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은 1999년 4월, 망명 라이베리아인들의 침공으로 시작되어 2003년 8월 찰스 테일러 대통령의 사임으로 종결된 내전이다. 1997년 1차 내전 종식 이후 테일러의 전제주의적 통치와 주변국 지원으로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LURD를 중심으로 한 반군 세력의 발호와 몬로비아 공방전으로 이어졌다. 국제사회의 개입과 여성들의 평화 운동을 통해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테일러의 퇴진과 과도 정부 수립으로 일단락되었다. 내전 과정에서 소년병 문제, 민간인 학살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했으며, 여성들의 적극적인 평화 운동은 내전 종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 |
---|---|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 |
![]() | |
날짜 | 1999년 4월 21일 – 2003년 8월 18일 |
장소 | 라이베리아, 기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로 확산 |
결과 | 반군의 승리 찰스 테일러의 사임 및 망명 라이베리아 과도 정부 수립 아크라 평화 협정 체결 유엔 라이베리아 임무단 배치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라이베리아 정부군 정부군 잔존 세력 대테러 부대 특수 작전 부대 특별 보안국 애국전선/애국당 민병대 혁명 연합 전선 기니 민주 세력 연합 |
교전국 2 | 반군 세력: 반-테일러 정부군 잔존 세력 LURD MODEL 지원 세력: |
지휘관 | |
지휘관 1 | 찰스 테일러 벤저민 이튼 처키 테일러 샘 보카리 |
지휘관 2 | 기유데 브라이언트 세쿠 코네 토마스 니멜리 란사나 콩테 |
병력 | |
병력 1 | 1,250–1,500명 (2002년) 라이베리아군: 11,000–14,000명 (2002년) 12,000명 (2003년) 민병대: 16,000명 (2003년) |
병력 2 | (2003년): LURD 35,000명 MODEL 14,0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약 50,000명 사망 |
기타 | |
관련 정보 | 라이베리아 내전 |
2. 역사적 배경
라이베리아 제1차 내전은 1989년 찰스 테일러가 라이베리아 국가 애국 전선(NPFL)을 이끌고 새뮤얼 도 정권에 대항해 봉기하면서 시작되었다. NPFL은 몬로비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을 빠르게 장악했지만, 프린스 존슨이 이끄는 라이베리아 독립 국가 애국 전선(INPFL)이 도를 체포하고 처형하면서 내전은 장기화되었다. 1996년 평화협정 체결 이후, 1997년 총선에서 테일러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1차 내전은 종식되었다.[1]
그러나 테일러는 전제주의적이고 부패한 정권을 수립했고, 라이베리아를 지역 강국으로 만들려는 야망으로 주변국 반군들을 지원하면서 기니와 시에라리온 정부와 갈등을 빚었다. 이들 국가는 반(反) 테일러 성향의 라이베리아 반체제 인사들을 지원하며 보복했고, 이는 결국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이어지게 된다.[1]
2. 1. 1차 내전 (1989-1997)
찰스 테일러는 1989년 12월 자신의 민병대인 라이베리아 국가 애국 전선(NPFL)을 이끌고 코트디부아르에서 침공하여 새뮤얼 도 대통령을 전복시키면서 전쟁을 시작했다.[1] NPFL은 수도 몬로비아를 제외한 라이베리아 대부분을 빠르게 점령했는데, 몬로비아는 프린스 존슨이 이끄는 분파인 라이베리아 독립 국가 애국 전선(INPFL)의 지배하에 있었다.[1] INPFL은 1990년 9월 도를 사로잡아 처형했고, NPFL이 몬로비아를 점령하려는 시도에 저항하여 테일러의 완전한 승리를 막고 전쟁을 수년간 연장시켰다.[1] 주요 세력들 간에 1996년 평화협정이 체결되어 1997년 라이베리아 총선이 치러졌으며, 라이베리아 제1차 내전은 1997년 8월 찰스 테일러가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끝났다.[1]2. 2. 찰스 테일러 집권과 2차 내전의 발발 (1997-1999)
