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딩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딩카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그 역사는 가나 제국에서 시작된다. 만딩카족은 말리 제국을 건설했으며, 수니아타 케이타의 지도 아래 1235년 키리나 전투에서 수수족을 물리치고 독립을 쟁취했다. 만딩카족은 전통적인 사회 구조와 문화를 유지하며, 이슬람교를 믿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음악과 구전 전통으로 유명하며, 코라라는 악기를 사용한다. 현대 만딩카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에라리온의 민족 - 크루족
    크루족은 대서양 노예 무역 시대에 노예 무역에 저항하며, 인디고 염료 문신을 새기고 유럽 선박의 자유 선원으로 활동하며 항해 기술로 명성을 얻은 라이베리아의 민족이다.
  • 감비아의 민족 - 월로프인
    월로프인은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에 주로 거주하며 월로프어를 사용하고 졸로프 제국을 건설한 서아프리카의 주요 민족 집단으로, 전통적인 사회 계층 구조와 이슬람교 및 토착 신앙의 혼합된 종교적 관습을 가지고 농업과 수공예를 중심으로 생활한다.
  • 부르키나파소의 민족 - 모시족
    모시족은 부르키나파소에서 기원하여 서아프리카 지역에 널리 거주하는 민족으로, 뛰어난 기마술을 바탕으로 제국을 건설했으며, 가족과 국가 중심의 계층 구조, 모레어 사용, 조상 숭배 등의 문화적 가치를 공유한다.
만딩카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민족명만딩카
다른 표기만카
만딩
만딩가
만딩고
만딩코
말린케
설명"g"가 들어간 형태는 구식이며 19세기와 20세기 초 문헌에서 주로 발견됨. 만데족의 일원이며 밤바라족 또는 디울라족으로 잘못 불리기도 함.
인구약 1,100만 명
주요 거주 지역기니
말리
세네갈
감비아
가나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관련 민족만데족, 특히 밤바라족, 디울라족, 얄룬카족, 카송케족
언어만데어군 (주요 언어)
서부 마닌카어
동부 마닌카어
키타 마닌카어
만딩카어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종교수니파 이슬람 (거의 절대다수)
1324년 메카를 방문한 무사 1세, 그의 금을 보고 중동의 이슬람교도들과 유럽인들이 말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역별 인구 분포
기니3,786,101명 (29.4%)
말리1,772,102명 (8.8%)
세네갈900,617명 (5.6%)
감비아700,568명 (34.4%)
가나647,458명 (2%)
기니비사우212,269명 (14.7%)
라이베리아166,849명 (3.2%)
시에라리온160,080명 (2.3%)

2. 역사

13세기 초(1235년), 순자타 케이타가 이끄는 만딩카족은 키리나 전투에서 수수족의 수수 왕국(현재 말리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거대한 제국인 말리 제국을 건설하였다.[27]

2. 1. 기원

만딩카족의 역사는 많은 만데계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와가두(Wagadu)로도 알려진 가나 제국에서 시작된다. 만데족 사냥꾼들은 만딩(Manden) 지역에 정착지를 세웠는데, 이곳은 만딩카족의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27] 밤부크(Bambuk)과 세네갈 강 유역에도 정착했다. 가나 제국에서 흩어진 만데족은 대서양에서 가오(Gao)까지 퍼져 나갔다.[28][29]

말링케족과 밤바라족의 신화 속 조상은 건국 "사냥꾼 형제회"인 콘트론(Kontron)과 사닌(Sanin)이다. 만덴은 많은 동물과 사냥감, 그리고 울창한 초목으로 유명하여 매우 인기 있는 사냥터였다. 카마라(Camara 또는 Kamara) 족은 가뭄으로 와가두를 떠난 후 만덴에 정착한 가장 오래된 가문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만딩의 첫 마을 키리(Kiri), 그 후 키리나(Kirina), 시비, 키타를 건설했다. 만딩카 공동체를 구성하는 매우 많은 가문이 만덴에서 태어났다. 만덴은 수니아타 케이타의 지도 아래 말리 제국이 시작된 지역이다. 만덴은 11세기 가나 제국의 멸망 이후 형성된 여러 분열된 왕국들의 일부였다.[30]

13세기 초(1235년), 수니아타 케이타가 이끄는 만딩카족은 키리나 전투에서 수수족의 수수 왕국(현재 말리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거대한 제국인 말리 제국을 건설하였다.

