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69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69보병사단은 1939년 창설된 독일 국방군의 보병 사단이다. 프랑스 전투와 계속 전쟁에 참전했으며, 1941년 핀란드로 배치되어 핀란드 6 사단, 노르트 SS사단과 함께 독일 36 군단에 배속되었다. 살라 지역에서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으며, 1944년 랩랜드 전쟁 발발 전까지 주둔했다. 이후 노르웨이로 철수하여 종전 직전 독일로 이동, 최후의 전투에 참여했다. 사단은 3개의 보병 연대, 1개의 포병 연대, 1개의 대전차 대대, 1개의 공병대대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352보병사단
    제352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1943년 11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을 방어하다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된 후, 1944년 9월 제352국민척탄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5년 4월 다름슈타트에서 전멸하며 해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보병사단 -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제13보병사단 (독일 국방군)은 1934년 창설되어 폴란드, 서유럽,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며,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궤멸된 후 재편성되어 오스트리아에서 항복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169보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169보병사단 휘장
제169보병사단 차량 휘장
부대 명칭제169보병사단
원어 명칭169. Infanterie-Division
국가나치 독일
종류보병
소속독일 국방군육군
존속 기간1939년–1945년
규모사단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역사
창설1939년
해체1945년
작전 지역
작전 지역살라

2. 부대 역사

제169보병사단은 1939년 창설되어 프랑스 전투 (1940년)에 참전했다. 1941년 핀란드 라피 지역으로 이동하여 계속 전쟁에 참전했으며, 핀란드 제6사단, 제6SS산악사단 노르트와 함께 제36군단 소속으로 살라 지역에서 붉은 군대와 전투를 벌였다. 1941년 9월 Vermanjoki|베르만 강fin까지 진격했으나 이후 공세는 중단되었고, 1944년까지 살라 주변에 주둔했다. 1944년 라플란드 전쟁 발발 이후 노르웨이로 철수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독일 본토로 이동하여 종전을 맞이했다.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39년 ~ 1941년)

제169보병사단은 1939년에 창설되었다. 창설 후 프랑스 전투에 참전했으며, 1941년까지 프랑스에 주둔했다.

1941년에는 핀란드 라피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곳에서 사단은 핀란드 제6사단 및 제6SS산악사단 노르트와 함께 독일 제36군단에 배속되었다. 7월 1일, 제36군단은 백해 연안의 칸달락샤를 목표로 공격을 시작했다. 제169보병사단은 살라 바로 북쪽의 핀란드-소련 국경을 넘어 계속 전쟁에 참여했다.

붉은 군대 제122사단과의 격렬한 전투 과정에서 제6SS산악사단 노르트가 큰 피해를 입고 전선에서 이탈했다. 7월 8일, 제169보병사단은 살라를 점령했다. 이후 핀란드 제6사단의 지원을 받아 소련군을 겨울 전쟁 이전의 국경 너머로 밀어냈다.

1941년 9월, 사단은 Vermanjoki|베르만 강fin까지 진격했으나, 이곳에서 공세는 중단되었다. 이후 제169보병사단은 1944년 라플란드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살라 주변 지역에 머물게 된다.

2. 2. 계속 전쟁 (1941년 ~ 1944년)

1941년 핀란드 라플란드로 이동하여 36 군단에 배속되었다. 이 군단에는 핀란드 제6사단과 노르트 SS사단도 포함되어 있었다.

1941년 7월 1일, 36 군단은 백해 연안의 칸달락샤를 목표로 공격을 시작했다. 제169보병사단은 살라 바로 북쪽의 핀란드-소련 국경을 넘어 침공했다. 소련 제122사단과의 격렬한 전투 중에 노르트 SS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사실상 붕괴되어 전선에서 이탈했다. 7월 8일, 제169보병사단은 살라를 점령했다. 이후 핀란드 제6사단의 도움을 받아 소련군을 겨울 전쟁 이전의 국경 너머로 밀어내는 데 성공했다.

같은 해 9월, 사단은 Vermanjoki|베르만 강fin까지 진격했으나, 이곳에서 공세는 멈추었다. 이후 제169보병사단은 1944년 라플란드 전쟁이 발발하여 핀란드와 독일 사이에 적대 관계가 시작될 때까지 살라 주변 지역에 머물렀다. 1944년 한 해 동안 사단은 노르웨이로 철수하는 데 시간을 보냈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몇 주 전에는 최후의 전투를 위해 독일 본토로 다시 이동했다.

