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장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군 계급으로, 일반적으로 대령과 소장 사이의 장성급 계급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1성 장성으로 분류되며,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모두 준장 계급을 사용한다. 준장은 여단을 지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 군별로 계급장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 준장 -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해군의 운영과 행정을 총괄하는 최고 지휘관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대장 계급의 장교이며 해군의 모든 분야를 관할하고 국제 협력 증진에도 기여한다. - 대한민국 해군 준장 - 박양원
황해도 해주 출신인 박양원은 해군 장교와 의사, 교육자로 활동하며 해군본부 의무감, 해군병원 원장, 보건사회부 의정국장을 거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경희의료원장, 경희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 해병 준장 - 송인명 (1923년)
송인명은 1923년에 태어나 해병대 창설 멤버로 한국전쟁에 참전하고 준장으로 예편한 후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말년에 미국으로 이민하여 한인회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대한민국 해병 준장 - 오정근 (1929년)
오정근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관료로, 해병대 중령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 수산청장과 국세청장을 역임하고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세수 증대 기여와 민주주의 후퇴 기여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대한민국 공군 준장 -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대한민국 공군을 지휘·감독하는 최고위직이며, 초대 공군참모총장은 김정렬이다. - 대한민국 공군 준장 - 강호륜
강호륜은 일제강점기 비행훈련을 받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평양대공습 작전을 수행했으며, 공군본부 요직과 교통부 항공국장을 역임하다 1990년에 별세한 인물이다.
준장 | |
---|---|
준장 | |
계급 정보 | |
군종 | 장성급 장교 |
상위 계급 | 소장 |
하위 계급 | 대령 |
대한민국 국군 | |
국군 계급 | 준장 |
NATO 계급 코드 | OF-6 |
역사 | |
기원 | 16세기 후반의 유럽 17세기 초, 네덜란드 군대에서 처음 나타남 |
어원 | 영어 단어 'brigade'에서 유래 |
각국별 준장 | |
미국 | 미국 육군 미국 해병대 미국 공군 미국 우주군에서 사용 별 한 개를 사용하는 군장성(one-star general) |
영국 | 영국 육군 영국 해병대에서 사용 영국 공군의 'Air Commodore'(준장)에 해당 |
오스트레일리아 | 영국군과 동일한 계급 체계 준장은 'one-star'로 인식 |
캐나다 | 캐나다군에서 사용 프랑스어로는 'brigadier-général'이라고 함 'one-star' 장군 계급으로 분류 |
프랑스 | 'général de brigade'라고 부름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용 국군 장성급 장교 중 가장 낮은 계급 약칭은 '준장' 별 한 개를 단다. |
중국 | '준장'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계급 체계에서 존재하지 않음 ‘대교’(大校)가 준장에 가까운 위치임. |
기타 국가 | 대부분의 국가에서 장성급 장교의 가장 낮은 계급으로 사용됨 NATO 국가 표준 계급 코드 OF-6과 일치함 |
2. 계급장
국가 | 계급장 | 비고 |
---|---|---|
아르헨티나 육군 | [8] | |
방글라데시 육군 | ব্রিগেডিয়ার জেনারেল|Brigēḍiẏāra jēnārēlabn[9] | |
바베이도스 연대 | ||
벨리즈 방위군 | ||
베냉 육군 | [10] | |
볼리비아 육군 | [11] | |
브라질 육군 | [12] | |
브루나이 왕국 육군 | [13] | |
부르키나파소 지상군 | -- | [14] |
부룬디 육군 | Jenerai wa birigadern[15] | |
카메룬 지상군 | ||
캐나다 육군 | -- | Général de brigade프랑스어[16] |
중앙아프리카 지상군 | ||
칠레 육군 | [17] | |
콜롬비아 국립군 | [18] | |
콩고 민주 공화국 지상군 | -- | |
콩고 지상군 | -- | [19] |
쿠바 혁명군 | [20] | |
지부티 육군 | ||
도미니카 육군 | -- | [21] |
에콰도르 육군 | [22] | |
적도 기니 육군 | -- | |
에티오피아 지상군 | [23] | |
프랑스 육군 | -- | [24] |
가봉 육군 | ||
감비아 국군 | -- | |
과테말라 육군 | [25] | |
기니 지상군 | ||
기니비사우 육군 | -- | |
온두라스 육군 | [26] | |
인도네시아 육군 | -- | [27] |
코트디부아르 지상군 | -- | [28] |
라이베리아 지상군 | [29] | |
마다가스카르 지상군 | [30] | |
말레이시아 육군 | [31] | |
말리 육군 | -- | [32] |
멕시코 육군 | -- | [4] |
멕시코 육군 | -- | [4] |
몽골 지상군 | -- | [33] |
모로코 왕국 육군 | -- | [34] |
네팔 육군 | -- | सहायक रथी|Sahaayak ratheene[35] |
니카라과 육군 | -- | [36] |
니제르 육군 | [37] | |
나이지리아 육군 | [38] | |
파라과이 육군 | [39] | |
페루 육군 | [40] | |
필리핀 육군 | -- | [41] |
폴란드 육군 | [42] | |
르완다 지상군 | -- | [43] |
엘살바도르 육군 | -- | [44] |
세네갈 육군 | ||
싱가포르 육군 | [45] | |
남아프리카 육군 | [46] | |
탄자니아 육군 | -- | |
동티모르 육군 | ||
토고 육군 | [47] | |
트리니다드 토바고 연대 | [48] | |
튀니지 육군 | -- | أمير لواء|amir liwaar[49] |
미국 육군 | -- | [50] |
베네수엘라 육군 | ![]() | |
잠비아 육군 |
프랑스 육군의 준장 계급장은
2. 1. 대한민국 국군의 준장 계급장
대한민국 국군에서 준장은 1성 장성으로,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모두 동일하게 하나의 별을 사용한다.육군(포제 정장) | 육군(견장) | 육군(금속제) | 해군 | 해병대 | 공군 |
---|---|---|---|---|---|
![]() | ![]() |
프랑스에서는 "준장"(général de brigade프랑스어) 계급을 사용하는데, 이는 프랑스 하사관 계급인 brigadier프랑스어와는 다르다. 1793년까지 프랑스군에는 brigadier des armées프랑스어("군대의 준장") 계급이 있었으나,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계급 제도가 바뀌면서 폐지되고 maréchal de camp프랑스어가 준장으로 대체되었다.[3] 샤를 드 골이 대표적인 준장 계급 보유자였다.