2. 2. 말리 제국

순디아타 케이타의 통치 기간 동안, 만딩카족은 구전 전승에 따르면 정복 지역을 만들기 위해 니제르 강 유역에서 서쪽으로 확장했다. 이러한 확장은 13세기 후반에 시작되었다.[30] 타부 왕의 아들 파란 카마라의 지휘 아래 만딩카인들은 말리 남동쪽으로, 파콜리 쿠루마와 함께 또 다른 집단이 확장해 나갔다.[32]

이주와 함께 많은 금 세공인과 금속 가공 만딩카 대장장이들이 해안과 서아프리카의 구릉지대인 푸타 잘론 고원에 정착했다. 이들의 존재와 제품은 만딩카 상인들을 끌어들였고, 북아프리카와 동부 사헬에서 무역대상을 불러들였다. 이는 월로프족 등 다른 민족과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30]

북아프리카와 중동으로 향하는 카라반 무역은 이슬람교도들을 만딩카인들의 거주지로 불러들였다.[33] 무슬림 상인들은 만딩카 공동체에 존재감을 확보하려 했고, 이는 만딩카인들을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려는 노력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가나 제국에서는 알모라비드 왕조가 1077년까지 수도를 무슬림과 비무슬림 지역으로 나누었다.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영향은 이슬람 무역 디아스포라를 통해 이보다 앞서 만딩카 지역에 도착했다.[33]

1906년 서아프리카의 만딩카 민족, 언어 및 영향력을 보여주는 지도.


1324년, 말리를 통치한 만사 무사는 금을 실은 카라반과 함께 메카하즈 순례를 떠났다. 아랍 역사가 시하브 알-우마리는 그의 방문을 묘사하고, 무사가 왕국에 모스크를 건설하고 이슬람 기도를 확립했으며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 법학자들을 데려왔다고 전한다.[2]

말리의 만딩카인들은 일찍 개종했지만, 서쪽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개종하지 않고 전통 신앙을 유지했다. 전설에 따르면 장군 티라마칸 트라오레는 말리 사람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이주를 이끌었다고 한다.[34] 그러나 다른 전설은 트라오레 자신이 개종하여 무함마드의 손녀와 결혼했다고도 전한다.[34] 이러한 상반된 구전 역사는 이슬람이 13세기 이전에 도착했고 만딩카인들과 복잡한 상호 작용을 했음을 시사한다.[34]

13세기 초, 1235년에 순자타 케이타가 이끄는 만딩카족은 키리나 전투에서 수수족의 수수 왕국(현재 말리)으로부터 독립하여 거대한 제국인 말리 제국을 건설하였다.

2. 3. 이슬람의 영향과 노예 무역

말리 제국의 만딩카인들은 일찍 이슬람교로 개종했지만, 서쪽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개종하지 않고 전통적인 종교 의식을 유지했다. 서아프리카 만딩고족 사이의 전설 중 하나는 장군 티라마칸 트라오레가 이주를 이끌었는데, 그 이유는 말리 사람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그가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34] 또 다른 전설은 대조되는 설명을 제시하며, 트라오레 자신이 개종하여 무함마드의 손녀와 결혼했다고 말한다.[34] 토비 그린은 트라오레가 무함마드의 손녀와 결혼했다는 것은 상상의 산물이지만, 이러한 상반되는 구전 역사는 이슬람이 13세기 이전에 도착했고 만딩카인들과 복잡한 상호 작용을 했음을 시사한다.[34]

주로 풀라가 이끄는 푸타 잘론 이마마트 하의 지하드와의 일련의 갈등을 통해 많은 만딩카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다.[35][36] 현대 서아프리카에서 만딩카인들은 대부분 무슬림이지만, 기니비사우와 같이 상당수의 인구가 무슬림이 아닌 지역도 있다. 기니비사우에서는 만딩카 인구의 35%가 이슬람을 실천하고, 20% 이상이 기독교인이며, 15%가 전통적인 신앙을 따른다.[37]

