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1953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2005년 사망한 러시아의 언어학자이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일본어를 연구하고 졸업 후 강단에 섰으며, 코카서스, 사할린 등지에서 현지 조사를 실시했다. 그는 후르리-우라르트어족의 북동캅카스어족 관련성을 제안하고, 데네-캅카스어족 가설을 지지하며, 노스트라트어족을 보레아어족으로 확장하는 연구를 했다. 또한 STARLING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으며, 주요 저서로 《알타이어 어원 사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언어학자 - 니콜라스 포페
    니콜라스 포페는 러시아 태생 미국 언어학자이자 몽골학 권위자로, 알타이어족 연구와 몽골 민속 연구에 기여했으며, 미국으로 망명 후 워싱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 소련의 언어학자 - 미하일 로트만
  • 알타이어학자 - 마르티너 로베이츠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튀르크어, 몽골어, 만주어 등과 함께 트랜스유라시아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연구하며, 농경/언어 확산 가설과 베이즈 계통발생학적 방법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는 네덜란드 언어학자이다.
  • 알타이어학자 -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는 핀란드의 언어학자이자 외교관으로, 알타이어족 연구와 아시아 탐험, 주일 핀란드 공사 역임, 일본어의 알타이어족 기원설 주장, 한국어 연구 기여, 그리고 핀란드 내 에스페란토 운동 주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산타페 (뉴멕시코주) 출신 - 샬럿 케이트 폭스
    샬럿 케이트 폭스는 미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NHK 아침 드라마 《맛상》에서 외국인 최초로 주연을 맡아 일본에서 인기를 얻은 후 뮤지컬 《시카고》 출연 및 음반 발매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 산타페 (뉴멕시코주) 출신 - 앰버 미드선더
    앰버 미드선더는 라코타족, 다코타족, 아시니보인족 혈통의 아버지와 태국계 중국인 혈통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미국의 배우로, 영화 《프레이》의 나루 역으로 호평을 받고 드라마 《리전》, 《로스웰, 뉴 멕시코》 등에 출연하며 2022년 새턴상 획기적인 연기상을 수상했다.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기본 정보
본명세르게이 아나톨리예비치 스타로스틴
출생1953년 3월 24일, 소련, 모스크바
사망2005년 9월 30일, 러시아, 모스크바
자녀게오르기 스타로스틴
소속 학파모스크바 비교언어학파, 역사언어학
주요 관심사장거리 언어 재구축 (노스트라트어족 및 데네-코카서스어족 특히), 언어연대학, 악센트학 (인도유럽조어 악센트 특히)
주요 아이디어데네-코카서스어족 가설, 알타이어족 조어 재구축, 북캅카스어족 조어, 예니세이어족 조어, 티베트-미얀마어족 조어, 원시 키란티어 재구축, 고대 중국어 및 원시 일본어 재구축, "재보정된 언어연대학" 발전
영향아하론 돌고폴스키,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 안드레이 잘리즈냐크, 블라디미르 디보, 세르게이 야혼토프
영향 받은 인물메리트 룰렌, 존 벵트슨
참고 자료

2. 생애

스타로스틴은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1970년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노스트라틱 대어족 연구자인 아론 돌고폴스키와 블라디미르 디보 아래에서 배우고, 일본어도 연구했다. 처음 공표된 논문은 일본 조어에 관한 것이다(1972년). 졸업 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1992년부터는 러시아 국립 인문 대학교로 옮겼다.[2]

코카서스, 사할린주 등에서 현지 조사를 실시했으며, 케트어 현지 조사를 조직했다.

1985년부터 Вавилонская башня (сайт)|바벨의 탑ru 웹사이트를 위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STARLING을 개발했다.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인 머레이 겔만의 도움을 받았다.[3][4]

미시간 대학교에서 열린 언어·선사 심포지엄을 위해 1988년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했다. 그 후 산타페 연구소의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네덜란드의 레이덴 대학교에서 종종 강사를 맡았으며, 2005년 6월에 레이덴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망 당시 러시아 인문학 국립 대학교의 교수였으며, 산타페 연구소의 객원 교수이자 네덜란드 레이덴 대학교의 빈번한 초청 강사였다.