3. 역사
1667년 루이 14세 시대에 미셸 르 테리에 루부아 공작의 육군 개혁으로 준장 계급이 제정되었다.[52] 앙시앵 레짐 시대 프랑스군 장군 계급은 7계급 제도였다.[53] 1788년에 준장은 폐지되었고,[55][56] 소장이 최하급 장군 계급이 되었다.
일본 제국 육군 및 해군에는 준장이 없었다. 자위대에도 준장에 상당하는 계급은 없지만, 육상자위대에서는 1좌(일)[65]이 준장과 동등하게 여겨진다. 2010년 이후 자위대의 해외 파병과 외국 군대와의 공동 행동이 증가하면서 "준장" 신설이 검토되었으나, 방위대강에는 언급되지 않았다.[67]
3. 1. 프랑스
프랑스는 "준장"(général de brigade프랑스어) 계급을 사용한다. 이 계급은 프랑스의 하사관 계급인 brigadier프랑스어와는 다르다. 모든 프랑스 장성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준장은 "장군"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지만, 육군 대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샤를 드 골 장군은 준장 이상으로 진급하지 않았다.[3]
1793년까지 프랑스군에는 brigadier des armées프랑스어("군대의 준장") 계급이 있었는데, 이는 고위 대령 또는 저위 여단장으로 묘사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여단장 계급은 마르샬 드 캉프프랑스어 (말 그대로 "야영 원수")였다. 계급 휘장이 도입되었을 때, brigadier des armées프랑스어는 별 하나를, maréchal de camp프랑스어는 별 두 개를 달았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계급 제도가 바뀌면서 brigadier des armées프랑스어 계급은 폐지되었고, maréchal de camp프랑스어는 준장으로 대체되었다. 준장 계급은 maréchal de camp프랑스어 계급의 별 두 개를 계승했는데, 이것이 1793년 이후 별 하나만 있는 프랑스 계급이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3]
오늘날 프랑스의 général de brigade프랑스어는 일반적으로 여단을 지휘한다. 이 계급은 퇴역하는 대령에게 명예직으로 수여될 수도 있다. 휘장은 별 두 개이며, 예복에 따라 어깨나 소매에 착용한다.
샤를 드 골은 준장 계급을 보유했다. 그는 1940년 5월 제4기갑사단 (4) 사령관으로 임시로 이 계급으로 진급했다. 그러나 자유 프랑스 수장으로서 그의 초기 권위는 군 계급이 아니라 점령된 프랑스 외부의 유일한 내각 구성원(국방 및 전쟁 차관)이었기 때문이다.
과거 '''대령'''은 계급(대령)이자 직책(연대장)을 겸했기 때문에, 재력 있는 귀족은 경험이 없어도 대령이 될 수 있었던 반면, 소위부터 시작하여 실력을 쌓은 인재라도 자금력이 없으면 중령이 한계였다. 그래서 이러한 인재들을 장군으로 발탁하기 위해 루이 14세 시대인 1667년에 프랑스에서 육군장관 미셸 르 테리에 루부아 공작의 육군 개혁의 일환으로 준장 계급이 제정되었다. 따라서 초기 준장은 대령을 거치지 않고 중령으로부터 임명되었다.[52]
앙시앵 레짐 시대 프랑스군 장군 계급은 아래 표와 같이 7계급 제도였다.[53]
이 시기의 준장은 1788년에 폐지되었고,[55][56] 소장이 최하급 장군 계급이 되었다. 현재 프랑스 육군의 육군 준장은 앙시앵 레짐 시대의 육군 소장의 명칭을 1793년에 개칭한 것이다.
3. 2. 일본
전쟁 전 일본 제국 육해군(육군 및 해군)에는 준장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의 자위대에도 준장에 상당하는 계급은 없지만, 육상자위대에서는 1좌(일)[65]이 준장과 동등하게 여겨진다.
영예례는 실시되지 않지만, 주로 부사단장이나 장보직의 부대장에 1좌로 취임한 경우나 1좌(일)의 단장직, 또는 사단막료장·여단 부여단장에 취임한 경우 등 해당 부대의 지휘관이 인정한 경우 등, 직책상 필요에 따라 탑승하는 차량에는 적색 플레이트판에 모장 또는 벚꽃 별 하나가 표시된 플레이트를 게시한다. 이것은 직위인 대장에 가까운 것이다. 한편, 1좌(일)이라도 계급 지정의 보직 이외에 취임한 경우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1좌 직은 백색 플레이트에 모장만 게시한다.
