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연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연두는 대한민국의 사진, 비디오, 설치 미술 작가로, 현실과 묘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작품 활동을 펼친다.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현대 미술관(MoMA)이 그의 작품을 소장하면서 국제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개인적, 문화적 기억, 꿈의 공간, 그리고 글로벌 대중 시각 문화를 작품의 소재로 활용하며, '에버그린 타워', '마법에 걸린', '원더랜드', '로케이션' 등의 연작과 '다큐멘터리 노스텔지어', '황혼의 서울' 등의 비디오 작품을 선보였다. 그의 작품은 국내외 여러 미술관 및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메상 수상자 - 최진실
1988년 데뷔 후 드라마와 영화에서 1990년대 최정상 배우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08년 자택에서 생을 마감하여 사회적 논의를 불러일으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여배우였다. - 그리메상 수상자 - 황신혜
황신혜는 1983년 MBC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배우로 활동했고, 1990년대 드라마 주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사업가로도 활동하며 방송 프로그램 진행을 맡은 대한민국의 배우, 탤런트, 모델, 방송인, 사업가이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오윤 (화가)
오윤은 소설가 오영수의 아들이자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의 대표 작가로, 흑백 목판화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삶과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고, 한국 전통 예술과 서구 미술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한국 현대 판화의 선구자로 인정받았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김민기 (가수)
김민기는 1970년대 저항가요를 대표하며, 가수, 작곡가, 극작가, 연출가로 활동했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연출했으며, 2024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정연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69년 |
직업 | 사진 작가 |
대표작 | 상록탑 |
소속 | 원앤제이 갤러리 |
학력 | |
학력 |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 미술학 석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 |
수상 | |
수상 내역 |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2008) 올해의 작가상 (2007) DAAD 베를린 예술가 프로그램 (2005) |
2. 학력
정연두는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예술대학에서 수학했다. 1997년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3] 이후 사진작가들과 교류하며 사진에 관심을 갖고, 문화적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6]
2. 1. 학력 상세
정연두는 서울대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했고, 데이비드 앤슬리 아래에서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예술대학에서 수학했다. 1997년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3]3. 생애 및 활동
1969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정연두는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 골드스미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17] 2009년에는 카바레 연극 '몬스터'(연출 수르야)의 무대미술가로 참여하며 예술 영역을 넓혔다.[25] 2011년에는 정연두 작가의 어머니가 '예술가의 장한 어머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3. 1. 국제적 활동 및 평가
