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인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인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로, 1990년 10월 1일 재창설되어 걸프 전쟁에 참전했다. 쿠웨이트 해방 작전에서 이라크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쿠웨이트 시티를 탈환하는 데 기여했으며, 2003년 11월 30일 해체되었다. 제3인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도 참전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차례 해체와 재창설을 거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해체된 단체 - 제1108통신여단
제1108통신여단은 1989년 미국 육군 정보체계시험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창설되었으며, 전략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 2003년에 제21통신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3해병군수단
제3해병군수단은 제3해병기동군을 지원하는 미국 해병대의 전투 지원 부대로, 1958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작전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해왔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단 - 제7군단지원단
제7군단지원단은 미국 육군의 전투 지원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에서 물자 수송, 탄약 보급,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재창설되었다.
제3인사단 | |
---|---|
제3인사단 | |
원어 이름 | 3rd Personnel Group (3rd PG) |
활동 기간 | 1942년 3월 25일 ~ 1947년 5월 1일 1990년 9월 15일 ~ 2003년 7월 9일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부관부 |
역할 | 군단 인사단 조직 |
명령 체계 | 제3(III)군단 |
본부 | 포트 후드 |
2. 역사
제3인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3월 25일 미국 메사추세츠 주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3보충창으로 창설되었다. 유럽 전구에 투입되어 활동했으며, VE데이 이후 독일에 주둔하다가 1947년 5월 1일에 해산하였다.
이후 1990년 9월 15일에 재창설되어 걸프 전쟁에 참전하였다. 쿠웨이트에 파병되어 리야드, 다란, 칼리드 국왕 군사도시 등지에서 인사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제22지원사령부 소속으로 제7군단과 제18공수군단을 지원했다.
전쟁 후 활동을 이어가다 2003년 7월 9일에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1]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3월 25일, 미국 메사추세츠 주의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3보충창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이후 유럽 전선에 투입되어 전투력을 잃은 아군 부대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VE데이 이후에는 독일에 주둔했으며, 1947년 5월 1일에 해산되었다.2. 2. 걸프 전쟁
1990년 9월 15일에 재창설된 제3인사단은 얼마 지나지 않아 걸프 전쟁에 대비하여 쿠웨이트로 파병되었다. 제502인사근무중대와 제546인사근무중대는 1990년 10월 10일에 각각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와 다란에 배치되어, 군단이나 사단에 소속되지 않은 부대들에게 인사 근무 지원을 제공했다.같은 해 12월 17일에는 본부 및 본부분견대(HHD)와 제21보충분견대가 리야드와 다란에 도착했다. 몇 주 후, 제21보충분견대는 칼리드 국왕 군사도시로 이동했다.
제3인사단은 기존에 소속되어 있던 제10인사사령부에서 윌리엄 파고니스 중장이 지휘하는 제22지원사령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91년 1월부터는 북쪽으로 이동한 제7군단과 제18공수군단에 대한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걸프 전쟁 당시 제3인사단의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 | 위치 | 비고 |
---|---|---|
본부 및 본부분견대 | ||
제1인사근무대대 (P&A) (임시) | 다란 | |
제1241총무중대 (직접) | ||
제644인사근무중대 | ||
제834총무중대 (종합) | ||
제602인사근무중대 | ||
제3인사관리대대 (P&A) (임시) | 칼리드 국왕 군사도시 | |
제320총무중대 (종합) | ||
제766총무중대 (직접) | ||
