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보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의 잠수함으로, 연합군의 선박을 공격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잠수함 건조가 금지되었으나 나치의 재군비 정책에 따라 건조를 재개했으며, 1,158척의 U보트를 건조하여 연합군 군함 및 상선 5,150척을 격침시켰다. 주요 U보트 에이스로는 귄터 프린, 요아힘 쉐프케, 오토 크레치머 등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753척의 U보트가 손실되었다. 현대에는 독일 HDW에서 개발한 209급과 214급 잠수함이 개발되어, 대한민국 해군도 209급(장보고급)과 214급(손원일급) 잠수함을 운용하며 U보트 기술을 활용하여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잠수함 - 독일 VII형 잠수함
독일 VII형 잠수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의 주력 잠수함으로, 700척 이상 건조되었으며 대서양 해전에서 연합군에 큰 피해를 입혔고, 다양한 파생형 중 VIIC형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잠수함 - 독일 IX형 잠수함
IX형 잠수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에서 운용된 대형 잠수함으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어뢰 공격에 대한 생존성을 높였고 어뢰, 함포, 기관포 등으로 무장했으며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사용해 수상 및 수중 항해가 가능했다. - 독일의 잠수함 - 212형 잠수함
212형 잠수함은 독일과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공기불요추진장치(AIP)를 탑재하여 장시간 잠항이 가능하며 독일 및 이탈리아 해군에서 운용되고 수출용 파생형인 214형 잠수함도 개발되었다. - 독일의 잠수함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 총력전 연설
총력전 연설은 1943년 요제프 괴벨스가 독일 스포츠 궁전에서 행한 연설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국민의 총력전 참여를 독려하고 볼셰비즘과 유대인을 적으로 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 프랑스의 대독 선전포고 (1939년)
1939년 프랑스의 대독 선전포고는 독일의 폴란드 침공에 대한 규탄과 자유 및 정의 수호를 명분으로 프랑스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계기가 된 사건이다.
U보트 |
---|
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U보트
독일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잠수함 건조가 금지되었으나 나치의 재군비에 따라 건조를 재개하였다. 두 번의 세계대전을 통해서 1,158척을 건조하여, 연합군의 군함 ·상선 5,150척(총톤수 2157만 726t)을 격침시켰다. 이중에는 전함 ·항공모함 ·구축함도 포함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1,000t 이상의 것도 출현하였다. 1940년 6월 ~ 1943년 5월까지 최고의 전성기였던 시절에는, 연합군 수송전단을 발견하면 단독으로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근해에 있는 유보트에게 연락을 해서 3척~15척이 집단으로 공격했다. 외각에서 공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대잠 방어망을 뚫고 들어가서 중앙에서 연합군 수상함을 공격했다.
유보트 에이스 정장으로는 퀸터 프린 (U-47,30척 격침), 요아힘 쉐프케 (U-100,97척), 오토 크레치머(U-99,46척)가 있었다. 연합군 수송 선단의 최고 사령관은 도널드 매킨타이어 (유보트 7척 격침) 이였다.
기간 중 753척의 유보트가 침몰당했고(해상에서 적의 공격 및 기타 원인으로 630척, 항구 내에서 기뢰 및 기타 원인으로 123척) 이와는 별도로 전쟁 끝 무렵 해외기지 철수 시 그들 승조원에 의해 자침 또는 폭파 215척, 그리고 종전 시 영국 또는 연합군 측에 빼앗긴 유보트도 무려 153척에 달했다.
2. 1. 개발 배경 및 역사
2. 2. 주요 제원 및 형식
U보트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독일 해군의 잠수함이다.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며, 각 형식별로 제원, 무장, 성능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형식 | 배수량(t) | 크기(m) | 엔진(hp) | 속도 | 항속거리 (마일/노트) | 무장 | 승무원 | 심도 | 생산 척수 |
---|---|---|---|---|---|---|---|---|---|
I-A | 수상: 862 수중: 983 | 높이: - 길이: 72.39 선폭: 4.3 | 수상: 3080 수중: 1000 | 수상: 18.6노트 수중: 8.3노트 | 수상: 6700/12 수중: 80/4 | 어뢰: 14발 기뢰: 28개 함포: 105mm 포탄: 150발 | 44~46명 | 200m | 2척 |