만딩카 지역에서의 노예 약탈, 포획 및 거래는 유럽 식민 시대 이전에도 상당한 규모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30] 14세기 모로코 여행가이자 이슬람 역사가인 이븐 바투타의 회고록에서 그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38] 노예들은 사회적으로 계층화된 만딩카 사회의 일부였으며, ''Jong''이나 ''Jongo''와 같은 여러 만딩카어 단어는 노예를 가리킨다.[39][59] 예를 들어, 19세기 초 세네감비아 지역의 감비아 강을 따라 14개의 만딩카 왕국이 있었는데, 이 모든 왕국에서 노예는 사회 계층의 일부였다.[40]

style="text-align: center;" | 1501년부터 1867년까지 지역별 노예 수송량[41]
지역총 탑승 인원
서중앙 아프리카569만 명
베냉 만200만 명
비아프라 만160만 명
골드코스트121만 명
윈드워드 코스트34만 명
시에라리온39만 명
세네감비아76만 명
모잠비크54만 명
브라질 (남아메리카)470만 명
남아메리카 기타 지역90만 명
카리브해410만 명
북아메리카40만 명
유럽1만 명



토비 그린에 따르면, 13세기 이후 서아프리카와 중동 사이의 사헬을 가로지르는 사하라 사막 횡단 카라반 무역에서 금과 함께 노예를 판매하는 것이 이미 중요한 부분이었다.[42] 인도로 가는 해상 루트를 찾던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아프리카에 도착하면서 유럽인들의 노예 매입이 시작되었다. 그린은 주로 조로프족과 일부 만딩카족으로부터 포르투갈인들에 의한 노예 수송이 15세기에 시작되었다고 말하지만, 만딩카 노예를 포함한 무역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1497년 이후부터이다.[43]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의 시작과 함께 지중해 지역과 아프리카 내부로 서아프리카인들을 노예로 거래하는 제도는 역사적으로 정상적인 관행으로 계속되었다.[43]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노예 제도는 크게 성장했다.[36][44]

2. 4. 와술루 제국

13세기 초(1235년), 순자타 케이타가 이끄는 만딩카족은 키리나 전투에서 수수족의 수수 왕국(현재의 말리 공화국)을 격파하고 말리 제국을 건설하였다.

3. 사회와 문화

대부분의 만딩카족은 전통적인 시골 마을에 있는 가족 관련 겹집에서 산다. 만딩카족 마을은 상당히 자치적인 곳이며, 상류층 원로들의 의회와 동등한 자들 중 첫 번째로 기능하는 족장에 의해 통치된다.[56]

만딩카족의 춤

3. 1. 사회 구조

대부분의 만딩카족은 전통적인 시골 마을에 있는 가족 관련 겹집에서 산다. 만딩카족 마을은 상당히 자치적인 곳이며, 상류층 원로들의 의회와 동등한 자들 중 첫 번째로 기능하는 족장에 의해 통치된다.

만딩카 사회에서는 확대가족을 의미하는 ''lu''가 기본 단위이며, ''fa''(가족의 우두머리)가 다른 ''fa''들과의 관계를 관리한다. 여러 ''lu''가 모여 ''dugu''(마을)를 이루며, ''dugu''는 가장 중요한 ''lu''의 ''fa''가 이끌고, 가장 먼저 정착한 ''lu''의 ''fa''인 ''dugu-tigi''(마을 원장)가 그를 돕는다. 여러 ''dugu-tigi''가 모여 ''kafu''(연합)를 형성하며, ''kafu-tigi''가 이끈다. 케이타 씨족은 수니아타의 영토 확장과 ''만사''(왕/황제)의 탄생 이전에 ''kafu-tigi''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56]

만딩카족은 전통적으로 많은 서아프리카 민족 집단들처럼 카스트 제도를 가진 계층화된 사회였다.[57][58] 서아프리카 연구 및 아프리카 정치학 교수인 아놀드 휴즈에 따르면 만딩카 사회는 "세 개의 혼인 제한 카스트 – 자유민(''foro''), 노예(''jongo''), 그리고 장인과 칭송하는 사람(''nyamolo'') – 로 나뉘어져 있었다."[59] 자유민 카스트는 주로 농민이었다. 노예 계층에는 농민들에게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가죽 세공인, 도예가, 금속 세공인, 그리오 등이 포함되었다.[23]