라이베리아 제1차 내전은 1997년 8월 찰스 테일러가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끝났다. 테일러는 1989년 12월 코트디부아르에서 침공하여 새뮤얼 도 대통령을 전복시키면서 전쟁을 시작했다.[1] 1996년 주요 세력들 간에 평화협정이 체결되어 1997년 라이베리아 총선이 치러졌다.[1]테일러는 대통령 선거에서 75%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고, 그의 국가 애국당은 라이베리아 의회를 장악했다. 그의 성공은 주로 그가 언론을 장악하고, 그가 패배할 경우 전쟁이 재개될 것이라는 두려움, 그리고 라이베리아 국민 사이의 민주적 절차에 대한 일반적인 익숙하지 않음 때문이었다.[1] 테일러는 신속하게 전제주의적이고 부패한 정권을 수립했고, 많은 반체제 인사들이 이웃 국가로 도망쳤다.[1] 라이베리아를 지역 강국으로 만들려는 테일러의 야망은 그가 기니 민주 세력 집회(RFDG)의 RFDG 반란과 시에라리온 내전의 혁명적 통합 전선과 같은 반군들을 지원하게 만들었다.[1] 이는 그를 기니와 시에라리온 정부와의 갈등으로 이끌었고, 이들 국가들은 보복으로 그들의 국가로 도망친 반테일러 반체제 인사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1]
3. 2차 내전의 전개 (1999-2003)
1999년, 기니의 지원을 받는 라이베리아 화해와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LURD)이 라이베리아를 침공하며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이 시작되었다.[6] LURD는 주로 만딩카족과 크라한족(Krahn) 전투원들로 구성되었으며, 기니의 군사 및 재정 지원을 받았다.[7] 또한, 시에라리온 내전에 참전했던 카마조르(Kamajors) 민병대와도 동맹을 맺었다.[7]
2000년 9월, 테일러에게 충성하는 혁명연합전선(RUF)과 기니 반군이 기니를 공격했으나, 2001년 1월에는 테일러의 군대가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 내부로 밀려났다. 2002년 초, LURD는 몬로비아에서 불과 44km 떨어진 클레이 정션(Klay Junction)까지 진격했고, 테일러는 비상사태를 선포해야 했다.[9] LURD는 '타격 후 철수' 방식의 기습 공격을 주로 사용했으며, 2002년 상반기 동안 보미(Bomi), 봉(Bong), 몬트세라도(Montserrado) 카운티를 공격했다.[10]
2003년 초,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는 두 번째 반군 세력인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이 남부에서 등장했다. 2003년 여름, 테일러 정부는 국토의 3분의 1만 통제했고, LURD는 북부 3분의 1을 장악하고 수도를 포위했다. 이 분쟁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
3. 1. 반군 세력의 발호와 확산
라이베리아 제1차 내전은 1997년 8월 찰스 테일러가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끝났지만, 테일러의 전제주의적이고 부패한 정권에 대한 반발은 계속되었다.[6] 망명한 라이베리아인들은 조직을 결성하여 1999년 4월 기니에서 라이베리아를 침공하면서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이 시작되었다.[6] 이들은 세쿠 코네(Sekou Conneh)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화해 및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LURD)으로 통합되었으며, 주로 만딩카족과 크라한족(Krahn) 전투원들로 구성되었다.[7] LURD는 기니의 주요 군사 및 재정 지원을 받았으며,[6] 시에라리온 내전의 카마조르(Kamajors) 민병대와도 동맹을 맺었다.[7]
2002년 초, LURD군은 몬로비아에서 불과 44km 떨어진 클레이 정션(Klay Junction)까지 진격하여 테일러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9] LURD는 '타격 후 철수' 기습 전술을 사용했으며,[10] 2002년 상반기 동안 보미(Bomi), 봉(Bong), 몬트세라도(Montserrado) 카운티에서 기습 공격을 가했다.[10] 5월에는 수도에서 20km도 채 떨어지지 않은 아팅턴을 공격하여 몬로비아에 공황 상태를 초래하기도 했다.

