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2020년에 개최되었으며, 다양한 음악 영화를 발굴하고 제작을 지원하여 한국 영화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경쟁 부문 대상은 지오 아를로따 감독의 재거리: 잠비아 록밴드의 전설에게 돌아갔고, 김지희 감독의 포코 아 포코:조금씩 서서히가 심사위원 특별언급을 수상했다. 또한, '제천영화 음악 제작지원'을 통해 고영재 감독의 아치의 노래가, '제천 뮤직 영화 제작 지원'을 통해 이병훈 감독의 구전가요와 조하영 감독의 언니를 기억해가 제작 지원을 받았다. 후반작업 지원 부문에서는 김영환 감독의 블루와 고승환 감독의 지고, 지순이 선정되었다. 영화제는 세계 각국의 음악 영화와 한국 음악 영화의 흐름을 보여주는 다양한 작품들을 상영했으며, 엔니오 모리꼬네 추모 특별 상영회와 홈커밍데이 섹션을 통해 관객들에게 폭넓은 경험을 제공했다.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는 경쟁 부문을 통해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시상하였으며, 음악영화 제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는 다채로운 주제와 장르의 음악 영화들이 관객들을 만났다. 세계 음악영화의 새로운 흐름과 풍경을 보여주는 작품들부터, 영화 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꼬네를 기리는 특별 상영, 그리고 한국 음악영화의 현재와 과거를 조명하는 섹션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또한, 봉준호, 허진호 등 유명 감독들이 큐레이터로 참여하여 추천작을 선보였으며, 음악과 관련된 추억을 되새기는 '홈커밍데이' 섹션과 제천 지역의 특색을 담은 '메이드 인 제천' 섹션도 운영되었다. 각 섹션별 상영작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수상 및 후보
2. 1. 대상
경쟁 부문 대상은 지오 아를로따 감독의 재거리: 잠비아 록밴드의 전설이 수상했다.
2. 2. 심사위원 특별언급
김지희 감독의 포코 아 포코:조금씩 서서히가 심사위원 특별언급을 받았다.
2. 3. 음악영화 제작지원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는 음악영화 제작 활성화를 위해 제작지원금 및 후반작업 지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여러 작품을 선정하여 지원하였다. 주요 지원작으로는 아치의 노래(고영재 감독) 등이 있으며, 상세 지원 내역은 하위 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3. 1. 제작지원금 5천 만원
아치의 노래 (고영재 감독)가 제작지원금 5000만원을 수상하였다.
2. 3. 2. 제작지원금 5백 만원
2. 3. 3. 후반작업 지원 (음향 마스터링)
음향 마스터링 후반작업 지원은 블루의 김영환에게 돌아갔다.
2. 3. 4. 후반작업 지원 (디지털 색보정)
3. 상영작
3. 1. 올해의 큐레이터
'올해의 큐레이터' 섹션에서는 다음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봉준호 감독의 플란다스의 개, 허진호 감독의 봄날은 간다 등 한국 영화와 쥬세페 토르나토레 감독의 시네마 천국 등이 포함되었다.
3. 2. 세계 음악영화의 흐름
세계 음악영화의 흐름 섹션에서는 세계 음악영화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작품명 | 감독 |
---|---|
브링 다운 더 월 | 필 콜린스 |
온 더 레코드 | 커비 딕, 에이미 지어링 |
로비 로버트슨과 더 밴드의 신화 | 다니엘 로허 |
음악 | 켄지 이와이사와 |
들려줘, 너를 볼 수 있게: 벨그라드 라디오 이야기 | 마리아 스토닉 |
재거리: 잠비아 록밴드의 전설 | 지오 아를로따 |
여전히 밤은 깊지만 | 구스타보 가우벙 |
3. 3. 세계 음악영화의 풍경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 영화를 통해 세계 음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대나무로 엮은 경극장 - 척 청
- 키보드 판타지: 비버리 글렌 코플랜드 이야기 - 포시 딕슨
- 마르가리타의 선율 - 에드가르도 코자린스키
- 마라케시의 여인 - 신재원
- 프렐류드 - 아드리아 구센스
- 클라라 루치아니의 삶과 노래 - 벤자민 몬텔
- 아이돌스 네버 다이 - 제롬 유
- 메리의 호접몽 - 넬슨 여
3. 4. 故엔니오 모리꼬네 추모상영
영화 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꼬네를 추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특별 상영되었다.