자위대의 해외 파병 실적과 미군 등 외국 군대와의 공동 행동이 증가하는 가운데,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66] 2010년 이후 "준장"을 신설하는 것이 방위성 내부에서 검토되었지만, 당해 연도 제정의 방위대강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67]
그러나 현재에도 외국군의 인사 균형에 대응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으며, 여단장, 단장 등, 그것과 동위 또는 준하는 직에 있는 장보는 국외에서는 준장의 대우를 받는다.
3. 3. 미국
미국 육군, 미국 공군, 미국 해병대, 미국 우주군에서 준장(Brigadier General)은 별 하나 계급의 장군이다. 다른 미군 계급으로는 해군의 소장(Rear admiral (lower half))에 해당한다.[1]미국 육군에는 50만 명이 넘는 정규군 현역 장병 중에서 약 3,600명의 대령이 있다. 그러나 준장이 될 수 있는 인원은 약 150명 정도이며, 진급은 매우 어렵다. 대령에서 준장이 되려면 대통령의 지명을 받고 상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미국 해군에는 오랫동안 별 하나 계급이 없었고(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별 하나 계급의 준장(代将)은 계급이 아니라 선임 대령의 직함이었음), 소장을 상반과 하반으로 나누어 하반 소장을 별 두 개이지만 육군 등의 준장에 상응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1982년에 별 하나 계급으로 Commodore Admiral이라는 명칭을 도입하고, 다음 해인 1983년에 Commodore로 줄였다. 1985년에 Rear Admiral (lower half)로 개칭되었다.[1]
군종 | 계급명 |
---|---|
미국 육군 | 준장(Brigadier General) |
미국 해군 | 준장(Rear Admiral (lower half)) |
미국 공군 | 준장(Brigadier General) |
미국 해병대 | 준장(Brigadier General) |
4. 각국의 준장
각국 군대의 준장(또는 여단장) 계급은 다음과 같다.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공군은 준장(Brigadier)을 공군 최고 계급으로 사용한다. 모든 장성을 준장 계급으로 지칭하며, 세부적으로 준장(최하위), 준장(중간), 준장(최고위)으로 나뉜다. 공군 참모총장 및 합동참모본부장이 공군 장교인 경우 준장 계급이 부여된다.
- 아르헨티나 육군은 준장 계급 대신 '''여단장'''(General de brigadaes)을 사용하며, 이는 사단장과 중장보다 낮은 최하위 장성 계급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군에서 준장은 임시 계급으로, 특정 임무(주로 여단 지휘) 기간에만 부여되었다. 1922년 '''대령 지휘관''', 1928년 '''준장'''으로 대체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준장 계급을 유지한 이들도 있었다.
- '''방글라데시'''
- 2001년 이전에는 '''준장(brigadier)'''으로 불렸으나, 이후 '''준장(brigadier general)''' 계급을 도입했다. "별 하나 계급"으로 분류되지만 장성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방글라데시 해군의 준장(commodore), 방글라데시 공군의 준장(air commodore)과 동급이다.
- '''벨기에'''
- général de brigade프랑스어(프랑스어) 및 brigadegeneraalnl(네덜란드어) 계급을 사용하나, 영구 승진은 없고 국제적인 맥락에서 필요한 직책을 맡은 대령에게 임시로 부여된다.
- '''브라질'''
- 브라질 육군 장성 중 가장 낮은 계급으로 를 사용하며, 별 두 개를 단다. 브라질 공군에서는 모든 고위 계급에 'Brigadeiro'가 포함되며, 별 개수에 따라 Brigadeiro(준장), Major-Brigadeiro(소장), Tenente-Brigadeiro-do-Ar(중장)로 구분된다.
- '''캐나다'''
- 캐나다군에서 육군 및 공군은 '''준장'''(BGen, brigadier-général프랑스어), 해군은 준장(commodore) 계급을 사용한다. 1990년대 후반까지 육군 여단과 공군 그룹을 지휘했으나, 현재 육군 여단은 대령이 지휘한다.
- '''칠레'''
- 칠레 육군은 준장(Brigadier)과 준장(General de Brigada)을, 칠레 공군은 코모도로(Comodoro)와 준장(General de Brigada Aérea)을 사용한다.
- '''콜롬비아'''
- 1953년 준장 계급이 신설되었고, 1960년대에 콜롬비아 군과 국가경찰에 준장, 소장, 대장의 세 가지 계급이 생겼다.
- '''프랑스'''
- "준장"(général de brigade프랑스어) 계급을 사용하며, 하사관 계급인 brigadier프랑스어와 구분된다. 샤를 드 골은 준장 계급이었으며, 자유 프랑스 수장으로서의 권위는 군 계급이 아닌 내각 구성원(국방 및 전쟁 차관)이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진급을 거부했다.
- '''아일랜드'''
- 육군과 공군은 준장이, 해군은 준장(commodore)이 여단을 지휘한다.
- '''이탈리아'''
- 이탈리아 육군 전투 병과는 generale di brigatait, 군수 및 기술 병과는 brigadier generaleit를 사용한다. 1926년 계급 명칭이 통합되었으며, 다른 군, 경찰 등에도 다양한 명칭으로 존재한다.
- '''멕시코'''
- General brigadieres와 General de brigadaes 두 가지 준장 계급이 있으며, 사단장보다 낮다.
