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기계화보병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0기계화보병사단은 1955년 2월 20일 경기도 포천시에서 창설되어 안양시, 고양시를 거쳐 주둔했으며, 1991년 10월 1일 대한민국 육군에서 3번째로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수도군단 예하 향토예비사단으로 시작하여 서울 지역 향토방위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0년 11월 30일 국방개혁 2020에 따라 해체되어 제30기갑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현재는 제90기계화보병여단, 제91기계화보병여단, 포병여단, 사단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2020년 폐지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2020년 폐지 - 다음 팁
다음 팁은 사용자의 참여와 지식 공유를 위해 토픽, 배지, 엑스퍼트 제도 등 다양한 제도와 서비스를 제공한 Q&A 서비스였다.
제30기계화보병사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30기계화보병사단 |
원어 이름 | 第三十機械化步兵師團 |
별명 | 필승부대 (必勝部隊) |
표어 | 알 수 없음 |
마스코트 | 알 수 없음 |
활동 기간 | 1955년 2월 20일 ~ 2020년 11월 30일 |
병과 | 보병 |
종류 | 기계화보병 |
역할 | 알 수 없음 |
규모 | 사단 |
명령 체계 | 제1군단 |
본부 | 경기도 고양시 |
군가 | 30사단가 |
지휘관 | |
사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방성대 (3사 24기) |
지휘관 명칭 | 사단장 |
참전 | |
참전 전투 | 1·21 사태 5·16 군사정변 |
기타 | |
후신 | 제30기갑여단 |
훈장 | 알 수 없음 |
2. 역사
1955년 2월 20일 경기도 포천시에서 창설되어 여러 지역을 거쳐 고양시에 정착했다. 초기에는 향토사단의 임무를 수행하다가 1991년 10월 1일 대한민국 육군에서 세 번째로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2020년 11월 30일 해체되고, 12월 1일 제30기갑여단으로 감축·개편되어 재창설되었다.[3]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55년 ~ 1991년)
1955년 2월 20일 경기도 포천시에서 창설되었다. 이후 안양시 등 여러 지역을 거쳐 고양시에 정착하였다. 수도군단 개편 이전에는 제2군 제6관구사령부 예하의 향토사단이었으며, 1984년 수도방위사령부 개편 이전까지 서울 지역 향토방위 임무를 수행했다. 1991년 10월 1일 대한민국 육군에서 세 번째로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2. 2. 기계화보병사단 개편 (1991년 ~ 2020년)

1991년 10월 1일, 대한민국 육군에서 3번째로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1년 10월에는 창설 57주년을 맞이하여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2]
2020년 11월 30일,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사단이 해체되었고, 제30기갑여단으로 감축 및 개편되어 같은 해 12월 1일 재창설되었다.[3]
2. 3. 제30기갑여단으로 개편 (2020년 ~ 현재)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2020년 11월 30일 제30기계화보병사단이 해체되었다. 이후 제30기갑여단으로 감축·개편되어 같은 해 12월 1일에 재창설되었다.[3]3. 조직
제30기계화보병사단은 여러 차례의 부대 개편을 거치며 편제에 변화가 있었다. 사단 해체 직전에는 크게 2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1개의 포병여단, 그리고 사단 직할 부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요 전투 여단으로는 제90기계화보병여단과 제91기계화보병여단이 있었으며, 이들은 기계화보병대대와 전차대대로 이루어져 사단의 핵심 전투력을 담당했다. 화력 지원은 포병여단이 맡았으며, 그 외 다양한 직할 부대들이 사단의 작전 수행을 지원했다.
과거에는 제92기계화보병여단을 포함한 다른 부대들도 사단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국방개혁 등의 이유로 인한 부대 통폐합 및 개편 과정에서 일부 부대는 해체되거나 다른 상급 부대로 예속이 전환되었다.
3. 1. 현재 부대
제30기계화보병사단은 예하에 2개의 기계화보병여단, 1개의 포병여단, 그리고 여러 직할대를 두고 있다. 주요 전투부대로는 제90기계화보병여단 '비호'와 제91기계화보병여단 '독수리'가 있으며, 이들 여단은 기계화보병대대와 전차대대로 구성된다. 화력 지원은 포병여단이 담당하며, 그 외 정보통신, 방공, 정비, 군사경찰, 의무, 기갑수색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직할 부대들이 사단을 지원한다.3. 1. 1. 제90기계화보병여단
'''비호'''라는 별칭을 가진 기계화보병여단이다.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115기계화보병대대 (백호)
- 제51전차대대 (번개)
- 제53전차대대 (천마) - 90여단으로 예속전환됨
- 제119기계화보병대대 (땅벌) - 90여단으로 예속전환됨
3. 1. 2. 제91기계화보병여단
제91기계화보병여단은 '독수리'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부대 명칭 | 별칭 |
---|---|
제117기계화보병대대 | 포효 |
제118기계화보병대대 | 폭풍 |
제52전차대대 | 팬텀 |
3. 1. 3. 포병여단
- 제311포병대대
- 제315포병대대
- 제606포병대대
3. 1. 4. 사단 직할대
3. 2. 과거 부대
과거 제30기계화보병사단에 소속되었으나, 부대 개편 등의 이유로 해체되거나 다른 부대로 예속 전환된 부대들은 다음과 같다.- 제312포병대대: 해체
- 신병교육대: 해체
- 제116기계화보병대대: 해체
- 제92기계화보병여단: 해체
- 제29전차대대: 제2기갑여단으로 예속 전환
3. 2. 1. 제312포병대대
제30기계화보병사단 예하 부대였으나, 현재는 해체되었다.3. 2. 2. 신병교육대
제30기계화보병사단 예하의 신병교육대는 해체되었다.3. 2. 3. 제116기계화보병대대
제116기계화보병대대는 '상승철갑'이라는 별칭을 가졌던 부대이다. 현재는 해체되었다.3. 2. 4. 제92기계화보병여단
제92기계화보병여단은 '쌍용'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나, 부대 개편에 따라 해체되었다. 예하 부대였던 제29전차대대 '야생마'는 제2기갑여단으로 예속 전환되었다.4. 주요 지휘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4. 1. 역대 지휘관
참조
[1]
문서
사단 해체 직전 마지막 사단장
[2]
뉴스
제30기계화보병사단 창설 57주년 행사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2-03-25
[3]
뉴스
<정충신의 밀리터리 카페>‘진격의 北 전차부대, 퇴조의 南 기계화사단...남북 전차부대 희비쌍곡선 엇갈려’
https://n.news.naver[...]
2020-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