), 사관후보(오피치에잔베르터/Offiziersanwärterde)로 구성된다. 상급해상장교후보와 해상장교후보는 견장과 수장으로 계급을 나타낸다. 상급해상장교후보의 견장은
120px
이고, 해상장교후보의 견장은
120px
이다. 상급해상장교후보와 해상장교후보는 수장(
60px
)으로도 계급을 구별할수 있다. 해상사관생도와 사관후보는 견장이 없으며, 수장() 또한 없다.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은 상급해상장교후보는 통과장교후보, 해상장교후보는 장교후보, 해상사관생도는 사관생도, 사관후보는 사관후보에 대응된다. NATO 대응 계급은 상급해상장교후보는 OD-2, 해상장교후보, 해상사관생도, 사관후보는 OD-1이다.

2. 1. 장성

그로스아트미랄/Großadmiralde상급대장
게네랄라트미랄/Generaladmiralde대장
Admiral|아트미랄de중장
비체아트미랄/Vizeadmiralde소장
콘테라트미랄/Konteradmiralde견장수장사령기colspan=6 style="background:#dadada"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원수상급대장대장중장소장NATO 대응 계급OF-10OF-9OF-8OF-7


2. 2. 장교

전쟁해군의 장교 계급은 영관급 및 위관급으로 구성된다. 영관급 장교에는 준장(코모도레(Kommodore)), 대령(카피텐 추어 지(Kapitän zur See)), 중령(프레가텐카피텐(Fregattenkapitän)), 소령(코르페텐카피텐(Korvettenkapitän))이 있다. 위관급 장교에는 대위(카피텐로이트난트(Kapitänleutnant)), 중위(오버로이트난트 추어 지(Oberleutnant zur See)), 소위(로이트난트 추어 지(Leutnant zur See))가 있다.

장교 계급장은 견장과 수장으로 구분된다. 준장과 대령의 견장은 동일한 형태()이나, 수장은 각각 다른 형태(, )를 사용한다.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의 견장은 각각 , , , , 이고, 수장은 각각 , , , , 이다.

국방군 육군과의 대응 관계를 보면, 전쟁해군의 준장 및 대령은 육군의 대령, 중령은 육군의 중령, 소령은 육군의 소령, 대위는 육군의 대위, 중위는 육군의 중위, 소위는 육군의 소위에 해당한다. NATO 대응 계급은 준장이 OF-6, 대령이 OF-5, 중령이 OF-4, 소령이 OF-3, 대위 및 중위, 소위가 OF-2, OF-1이다.

2. 3. 장교후보

장교후보자 계급은 상급해상장교후보(오버페흔리히 추어 지/Oberfähnrich zur Seede), 해상장교후보(페흔리히 추어 지/Fähnrich zur Seede), 해상사관생도(지카데트/Seekadettde), 사관후보(오피치에잔베르터/Offiziersanwärterde)로 구성된다. 상급해상장교후보와 해상장교후보는 견장과 수장으로 계급을 나타낸다. 상급해상장교후보의 견장은 |120px]]이고, 해상장교후보의 견장은 |120px]]이다. 상급해상장교후보와 해상장교후보는 수장(|60px]])으로도 계급을 구별할수 있다. 해상사관생도와 사관후보는 견장이 없으며, 수장(|60px]]) 또한 없다.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은 상급해상장교후보는 통과장교후보, 해상장교후보는 장교후보, 해상사관생도는 사관생도, 사관후보는 사관후보에 대응된다. NATO 대응 계급은 상급해상장교후보는 OD-2, 해상장교후보, 해상사관생도, 사관후보는 OD-1이다.

