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6군단지휘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군단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의 군단급 부대이다. 1950년 타이완 북부방수구사령부로 창설되어, 육군 제1군단사령부, 육군 제3군단사령부를 거쳐 1976년 육군 제6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06년 국방부 조직법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직할 및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군단 - 제8군단지휘부
    제8군단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의 군단급 부대로, 1979년 육군 제8군단사령부로 개편되어 가오슝시, 타이난시, 핑둥현 일대의 방어를 담당한다.
  • 중화민국의 군단 - 제10군단지휘부
    제10군단지휘부는 1942년 신편 제38사단에서 시작하여 1976년 제10군단사령부로 개편 후 2006년에 현재의 지휘부 체제가 되었으며, 군단장, 부군단장, 참모장 등으로 구성되어 직할 부대와 정규군, 예비군, 예하 부대를 두고 군단의 작전을 지원했다.
  • 중화민국 육군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 - 둥인 지구지휘부
    둥인 지구지휘부는 위키백과 페이지 제목이나 현재 내용이 없어 해당 지휘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페이지 작성을 위해서는 각 섹션별 요약 및 원본 소스가 필요합니다.
제6군단지휘부
육군 제6군단 지휘부
제6군단 지휘부가 있는 베이우두 영구
제6군단 지휘부가 있는 베이우두 영구
부대휘장(隊徽)
부대휘장(隊徽)
기본 정보
활동 기간1954년 5월 1일 ~ 현재
소속국방부 육군사령부
종류지휘부
역할대만 북부 방어
규모군단
본부베이우두 영구

2. 역사

제6군단의 관할지역


제6군단은 중화민국이 타이완으로 이전한 직후인 1950년대에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타이완 북부 지역 방어를 위해 여러 부대들을 통합하여 편성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제6군단의 모체가 된 부대는 1950년 6월 1일에 창설된 타이완 북부방수구사령부와 타이완 동부방수사령부였다. 타이완 북부방수구사령부는 쑹후 방위사령부, 저우산 방위사령부, 제13군 사령부, 제9병단 사령부의 간부들을 차출하여 편성되었고, 석각 중장이 사령관을 맡았으며, 타이베이 궁관에 사령부를 두었다. 타이완 동부방수사령부는 육군 제99군과 제54군을 통합하여 편성되었고, 화롄에 사령부를 두었으며, 闕漢騫 중장이 사령관을 맡았다.

1954년 5월 1일, 타이완 북부방수사령부와 1953년 8월 1일에 타이중 청궁링으로 이전하여 개편된 육군 예비병단사령부를 통합하여 육군 제1군단사령부가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胡璉 2급 상장이었으며, 초기에는 타이베이 청궁링에 주둔하다가 1954년 6월에 타오위안시 종리 룽강(龍岡)으로 이전하였다. 1954년 7월 1일, 육군 제1군단사령부는 군급으로 정식 개편되었다.

이후 1976년 1월 1일에 육군 제3군단사령부로, 1976년 8월 16일에 육군 제6군단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06년 3월 1일에는 국방부 조직법에 따라 정진안(精進案)을 적용하여 현재의 명칭인 육군 제6군단지휘부로 개명되었다.

2. 1. 창설 초기 (1950년대)

1950년 6월 1일, 육군은 쑹후(淞滬) 방위사령부, 저우산(舟山) 방위사령부, 제13군 사령부, 제9병단 사령부의 간부들을 모아 臺灣北部防守區司令部|타이완 북부방수구사령부|타이완 북부방수구사령부중국어를 편성하였다. 초대 사령관은 석각 중장이었으며, 사령부는 타이베이 궁관에 설치되었다. 같은 날, 육군 제99군 및 제54군을 병합하여 臺灣東部防守區司令部|타이완 동부방수사령부|타이완 동부방수사령부중국어를 편성하고, 화롄에 사령부를 두었다. 사령관은 闕漢騫 중장이었다.