만딩카 무슬림 성직자와 서기들은 전통적으로 ''자칸케''(Jakhanke)라 불리는 별도의 직업 카스트로 여겨졌으며, 그들의 이슬람 뿌리는 13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0]

만딩카 카스트는 세습적이었고, 카스트 간의 결혼은 금지되었다.[23] 그들의 카스트 제도는 아프리카 사헬 지역의 다른 민족 집단들의 제도와 유사하다.[62] 이러한 카스트는 감비아,[63] 말리, 기니 등 여러 국가의 만딩카 공동체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64][65]

3. 2. 종교

만딩카족은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다.[53][54] 북아프리카와 중동으로 향하는 카라반 무역은 이슬람교도들을 만딩카인들의 원래 거주지와 확장된 지역으로 불러들였다.[33] 무슬림 상인들은 만딩카 공동체에 존재감을 확보하려고 했고, 이는 만딩카인들을 전통적인 종교적 신앙에서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려는 노력을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가나에서는 알모라비드 왕조가 1077년까지 수도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한 부분은 무슬림이고 다른 부분은 비무슬림이었다.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영향은 이슬람 무역 디아스포라를 통해 이보다 앞서 만딩카 지역에 도착했다.[33]

1324년, 말리를 통치한 만사 무사는 금을 실은 카라반과 함께 메카로 하즈 순례를 떠났다. 아랍 역사가인 시하브 알-우마리는 그의 방문을 묘사하고 무사가 그의 왕국에 모스크를 건설하고 이슬람 기도를 확립했으며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 법학자들을 데려왔다고 말했다.[2] 아프리카계 미국인 종교사 교수인 리처드 터너에 따르면, 무사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무슬림들을 서아프리카로 끌어들이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2]

말리의 만딩카인들은 일찍 개종했지만, 서쪽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개종하지 않고 전통적인 종교 의식을 유지했다. 서아프리카 만딩고족 사이의 전설 중 하나는 장군 티라마칸 트라오레가 이주를 이끌었는데, 그 이유는 말리 사람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그가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34] 또 다른 전설은 대조되는 설명을 제시하며, 트라오레 자신이 개종하여 무함마드의 손녀와 결혼했다고 말한다.[34] 토비 그린은 트라오레가 무함마드의 손녀와 결혼했다는 것은 상상의 산물이지만, 이러한 상반되는 구전 역사는 이슬람이 13세기 이전에 도착했고 만딩카인들과 복잡한 상호 작용을 했음을 시사한다.[34]

주로 풀라가 이끄는 푸타 잘론 이마마트 하의 지하드와의 일련의 갈등을 통해 많은 만딩카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다.[35][36]

일부 만딩카족은 이슬람교와 토착 아프리카 종교를 혼합하기도 한다. 이러한 혼합 신앙을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보호 주문을 아는 마라부(marabout)의 힘을 통해 주로 정령을 제어할 수 있다고 믿는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마라부와 상의하지 않고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이슬람 교육을 받은 마라부들은 종이에 꾸란 구절을 적어 가죽 주머니(탈리스만)에 꿰매어 보호 부적으로 착용한다.

만딩카족의 이슬람 개종은 수 세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로버트 윈덤 니콜스(Robert Wyndham Nicholls)에 따르면, 세네감비아의 만딩카족은 17세기 초부터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시작했으며, 그곳의 대부분의 만딩카족 가죽 세공인들은 19세기 이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그러나 만딩카족 음악가들은 가장 늦게 개종하여 대부분 20세기 전반기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무슬림들은 연례 강우 의식과 과거 신들에게 "검은 황소의 희생 제사"와 같이 이슬람 이전의 일부 종교 관습을 계속 유지해왔다.[55]

3. 3. 통과 의례

만딩카족 여성들은 주변 다른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여성 성기 절제(FGM)를 행해왔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여성 할례"로 불렸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감비아 만딩카족 여성의 여성 성기 절제 유병률은 96%가 넘는 가장 높은 수치이며, 그 뒤를 욜라족 여성(91%), 풀라족 여성(88%)이 잇고 있다.[66]