2005년 9월 30일, 러시아 인문학 국립 대학교에서 강연을 한 후 모스크바에서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인 게오르기 스타로스틴 역시 언어학자이다.

3. 주요 이론 및 연구 업적

스타로스틴은 여러 어족의 재구와 대어족 가설 제시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986년, 이고르 M. 디아코노프와 함께 후르-우라르트어족이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원시 키란티어, 원시 티베트-버마어, 원시 예니세이어, 원시 북캅카스어, 원시 알타이어 재구성에 기여했다. 또한 아불 가지 바하두르가 처음 제안하고 구스타프 존 람스테트가 부활시킨 일본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발전시켰다.

데네-캅카스어족 가설은 서북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 예니세이어족,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이 하나의 상위 어족을 이룬다고 본다. 스타로스틴은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의 노스트라트어족 가설을 확장하여, 데네-캅카스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포함하는 보레아어족 가설을 제시했다.

1985년부터는 언어학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STARLING 개발에 참여했으며, 머레이 겔만이 이 작업을 도왔다.[7][8]

3. 1. 어족 재구 및 대어족 가설

1986년, 스타로스틴은 이고르 M. 디아코노프와 함께 후르-우라르트어족이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원시 키란티어, 원시 티베트-버마어, 원시 예니세이어, 원시 북캅카스어, 원시 알타이어 재구성에 기여했다. 또한 17세기 아불 가지 바하두르가 처음 제안하고 20세기 초 구스타프 존 람스테트가 부활시킨 일본어가 알타이 어족을 통해 튀르크어족, 몽골어족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발전시켰다.

데네-캅카스어족 가설은 서북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 예니세이어족,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이 하나의 상위 어족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스타로스틴은 데네-캅카스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거족이 블라디슬라프 일리치-스비티치가 제시한 노스트라트어족 거족(일부 수정 포함)과 초기 단계에서 연결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를 보레아어족('북방' 언어)이라고 불렀다.

3. 2. 인류 언어의 진화 프로젝트

1985년부터 스타로스틴은 Вавилонская башня (сайт)|바벨의 탑|설명=웹사이트ru를 위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STARLING을 개발해왔다.[2] 그는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인 머레이 겔만의 도움을 받았다.[3][4]

4. 주요 저서


  • 1986년. 이고르 디아코노프와 공동 저술. ''동부 코카서스어로서의 후로-우라르트어''. München|뮌헨de: R. 키징거.
  • 1989년. ''고대 중국어 음운 체계의 재구성''. Москва|모스크바ru: 나우카.
  • 1991년. ''알타이 문제와 일본어의 기원''. Москва|모스크바ru: 나우카.
  • 1994년. 세르게이 니콜라예프와 공동 저술. ''북 코카서스 어원 사전''. Москва|모스크바ru: Asterisk 출판사.
  • 1995년. "바이(Bai)어의 역사적 위치".[5] ''Московский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журнал|모스크바 언어학 저널ru'' 1, 174-190. Москва|모스크바ru.
  • 2003년. 안나 V. 디보, 올레그 A. 무드라크와 공동 저술. ''알타이어 어원 사전'', 3권. Leiden|라이덴nl: 브릴.
  • 2005년. 스베틀라나 부르락과 공동 저술. ''비교-역사 언어학''. Москва|모스크바ru: 아카데미아.

참조

[1] 웹사이트 The Tower of Babel http://starling.rine[...] Starling.rinet.ru 2012-08-07
[2] 웹사이트 The Tower of Babel http://starling.rine[...] Starling.rinet.ru 2012-08-07
[3] 웹사이트 "Sergei Starostin and I established the Evolution of Human Languages project" - Поиск в Google https://www.google.c[...] 2012-08-07
[4] 웹사이트 Evolution of Human Languages http://ehl.santafe.e[...] Ehl.santafe.edu 2012-11-27
[5] 웹사이트 The Historical Position of Bai http://starling.rine[...] Starling.rinet.ru 2012-11-27
[6] 웹사이트 The Tower of Babel http://starling.rine[...] Starling.rinet.ru 2012-08-07
[7] 웹사이트 The Tower of Babel http://starling.rine[...] Starling.rinet.ru 2012-08-07
[8] 웹사이트 Evolution of Human Languages http://ehl.santafe.e[...] Ehl.santafe.edu 2012-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