2007년 최연소이자 사진·영상 부문에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받았고,[18] 2008년 상하이 비엔날레 아시아유럽문화상 등을 받았다. 그는 전 세계 미술 시장의 동향을 전하는 미국 잡지 《아트 앤 옥션(Art + Auction)》의 2012년 6월호 특집호에서 선정한 '가장 소장 가치 있는 50인의 작가'[19] 중 아시아계 작가로서는 유일하게 선정되었는데,[20] 한국 미술가로서는 처음이다.[21]2008년에는 뉴욕현대미술관(MOMA)이 그의 첫 비디오 작품 '다큐멘터리 노스탤지어'를 구입했다. 뉴욕현대미술관이 한국인 작가의 미디어 작품을 구입한 것은 백남준 이후 처음이라 화제가 되었다.[22]
이러한 국제적인 활동으로 '제2의 백남준'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23] 작가 자신은 그러한 평가에 대해 '너무 설익은 판단'이라고 말했다.[24]
3. 2. 다양한 예술 활동
정연두는 사진, 비디오, 설치 작업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현실과 묘사의 경계를 탐구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개인적, 문화적 기억, 꿈의 공간, 그리고 글로벌 대중 시각 문화를 작품에 활용한다.[4]`에버그린 타워 (2001)` 연작은 서울 광장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촬영한 32개의 가족 초상 사진을 모은 작품이다. 각 사진은 동일한 구조의 방을 배경으로 하지만, 장식과 가족 구성원의 차이를 통해 변화를 보여준다.[5] 이 작품은 당시 한국 사회에서 단독 주택이 아파트 건물로 대체되는 현상을 반영한다.[6]
`마법에 걸린 (Bewitched)` (2001) 연작은 젊은이들의 꿈을 연출된 사진으로 표현한 작품이다.[7] 정연두는 여섯 개 국가를 여행하며 현지인들에게 미래의 소망을 묻고, 그들이 현재의 모습과 꿈꾸는 미래의 모습을 동일한 자세로 연출하도록 하여 두 개의 대조적인 초상화를 제작했다.[8]
`원더랜드 (2004)` 연작은 아이들의 그림을 사진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그는 서울에서 수집한 1,200점의 그림 중 17점을 선택하고, 60명의 고등학생을 모집하여 작품에 참여시켰다.[9]
`로케이션 (Location)` (2006) 연작은 실제 풍경과 인공 세트를 대조하는 사진 모음으로, 제작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8]
`타임 캡슐 (2008)`은 한국 현대 미술가들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선정된 혼합 매체 인터랙티브 조각 작품이다.[10] 그의 사진 `청춘 (Adolescence) (2011)` 또한 이 프로젝트에 선정되었다.[11]
정연두는 2007년 최연소이자 사진-영상 부분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고,[18] 2008년 상하이비엔날레 아시아유럽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2008년에는 뉴욕현대미술관(MOMA)이 그의 첫 비디오 작품 `다큐멘터리 노스탤지어`를 구입했는데, 이는 백남준 이후 한국 작가의 미디어 작품으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22]
호주에서 열린 그의 첫 개인전에는 `다큐멘터리 노스텔지어 (Documentary Nostalgia)` (2007)와 `황혼의 서울 (Twilight Seoul)` (2012)이라는 두 개의 싱글 채널 비디오 작품이 포함되었다. `다큐멘터리 노스텔지어 (2007)`는 84분짜리 무성 비디오로, 고정된 카메라 앞에서 무대 스태프들이 장면을 분해하고 만드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 비디오는 작가의 아버지 집을 기억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실내에서 야외 풍경으로 이어지는 긴 장면 전환 시퀀스를 보여준다.[4] 이 작품은 태백산맥의 풍경을 재현하려는 시도에서 영감을 받았다.[3] `황혼의 서울`(8:40)은 동료 예술가 루카 파이니신(Luka Fineisin)과의 협업으로, 스튜디오에 남은 재료들을 활용하여 서울의 파노라마를 만드는 과정을 담고 있다.[4]
그의 첫 연극 공연 `시네마지션 (Cinemagician)`은 2009년 뉴욕의 아시아 소사이어티에서 공연되었다.[12] 2014년 일본 미토 예술관에서 열린 전시회 '세상의 길처럼 (Just Like the Road) across the Earth'에는 `맹목적 시점 (Blind Perspective)` (2014), `보라매 댄스홀 (Boramae Dance Hall)` (2001), `여섯 개의 점, 평범한 낙원 (Six Points, Ordinary Paradise)` (2010) 등이 포함되었다. 이 작품들은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잃어버린 풍경을 중심으로 한다. `맹목적 시점 (2014)`은 쓰나미 이후 일본에서 발견된 잔해로 만들어진 조각적 풍경으로, 가상 현실 헤드셋을 착용하면 잔해가 꽃과 산과 같은 자연 요소로 변형된다.[13]
4. 작품 세계
