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의회는 2006년에 치러졌으며, 지역구 21석과 비례대표 3석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지역구 10석과 비례대표 2석을 얻어 12석으로 다수당이 되었고,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8석과 비례대표 1석을 얻어 9석을 차지했다. 민주노동당은 지역구 1석을 얻었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의회 지역구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강세를 보였다. 총 8개 선거구 중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선거구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선거구에서 후보를 당선시키며 그 뒤를 이었다. 민주노동당은 나 선거구에서 유일하게 당선자를 배출했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안산시 가선거구 상록구 사1동, 사2동, 본오3동 3 안산시 나선거구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반월동 3 안산시 다선거구 상록구 일동, 이동, 성포동 2 안산시 라선거구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안산동 2 안산시 마선거구 단원구 원곡본동, 원곡1동, 원곡2동, 선부1동, 선부2동 3 안산시 바선거구 단원구 와동, 선부3동 2 안산시 사선거구 단원구 고잔1동, 초지동 2 안산시 아선거구 단원구 고잔2동, 호수동, 대부동 2
3. 지역구 선거 결과
각 선거구별 당선자와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3. 1. 안산시 가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 가선거구 총 유권자 수한국어: 78,643명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한나라당 강기태 7,985 24.84% 당선 열린우리당 김동규 4,849 15.08% 당선 한나라당 김판동 4,405 13.70% 당선 민주노동당 이창수 3,972 12.35% 열린우리당 전준호 3,570 11.10% 민주당 은세기 2,747 8.54% 한나라당 남철희 2,419 7.52% 무소속 이문종 2,196 6.83% 합계 32,143표
3. 2. 안산시 나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 나선거구 | |||||
|---|---|---|---|---|---|
| 유권자수 | 63,217명 | ||||
| 기호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한나라당 | 김명환 | 7,153표 | 29.71% | 당선 |
| 2 | 열린우리당 | 문인수 | 3,659표 | 15.20% | 당선 |
| 3 | 민주노동당 | 홍연아 | 3,087표 | 12.82% | 당선 |
| 4 | 한나라당 | 유진원 | 2,750표 | 11.42% | |
| 4 | 한나라당 | 정순용 | 2,386표 | 9.91% | |
| 5 | 민주당 | 이대근 | 2,099표 | 8.72% | |
| 2 | 열린우리당 | 장형석 | 1,304표 | 5.41% | |
| 9 | 국민중심당 | 이형주 | 1,151표 | 4.78% | |
| 7 | 무소속 | 김영철 | 251표 | 1.04% | |
| 8 | 무소속 | 조돈형 | 229표 | 0.95% | |
| 합계 | 24,069표 | ||||
3. 3. 안산시 다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민근 | 한나라당 | 8,972 | 38.02 |
| 송세헌 | 열린우리당 | 5,347 | 22.66 |
| 임종응 | 한나라당 | 4,351 | 18.43 |
| 이영구 | 민주노동당 | 3,106 | 13.16 |
| 정종주 | 민주당 | 1,820 | 7.71 |
| 합계 | 23,596 | 100 |
3. 4. 안산시 라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 라선거구 |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김교환 | 한나라당 | 6,048 | 29.21% | 당선 | |
| 정승현 | 열린우리당 | 4,231 | 20.43% | 당선 | |
| 홍순목 | 한나라당 | 3,499 | 16.90% | ||
| 권영남 | 민주노동당 | 3,003 | 14.50% | ||
| 오창석 | 무소속 | 2,234 | 10.79% | ||
| 고준태 | 민주당 | 1,457 | 7.03% | ||
| 이상호 | 무소속 | 228 | 1.10% | ||
| 합계 | 20,700표 | ||||
3. 5. 안산시 마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 마선거구 | |||||
|---|---|---|---|---|---|
| 유권자 수 | 66,793명 | ||||
| 후보 | 정당 | 득표 수 | 득표율 | 비고 | |
| 김명연 | 한나라당 | 7,149표 | 28.93% | 당선 | |
| 성준모 | 열린우리당 | 4,548표 | 18.40% | 당선 | |
| 심정구 | 한나라당 | 4,369표 | 17.68% | 당선 | |
| 정연철 | 민주노동당 | 2,761표 | 11.17% | ||
| 정권섭 | 열린우리당 | 2,679표 | 10.84% | ||
| 이영철 | 한나라당 | 1,616표 | 6.54% | ||
| 김보석 | 민주당2000 | 1,585표 | 6.41% | ||
| 계 | 24,707표 | colspan="2" | | |||
3. 6. 안산시 바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 바선거구 | ||||
|---|---|---|---|---|
| 유권자수 | 57,818명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김석훈 | 한나라당 | 9,428표 | 47.11% | 당선 |
| 이기환 | 열린우리당 | 4,354표 | 21.75% | 당선 |
| 박은경 | 민주당 | 3,078표 | 15.38% | |
| 한정록 | 민주노동당 | 2,902표 | 14.50% | |
| 신용 | 무소속 | 249표 | 1.24% | |
| 계 | 20,011표 | colspan="2" | | ||
3. 7. 안산시 사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 사선거구 | |||||
|---|---|---|---|---|---|
| colspan="6" | | |||||
| 순위 | 이름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주기명 | 한나라당 | 7,648표 | 34.89% | 당선 |
| 2 | 김기완 | 열린우리당 | 4,660표 | 21.26% | 당선 |
| 3 | 황효진 | 한나라당 | 3,510표 | 16.01% | |
| 4 | 이상용 | 민주노동당 | 2,490표 | 11.36% | |
| 5 | 김용 | 열린우리당 | 1,954표 | 8.91% | |
| 6 | 이철수 | 민주당 | 1,655표 | 7.55% | |
| 합계 | 21,917표 | ||||
3. 8. 안산시 아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신성철 | 한나라당 | 10,282 | 39.60 |
| 박정호 | 열린우리당 | 5,793 | 22.31 |
| 이준우 | 한나라당 | 3,382 | 13.02 |
| 이봉규 | 무소속 | 2,923 | 11.26 |
| 이재용 | 민주노동당 | 2,181 | 8.40 |
| 장영철 | 민주당 | 1,398 | 5.38 |
| 합계 | 25,959 | 100.00 |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에서 2명, 열린우리당에서 1명의 당선자가 나왔다.
4. 1. 정당 투표 결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산시의회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는 한나라당이 53.66%의 득표율로 가장 많은 표를 얻어 2명의 당선자를 냈다. 열린우리당은 23.28%로 1명의 당선자를 냈고,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각각 13.70%, 9.34%를 득표했으나 당선자를 내지는 못했다.
4. 2. 비례대표 당선자
5. 전체 결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은 안산시의회 지역구 10석과 비례대표 2석을 차지하여 총 12석으로 압승을 거두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8석, 비례대표 1석으로 총 9석을 얻는 데 그쳤다. 민주노동당은 지역구 1석을 확보하며 선전하였다.
6. 분석 및 평가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안산시의회는 한나라당이 12석, 열린우리당이 9석, 민주노동당이 1석을 차지하여 한나라당이 다수당이 되었다. 이는 당시 대한민국의 보수적인 정치 지형과 노무현 정부에 대한 유권자들의 실망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안산시는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이러한 유권자들의 성향이 한나라당의 승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노동당은 지역구에서 1석을 얻는데 그쳤지만, 비례대표에서는 득표율이 열린우리당보다 높았다. 이는 진보 정당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가 일정 부분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