2003년 초,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는 두 번째 반군 집단인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이 남부에서 등장했다. 2003년 여름, 테일러 정부는 국가의 3분의 1만 통제했고, LURD는 북부 3분의 1을 장악하고 수도를 포위하여 많은 민간인이 사망하고 수천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2003년 3월부터 전투가 격화되어 5월 초에는 LURD와 MODEL이 국가의 3분의 2를 장악하고 몬로비아를 위협했다. 이러한 상황은 2003년 6월 4일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의 중재로 가나 아크라에서 회의가 소집되는 계기가 되었다.
3. 2. 몬로비아 공방전과 국제사회의 개입
2003년 초,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는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이 남부에서 등장하면서 찰스 테일러 정부는 국가의 3분의 1만 통제하게 되었다. 2003년 중반까지 LURD는 국가의 북부 3분의 1을 장악하고 수도 몬로비아를 위협했다. LURD의 포격으로 많은 민간인이 사망하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2003년 7월, 몬로비아는 포위 공격을 받아 점령 및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12] 미국은 제26 해병원정대를 포함한 라이베리아 합동 임무부대를 창설하여 서아프리카 해안에 배치했다. 또한 작전명 샤이닝 익스프레스 기간 중 공격받았던 몬로비아 주재 미국 대사관 주변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소규모 병력을 파병했다.[13]
2003년 7월 29일, LURD는 휴전을 선포했다.[13]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나이지리아 평화유지군 2개 대대를 라이베리아에 파병했는데, 첫 번째 대대는 시에라리온 유엔평화유지활동에서 파견되었고, 두 번째 대대는 나이지리아 자체에서 온 것이었다.[14]

LURD와 찰스 테일러 모두 제네바 협약에서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을 강제로 징집하여 병사나 탄약 운반병으로 광범위하게 이용했다.[17] 휴먼 라이츠 워치는 몬로비아의 포위 공격 당시 많은 어린 전투원들이 사용법을 배우지 못한 무기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묘사했다.[17] 마약은 라이베리아 전시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는데, 아동 병사와 다른 전투원들은 코카인, 카트 및 기타 마약에 상습적으로 중독되었다. 여러 군벌들은 코카인이 전투에서 병사들의 효율성을 높인다고 생각했다.[18]
3. 3. 찰스 테일러의 퇴진과 평화 협정
2003년 8월 11일, 찰스 테일러는 국제사회의 압력과 반군의 공세에 밀려 대통령직에서 사임하고 나이지리아로 망명했다. 이는 전쟁을 종식시킨 아크라 포괄 평화 협정(CPA) 체결에 앞서 이루어졌다.[15] 테일러의 뒤를 이어 모세 블라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2003년 8월 14일, 반군이 모로비아 포위 공격을 해제했고, 미국 해병대 200명이 서아프리카 평화군을 지원하기 위해 상륙했다. 미군과 나이지리아가 주도하는 서아프리카군(에코밀(ECOMIL))이 수도를 정부 통제 지역과 반군 통제 지역으로 나누었던 항구와 다리를 장악하자, 수천 명의 사람들이 춤을 추고 노래했다. 2003년 7월 18일부터 8월 14일까지 모로비아에서 약 1,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15]
모세 블라는 2003년 10월 14일 라이베리아 과도 정부에 권력을 이양했다. 그러나 과도 정부는 반군이 국토의 80%를 장악하고 있던 상황에서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못했다.
4. 주요 행위자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에는 라이베리아 정부군, 반군 세력, 그리고 국제사회가 주요 행위자로 참여했다.