서아프리카 다른 국가의 만딩카족 여성들 사이에서는 FGM 유병률이 더 낮지만 여전히 40%에서 90% 사이이다.[67][68] 이러한 문화적 관습은 현지어로 ''니아카(Niaka)'', ''쿠윤고(Kuyungo)'', ''무솔룰라 카롤라(Musolula Karoola)'', 또는 ''본도(Bondo)''라고 불리며,[69] 음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음핵과 함께 소음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감비아 전통 관행 위원회(Gambia Committee on Traditional Practices, GAMCOTRAP)의 조사와 같이 일부 조사에서는 감비아 만딩카족 여성의 100%에서 FGM이 유행한다고 추산한다. 2010년 유니세프와 지방 정부 기관의 지역사회 노력 이후, 여러 만딩카 여성 단체들이 여성 성기 절제 관행을 포기하기로 서약했다.

3. 4. 결혼

만딩카족의 결혼은 전통적으로 신랑이나 신부가 아닌 가족 구성원에 의해 주선된다. 이러한 관행은 특히 농촌 지역에서 흔하다. 구혼자의 가족은 신부 될 여성의 남성 어른들에게 공식적으로 콜라 너트(kola nut, 콜라 나무 열매)를 보낸다. 그들이 너트를 받아들이면, 구애가 시작될 수 있다.

일부다처제는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만딩카족 사이에서 행해져 왔다. 만딩카족 남성은 각 아내를 동등하게 돌볼 수 있는 한 최대 네 명의 아내를 법적으로 가질 수 있다. 만딩카족은 어떤 여성의 최고의 영광은 자녀, 특히 아들을 낳는 능력이라고 믿는다. 첫 번째 아내는 그 이후의 모든 아내들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남편은 아내들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며 그들을 먹이고 입히는 책임이 있다. 그는 또한 필요할 때 아내의 부모를 돕는다. 아내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화합 속에서 함께 살 것으로 기대된다. 그들은 요리, 세탁 및 기타 작업과 같은 겹집의 작업 책임을 공유한다.

만딩카족은 자녀들의 성인식 의례인 '''쿠양우(kuyangwoo)'''를 거행한다. 4세에서 14세 사이의 아이들은 성별에 따라 따로 모여 생식기를 의례적으로 절제당한다(남성 및 여성 생식기 절제 관련 항목 참조). 과거에는 아이들이 1년까지 숲에서 지냈지만, 현재는 신체 회복 기간(3~4주)에 맞춰 단축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이들은 성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행동 규칙을 배우게 된다. 마을이나 겹집에서는 아이들의 귀환을 위한 준비를 한다. 이 새로운 성인들이 가족에게 돌아오는 것을 기념하는 축하 행사가 열린다. 이러한 전통적인 가르침의 결과로, 결혼 후 여성은 부모와 가족에게, 남성은 자신의 가족에게 충성을 다한다.

3. 5. 음악

만딩카 문화는 전통, 음악, 그리고 영적인 의식이 풍부하다. 만딩카 사람들은 이야기, 노래, 속담을 통해 오랜 구전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시골 지역에서는 서구 교육의 영향이 미미하며, 라틴 문자(Latin script)의 읽고 쓰는 능력은 매우 낮다. 그러나 성인 인구의 절반 이상이 현지 아랍 문자(Arabic script)(만딩카 아자미 문자(Ajami script) 포함)를 읽을 수 있다. 이를 가르치는 어린이들을 위한 작은 코란 학교(Qur'an)는 매우 흔하다. 만딩카 아이들은 태어난 지 8일째 되는 날 이름을 받는다. 아이들은 거의 항상 가족 중 매우 중요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다.

만딩카 사람들은 그리오트(griot)들이 노래하는 형태로 전해지는 풍부한 구전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음악을 통한 구전 역사의 전승은 음악 연습을 만딩카 사람들의 가장 독특한 특징 중 하나로 만들었다. 그들은 오랫동안 타악기와 독특한 악기인 코라(Kora (instrument))로 유명하다. 코라는 말린 속이 빈 박을 반으로 자르고 소나 염소 가죽으로 덮어 만든 21현의 서아프리카 하프(harp)이다. 현은 낚싯줄로 만들어졌다 (전통적으로는 소의 힘줄로 만들어졌다). 그리오트의 노래에 맞춰 연주하거나 독주로 연주된다.