정연두는 현실과 묘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사진, 비디오, 설치 작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인적, 문화적 기억, 꿈의 공간, 글로벌 대중 시각 문화를 작품에 활용한다.[4] 2008년에는 혼합 매체 인터랙티브 조각 '타임 캡슐'이, 2011년에는 사진 '청춘'이 한국 현대 미술가들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한국 작가 프로젝트에 선정되었다.[10][11] 2009년에는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에서 첫 연극 공연 '시네마지션'을 선보였다.[12]
4. 1. 주요 작품 경향
정연두는 사진, 비디오, 설치 작업을 통해 현실과 묘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작품 경향을 보인다.[4] 그는 개인적, 문화적 기억, 꿈의 공간, 그리고 글로벌 대중 시각 문화를 작품에 활용한다.[4]'에버그린 타워 (2001)' 연작은 서울 광장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촬영한 32개의 가족 초상 사진을 모은 것이다. 방의 구조는 동일하지만, 장식과 가족 구성원의 모습은 각기 다르다.[5] 이 작품은 단독 주택이 아파트 건물로 대체되던 한국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다.[6]
'마법에 걸린 (Bewitched)' (2001) 연작은 젊은이들의 꿈을 연출된 사진으로 표현한 작품이다.[7] 정연두는 여섯 개 나라를 여행하며 현지인들에게 미래의 소망을 묻고, 현재의 모습과 꿈을 나타내는 미래의 모습을 동일한 자세로 연출하여 두 장의 대조적인 초상화를 제작했다.[8]
'원더랜드 (2004)' 연작은 아이들의 그림을 사진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서울에서 수집한 1,200점의 그림 중 17점을 선택하고, 60명의 고등학생을 모집하여 작품 제작에 참여시켰다.[9]
'로케이션 (Location)' (2006) 연작은 실제 풍경과 인공 세트를 대조하는 사진 연작으로, 제작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8]
'다큐멘터리 노스텔지어 (Documentary Nostalgia)' (2007)는 84분짜리 무성 비디오 작품으로, 고정된 카메라 앞에서 무대 스태프들이 장면을 분해하고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버지의 집을 기억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실내에서 야외 풍경으로 이어지는 긴 장면 전환 시퀀스가 특징이다.[4] 이 비디오는 태백산맥의 풍경을 재현하려는 시도에서 영감을 받았다.[3]
'황혼의 서울 (Twilight Seoul)' (2012)은 동료 예술가 루카 파이니신(Luka Fineisin)과의 협업으로 제작된 비디오 작품이다. 정연두의 스튜디오에 남은 재료들을 활용하여 서울의 파노라마를 만들고, 카메라 앞에서 선택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을 담았다.[4]
'맹목적 시점 (Blind Perspective)' (2014)은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 이후 일본에서 발견된 파괴된 기반 시설과 폐기물로 만들어진 조각적 풍경이다. 관람자가 가상 현실 헤드셋을 착용하면 잔해는 쓰나미 이전의 풍경을 이루었던 자연 요소로 변형된다.[13]
4. 2. 대표 작품
정연두는 현실과 묘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사진, 비디오, 설치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개인적, 문화적 기억, 꿈의 공간, 그리고 글로벌 대중 시각 문화를 활용한다.[4]- 에버그린 타워 (2001): 서울 광장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촬영한 32개의 가족 초상 사진 모음이다. 방의 구조는 동일하며, 장식과 가족 구성원만 다르다.[5] 이 작품이 제작될 당시 한국에서는 단독 주택이 아파트 건물로 대체되고 있었다.[6]
- 마법에 걸린 (Bewitched, 2001): 젊은이들의 꿈을 연출된 사진으로 표현한 작품이다.[7] 작가는 6개국을 여행하며 현지인들에게 미래의 소망을 묻고, 현재 모습과 꿈을 나타내는 미래의 자아를 동일한 자세로 연출하여 두 개의 대조적인 초상화를 만들었다.[8]
- 다큐멘터리 노스텔지어 (Documentary Nostalgia, 2007): 84분짜리 무성 비디오 작품이다. 고정된 카메라 앞에서 무대 스태프들이 장면을 분해하고 만드는 과정을 담았다. 아버지의 집을 기억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실내에서 야외 풍경으로 전환되는 긴 시퀀스가 특징이다. 이 비디오는 태백산맥 풍경을 재현하려는 시도에서 영감을 받았다.[3]
- 황혼의 서울 (Twilight Seoul, 2012): 동료 예술가 루카 파이니신(Luka Fineisin)과의 협업 작품이다. 스튜디오에 남은 재료들을 활용하여 서울의 파노라마를 만들고, 카메라 앞에서 선택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을 담았다.[4]