2. 4. 부사관

2. 4. 1. 고급부사관

마트로젠슈탑소베어펠트베벨/Matrosenstabsoberfeldwebelde[1]상급수병상사
마트로제노베어펠트베벨/Matrosenoberfeldwebelde참모수병상사
마트로젠슈탑스펠트베벨/Matrosenstabsfeldwebelde[2]수병상사
마트로젠펠트베벨/Matrosenfeldwebelde견장수장colspan=5 style="background:#dadada"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참모상사최고상사상급상사NATO 대응 계급OR-9OR-8OR-7


2. 4. 2. 일반 부사관

일반 부사관 계급은 중사(Obermaat)와 하사(Maat)로 구성된다.

계급명중사(오버마트/Obermaatde)하사(마트/Maatde)
금장
중사 금장
하사 금장
견장
중사 견장
하사 견장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중사하사
NATO 대응 계급OR-6OR-5


2. 5. 수병

수병 계급은 최고수병장(마트로젠하웁트게프라이터/Matrosenhauptgefreiterde), 상급참모수병장(마트로젠오베어슈탑스게프라이터/Matrosenoberstabsgefreiterde)[3], 상급수병장(마트로젠오베어게프라이터/Matrosenobergefreiterde), 참모수병장(마트로젠슈탑스게프라이터/Matrosenstabsgefreiterde)[4], 수병장(마트로젠게프라이터/Matrosengefreiterde), 수병()으로 구성된다.

계급명최고수병장상급참모수병장상급수병장참모수병장수병장수병
금장|75px]]
수장|70px]]|80px]]
|80px]]
|80px]]|80px]]None
견장
|95px]]
국방군 육군 대응 계급참모병장상급병장병장
NATO 대응 계급OR-3aOR-4aOR-3bOR-4bOR-2OR-1


3. 군복

3. 1. 장교의 군복

3. 1. 1. 장교의 근무복

독일 해군의 규정에 따르면 장교의 근무복(Dienstanzug)에는 정식(Grosser)과 약식(Kleiner)이 있다.약식은 더블 브레스티드(5개의 단추 2열)의 옷깃이 트인 형태의 네이비 블루(짙은 남색) 재킷과 바지이다. 재킷의 오른쪽 가슴에는 국가 독수리 문장, 왼쪽 가슴에는 가슴 주머니가 있으며, 양쪽 허리에도 주머니가 2개 있다. 양 소매에는 계급을 나타내는 금색 선이 들어가며, 또한 그 위에 병과 식별장(Laufbahnabzeichen)이 붙는다. 약식에서도 장갑이나 단검을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통상 근무복이라도 정식은 예복과 같은 프록 코트를 착용한다. 정검 벨트, 단검, 훈장, 회색 장갑도 착용한다. 셔츠는 약식과 정식 모두 깃을 세우는 형태였지만, 후에 깃을 접는 형태로 바뀌었다. 정식은 전쟁 중에는 거의 착용되지 않았다. 상급 부사관은 전용 재킷에 장교에 준하는 액세서리를 착용했다.

3. 1. 2. 하계용 장교 근무복

하계에는 흰색 근무복을 사용한다. 이것은 가슴 주머니가 좌우에 두 개, 허리에도 좌우에 두 개 있으며, 모두 플리츠가 들어있다 . 또한 소매장은 없고, 대신 견장을 단다.

3. 1. 3. 장교의 예복

예복(그로세 우니포름/Grosse Uniformde)은 장교만 착용한다. 감색 프록코트이며, 정견장, 정모, 정검 벨트, 사브르, 흰 장갑, 훈장을 더한다.코트 안에는 깃이 있는 셔츠에 넥타이를 착용한다.장관의 경우 장관 장식 끈도 착용한다. 또한 정모도 장관의 것은 앞부터 뒤로 금색 장식 띠가 달려 있다.예복은 https://www.deutschekriegsmarine.de/index.php/uniformen-und-auszeichnungen/uniformen-anzugsarten/grosse-uniform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예복은 전쟁 중에는 거의 착용되지 않았다.