라이베리아 정부군은 찰스 테일러 대통령이 이끌었으며, 라이베리아 국가 애국 전선(NPFL) 출신 병사들과 반테러부대(ATU)를 비롯한 특수 부대로 구성되었다.[9]
반군 세력으로는 라이베리아 화해 및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LURD)과 라이베리아 민주 운동(MODEL)이 있었다. LURD는 2000년 7월 여러 반군 세력이 통합되어 세쿠 코네의 지휘 아래 결성되었으며, 주로 만딩카족과 크라한족 전투원들로 구성되었다.[7] 2003년 초에는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는 MODEL이 남부에서 등장했다.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2003년 라이베리아에 나이지리아 평화유지군 2개 대대를 파병했다.[14] 유엔은 유엔 라이베리아 평화구축 지원 사무소(UNOL)를 설립했고,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509호에 따라 유엔 라이베리아 임무단(UNMIL) 평화유지군을 파병했다.[14] 미국은 작전명 샤이닝 익스프레스를 통해 모로비아 주재 미국 대사관을 보호하기 위해 소규모 병력을 파병했고,[12] 제26 해병원정대를 포함한 라이베리아 합동 임무부대를 창설했다.
4. 1. 라이베리아 정부군
찰스 테일러 대통령의 지휘 아래, 라이베리아 국가 애국 전선(NPFL) 출신 병력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반테러부대(ATU)와 같은 특수 부대가 주요 전력으로 활동했다.[9]4. 2. 반군 세력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은 1999년 4월, 기니에서 망명 라이베리아인 조직의 깃발 아래 라이베리아 반군들이 라이베리아를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6] 기니는 LURD의 주요 군사 및 재정 지원국이었다. 2000년 7월, 여러 반군 세력들은 세쿠 코네가 이끄는 LURD로 통합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전 ULIMO-J와 ULIMO-K의 만딩카족과 크라한족 전투원들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졌다.[7]
LURD 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또 다른 요소는 ECOMOG-SL 나이지리아 사령관 맥스웰 코베 장군이 주선한 라이베리아 반군과 시에라리온의 카마조르(Kamajors) 민병대(수렵 민병대 포함) 간의 동맹이었다. 여기에는 사뮤엘 힌가 노먼과 에디 매살리(Eddie Massally) 추장도 포함되었다.[7]
2003년 초,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는 두 번째 반군 집단인 MODEL이 남부에서 등장했다. 2003년 여름까지 LURD는 라이베리아 북부 3분의 1을 장악하고 수도를 위협했고, MODEL은 남부 지역에서 주로 활동했다.
4. 3. 국제사회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2003년 라이베리아에 나이지리아 평화유지군 2개 대대를 파병했다. 첫 번째 나이지리아 대대는 시에라리온 유엔평화유지활동에서 차출되었고, 두 번째 대대는 나이지리아 자체에서 왔다.[14] 8월 14일, 반군이 모로비아 포위 공격을 해제했고, 미 해병 200명이 서아프리카 평화군(에코밀(ECOMIL))을 지원하기 위해 상륙했다.[15]유엔은 1997년 11월 유엔 라이베리아 관찰단(UNOMIL)의 임무가 종료된 후, 유엔 라이베리아 평화구축 지원 사무소(UNOL)를 설립했다. 2003년 9월 11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평화협정 유지를 위해 유엔 라이베리아 임무단(UNMIL) 평화유지군 파병을 권고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509호에서 이 임무를 승인했다. UNMIL은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1만 5천 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2003년 7월, 미국은 작전명 샤이닝 익스프레스 기간 중 공격을 받았던 모로비아 주재 미국 대사관 주변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소규모 병력을 파병했다.[12] 또한, 서아프리카 해안에 배치된 미국 해군 상륙전단을 중심으로, 제26 해병원정대를 포함한 라이베리아 합동 임무부대를 창설했다.