- '''필리핀'''
- 육군, 공군, 해병대는 '''준장''', 해군, 해안경비대는 '''준장''', 소방청, 교정청은 '''경무관''', 국가경찰은 '''경찰 준장''', 혁명군(1890~1902)은 '''지알 데 브리가다'''를 사용하며, 소장 및 중장보다 낮은 최하위 장성 계급이다.
- '''폴란드'''
- Generał brygadypl (약칭 ''gen. bryg.'')는 폴란드 육군과 공군에서 가장 계급이 낮은 장성 계급이다.
- '''포르투갈'''
- 육군과 공군에서 Brigadeiro-General은 특별 지휘를 맡는 대령에게 임시로 부여되는 장군 계급이며, 해군의 준장 계급에 해당한다. 1999년에 재도입되었으며, 이전에는 Brigadeiro로 불렸다.
- '''스페인'''
- 육군, 공군, 해병대는 준장(general de brigadaes), 해군은 해군소장(contraalmirantees)을 최하위 장성 계급으로 사용한다.
- '''튀르키예'''
- 터키 육군과 터키 공군은 tuğgeneraltr, 터키 해군은 tuğamiraltr을 사용하며, 명칭은 여단을 뜻하는 터키어 tugaytr에서 유래했다.
- '''영국'''
- 과거 육군과 해병대에서 Brigadier-General을 사용했으나 1921년 폐지되었고, 현재는 준장에 해당한다.
- '''미국'''
- 육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에서 준장(Brigadier General)은 별 하나 계급의 장군이며, 해군의 소장(Rear admiral (lower half))에 해당한다.
- '''우루과이'''
- 우루과이 공군에서 준장은 공군 원수 다음으로 높은 계급이며, 육군의 장군, 해군의 준장과 동등하다. 상원의 승인을 받아 행정부에 의해 임명된다.
- '''과거 프랑스군의 준장'''
- 루이 14세 시대인 1667년에 루부아 공작의 육군 개혁으로 제정되었다. 초기 준장은 중령에서 바로 임명되었다. 앙시앵 레짐 시대 프랑스군 장군은 7계급 체계였으며, 1779년 규정에 따라 장군 계급은 대령 견장에 별 개수로 표시되었다.
- '''과거 일본군의 준장'''
- 일본 제국 육해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자위대에도 해당 계급은 없지만 육상자위대 1좌(일)이 준장과 동등하게 여겨진다.
- '''독일 연방군의 준장'''
- 육군과 공군은 Brigadegeneral|준장de, 해군은 Flottillenadmiral|함대 준장de[68]을 사용한다.
군종 | 계급명 |
---|---|
육군 | 준장(Brigadier General) |
해군 | 준장(Rear Admiral (lower half)) |
공군 | 준장(Brigadier General) |
해병대 | 준장(Brigadier General) |
군종 | 계급명 |
---|---|
육군 | Brigadier |
해군 | Commodore(준장) |
공군 | Air Commodore |
해병대 | Brigadier |
군종 | 계급명 |
---|---|
육군/카라비니에리/ | Generale di brigata|준장it |
공군 | Generale di brigata aerea|공군 준장it |
해군 | Contrammiraglio|소장it |
4. 1. 명칭
'''준장'''(Brig. Gen.)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하는 군 계급으로, 구 유럽식 계급 체계에서 유래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가장 계급이 낮은 장성이며, 일반적으로 대령과 소장 사이에 위치한다. 준장은 약 4,000명의 병력(4개의 대대)으로 구성된 여단을 지휘한다.일부 국가에서는 이 계급을 ''준장''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준장 계급을 사용하는 국가의 군대에서 준장과 동등한 계급이다. 이 계급은 유럽 군대에서 "준장"이 현장에서 여단을 지휘했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어권 이외의 국가에서는 준장을 여단장(旅団長)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 여단장이라는 호칭은 여단장을 소장으로 하는 국가에서도 사용된다.
프랑스에서는 육군장관 루부아 공작의 육군 개혁의 일환으로 1667년에 제정되었다.[52] 초기 준장은 대령을 거치지 않고 중령으로부터 임명되었다. 1788년에 폐지되었고,[55][56] 소장이 최하급 장군 계급이 되었지만, 별의 개수는 변경되지 않았다. 현재 프랑스 육군의 육군 준장은 1793년에 개칭한 것이지만, 1812~1848년까지는 구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독일 연방군 육군과 공군에서는 소장 이상은 구 유럽 방식의 호칭을 사용하는 반면, 준장은 프랑스 혁명 방식의 호칭을 사용한다.
4. 2. 역할
준장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하는 군 계급이다. 이 계급은 구 유럽식 계급 체계에서 유래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가장 계급이 낮은 장성이며, 일반적으로 대령과 소장 사이에 위치한다. 현장 지휘관으로 임명될 경우, 준장은 약 4,000명의 병력(4개의 대대)으로 구성된 여단을 지휘한다.일부 국가에서는 이 계급을 '준장'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준장 계급을 사용하는 국가의 군대에서 준장과 동등한 계급이다. 이 계급은 유럽 군대에서 "준장" 또는 단순히 "준장"이 현장에서 여단을 지휘했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 초반, 영국과 영연방 군대는 준장 계급을 임시 임명 또는 퇴역 시 명예 임명으로 사용했다. 1920년대에는 이 관행이 장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준장 사용으로 바뀌었다. 준장은 프랑스 혁명 체제의 장성 계급 명칭을 사용하는 국가에서 여단장의 계급이다.
계급명 général de brigade|제네랄 드 브리가드프랑스어(준장)은 프랑스 혁명군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는 준장과 소장을 모두 사용하는데, 이는 해당 국가가 법으로 여단장급 장교로 규정한 계급을 지칭하기 때문이다.