- 세상의 길처럼 (Just Like the Road across the Earth, 2014): 2011년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잃어버린 풍경을 중심으로 한 사진, 비디오, 설치 작품 전시다. 미토 예술관에서 열렸으며, '맹목적 시점 (Blind Perspective, 2014)', '보라매 댄스홀 (Boramae Dance Hall, 2001)', '여섯 개의 점, 평범한 낙원 (Six Points, Ordinary Paradise, 2010)' 등이 포함되었다. '맹목적 시점 (2014)'은 쓰나미 이후 일본에서 발견된 파괴된 기반 시설과 폐기물로 만들어진 조각적 풍경으로, 가상 현실 헤드셋을 통해 쓰나미 이전의 풍경으로 변형된다.[13]
5. 개인전
정연두는 여러 차례 개인전을 열었다. 2001년 《보라매 댄스홀》, 2002년 《도쿄 브랜드 시티》, 《화복루》, 2003년 《내 사랑 지니》, 2004년 《이상한 나라》, 2006년 《아유 론썸 투나잇》, 2007년 《원더란드》, 《아이 윌 리멤버 유》, 《당신의 기억들 - 올해의 작가 2007》, 2008년 《당신의 외로움을 위해》 등을 개최했다.[26]
5. 1. 주요 개인전
연도 | 전시명 | 장소 | 국가 |
---|---|---|---|
2001년 | 보라매 댄스홀 | 갤러리 룩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서울 |
2002년 | 도쿄 브랜드 시티 | 코야나기 갤러리 | 日本|일본일본어 도쿄 |
2002년 | 화복루 (차이니즈 럭키 에스테이트) | 1A 스페이스 | 香港|홍콩중국어 |
2003년 | 내 사랑 지니 (마법에 걸린) | 갤러리 룩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서울 |
2004년 | 이상한 나라 (비트 잇) | 인사아트센터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서울 |
2005년 | 원더랜드 | 티나 김 파인 아트 | United States|미국영어 뉴욕 |
2006년 | 아 유 론썸 투나잇? | 국제갤러리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서울 |
2007년 | 원더랜드 | 갈레리아 에스파시오 미니모 | España|스페인es 마드리드 |
2007년 | 아이 윌 리멤버 유 | ACA 갤러리, 애틀랜타 / 레드 갤러리, 사바나 예술대학 | United States|미국영어 조지아 |
2007년 | 당신의 기억들 - 올해의 작가 2007 | 국립현대미술관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과천 |
2007년 | 로케이션스 | 티나 김 갤러리 | United States|미국영어 뉴욕 |
2008년 | 당신의 외로움을 위해 | 갤러리 게브르. 레만 | Deutschland|독일de 드레스덴/베를린 |
2008년 | 다큐멘타리 노스탈지아 | ||
2014년 | 무겁거나, 혹은 가볍거나 | [26] |
6. 작품 소장처
정연두 작가의 작품은 아트선재센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시립 미술관, 쌈지 스페이스, 경기도 미술관 등 국내 주요 미술관과 기관, 그리고 뉴욕 현대 미술관[2], 칼더 재단, 에스티 로더사, 뉴 라인 시네마,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학교 미술관[2], 사바나 예술 디자인 대학, 조이 오브 기빙 썸씽 재단(이상 미국),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일본), 모데나 저축은행 재단[2](이탈리아), 파마사이언스의 조데스 컬렉션(캐나다) 등 해외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6. 1. 주요 소장처
국가 | 도시 | 소장처 |
---|---|---|
대한민국 | 서울 | 아트선재센터 |
미국 | 뉴욕 | 칼더 재단(The Calder Foundation) |
미국 | 뉴욕 | 에스티 로더(Estee Lauder)사 |
이탈리아 | 모데나 | 모데나 저축은행 재단(Fondazione Cassa di Risparmio di Modena)[2] |
일본 | 후쿠오카 |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
대한민국 | 안산 | 경기도 미술관 |
캐나다 | 몬트리올 | 조데스 컬렉션(Joddes Collection), 파마사이언스(Pharmascience) |
미국 | 뉴욕 | 조이 오브 기빙 썸씽 재단(Joy of Giving Something Foundation) |
미국 | 뉴욕 | 뉴욕 현대 미술관[2] |
대한민국 |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
미국 | 뉴욕 | 뉴 라인 시네마(New Line Cinema) |
미국 | 프로비던스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학교 미술관(RISD Museum)[2] |
미국 | 사바나 | 사바나 예술 디자인 대학(Savannah College of Art and Design) |
대한민국 | 서울 | 서울 시립 미술관 |
대한민국 | 서울 | 쌈지 스페이스 |
참조
[1]
웹사이트
Artist Jung Yeon-doo chosen for MMCA Hyundai Motor Series 2023
https://www.koreaher[...]