5. 전쟁 범죄와 인권 침해
라이베리아 화해 및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LURD)과 찰스 테일러 정부군 양측은 어린이들을 강제로 징집하여 병사나 탄약 운반병으로 활용했으며, 코카인, 카트 등의 마약을 병사 통제 수단으로 이용했다.[17][18] 몬로비아 포위전에서는 민간인 학살과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했다.[11]
5. 1. 소년병 문제
리베리아 화해 및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LURD)와 찰스 테일러 정부군 양측은 어린이들을 강제로 징집하여 병사나 탄약 운반병으로 활용했다.[17] 이는 제네바 협약에서 금지하는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빈번하게 자행되었다.[17] 휴먼 라이츠 워치는 몬로비아 포위전 당시 많은 소년병들이 사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무기를 다루고 있었다고 묘사했다.[17]
코카인, 카트 등의 마약은 라이베리아 내전에서 병사들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18] 아동 병사를 포함한 많은 전투원들이 마약에 중독되었으며, 여러 군벌들은 마약이 전투 효율을 높인다고 믿었다.[18]
5. 2. 민간인 학살과 인도주의적 위기
2003년 중반, 몬로비아는 라이베리아 연합 화해 민주주의(LURD)에 의해 포위되었고, 포격으로 많은 민간인이 사망했다. 이 분쟁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다.[11]6. 여성들의 평화 운동
레이마 고보위를 중심으로 조직된 라이베리아 여성들은 찰스 테일러 대통령과 면담하고 가나 평화 회담 참석을 약속받았다. 여성 대표단은 비폭력 시위를 조직하고 평화 과정 동안 전쟁 당사자들에게 압력을 가했다. 이들은 대통령궁 앞에서 침묵 시위를 벌여 교착 상태에 빠진 평화 회담에서 합의를 이끌어냈다.[19] 창의적인 비폭력 시위는 라이베리아 여성과 어머니들의 힘을 활용하게 했으며, 남성들이 무기를 내려놓을 때까지 성 파업을 벌이고 가나 평화 회담장 밖에서 앉아 시위하며 옷을 벗겠다고 위협하는 전략도 포함되었다.[20]
3,000명이 넘는 기독교와 무슬림 여성들이 협력하여 14년간의 내전 끝에 라이베리아에 평화를 가져왔고, 라이베리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 엘렌 존슨 설리프가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21] 이 이야기는 2008년 다큐멘터리 영화 ''악마를 기도로 내쫓다''에 담겨 있다.[22]
6. 1.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를 위한 대규모 행동
레이마 고보위를 중심으로 조직된 라이베리아 여성들은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를 위한 대규모 행동"이라는 단체를 결성하여 찰스 테일러 대통령과 면담하고 가나 평화 회담 참석을 약속받았다. 여성 대표단은 비폭력 시위를 조직하고 평화 과정 동안 전쟁 당사자들에게 압력을 가했다. 이들은 대통령궁 앞에서 침묵 시위를 벌여 교착 상태에 빠진 평화 회담에서 합의를 이끌어냈다.[19] 창의적인 비폭력 시위는 라이베리아 여성과 어머니들의 힘을 활용하게 했으며, 남성들이 무기를 내려놓을 때까지 성 파업을 벌이고 가나 평화 회담장 밖에서 앉아 시위하며 옷을 벗겠다고 위협하는 전략도 포함되었다.[20]3,000명이 넘는 기독교와 무슬림 여성들이 협력하여 14년간의 내전 끝에 라이베리아에 평화를 가져왔고, 라이베리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21] 이 이야기는 2008년 다큐멘터리 영화 ''악마를 기도로 내쫓다''에 담겨 있다.[22]
6. 2. 엘렌 존슨 설리프의 당선
레이마 고보위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여성들은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를 위한 대규모 행동"이라는 단체를 결성하여 찰스 테일러 대통령과의 면담을 강행, 가나에서의 평화 회담 참석을 약속받았다. 여성 대표단은 비폭력 시위를 조직하고 평화 과정 동안 전쟁 당사자들에게 압력을 계속 가했다. 그들은 대통령궁 앞에서 침묵 시위를 벌여 교착 상태에 빠진 평화 회담에서 합의를 이끌어냈다.[19] 이들의 창의적인 비폭력 시위는 라이베리아 여성과 어머니들의 힘을 활용할 수 있게 했으며, 그 전략에는 남성들이 무기를 내려놓을 때까지 성 파업을 벌이고 가나 평화 회담장 밖에서 앉아 시위하는 동안 옷을 벗겠다고 위협하는 것이 포함되었다.[20]3,000명이 넘는 기독교와 무슬림 여성들이 함께 노력하여 14년간의 내전 끝에 라이베리아에 평화를 가져왔고, 라이베리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 탄생에 기여했다.[21]