전쟁 전 일본 제국 육해군(육군 및 해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현재의 자위대에도 상당하는 계급은 없지만, 육상자위대에서는 1좌(일)[65]이 준장과 동등하게 여겨진다.
영예례는 실시되지 않지만, 주로 부사단장이나 장보직의 부대장에게 1좌로 취임한 경우나 1좌(일)의 단장직, 또는 사단막료장·여단 부여단장에 취임한 경우 등 해당 부대의 지휘관이 인정한 경우 등, 직책상 필요에 따라 탑승하는 차량에는 적색 플레이트판에 모장 또는 벚꽃 별 하나가 표시된 플레이트를 게시한다. 이것은 직위인 대장에 가까운 것이다. 한편, 1좌(일)이라도 계급 지정의 보직 이외에 취임한 경우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1좌 직은 백색 플레이트에 모장만 게시한다.
자위대의 해외 파병 실적과 미군 등 외국 군대와의 공동 행동이 증가하는 가운데,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66] 2010년 이후에 "준장"을 신설하는 것이 방위성 내부에서 검토되었지만, 당해 연도 제정의 방위대강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67] 그러나, 현재에도 외국군의 인사 균형에 대응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으며, 여단장, 단장 등, 그것과 동위 또는 준하는 직에 있는 장보는 국외에서는 준장의 대우를 받는다.
4. 3. 주요 국가
준장은 여러 국가의 군대에서 사용되는 군 계급이다. 이 계급은 구 유럽식 계급 체계에서 유래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가장 계급이 낮은 장성이며, 일반적으로 대령과 소장 사이에 위치한다. 현장 지휘관으로 임명될 경우, 준장은 약 4,000명의 병력(4개의 대대)으로 구성된 여단을 지휘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 계급을 ''준장''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준장 계급을 사용하는 국가의 군대에서 준장과 동등한 계급이다.
이 계급은 유럽 군대에서 "준장" 또는 단순히 "준장"이 현장에서 여단을 지휘했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 초반, 영국과 영연방 군대는 준장 계급을 임시 임명 또는 퇴역 시 명예 임명으로 사용했다. 1920년대에는 이 관행이 장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준장 사용으로 바뀌었다.
-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공군에서 준장 계급은 실제로 공군에서 가장 높은 계급이다. 이는 공군의 모든 장성을 지칭하는 데 준장 계급 및 그 파생 계급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준장(가장 낮은 장성), 준장(중간), 그리고 준장(가장 높은 계급)이다. 준장 계급은 공군 참모총장뿐만 아니라 합동참모본부장이 공군 장교인 경우에도 예약되어 있다.
아르헨티나 육군은 준장 계급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여단장'''(General de brigada|여단장es) 계급을 사용하며, 이는 사단장(General de Division|사단장es)과 중장(Teniente General|중장es)보다 낮은 최하위 장성 계급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군에서 '''준장''' 계급은 항상 임시 계급이었으며, 특정 임무(일반적으로 여단 지휘)에 배속된 기간 동안에만 유지되었다. (1915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여단은 대령이 지휘했다.) 다른 곳에 배속되면 계급이 해제되고 이전 계급으로 복귀했다. 이러한 정책은 여단장의 비교적 높은 교체율로 인해 고위 장교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방지했다. ''준장''은 예편 시 명예 계급으로도 사용되었다.
계급 휘장은 현재 소장과 같았지만 별/파이프가 없었다. 준장은 다른 장군들과 마찬가지로 같은 목걸이 패치(가운데에 금색 월계수 수놓은 선), 모자 휘장(월계관 안에 십자검과 지휘봉, 금색 수놓은 왕관으로 장식), 모자 차양(두 줄의 금색 월계수 수놓은 선)을 착용했다.
영국과 마찬가지로, 이 계급은 1922년 '''대령 지휘관'''으로, 1928년 '''준장'''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준장 계급을 가진 사람들은 전간기에 계속 그 계급을 유지했으며, 그중 마지막 사람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예편하거나 진급할 때까지 그랬다. 준장은 장군이었지만, 준장은 장군이 아니었는데, 이는 계급 휘장이 대령과 비슷하지만 추가적인 (세 번째) 별/파이프가 있고, 준장은 대령과 같은 목걸이 패치(진홍색 천에 진홍색 술 장식), 모자 휘장(금색 수놓은 왕실 문장), 모자 차양(한 줄의 금색 월계수 수놓은 선)을 착용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 '''방글라데시'''
2001년 이전에는 방글라데시 육군의 계급은 영연방 국가들의 계급 체계와 일치하여 '''준장(brigadier)'''으로 알려졌다. 2001년 방글라데시 육군은 '''준장(brigadier general)''' 계급을 도입했지만, "계급은 준장과 동등하게 유지되었고", "별 하나 계급"으로 분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준장은 장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 최하위 장성은 소장(Major General)이다. 준장은 방글라데시 해군의 준장(commodore)과 방글라데시 공군의 준장(air commodore)과 동급이다. 여전히 더 일반적으로 ''준장(brigadier)''이라고 불린다.
- '''벨기에'''
벨기에 육군은 général de brigade|준장프랑스어(프랑스어) 및 brigadegeneraal|준장nl(네덜란드어) 계급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작은 규모의 군대에서는 이 계급으로의 영구 승진이 없으며, 주로 국제적인 맥락(예: 주요 대사관의 무관)에서 해당 계급을 요구하는 직책을 맡은 대령에게 임시 승진으로만 수여된다.