3. 5. 홈커밍데이
음악과 관련된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영화들을 소개하는 섹션이다. 파라디소 콘서트홀의 추억, 서칭 포 슈가맨, 다방의 푸른 꿈 등 다양한 국가와 배경의 음악 영화가 상영되었다. 상영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영화 제목 | 감독 |
---|---|
파라디소 콘서트홀의 추억 | 예론 베르크펜스 |
아메리칸 포크 | 데이비드 하인즈 |
장고 인 멜로디 | 에티엔 코마 |
코펜하겐의 두 재즈 거장 | 야누스 쾨스터-라스무센 |
칠레 음악에로의 여행 | 나후엘 로페즈 |
킨샤사 심포니 | 클라우스 비쉬만 외 1명 |
지미 페이지 따라하기 | 피터 마이클 다우드 |
다방의 푸른 꿈 | 김대현 |
산을 휘감는 노래 | 아누슈카 미낙시 외 1명 |
서칭 포 슈가맨 | 말릭 벤젤룰 |
킵 온 키핑 온 | 알란 힉스 |
3. 6. 한국 음악영화의 오늘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한국 음악영화의 오늘' 섹션은 동시대 한국 음악영화의 다양한 흐름과 시도를 살펴볼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이 섹션에서는 장편과 단편으로 나누어 현재 한국 음악영화가 보여주는 새로운 경향과 실험적인 작품들을 소개한다. 구체적인 상영작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3. 6. 1. 장편
제1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는 삼비스타, 래퍼 등에 소리꾼, 사랑 (사이) 깍두기 등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는 한국 음악영화 장편 작품들이 아래와 같이 상영되었다.작품명 | 감독 |
---|---|
삼비스타 | 송우진 |
래퍼 등에 소리꾼 | 김병일 |
사랑 (사이) 깍두기 | 박세영 |
가만한 | 손모아 외 1명 |
카오산 탱고 | 김범삼 |
3. 6. 2. 단편
한국 음악영화를 다루는 단편 부문에서는 특이점 : 기타, 밤의 침묵, 하드케이스 등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소개되었다. 상영된 단편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작품명 | 감독 |
---|---|
특이점 : 기타 | 이연승 |
밤의 침묵 | 이승현 |
하드케이스 | 박상준 |
새장 | 윤대원 |
사나이신드롬 | 허건 |
서울소리 | 김경배 |
지하철 속 오디션 | 손희송 |
춤을 추고 있어 | 신시아 |
연주의 시간 | 최의수 |
떠나야할 그 사람 | 이안 |
프리랜서 | 손수현 |
프리다이빙 | 고결 |
플레이백 | 김태웅 |
우리는 사랑 아니면 여행이겠지 | 박경진 |
축가 | 김용승 |
연습생 | 박지인 |
그 집에 술이 있다 | 목수김씨 |
씨티라이트 | 오동하 |
싫다는 게 아니라 | 주영 |
엘비스는 이제 여기 살지 않는다 | 최보규 |
잘 들었어요 | 손동완 |
컨트롤 | 곽새미 |
우주의 끝 | 한병아 |
인그라운드 | 이준혁 |
시선 | 김원진 |
풀이 나지 않는 땅 | 강소현 |
베러플레이스 | 송현범 |
내 33만원짜리 기타 | 이태우 |
3. 7. 한국 음악영화의 발자취
한국 음악영화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섹션으로, 과거 주목받았던 작품들을 상영한다.3. 8. 메이드 인 제천
제천 지역에서 제작되었거나 제천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을 소개하는 섹션이다. 지역색을 담은 다음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당신의 나비 - 문규열
- 따뜻한 방 - 최춘희
- 레디액션 리포트 - 이준형
- 만원 - 김종민 외 1명
- 품안의 자식 - 박종기
- 벅서 - 임원석 외 1명
4. 둘러보기 틀
(내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