II-A | 수상: 254 수중: 303 | 높이: 8.6 길이: 40.9 선폭: 3.83 | 수상: 700 수중: 360 | 수상: 13노트 수중: 6.9노트 | 수상: 1600/8 수중: 35/4 | 어뢰: 5발 기뢰: 12개 함포: 없음 | 22~24명 | 150m | 6척 |
I-B | 수상: 279 수중: 328 | 높이: 8.6 길이: 42.7 선폭: 3.9 | 수상: 700 수중: 360 | 수상: 13노트 수중: 7노트 | 수상: 3100/8 수중: 43/4 | 어뢰: 5발 기뢰: 12개 함포: 없음 | 22~24명 | 150m | 20척 |
II C | 수상: 291 수중: 341 | 높이: 8.4 길이: 43.9 선폭: 3.82 | 수상: 700 수중: 410 | 수상: 12노트 수중: 7노트 | 수상: 3800/8 수중: 42/4 | 어뢰: 5발 기뢰: 12개 함포: 없음 | 22~24명 | 150m | 8척 |
II D | 수상: 314 수중: 364 | 높이: 8.4 길이: 43.97 선폭: 3.93 | 수상: 700 수중: 410 | 수상: 12.7노트 수중: 7.4노트 | 수상: 5650/8 수중: 56/4 | 어뢰: 5발 기뢰: 12개 함포: 없음 | 22~24명 | 150m | 16척 |
IX | 수상: 1032 수중: 1152 | 높이: 9.4 길이: 76.6 선폭: 4.7 | 수상: 4400 수중: 1000 | 수상: 18.2노트 수중: 7.7노트 | 수상: 10500/10 수중: 78/4 | 어뢰: 22발 기뢰: 44개 함포: 105mm 포탄: 110발 | 48~56명 | 230m | 8척 |
IX-B | 수상: 1051 수중: 1178 | 높이: 9.6 길이 : 76.5 선폭: 4.7 | 수상: 4400 수중 : 1000 | 수상: 18.2 수중 : 7.3 | 수상: 12000/10 수중: 64/4 | 어뢰: 22발 기뢰: 44개 함포: 105mm 포탄: 110발 | 48~56명 | 230m | 14척 |
IX-C | 수상: 1120 수중: 1232 | 높이: 9.4 길이: 76.76 선폭: 4.7 | 수상: 4400 수중: 1000 | 수상: 18.3 수중: 7.3 | 수상: 13450/10 수중: 63/4 | 어뢰: 22발 기뢰: 44개 함포: 105mm 포탄: 110발 | 48~56명 | 230m | 54척 |
IX-C/40 | 수상: 1120 수중: 1232 | 높이: 9.6 길이: 76.76 선폭: 4.67 | 수상: 4400 수중: 1000 | 수상: 19 수중: 7.3 | 수상: 13850/10 수중: 63/4 | 어뢰: 22발 기뢰: 44개 함포: 105mm 포탄: 110발 | 48~56명 | 230m | 87척 |
IX-D | 수상: 1610 수중: 1799 | 높이: 10.20 길이: 87.58 선폭: 5.35 | 수상: 4400 수중: 1000 | 수상: 20.8 수중: 6.9 | 수상: 12750/10 수중: 115/4 | 어뢰: 24발 기뢰: 48개 함포:105mm 포탄: 150발 | 55~63명 | 230m | 30척 |
IX-D/42 | 수상: 수중: | 높이: 길이: 선폭: | 수상: 수중: | 수상: 수중: | 수상: 수중: | 어뢰: 발 기뢰: 개 함포: | 명 | m | 21척 |
VII-A | 수상: 626 수중: 745 | 높이: 9.5 길이: 64.51 선폭: 4.37 | 수상: 2310 수중: 750 | 수상: 17 수중: 8 | 수상: 6200/10 수중: 94/4 | 어뢰: 11발 기뢰: 22개 함포: 88mm 포탄: 220발 | 42~46명 | 220m | 10척 |
VII-B | 수상: 753 수중: 857 | 높이: 9.5 길이: 66.5 선폭: 4.74 | 수상: 3200 수중: 750 | 수상: 17.9 수중: 8.0 | 수상: 8700/10 수중: 90/4 | 어뢰: 14발 기뢰: 26개 함포: 88m 포탄: 220발 | 44~48명 | 220mm | 24척 |
VII-C | 수상: 769 수중: 871 | 높이: 9.6 길이: 67.1 선폭: 4.74 | 수상: 3200 수중: 750 | 수상: 17.7 수중: 7.6 | 수상: 8500/10 수중: 80/4 | 어뢰: 14발 기뢰: 26개 함포: 88mm 포탄: 220발 | 44~52명 | 220m | 568척 |
VII-C/41 | 수상: 769 수중: 871 | 높이: 9.6 길이: 67.1 선폭: 4.74 | 수상: 3200 수중: 750 | 수상: 17.7 수중: 7.6 | 수상: 8500/10 수중: 80/4 | 어뢰: 14발 기뢰: 26개 함포: 88mm 포탄: 220발 | 44~52명 | 250m | 91척 |
VII-C/42 | 수상: 999 수중: 1099 | 높이: 10 길이: 68.7 선폭: 5 | 수상: 4400 수중: 750 | 수상: 18.6 수중: 7.6 | 수상: 12600/10 수중: 80/4 | 어뢰: 16발 기뢰: 26개 함포: 없음 | 44~52명 | 270m | 164척(계획) |
VII-D | 수상: 965 수중: 1080 | 높이: 9.7 길이: 76.9 선폭: 5.01 | 수상: 3200 수중: 750 | 수상: 16.7 수중: 7.3 | 수상: 11200/10 수중: 69/4 | 어뢰: 14발 기뢰: 15개 함포: 88mm 포탄: 220발 | 46~52명 | 200m | 6척 |
VII-F | 수상: 1084 수중: 1181 | 높이: 9.6 길이: 77.63 선폭: 4.91 | 수상: 3200 수중: 750 | 수상: 17.6 수중: 7.9 | 수상: 14700/10 수중: 75/4 | 어뢰: 14발 기뢰: 없음 함포: 없음 | 46~52명 | 200m | 4척 |
X-B | 수상: 1763 수중: 2177 | 높이: 10.2 길이: 89.8 선폭: 4.71 | 수상: 4800 수중: 1100 | 수상: 17.0 수중: 7.0 | 수상: 18450/10 수중: 93/4 | 어뢰: 15발 기뢰: 66개 함포: 105mm 포탄: 200발 | 48~60명 | 220m | 8척 |