감비아의 구전 전통 노래를 코라(Kora (instrument))로 연주하는 만딩카 그리오트(Griot) 알-하지 파파 수소(Al-Haji Papa Susso)


코라는 전통 만딩카 음악가들의 상징이 되었다. 21개의 줄을 가진 코라는 반으로 자른 조롱박에 소가죽을 씌우고 장식용 못으로 고정하여 만든다. 코라에는 옆면에 소리 구멍이 있는데, 이곳에는 공연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칭찬하는 가수들에게 바치는 동전을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칭찬하는 가수들은 만딩카어로 ''jalibaa'' 또는 ''jalolu''라고 불린다.[71]

4. 언어

주요 언어는 감비아와 세네갈의 만딩카어, 기니와 말리의 마닌카어(말린케어), 서아프리카 남부의 소닌케어이며, 다른 서아프리카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케' 또는 '카'로 끝난다('어' 또는 '사람'을 의미한다).

5. 경제

21세기에 만딩카족은 주로 땅콩, 쌀, 수수, 옥수수와 소규모 축산업에 의존하는 농업 사회를 이루고 있다. 우기에는 남성들이 주요 현금 작물인 땅콩을 재배하고 수수도 재배한다. 여성들은 쌀(전통적으로 아프리카 쌀)을 재배하며 손으로 직접 관리한다.[52] 이는 매우 노동 집약적이고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다. 지역에서 재배되는 쌀은 전체 소비량의 약 50%만 충당하고 나머지는 아시아와 미국에서 수입한다.[52]

가장 연장자인 남성이 가족의 가장이며, 결혼은 대개 주선된다. 원뿔형의 초가지붕이나 틴 지붕을 가진 작은 진흙집들이 씨족 집단을 기반으로 조직된 마을을 이룬다. 만딩카족에게 농업이 주된 직업이지만, 남성들은 재봉사, 정육점 주인, 택시 운전사, 목수, 금속 세공인, 군인, 간호사, 그리고 원조 기관의 농업 지도원으로 일하기도 한다.