- '''브라질'''
는 브라질 육군 장성 중 가장 낮은 계급이다. 즉,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장성 계급은 별 두 개 계급이며, ''General de brigada''는 별 두 개 계급장을 착용한다. 따라서 많은 국가들의 소장 계급에 해당합니다. 브라질 공군에서는 모든 고위 계급에 'Brigadeiro'가 포함됩니다. 별 두 개 계급은 ''Brigadeiro''(준장), 별 세 개 계급은 ''Major-Brigadeiro''(소장), 별 네 개 계급은 ''Tenente-Brigadeiro-do-Ar''(중장)이다.
- '''캐나다'''
캐나다군에서 '''준장'''(BGen) (brigadier-général|준장프랑스어) 계급은 육군 또는 공군 제복을 착용하는 장교에게 해당하는 계급이며, 해군 제복을 착용하는 장교에게는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준장과 동등하다. 준장은 장성 중 가장 낮은 계급이다. 준장은 대령 또는 해군 함장보다 상위 계급이며, 소장 또는 해군 소장보다 하위 계급이다.
준장이라는 계급 명칭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육군의 여단은 현재 대령이 지휘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까지는 여단을 준장이 지휘했다. 공군의 경우, 준장은 1990년대 후반에 해체될 때까지 공군 그룹을 지휘했다.
공군 제복에서 준장의 계급장은 소맷부리에 굵은 띠 하나와 엇갈린 칼과 지휘봉 아래에 은색 단풍잎 하나가 있으며, 모두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서비스 드레스 재킷의 견장과 다른 제복의 슬립온에 착용된다. 육군 제복의 계급장은 견장에 엇갈린 칼과 지휘봉 아래에 금색 단풍잎이 있으며, 모두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다. 정복 모자의 챙에는 두 줄의 금색 참나무 잎이 있고, 공군의 웨지 모자에는 귀덮개 가장자리에 은색 띠가 있다. 장성의 모자 계급장은 캐나다군 계급장을 수정한 것이다. 육군 준장은 서비스 유니폼 튜닉의 깃에 목걸이 패치를 착용한다.
준장은 처음에는 "장군"과 이름으로 구두로 호칭되며, 그 후에는 부하들로부터 영어로 "Sir" 또는 "Ma'am" 또는 프랑스어로 mon général|장군님프랑스어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관용차를 사용할 자격이 있다.
1968년 캐나다 왕립 공군, 캐나다 육군 및 캐나다 왕립 해군의 통합 이전에는 계급 체계와 계급장이 영국식을 따랐다. 이 계급장 체계는 2014년에 부활되었다. 육군에서는 "준장"이라는 용어가 현재 준장으로 알려진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공군에서는 공군 준장 계급을 사용했다.
- '''칠레'''
칠레 육군에서 준장(Brigadier)은 별 하나 계급이며, 준장(General de Brigada)은 바로 상위의 별 두 개 계급이다. 칠레 공군은 별 하나 계급에 코모도로(Comodoro)를 사용하지만, 별 두 개 계급의 공군 장교는 준장(General de Brigada Aérea) 계급을 갖는다. 이는 문자 그대로 '공군 여단장'을 의미한다.
- '''콜롬비아'''
준장 계급은 1953년 5월 21일 1325호 법령에 의해 신설되었다. 이 법령으로 중장과 대장 계급이 준장과 중장으로 대체되어 준장이 장성 계급의 첫 번째 계급이 되었다. 60년대에 이 계급들은 다시 개편되어 콜롬비아 군[1]과 국가경찰[2]에 준장, 소장, 대장의 세 가지 계급이 생겼다.
- '''프랑스'''
프랑스는 "준장"(général de brigade|준장프랑스어) 계급을 사용한다. 이 계급은 프랑스의 하사관 계급인 brigadier|준위프랑스어와 대조된다. 모든 프랑스 장성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준장은 "장군"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지만, 그가 육군 대장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샤를 드 골 장군은 준장 이상으로 진급하지 않았다.
1793년까지 프랑스군에는 brigadier des armées|군 준장프랑스어 계급이 존재했는데, 이는 고위 대령 또는 저위 여단장으로 묘사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여단장 계급은 마르샬 드 캉프|야전 원수프랑스어 (말 그대로 "야영 원수")였다. 계급 휘장이 도입되었을 때, brigadier des armées|군 준장프랑스어는 별 하나를, maréchal de camp|야전 원수프랑스어는 별 두 개를 달았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혁명가들의 국가 합리화 노력으로 계급 제도가 바뀌었다. brigadier des armées|군 준장프랑스어 계급은 폐지되었고, 일반적인 여단장 계급인 maréchal de camp|야전 원수프랑스어는 준장으로 대체되었다. 준장 계급은 maréchal de camp|야전 원수프랑스어 계급의 별 두 개를 계승했는데, 이것이 1793년 이후 별 하나만 있는 프랑스 계급이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3] 이러한 이유로 프랑스에서는 1949년 4월 4일 NATO가 설립된 후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준장으로 변경되었고, 그 이전에는 소장에 해당했다.
오늘날 프랑스의 général de brigade|준장프랑스어는 일반적으로 여단을 지휘한다. 이 계급은 퇴역하는 대령에게 명예직으로 수여될 수도 있다. 휘장은 별 두 개이며, 예복에 따라 어깨나 소매에 착용한다. 두 종류의 케피가 발급된다. 근무용 케피는 별 두 개를 달고, 정복 케피는 큰 월계수 띠가 있다(사단장 케피는 이보다 작은 띠 두 개가 있다).