2023-03-07
[2]
서적
Contemporary Photography from the Far East, Asian Dub Photography
Skira
[3]
간행물
Magical Realist
https://m.kukjegalle[...]
2013-12
[4]
간행물
Yeondoo Jung
https://eprints.qut.[...]
2014
[5]
서적
Korean Art from 1953: Collision, Innovation, Interaction
Phaidon Press
[6]
웹사이트
Korean Artist Project
http://www.koreanart[...]
2023-05-22
[7]
간행물
Art and Globalization: Then and Now.
http://www.jstor.org[...]
2007
[8]
서적
New Nature
Govett-Brewster Art Gallery
[9]
웹사이트
K11 Art Foundation
https://www.k11artfo[...]
2023-05-22
[10]
간행물
Keeping It Real: Korean Artists in the Age of Multi-Media Representation
https://www.academia[...]
2012
[11]
간행물
Koreans are White?: Art, Nation and Post-Globalization
http://www.tandfonli[...]
2013-07
[12]
웹사이트
Yeondoo Jung: Cinemagician
https://asiasociety.[...]
2023-05-22
[13]
간행물
"Synthetic Experience" as Social Commentary and Alternative Media Practitioners in Contemporary Korean Art / Korean Title: 사회적 비판으로서의 '합성적 체험'과 한국 동시대 미술의 대안적 미디어 실천자들
https://www.academia[...]
2017
[14]
뉴스
'[전시
[15]
뉴스
꿈•현실 넘나드는 환상 주제…미디어 아티스트, 정연두…한국작가론 유일하게 선정
http://news.heraldco[...]
헤럴드 경제
2012-07-23
[16]
웹사이트
꿈을 만드는 미디어 아티스트 정연두
http://www.queen.co.[...]
[17]
웹사이트
네이버 캐스트 <정연두>
http://navercast.nav[...]
[18]
뉴스
미술같은… 마술같은… 꿈과 현실의 혼재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9-10-28
[19]
뉴스
세계적 컬렉터와 딜러가 점찍은 미래스타 50명은?
http://news.heraldco[...]
2012-07-24
[20]
뉴스
설치작가 '정연두' 소장가치 50인에… 美아트 앤 옥션 6월호 선정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2-06-28
[21]
뉴스
정연두 씨 '소장가치 있는 50인의 작가' 선정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2-06-28
[22]
뉴스
뉴욕 현대미술관, 정연두 영상작품 구입키로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8-06-17
[23]
뉴스
3D로 만나는 ‘지옥의 문’ 그 처절함… ‘제2의 백남준’ 정연두 작가 3월 13일부터 개인전
http://news.kukinews[...]
2014-03-11
[24]
뉴스
제2의 백남준은? 강익중 정연두… 백남준 맥 이을까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1면
2010-01-12
[25]
뉴스
"'제2의 백남준' 정연두, "연극무대, 예술로 승화""
https://news.v.daum.[...]
OSEN
200-01-14
[26]
뉴스
가상과 실재, 경계를 오가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3-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