내전 종식에 기여한 여성 지도자들 중에는 2005년 선출되어 아프리카 최초의 현대 선출 여성 국가원수가 된 엘렌 존슨 설리프가 있다.[23] 그녀의 당선은 자국에서 남성들에 의해 전쟁이 지속되는 것을 목격하고 남성을 다시 그런 권력 있는 자리에 앉히려 하지 않던 여성들의 강력한 의지에서 영감을 받았다.[24] 이는 1980년대 전쟁을 촉발하는 데 엘렌 존슨 설리프가 역할을 했던 것이 1990년대 그녀의 대통령직 가능성을 저해했던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일이다. 진실화해위원회가 그녀의 30년간 정치 참여 금지를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2011년 재선에 성공했다.[25]
7. 한국의 관점과 시사점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은 국제 사회에 평화 유지 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은 직접적인 군사적 지원은 하지 않았지만,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라이베리아의 평화 정착 노력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유엔은 1997년 유엔 라이베리아 관찰단(UNOMIL) 임무 종료 후 유엔 라이베리아 평화구축 지원 사무소(UNOL)를 설립하여 라이베리아 정부의 평화 정착 노력을 지원했다. 2003년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509호에 따라 유엔 라이베리아 임무단(UNMIL)을 파병하여 평화 유지 활동을 전개했다. UNMIL은 군인, 민간 경찰, 정치 고문, 인도주의 지원 근무자 등 1만 5천 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라이베리아의 안정과 무장 해제 작업을 지원했다.[19]
특히 레이마 고보위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를 위한 대규모 행동"은 비폭력 시위와 평화 회담 압박을 통해 내전 종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노력은 2008년 다큐멘터리 영화 ''악마를 기도로 내쫓다(Pray the Devil Back to Hell)''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22] 엘렌 존슨 설리프는 2005년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라이베리아의 평화와 재건을 이끌었다.[23]
7. 1. 국제 평화유지 활동 참여
1997년 9월 30일, 유엔 라이베리아 관찰단(UNOMIL)의 임무가 종료된 후, 11월에 유엔은 사무총장 대표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유엔 평화구축 지원 사무소(UNOL)를 설립했다. 이는 최초의 유엔 분쟁 후 평화구축 지원 사무소로, 1997년 7월 다당제 선거 이후 라이베리아 정부가 평화를 공고히 하도록 지원하는 임무를 주로 맡았다.2003년 9월 11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평화협정을 유지하기 위해 유엔 라이베리아 임무단(UNMIL)의 평화유지군 파병을 권고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9월 1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509호에서 이 임무를 승인했다. 나이지리아는 잠정 ECOWAS군의 일원으로 평화유지군을 파병했다. UNMIL은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1만 5천 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UNMIL의 인원 대부분은 무장 군인이었지만, 민간 경찰, 정치 고문, 인도주의적 지원 근무자도 있었다. 2003년 10월 1일, 최초의 평화유지군은 베레모를 바꿔 유엔군이 되었고, 더 많은 병력이 배치될 예정이었다. 2004년 10월 몬로비아에서 3일간의 폭동으로 약 400명이 부상하고 15명이 사망했다. 유엔은 2003년 11월까지 5,500명의 병력 배치를 목표로 라이베리아 내 병력을 점진적으로 증강하고 각종 무장 세력의 무장 해제 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인접국의 불안정, 미완료된 무장 해제 과정, 그리고 일반적인 불만이 라이베리아의 불안한 평화를 위협했다.