샤를 드 골은 준장 계급을 보유했다. 그는 1940년 5월 제4기갑사단 (4) 사령관으로 임시로 이 계급으로 진급했다. 그러나 자유 프랑스 수장으로서 그의 초기 권위는 군 계급이 아니라 점령된 프랑스 외부의 유일한 내각 구성원(국방 및 전쟁 차관)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전시 직책을 기념하여 더 이상의 진급을 거부했다.
- '''아일랜드'''
행정 및 작전상의 이유로 국가는 두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에는 보병 여단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여단 그룹 구조는 각 여단의 별도 작전 책임 구역을 고려한 것이며, 해군과 공군의 지원을 받는다. 각 여단 편제와 공군은 준장이, 해군은 준장(commodore)이 지휘한다.
- '''이탈리아'''
이탈리아 국군에서 이 계급은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이탈리아 육군에서는 전투 병과 장교의 계급이 generale di brigata|준장it인 반면, 군수 및 기술 병과에서는 brigadier generale|준장it로 불린다. 1926년, brigadiere generale|준장it와 maggior generale in comando di brigata|여단 지휘 소장it가 통합되어 현재의 계급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계급은 이탈리아의 다른 군, 경찰 및 기타 기관에도 다양한 명칭으로 존재하며, 정부 최고 경영진 내에서 가장 낮은 수준과 관련이 있다.
- '''멕시코'''
멕시코군에는 두 가지 준장 계급이 존재한다. 가장 낮은 장교 계급은 General brigadier|준장es이며, 그 다음으로 낮은 계급은 General de brigada|여단장es이다. 이 두 준장 계급보다 높은 장교 계급은 사단장이다.[4]
- '''필리핀'''
필리핀에서는 '''준장'''(필리핀 육군, 필리핀 공군, 필리핀 해병대)/'''준장'''(필리핀 해군, 필리핀 해안경비대)/'''경무관'''(필리핀 소방청, 필리핀 교정청)/'''경찰 준장'''(이전에는 경무관)(필리핀 국가경찰)/'''지알 데 브리가다'''(1890~1902)(필리핀 혁명군])는 장성 계급 중 가장 낮은 계급이지만, 이미
5. 한국의 관점
전쟁 전 일본 제국 육해군(육군 및 해군)에는 준장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의 자위대에도 이에 상당하는 계급은 없지만, 육상자위대에서는 1등 육좌(1좌(일))[65]가 준장과 동등하게 여겨진다.
영예례는 실시되지 않지만, 주로 부사단장이나 장(將) 보직의 부대장으로 1좌에 취임한 경우, 1좌(일)의 단장(團長) 직, 또는 사단막료장·여단 부여단장에 취임한 경우 등 해당 부대의 지휘관이 인정한 경우 등에는 직책상 필요에 따라 탑승하는 차량에 적색 플레이트판에 모장 또는 벚꽃 별 하나가 표시된 플레이트를 게시한다. 이는 직위상 대장에 가까운 것이다. 한편, 1좌(일)라도 계급 지정 보직 이외에 취임한 경우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1좌 직은 백색 플레이트에 모장만 게시한다.
자위대의 해외 파병 실적과 미군 등 외국 군대와의 공동 행동이 증가하면서 균형을 맞추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66] 2010년 이후 "준장" 신설이 방위성 내부에서 검토되었지만, 당해 연도 제정된 방위대강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67]
그러나 현재에도 외국군과의 인사 균형에 대응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으며, 여단장, 단장 등 그와 동위 또는 준하는 직에 있는 장(將)보는 국외에서 준장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Decreto 1428 de 2007
http://www.mindefens[...]
2009-06-19
[2]
웹사이트
Decreti 1791 de 2000 (septiembre 14)
http://www.fuerzasmi[...]
2009-05-08
[3]
웹사이트
Les grades dans l'armée de terre
https://www.serviceh[...]
2009-05
[4]
웹사이트
Manual gráfico para el uso de Uniformes, Divisas y Equipo del Ejército y F.A.M.
http://www.sedena.go[...]
2019-06-27
[5]
웹사이트
It's official: Dela Rosa is new PNP chief
https://newsinfo.inq[...]
2016-07-01
[6]
웹사이트
Ley N° 19775
https://www.impo.com[...]
[7]
웹사이트
Constitución de la República Oriental del Uruguay
https://www.impo.com[...]
[8]
웹사이트
Grados
https://www.argentin[...]
Government of Argentina
2018-02-14
[9]
웹사이트
Ranks & insignia
https://joinbanglade[...]
[10]
웹사이트
LOI N° 2005-43 DU 26 JUIN 2006
https://www.ilo.org/[...]
National Assembly (Benin)
2006-06-26
[11]
트윗
Conoce la jerarquía de los grados del #Ejército
2019-12-10
[12]
웹사이트
Postos e Graduações - Exército
https://www.eb.mil.b[...]
Brazilian Army
[13]
웹사이트
Akta angkatan bersenjata diraja Brunei (Penggal 149)
http://www.agc.gov.b[...]
2013-12-16
[14]
웹사이트
LOI N° 037-2016/AN PORTANT CONDITIONS D'AVANCEMENT DES PERSONNELS D'ACTIVE DES FORCES ARMEES NATIONALES
https://lavoixdujuri[...]