6. 현대의 만딩카족

만딩카어 사용 인구는 100만 명이 넘으며,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세네갈, 시에라리온 등 서아프리카 여러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서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에 소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7. 나라별 저명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Mansa Musa Makes His Hajj, Displaying Mali's Wealth in Gold and Becoming the First Sub-Saharan African Widely Known among European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 서적 Islam in the African-American Experience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PGGPopulation https://www.pggpopul[...] Partner Institute for Computational Biology (PICB) 2019-12-22
[4] 웹사이트 Africa: Guinea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9-12-22
[5] 웹사이트 Africa: Mali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21-05-01
[6] 웹사이트 Africa: Senegal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9-12-22
[7] 웹사이트 201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patial Distribution https://www.gbos.gov[...] The Republic of The Gambia 2005-04-30
[8] 웹사이트 Ghan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02-02
[9] 웹사이트 Recenseamento Geral da População e Habitação 2009 Características Socioculturais http://www.stat-guin[...] 2020-03-28
[10] 웹사이트 Africa: Liberia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9-12-22
[11] 웹사이트 Sierra Leone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National Analytical Report https://sierraleone.[...] 2020-03-28
[12] 웹사이트 Mandinka Tribe- 10 Interesting Details About This West African ethnic Group https://weafrique.co[...] 2021-06-10
[13] 서적 Slavery and African ethnicities in the Americas: Restoring the link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5
[14] 논문 Putting the History Back into Ethnicity: Enslavement, Religion, and Cultural Brokerage in the Construction of Mandinka/Jola and Ewe/Agotime Identities in West Africa, c. 1650–1930 https://www.cambridg[...] 2008-10-01
[15]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1
[16] 서적 The Gambia and its people: Ethnic identities and cultural integration in Africa https://books.google[...] New Africa Press 2010
[17] 논문 Bound to Africa: The Mandinka Legacy in the New World https://www.jstor.or[...] 2005
[18] 웹사이트 Malinke people https://www.britanni[...]
[19] 서적 The Peoples of Africa: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20] 서적 The Jumbies' Playing Ground: Old World Influences on Afro-Creole Masquerades in the Eastern Caribbean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12-09-14
[2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Guinea-Bissau Scarecrow Press 2013
[22] 서적 The Peoples of Africa: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2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4] 논문 Koli Tengela in Sonko Traditions of Origin: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Change in Mandinka Oral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Literary History: Towards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6
[26] 논문 Bound to Africa: The Mandingo Legacy in the New World http://muse.jhu.edu/[...]
[27] 웹사이트 Mandingue https://www.cultures[...]
[28] 서적 Bipolarisation du Senegal du XVIe - XVIIe siécle HGS Editions 2021
[29] 논문 From Mande to Songhay: Towards a political and ethnic history of medieval Gao
[30]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Architecture, Islam, and Identity in West Africa: Lessons from Larabang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Djinns, Stars, and Warriors: Mandinka Legends from Pakao, Senegal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6] 서적 From Africa to Brazil: Culture, Identity and an Atlantic Slave Trade, 1600–18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Guinea-Bissau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10-17
[38] 서적 Approaching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Wiley
[39] 서적 Oral Traditions from the Gambia: Mandinka griots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Africa Program
[4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Gamb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1] 서적 Atlas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2nd Edition http://www.slavevoya[...] Yal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44] 서적 The Rise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in Western Africa, 1300–1589 https://books.google[...]
[45] 서적 From Africa to Brazil: Culture, Identity, and an Atlantic Slave Trade, 1600–18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Senegambia and the Atlantic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서적 Senegambia and the Atlantic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48] 서적 Slavery and Colonial Rule in French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논문 Jihad and Social Revolution in Futa Djalon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50] 학술지 African Slavery and other Forms of Social Oppression on the Upper Guinea Coast in the Context of the Atlantic Slave-Tra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1-04
[51] 서적 From Africa to Brazil: Culture, Identity, and an Atlantic Slave Trade, 1600–18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Djinns, Stars, and Warriors: Mandinka Legends from Pakao, Senegal Springer-Brill
[53] 학술지 Sundiata of Mali 2007-05-00
[54] 학술지 Mandingo Kingdoms of the Senegambia: Traditionalism, Islam and European Expansion 1973-12-00
[55] 서적 The Jumbies' Playing Ground: Old World Influences on Afro-Creole Masquerades in the Eastern Caribbe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56]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African History https://oxfordre.com[...]
[57]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Caste Systems in West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Royal Kingdoms of Ghana, Mali, and Songhay: Life in Medieval Africa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6-03-00
[5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Gambia,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60] 서적 Living Knowledge in West African Islam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61] 서적 Les nouveaux urbains dans l'espace Sahara-Sahel: un cosmopolitisme par le bas https://books.google[...] Paris: KARTHALA
[62] 학술지 The Griot Tradition in Ḥassāniyya Music: The "Īggāwen"
[63] 학술지 Social organization and political factionalism: PHC in The Gambia
[64] 서적 Griots at War: Conflict, Conciliation, and Caste in Mand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65] 서적 Mandinka Social Organiz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66] 간행물 Accelerating the Abandonment of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FGM/C) in The Gambia http://www.unicef.or[...] UNICEF
[67] 서적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2009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68] 간행물 LEGISLATION TO ADDRESS THE ISSUE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https://www.un.org/w[...] UN
[69] 간행물 Multi-Agency Practice Guidelines: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gov.uk/g[...] HM Government, United Kingdom
[70] 웹사이트 Architecture vernaculaire et paysage culturel mandingue du Gberedou/Hamana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09-04-12
[71] 웹사이트 Traditional music in Gambia https://www.musicina[...] 2019-01-25
[72] 웹사이트 The Real Meaning Behind Mandinka by Sinéad O'Connor https://www.thelist.[...] 2023-08-10
[73] 웹사이트 Mr. T: Pity The Fool http://allhiphop.com[...] 2006-11-09
[74] Youtube Be Somebody... or Be Somebody's Fool! https://www.youtube.[...]
[75] 웹사이트 Mr. T: Pity The Fool http://allhiphop.com[...] 2006-11-09
[76] 저널 Sundiata of mali 2007-05-01
[77] 저널 Mandingo Kingdoms of the Senegambia: Traditionalism, Islam and European Expansion 197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