7. 2. 여성의 역할과 평화 구축
레이마 고보위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여성들은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를 위한 대규모 행동"이라는 단체를 결성하여 찰스 테일러 대통령과의 면담을 강행, 가나에서의 평화 회담 참석을 약속받았다. 여성 대표단은 비폭력 시위를 조직하고 평화 과정 동안 전쟁 당사자들에게 압력을 계속 가했다. 그들은 대통령궁 앞에서 침묵 시위를 벌여 교착 상태에 빠진 평화 회담에서 합의를 이끌어냈다.[19] 이들의 창의적인 비폭력 시위는 라이베리아 여성과 어머니들의 힘을 활용할 수 있게 했으며, 그 전략에는 남성들이 무기를 내려놓을 때까지 성 파업을 벌이고 가나 평화 회담장 밖에서 앉아 시위하는 동안 옷을 벗겠다고 위협하는 것이 포함되었다.[20]3,000명이 넘는 기독교와 무슬림 여성들이 함께 노력하여 14년간의 내전 끝에 라이베리아에 평화를 가져왔고, 라이베리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 탄생에 기여했다.[21] 이 이야기는 2008년 다큐멘터리 영화 ''악마를 기도로 내쫓다(Pray the Devil Back to Hell)''에 담겨 있다.[22]
내전 종식에 기여한 여성 지도자들 중에는 2005년 선출되어 아프리카 최초의 현대 선출 여성 국가원수가 된 엘렌 존슨 설리프가 있다.[23] 그녀의 당선은 자국에서 남성들에 의해 전쟁이 지속되는 것을 목격하고 남성을 다시 그런 권력 있는 자리에 앉히려 하지 않던 여성들의 강력한 의지에서 영감을 받았다.[24] 이는 1980년대 전쟁을 촉발하는 데 엘렌 존슨 설리프가 역할을 했던 것이 1990년대 그녀의 대통령직 가능성을 저해했던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일이다. 진실화해위원회가 그녀의 30년간 정치 참여 금지를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2011년 재선에 성공했다.[25]
참조
[1]
논문
The roots of the second Liberian civil war
2009
[2]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4
Europa Publications, Routledge
[3]
웹사이트
Escola de Cultura de Pau. Liberia (inglés)
http://www.ciddr.org[...]
2024-11-00 # 추정 날짜, 원본에 정확한 날짜가 없음.
[4]
웹사이트
De re Militari: muertos en Guerras, Dictaduras y Genocidios
http://remilitari.co[...]
[5]
웹사이트
https://www.chathamh[...]
[6]
간행물
Liberia: The Key to Ending Regional Instability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2-04-24
[7]
간행물
Liberia: The Key to Ending Regional Instability
ICG
2002-04-24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risis Group - Conflict prevention and resolution
http://www.crisisgro[...]
2009-10-15
[9]
간행물
Liberia's Civil War
International Crisis Group, Adebayo
2002
[10]
서적
Fluid Research Fields: Studying Excombatant Youth in the Aftermath of the Liberian Civil War
Berghahn Books
[11]
뉴스
Liberia ends state of emergency
BBC News Africa
2002-09-14
[12]
논문
Liberia: an analysis of post-Taylor politics
2003-12-00 # 추정 날짜, 정확한 일자가 없음.
[13]
웹사이트
Liberian rebels declare ceasefire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03-07-29
[14]
웹사이트
Peacekeepers 'rushing' to Liberia
https://www.theguard[...]
2003-07-24
[15]
웹사이트
Rebels Lift Siege of Starving Monrovia – General
http://www.redorbit.[...]
[16]
뉴스
Liberia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BBC News
2011-06-10
[17]
웹사이트
Bank's Services for Arms Dealers in Conflict with Its Own Policy – International Consortium of Investigative Journalists
https://www.icij.org[...]
2015-02-10
[18]
웹사이트
The VICE Guide to Liberia
https://www.vice.com[...]
[19]
웹사이트
African women look within for change
http://edition.cnn.c[...]
[20]
뉴스
Did Liberia's first female leader make a difference?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1-22
[21]
웹사이트
Bill Moyers Journal . PRAY THE DEVIL BACK TO HELL – PBS
https://www.pbs.org/[...]
[22]
웹사이트
mediaglobal.org
http://www.mediaglob[...]
[23]
웹사이트
Ellen Johnson Sirleaf
https://www.achievem[...]
[24]
뉴스
How Liberian Women Delivered Africa's First Female Presiden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3-05
[25]
뉴스
Liberia: Civil War Panel Seeks to Ban President From Politic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07 # 원본에는 6월 7일이라고 되어 있으나, URL의 날짜와 다른 부분이 있어 수정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