2015
[15]
웹사이트
Loi organique N°1/ 04 du 20 février 2017 portant Missions, Organisation, Composition, Instruction, Conditions de service et Fonctionnement de la Force de Défense Nationale du Burundi
http://fdnb.bi/sites[...]
Government of Burundi
[16]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17-11-23
[17]
웹사이트
Distintivos de grados
http://www.ejercito.[...]
Chilean Army
[18]
서적
RGE 4-20.1: Reglamento de Uniformes, Insignias y Distinciones
https://drive.google[...]
National Army of Colombia
[19]
웹사이트
Grades appellations distinctions
https://defense.gouv[...]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the Congo)
[20]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minfar.g[...]
Ministry of the Revolutionary Armed Forces (Cuba)
[21]
웹사이트
Insignias
https://www.mide.gob[...]
Ministry of Defense (Dominican Republic)
[22]
웹사이트
Resolución No. MRL-2012
https://www.trabajo.[...]
Government of Ecuador
2012
[23]
비디오
Wetaderawī ma'iregochi # fana k'elemati
https://www.youtube.[...]
Fana Television
2020-12-06
[24]
서적
Instruction N° 10300/DEF/EMAT/LOG/ASH
https://rescue18.fr/[...]
Staff of the French Army
2005-06-13
[25]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mindef.m[...]
Ministry of Defence (Guatemala)
[26]
서적
Honduras: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995
[27]
웹사이트
Pangkat Harian
https://www.tni.mil.[...]
Indonesian National Armed Forces
[28]
웹사이트
GRADES / APPELLATIONS / DISTINCTIONS
http://www.defense.g[...]
Ministère de la Défense
[29]
웹사이트
Defense Act of 2008
http://www.vertic.or[...]
2008-09-03
[30]
웹사이트
LOI N° 96-029 portant Statut Général des Militaires
http://www.defense.g[...]
Ministry of Defence (Madagascar)
1996-11-15
[31]
웹사이트
Pangkat
http://www.mafhq.mil[...]
Malaysian Armed Forces
[32]
웹사이트
2011 - Plaquette sur les insignes et blasons des Forces Armées du Mali
http://www.memoriama[...]
2011-04-23
[33]
웹사이트
Order of the Chief of the General Staff: Number A / 595
https://www.gsmaf.go[...]
2019-11-25
[34]
서적
Morocco: a country study
1985
[35]
웹사이트
Nepali Army Rank Structure
https://www.nepalarm[...]
Nepali Army
[36]
웹사이트
Insignias de Grados Militares
https://www.ejercito[...]
Nicaraguan Armed Forces
2021-05-29
[37]
웹사이트
État des Lieux: Formation des forces de défense et de sécurité sur les droit de l'enfant au Niger
http://www.ibcr.org/[...]
Bureau international des droits des enfants
2020-09-28
[38]
서적
Nigeri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39]
서적
Paraguay: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05
[40]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ccffaa.m[...]
Joint Command of the Armed Forces of Peru
2021-05-29
[41]
웹사이트
Ranks and insignia
http://www.army.mil.[...]
Philippine Army
2021-11-20
[42]
웹사이트
Sposób noszenia odznak stopni wojskowych na umundurowaniu wojsk Lądowych i sił Powietrznych
https://www.wojsko-p[...]
Armed Forces Support Inspectorate
2024-10-23
[43]
웹사이트
RDF Insignia
https://www.mod.gov.[...]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Rwanda
2021-06-12
[44]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fuerzaa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El Salvador.
2021-05-29
[45]
웹사이트
SAF Rank Insignias
https://www.mindef.g[...]
Ministry of Defence (Singapore)
2021-06-07
[46]
웹사이트
Uniform: Rank insignia
http://www.army.mil.[...]
Department of Defence (South Africa)
2021-05-29
[47]
웹사이트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togolaise
http://jo.gouv.tg/si[...]
2021-06-16
[48]
웹사이트
Rank Chart (Commissioned Officers)
http://69.0.195.188/[...]
Trinidad and Tobago Defence Force
2021-05-27
[49]
웹사이트
U.S. Army Ranks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2021-05-27
[50]
웹사이트
Grados de Generales y Almirantes
http://www.ejercito.[...]
Government of Venezuela
2017-08-28
[51]
문서
1992년까지의 미국 공군 계급
[52]
서적
루이 14세의 군대 : 근대 군제로의 길
신기원사
2000
[53]
문서
계급과 지위, 칭호에 대한 설명
[54]
서적
군장·복식사 컬러 도감
이카로스 출판
2016-08-10
[55]
서적
군장·복식 컬러 도감
이카로스 출판
2016-08-10
[56]
서적
로베르 불어 대사전
쇼가쿠칸
1988-12-10
[57]
서적
알아두고 싶은 현대 군사 용어【해설과 사용법】
아리아드네 기획, 삼수사
2006-09-10
[58]
문서
계급 폐지에 대한 설명
[59]
문서
계급 제정 연도
[60]
문서
계급 폐지에 대한 설명
[61]
문서
각 병과의 최고 장관에 대한 칭호
[62]
문서
계급 개칭 및 폐지에 대한 설명
[63]
문서
당시 major-général의 의미
[64]
서적
로베르 불어 대사전
쇼가쿠칸
1988-12-10
[65]
문서
1佐의 최고 계급
[66]
문서
출처 필요
2021-09-00
[67]
문서
출처 필요
2021-09-00
[68]
문서
영어 번역
[69]
문서
사단 예하 여단의 지휘관 계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