3. 1. 4. 만찬복

만찬복(Messeanzugde)은 장교의 야회용 정복이다. 조끼 위에 짧은 길이의 재킷을 착용한다. 재킷은 네이비 블루와 흰색이 있었으며, 안에는 흰색 셔츠와 검은색 넥타이를 착용한다. 조끼와 바지의 색상은 재킷에 맞추는 것으로 규정되었으나, 네이비 블루 재킷의 경우에는 조끼는 흰색도 허용되었다. 만찬복은 http://www.wehrmacht-lexikon.de/kriegsmarine/bekleidung/marineblau/messejacke.php 여기에서 볼 수 있다.

3. 2. 수병의 군복

3. 2. 1. 세일러복

병사와 하급 하사관의 수병의 통상 근무복(Dienstanzug)은 해군 군복으로 대표적인 세일러복(수병복)이다. 이 군장에는 감색과 흰색의 두 종류가 있으며, 흰색은 열대용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 종류를 혼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었다. 옷깃 부분은 탈착식이며, 그 아래에는 네커치프(Halstuch)를 착용한다. 왼쪽 팔에는 병과 식별장을 달고, 그 아래에는 V자형의 계급 소매장을 단다. 하급 하사관의 경우, 닻에 소속 병과장을 조합한 것과 계급 소매장의 유무로 계급을 나타냈다.

3. 2. 2. 피 재킷

피 재킷(독일어: Überzieher)은 외관은 피 코트와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얇은 울 재킷이다. 수병복 위에 착용했다. 수병복의 깃을 내놓지 않았다. 더블 브레스트의 곤색 재킷으로, 계급장은 깃과 왼쪽 소매에 있었으며, 하급 하사관의 경우에는 깃 주변에 금색 테두리가 있었다. 수병복과 마찬가지로 왼쪽 팔에는 병과 식별장과 V자형 계급 소매장을 달았다.

3. 2. 3. 수병의 정식 근무복

전쟁 전에는 병졸·하급 하사관은 정식 통상 근무복으로 길이가 짧은 남색 재킷을 수병복 위에 착용했다. 재킷은 앞섶 부분의 두 개의 단추를 체인으로 고정했다.。또한 그 외에도 더블 브레스트의 단추가 많이 있지만, 이것들은 장식 단추이다.。왼쪽 팔에는 수병복이나 피 재킷과 마찬가지로 병과 식별장과 V자형의 계급 소매장이 붙는다. 또한 남색의 수병모, 회색 장갑을 착용한다.。하계에는 흰색 제모의 착용도 허용되었다.。이 옷은 "퍼레이드용 재킷(Paradejacke)"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퍼레이드의 예장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훈장과 탄약통과 총검을 장착한 벨트를 착용하고 소총을 들었다.。1941년 이후에는 이 재킷은 사용되지 않았다.。

3. 3. 잠수함 승무원의 군복

U보트 승무원들. 제모에 흰색 커버를 씌운 앞쪽 인물은 함장


잠수함 U보트는 사실상 독일 해군의 주력이었으며, 그 승무원은 통상 파괴를 임무로 수개월 동안 함내에서 생활했다. 좁은 함내에는 필요 최소한의 물건만 반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독자적인 유니폼 스타일이 있었다. 잠항 시의 승무원들의 통상 군복은 U보트 전대(U-Flottille)의 본거지에 두고 갔다. 훈장 등도 잠항 시에는 모두 제거했다.

U보트 탑승 중에는 상당히 자유로운 복장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군인답지 않은 스타일의 사람도 많았다. 사적인 붉은 체크 셔츠를 입는 사람도 종종 보였다.

육상에서는 U보트 탑승원도 통상 군복 규정에 따라야 하지만, U보트 탑승원은 육상 근무 중에도 U보트 내의 분위기를 가지고 오는 풍조가 있어서, 엉성한 복장을 하고 있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독일군은 군복 규정에 엄격한 군대이지만, U보트 탑승원에 대해서는 그 임무의 특수성 때문에 어느 정도의 흐트러짐은 묵인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해 라이벌인 육군은 "해군은 엉성하다"는 뒷말을 했고, 종종 혈기 왕성한 U보트 탑승원은 육군 헌병과의 사이에 트러블을 일으켰다.