XIV (보급함) | 수상: 1668 수중: 1932 | 높이: 11.71 길이: 67.10 선폭: 6.51 | 수상: 3200 수중: 750 | 수상: 14.9 수중: 6.2 | 수상: 12350/10 수중: 55/4 | 무장 없음 | 53~60명 | 240m | 10척 |
XXI | 수상: 1621 수중: 1819 | 높이: 11.3 길이: 76.7 선폭: 6.32 | 수상: 4000 수중: 4400 | 수상: 15.6 수중: 17.2 | 수상: 15500/10 수중: 340/5 | 어뢰: 23발 기뢰: 12개 함포: 없음 | 57~60명 | 280m | 118척 |
XXIII | 수상: 234 수중: 258 | 높이: 7.7 길이: 34.68 선폭: 3.66 | 수상: 630 수중: 580 | 수상: 9.7 수중: 12.5 | 수상: 2600/8 수중: 194/4 | 어뢰: 2발 기뢰: 없음 함포: 없음 | 14~18명 | 180m | 60척 |
주요 형식으로는 I형, II형, VII형, IX형, X형, XIV형(보급함), XXI형, XXIII형 등이 있다. 특히 XXI형은 현대적 잠수함의 시초로 평가받는다.
2. 3. 주요 작전 및 전투
2. 4. 연합군의 대응 및 U보트의 몰락
연합군은 U보트에 대항하기 위해 대잠 작전을 강화하고 새로운 레이다 기술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1] 이러한 노력은 U보트 격침에 크게 기여했다. 도널드 매킨타이어와 같은 연합군 지휘관들은 이러한 대잠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해상에서 적의 공격으로 손실된 U보트는 603척이었고, 원인 미상으로 20척, 사고로 7척이 손실되었다.[1] 항구에서는 적의 공격으로 81척, 기타 원인으로 42척이 손실되었다.[1] 총 753척의 U보트가 손실되었다.[1]
위치 | 원인 | 손실 수 |
---|---|---|
해상 | 적의 공격 | 603척 |
원인 미상 | 20척 | |
사고 | 7척 | |
항구 | 적의 공격 | 81척 |
기타 | 42척 | |
총계 | 753척 | |
209급 잠수함은 1960년대 말부터 서독 HDW에서 개발한 재래식 잠수함이다. 1,000톤에서 1,500톤 사이의 배수량을 가진 이 잠수함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수출되어, 2021년 기준 14개국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
3. 현대의 U보트
214급 잠수함은 209급 잠수함의 후속함으로 개발된 최신형 재래식 잠수함이다. 공기불요추진체계(AIP)를 탑재하여 잠항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한민국 해군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대한민국 해군은 209급 잠수함(장보고급 잠수함)과 214급 잠수함(손원일급 잠수함)을 운용하며 U보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잠수함들은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고 대한민국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09급 잠수함은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잠수함으로, 도입 당시 북한 잠수함에 대한 비대칭 전력으로 평가받았다. 이후 214급 잠수함은 공기불요추진체계(AIP)를 탑재하여 수중 작전 능력을 향상시켰다.
U보트 기술은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제공하고 있다.
3. 1. 전후 독일 잠수함 기술 발전
209급 잠수함은 1960년대 말부터 서독 HDW에서 개발한 재래식 잠수함이다. 1,000톤에서 1,500톤 사이의 배수량을 가진 이 잠수함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수출되어, 2021년 기준 14개국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
214급 잠수함은 209급 잠수함의 후속함으로 개발된 최신형 재래식 잠수함이다. 공기불요추진체계(AIP)를 탑재하여 잠항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한민국 해군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3. 2. 한국 해군과 U보트 기술
대한민국 해군은 209급 잠수함(장보고급)과 214급 잠수함(손원일급)을 운용하며 U보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잠수함들은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고 대한민국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09급 잠수함은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잠수함으로, 도입 당시 북한 잠수함에 대한 비대칭 전력으로 평가받았다. 이후 214급 잠수함은 공기불요추진체계(AIP)를 탑재하여 수중 작전 능력을 향상시켰다.
U보트 기술은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제공하고 있다.
3. 3. 미래 잠수함 기술 전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