제442인사근무중대 | ||
제21보충(정규화)분견대 | ||
제386인사근무대대 (P&A) | 다란 | 1991년 1월 창설 |
제23보충(정규화)분견대 | ||
제21보충(정규화)분견대 | ||
제576보충(정규화)분견대 |
2. 3. 해체
2003년 7월 9일, 제3인사단은 해체되었다. 이와 함께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의 제1보병사단 소속 제1인사단과 이라크에 배치되었던 제18공수군단 소속 제18인사단도 같은 시기에 해체되었다.[1]3. 부대 구성
제3인사단은 임무 수행을 위해 본부와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었다. 부대 구성은 고정적이지 않았으며, 걸프 전쟁과 같은 특정 시기나 작전 필요에 따라 임시 부대가 편성되거나 예하 부대의 구성이 변경되기도 했다. 주요 임무는 예하 부대를 통해 담당 지역 또는 부대에 대한 인사 및 행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3. 1. 걸프 전쟁 당시
걸프 전쟁 당시 제3인사단은 본부 및 본부분견대와 함께 다음과 같은 예하 부대들로 구성되어 인사 및 행정(P&A)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일부 대대는 전쟁 수행을 위해 임시로 편성되었다.구분 | 부대명 | 주둔지 / 비고 |
---|---|---|
본부 | 본부 및 본부분견대 | - |
제1인사근무대대 (임시) | 제1인사근무대대 | 다란 |
제1241총무중대 | (직접 지원) | |
제644인사근무중대 | ||
제834총무중대 | (종합 지원) | |
제602인사근무중대 | ||
제3인사관리대대 (임시) | 제3인사관리대대 | 칼리드 국왕 군사도시 |
제320총무중대 | (종합 지원) | |
제766총무중대 | (직접 지원) | |
제442인사근무중대 | ||
제21보충분견대 | (정규화) | |
제386인사근무대대 | 제386인사근무대대 | 다란 (1991년 1월 편성) |
제23보충분견대 | (정규화) | |
제21보충분견대 | (정규화) | |
제576보충분견대 | (정규화) |
3. 2. 최종 해체 당시
제3인사단이 최종적으로 해체될 당시 예하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부대명 | 주둔지 | 지원 대상 / 역할 |
---|---|---|
제1인사근무대대 | 캔사스 주 포트 라일리 | 제1보병사단 지원 |
제4인사근무대대 |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 | 제4보병사단 지원 |
제15인사근무대대 | 제1기병사단 지원 | |
제502인사근무대대 | 제2기갑사단 지원 | |
제546인사근무대대 | ||
제21보충중대 | ||
제151총무중대 (우편) | 우편 업무 담당 |
4. 기록
제3인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유럽 전선과 걸프 전쟁 등 주요 분쟁에 참여한 미국 육군의 부대이다. 부대의 소속 변경 이력, 창설부터 해체까지의 상세한 역사, 그리고 주요 참전 기록 및 수훈 내역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4. 1. 소속
- 제3인사사령부
- 제10인사사령부
- 제22지원사령부
4. 2. 계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인 1942년 3월 25일, 메사추세츠 주의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3보충창으로 창설되었다. 유럽 전구에 파견되어 전투 중 손실된 병력을 보충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VE데이 이후에는 독일에 주둔하다가 1947년 5월 1일에 해산하였다.1990년 9월 15일에 재창설되었으며, 얼마 있지 않아 걸프 전쟁 대비를 위해 쿠웨이트로 파병되었다. 제502인사근무중대와 제546인사근무중대는 10월 10일 각각 리야드와 다란에 배치되어, 군단이나 사단 소속이 아닌 부대들에 대한 인사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12월 17일에는 본부 및 본부분견대(HHD)와 제21보충분견대가 리야드와 다란에 배치되었고, 몇 주 후 제21보충분견대는 King Khalid Military City영어 (칼리드 국왕 군사도시)로 이동하였다.
이후 제10인사사령부 소속에서 윌리엄 파고니스 중장이 지휘하는 제22지원사령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91년 1월에는 북쪽으로 이동한 제7(VII)군단과 제18(XVIII)공수군단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2003년 7월 9일, 제3인사단은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이와 함께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 주둔하던 제1보병사단 예하 제1인사단과 이라크에 배치되었던 제18공수군단 예하 제18인사단도 해체되었다.[1]
'''부대 명칭'''
- 1940년 7월 1일, 정규군 배정, 3rd Replacement Depot|제3보충창영어
- 1990년 8월 1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rd Personnel Group|제3인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