U보트에 특유한 군복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940년 대 프랑스 전에서 독일군은 데님 재질의 짧은 상의를 갖춘 영국군 배틀 드레스를 대량으로 입수했다. 독일군 당국은 U보트 작업복과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단추와 견장을 독일 해군용으로 교체한 것을 U보트 승무원에게 작업복으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재고가 없어질 때까지 지급이 계속되었고, 이후에는 독일에서도 생산하게 되었다. 이 작업복은 짧은 상의와 바지로 구성되었으며, 짧은 상의는 양쪽 가슴에 주름 주머니가 있고, 허리 밴드는 버클로 조이도록 되어 있었다.

수병 및 하사관용 가죽 재킷은 앞 단추가 4개인 싱글 브레스티드이며, 가슴 주머니는 왼쪽 가슴에만 있고, 옆 주머니는 좌우 2개이다. 이 재킷은 기관병용 의복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때와 거의 같았으며, 색깔만 검은색에서 회색으로 바뀌었다. 천으로 된 작업복과 마찬가지로 보통 계급장을 달지 않았다.

장교용 가죽 재킷은 하사관 및 수병용과 달리 무릎 길이의 더블 브레스티드(앞 단추가 2열)이며, 옆 주머니 위에 슬릿 포켓이 좌우에 있다. 그러나 주머니 위치에는 변형이 보이며, 슬릿 포켓이 없는 것도 존재한다. 이 옷은 따뜻하고 쾌적해서 승무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고, S보트(고속 어뢰정)에 탑승하는 장교들도 사용했다.

3. 3. 1. 영국군 배틀 드레스형 작업복

1940년 대 프랑스 전에서 독일군은 데님 재질의 짧은 상의를 갖춘 영국군 배틀 드레스를 대량으로 입수했다. 독일군 당국은 U보트 작업복과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단추와 견장을 독일 해군용으로 교체한 것을 U보트 승무원에게 작업복으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재고가 없어질 때까지 지급이 계속되었고, 이후에는 독일에서도 생산하게 되었다. 이 작업복은 짧은 상의와 바지로 구성되었으며, 짧은 상의는 양쪽 가슴에 주름 주머니가 있고, 허리 밴드는 버클로 조이도록 되어 있었다.

3. 3. 2. 가죽 재킷

수병 및 하사관용 가죽 재킷은 앞 단추가 4개인 싱글 브레스티드이며, 가슴 주머니는 왼쪽 가슴에만 있고, 옆 주머니는 좌우 2개이다. 이 재킷은 기관병용 의복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때와 거의 같았으며, 색깔만 검은색에서 회색으로 바뀌었다. 천으로 된 작업복과 마찬가지로 보통 계급장을 달지 않았다.

장교용 가죽 재킷은 하사관 및 수병용과 달리 무릎 길이의 더블 브레스티드(앞 단추가 2열)이며, 옆 주머니 위에 슬릿 포켓이 좌우에 있다. 그러나 주머니 위치에는 변형이 보이며, 슬릿 포켓이 없는 것도 존재한다. 이 옷은 따뜻하고 쾌적해서 승무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고, S보트(고속 어뢰정)에 탑승하는 장교들도 사용했다.

