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상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장상팡은 중국의 언어학자로, 고대 중국어 음운론 연구에 기여했다. 저장성 원저우에서 태어나, 지질학을 전공하며 상고한어 음운론을 연구했다. 1960~70년대에는 방언 조사를 진행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공장으로 보내지기도 했다. 판우윈 등과 교류하며 상고한어 재구를 6모음 체계로 다듬었고, 이는 윌리엄 백스터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발된 체계와 유사하다. 주요 저서로는 "월인가" 해독, "고대 중국어의 음운 체계", "상고음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학자 -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는 영국의 외교관이자 언어학자, 중국학 교수로, 아편 전쟁 참전 후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국어 교육에 기여했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발전한 로마자 표기법을 개발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초대 중국어 교수를 역임했다. - 중국어학자 - 마건충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이홍장의 막료로 활동하며 프랑스 유학 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문통》을 저술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 음운론자 - 프란츠 보아스
독일 태생 미국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는 문화 상대주의와 현장 연구를 강조하며 미국 인류학의 기틀을 세웠고, 인류학과를 설립하여 4분야 접근법을 제시했으며,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운 사회적 책임 학자로서 20세기 인류학계 거장들을 배출했다. - 음운론자 - 레너드 블룸필드
레너드 블룸필드는 구조주의 언어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미국의 언어학자로, 과학적 방법론을 언어 연구에 도입하고 형식적인 데이터 분석 절차를 강조했으며, 미국 언어학회 창립에 기여하고 《언어》 등의 저서를 통해 언어학 이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원저우시 출신 - 탕웨이
탕웨이는 중국 출신의 배우로, 영화 《색, 계》로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으며, 《만추》를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고, 《헤어질 결심》으로 백상예술대상 등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원저우시 출신 - 장뤄난
장뤄난은 2017년 영화 데뷔 후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여러 예능 프로그램 출연과 SNS 소통을 통해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중국 배우이다.
정장상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Zheng Xiangfang |
별칭 | }} (Xiáng), }} (Shàng), (Shàngfāng) |
출생 | 1933년 8월 9일 |
출생지 | 중국저장 성융자 현 |
사망 | 2018년 5월 19일 |
사망지 | 중국저장 성원저우 시 |
직업 | 언어학자 |
알려진 업적 | 고대 중국어 재구 |
2. 생애
중국 저장성 원저우시 근교에서 정샹팡(鄭祥芳)으로 태어났다. 원저우 방언에서 祥과 尚의 발음이 같아 나중에 상팡(尚芳)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고등학생 시절 어머니의 성씨를 덧붙여 성이 "정장"(鄭張)이 되었다.
정장상팡은 가정사로 인해 북경지질대학에 입학하여 지질학을 공부했으나, 여가 시간에 상고한어 음운론을 연구하고 특히 어미와 모음 체계에 관한 생각을 발전시켰다.[1] 그는 1980년 중국사회과학원 회원이 되었다.[1]
당시 정장은 역사 음운론에 관심을 가지고 원저우의 도서관에서 자오위안런, 왕리 등의 저작을 읽었다. 가정사로 인해 북경지질대학에 입학하여 지질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였으나, 여가 시간에는 상고한어 음운론을 공부하고 특히 어미와 모음 체계에 관한 생각을 발전시켰다. 1960~70년대에 원저우에서 뤼수샹과 방언 조사 작업을 맡았으나 문화대혁명이 일어나 공장으로 보내졌다. 중국 공산당 내 파벌 싸움으로 공장이 문을 닫던 시절, 그는 판우윈(潘悟云) 등과 의견을 교환하며 그의 상고한어 재구를 6모음 체계로 다듬었다. 거의 같은 체계가 윌리엄 백스터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발된 바 있었다. 1980년 중국사회과학원 회원이 되었다.
3. 주요 연구 및 업적
3. 1. 방언 연구
중국 저장성 원저우시 근교에서 정샹팡(鄭祥芳)으로 태어났으며, 원저우 방언에서 祥과 尚의 발음이 같아 나중에 이름이 상팡(尚芳)으로 바뀌었다. 고등학생 시절 어머니의 성씨를 덧붙여 성이 "정장"(鄭張)이 되었다.
당시 정장상팡은 역사 음운론에 관심을 가지고 원저우의 도서관에서 자오위안런, 왕리 등의 저작을 읽었다. 1960~70년대에 원저우에서 뤼수샹과 방언 조사 작업을 맡았으나 문화대혁명이 일어나 공장으로 보내졌다. 중국 공산당 내 파벌 싸움으로 공장이 문을 닫던 시절 그는 판우윈(潘悟云) 등과 의견을 교환하며 그의 상고한어 재구를 6모음 체계로 다듬었다. 거의 같은 체계가 윌리엄 백스터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발된 바 있었다.
3. 2. 저서 및 논문
4. 저서
- 정장상팡, 〈"월인가(越人歌)"의 해독〉, 《동아시아 언어학 저널》(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 20권 2호 (1991), 159–168쪽.[1]
- 정장상팡, 《고대 중국어의 음운 체계》, 파리: 고등사회과학원(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2000. (로랑 사가르 번역)
- 정장상팡, 《上古音系|상고음계중국어》(고대 중국어 음운론), 상하이 교육 출판사,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