2. 3. 랩랜드 전쟁 및 종전 (1944년 ~ 1945년)

1944년 라플란드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제169보병사단은 살라 주변 지역에 주둔했다. 라플란드 전쟁은 핀란드독일 사이의 적대 관계가 시작된 전쟁이다. 1944년 한 해 동안 사단은 노르웨이로 후퇴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 전쟁이 끝나기 몇 주 전에는 최후의 전투를 치르기 위해 독일 본토로 이동했으며, 그곳에서 종전을 맞이했다.

3. 주요 참전 전투

1940년 프랑스 전투(황색 작전, 만슈타인 계획)에 참전했다. 이후 1941년 프랑스 주둔을 마치고 핀란드 라플란드로 이동하여 계속 전쟁에 참전했다.

계속 전쟁에서는 SS 노르트 사단, 핀란드 제6사단과 함께 제36산악군단에 배속되었다. 1941년 7월 1일, 군단은 백해 연안의 칸달락샤를 목표로 공격을 시작했으며, 제169보병사단은 살라 북쪽의 핀란드-소련 국경을 넘어 침공했다. 이 과정에서 붉은 군대 제122사단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 함께 참전한 제6SS 산악 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7월 8일, 제169보병사단은 살라를 점령했으며, 핀란드 제6사단의 도움을 받아 소련군을 겨울 전쟁 이전의 국경 너머로 밀어내는 데 성공했다. 9월에는 베르만 강(''Vermanjoki'')까지 진격했으나, 이곳에서 공세는 중단되었다.

이후 1944년 라플란드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살라 주변 지역에 머물렀다. 라플란드 전쟁이 시작되자 노르웨이로 후퇴하였고, 전쟁 마지막 몇 주 동안은 독일 본토로 이동하여 싸우다 종전을 맞이했다.

4. 역대 지휘관

wikitext

계급이름재임 기간
중장필리프 뮐러-게브하르트1939년 11월 29일1939년 12월 1일
중장하인리히 키르히하임1939년 12월 1일1941년 2월 1일
중장쿠르트 디트마르1941년 2월 1일1941년 9월 29일
중장헤르만 티텔1941년 9월 29일1943년 6월 22일
중장게오르크 라트지1943년 6월 22일 – 불명


5. 부대 편제


  • 제378 보병연대
  • 제379 보병연대
  • 제392 보병연대
  • 제230 포병연대
  • 제230 대전차대대
  • 제230 공병대대

6. 시기별 배치 현황

wikitext

날짜군단집단군지역
1939년 12월 ~ 1940년 4월제2군관구(WK II)에서 편성 중그로스-보른(Groß-Born)
1940년 5월예비대OKH다름슈타트
1940년 6월XXXI16. ArmeeALothringen
1940년 7월 ~ 8월XXXV18. ArmeeOstpreußen
1940년 9월 ~ 1941년 4월XXXV4. ArmeeB동프로이센
1941년 5월XX9. ArmeeB동프로이센
1941년 6월 ~ 7월XX9. ArmeeMitte비아위스토크
1941년 8월 ~ 9월예비대Mitte스몰렌스크
1941년 10월 ~ 12월XXVII9. ArmeeMitte뱌지마, 르제프
1942년 1월 ~ 3월XXVII9. ArmeeMitte르제프
1942년 4월레케(Recke) 분견군9. ArmeeMitte르제프
1943년 8월 ~ 9월재편성 중국내 예비군 사령관(BdE)General Government
1943년 10월 ~ 11월II. SSBOberitalien
1943년 12월II. SS14. ArmeeC북이탈리아
1944년 1월 ~ 3월예비대남부 최고사령부(Ob. Süd)리구리아
1944년 4월LXXVZangenC리구리아
1944년 5월예비대ZangenC리구리아
1944년 6월XIV14. ArmeeC북이탈리아
1944년 7월예비대14. ArmeeC북이탈리아
1944년 8월 ~ 11월베네치아 해안(Ven. Küste)10. ArmeeC리미니
1944년 12월 ~ 1945년 2월예비대LigurienC리구리아
1945년 3월 ~ 4월LXXVI10. ArmeeC볼로냐, 파도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