3. 4. 육전 부대의 군복

독일 해군은 군항 등에 주둔하는 육전 부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야전 임무를 위해 육군과 매우 유사한 야전복을 착용했다. 기본적으로 육군의 야전복과 같지만, 옷의 단추는 해군의 닻 마크가 디자인된 단추를 사용했고, 장교는 밑단 주머니의 모양이 달랐다. 칼라 장식은 육군과 같은 도펠리첸이지만, 색상이 약간 달랐다. 해군 병·하사관용 도펠리첸의 색상은 노란색으로 리첸 중앙에는 파란색 줄무늬가 있었지만, 1935년에 회색으로 변경되었고, 리첸 중앙에는 노란색 줄무늬가 들어갔다. 장관은 1943년 5월부터 야전복을 착용했고, 독자적인 칼라 장식이 규정되었다. 디자인은 육군 장관의 칼라 장식과 같지만, 대포의 색상이 육군은 적색인 반면 해군은 청색이었다. 바지 양쪽의 장관을 나타내는 줄무늬도 청색이었다.

4. 오버코트

독일 해군의 오버코트는 울, 가죽, 레인코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었다. 오버코트에는 소매장이 없어 견장을 달았으며, 정검 벨트 착용도 허용되었다. 장관급의 울 오버코트는 아래 깃을 옥수수 꽃 블루로 덧대었고, 접어 입을 수 있었다.

5. 군모

5. 1. 제모

해군의 제모는 해군 금색 독수리 문장과 그 아래 국가 색상의 원형장(코르카데)과 그것을 둘러싼 금색 떡갈나무 잎 장식이 부착되어 있다. 턱끈은 전 계급에서 검은 가죽이다. 바이저(챙)는 파란색 천으로 덮여 있으며, 가죽으로 테두리가 쳐져 있다. 바이저의 장식은 계급을 나타내는데, 위관은 금색 물결무늬, 좌관은 떡갈나무 잎 금색 장식 한 줄, 장관은 두 줄이 있다. U보트에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함장은 흰색 제모를 착용하는 관습이 있었다.

한편 육전부대의 제모는 육군의 제모와 유사하지만, 형태와 휘장류가 육군 제모와는 약간 다르다. 육전부대 제모의 턱끈은 장교가 은색 꼬임 끈이고 장관은 금색이다. 또한 해군의 일반 제모와 달리 바이저 부분에 계급을 나타내는 것은 없다. 크라운 부분과 밴드 부분의 주위에는 청색 테두리가 있다.

5. 2. 수병모

수병모에는 독수리 문장과 국가색 원형장(코카드)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악천후 시 모자를 고정하기 위한 긴 리본(페넌트)이 달려있다. 페넌트 전면에는 문자가 쓰여져 있었으며, 초기에는 근무함명이 적혀 있었지만, 1938년 이후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Kriegsmarine"(해군) 표기로 통일되었다. 수병모에는 흰색과 곤색이 있었지만, 흰색은 개전과 함께 폐지되었고, 곤색 수병모도 전시 중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다.

5. 3. 략모

해군의 략모는 1940년에 도입되어 수병모를 대체했다. 략모는 해군 군청색이며, 해군 금색 독수리 휘장과 국가색 원형장(코카드)이 부착된다. 또한 U보트 승무원의 략모에는 전대 및 개인 마크를 본뜬 배지가 부착된다.

6. 슈탈헬름

해군의 슈탈헬름에는 금색 독수리 문양 데칼이 부착된다.

7. 휘장류

7. 1. 국가독수리장



해군의 국가독수리장은 남색 바탕에 금색으로 수놓아져 있다. 군모의 크라운 부분이나 오른쪽 가슴에 부착한다.

7. 2. 계급장



전쟁해군의 계급은 견장과 소매장으로 표시한다.

7. 3. 훈장

전쟁해군에는 여러 종류의 훈장이 있었다. 함대 전투장, 구축함 전투장, U보트 전투장, 고속 어뢰정 전투장, 기뢰 제거정·잠수함 헌터·호위함 전투장, 연안 포병장, 봉쇄선 돌파장 등이 그것이다.

기뢰 제거정·잠수함 헌터·호위함 전투장


참조

[1] 문서 근속 13-15년
[2] 문서 근속 12년
[3] 문서 8년 근속
[4] 문서 6년 근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