1953년 8월 1일, 타이완 동부방수구사령부는 타이중 청궁링으로 이동하여 陸軍預備兵團司令部|육군 예비병단사령부|육군 예비병단사령부중국어로 개편되었다.

1954년 5월 1일, 타이완 북부방수사령부와 예비병단사령부를 통합하여 陸軍第一軍團司令部|육군 제1군단사령부|육군 제1군단사령부중국어를 창설하고, 胡璉 2급 상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초기에는 타이베이 청궁링에 주둔하였다. 1954년 6월, 주둔지를 타오위안시 종리 룽강(龍岡)으로 이전하였다. 1954년 7월 1일, 육군 제1군단사령부를 군급으로 정식 개편하였다.

2. 2. 개편 및 명칭 변경 (1970년대 ~ 현재)

1976년 1월 1일, 육군 제3군단사령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76년 8월 16일, 육군 제6군단사령부로 다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당시 사령관은 李家馴|이가순중국어 중장이었다. 2006년 3월 1일, 국방부 조직법에 따라 정진안(精進案)을 적용하여 육군 제6군단 지휘부로 개명되었다.

3. 부대 구성

제6군단은 직할 부대, 예하 부대, 예비군, 배속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직할 부대에는 본부중대, 헌병중대, 타이완 타오위안시 룽탄구에 위치한 보병대대, 타이완 타오위안시 중리구의 화학병 제33군 "룽텅부대", 타이완 타오위안시 바더구의 공병 제53군 "룽화부대", 타이완 타오위안시 핑젠구의 포병 제21지휘부 "진잉부대"가 있다.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별명주둔지
관두 지구지휘부虎嘯部隊 (호소부대)신베이시 단수이구
란양 지구지휘부黃龍部隊 (황룡부대)이란현 싼싱향
보병 제109여단虎躍部隊 (호약부대)타오위안시 양메이구
보병 제153여단翔龍部隊 (상룡부대)이란현 이란시
보병 제206여단威武部隊 (위무부대)신주현 관시진
보병 제249여단龍虎部隊 (용호부대)먀오리현 터우펀시
기계화보병 제269여단雄獅部隊 (웅사부대)타오위안시 양메이구
장갑 제542여단迅雷部隊 (신뢰부대)신주현 후커우향
장갑 제584여단登步部隊 (등보부대)신주현 후커우향



예비군으로는 지룽시 후비여단, 타이베이시 후비여단, 신베이시 후비여단, 이란 후비여단, 타오위안시 후비여단, 신주시 후비여단, 먀오리현 후비여단이 있다. 배속 부대는 중리구에 주둔하고 있는 제3지구지원지휘부 "승근부대"와 운송병군이다.

3. 1. 직할 부대

3. 2. 예하 부대

부대별명주둔지
관두 지구지휘부虎嘯部隊 (호소부대)신베이시 단수이구
란양 지구지휘부黃龍部隊 (황룡부대)이란현 싼싱향
보병 제109여단虎躍部隊 (호약부대)타오위안시 양메이구
보병 제153여단翔龍部隊 (상룡부대)이란현 이란시
보병 제206여단威武部隊 (위무부대)신주현 관시진
보병 제249여단龍虎部隊 (용호부대)먀오리현 터우펀시
기계화보병 제269여단雄獅部隊 (웅사부대)타오위안시 양메이구
장갑 제542여단迅雷部隊 (신뢰부대)신주현 후커우향
장갑 제584여단登步部隊 (등보부대)신주현 후커우향


3. 3. 예비군

3. 4. 배속 부대


  • 중리구에 주둔하고 있는 제3지구지원지휘부 "승근부대"
  • * 운송병군

4. 계보


  • 1954년 5월 1일, 陸軍第一軍團司令部|육군 제1군단사령부중국어
  • 1976년 1월 1일, 陸軍第三軍團司令部|육군 제3군단사령부중국어
  • 1976년 8월 16일, 陸軍第六軍團司令部|육군 제6군단사령부중국어
  • 2006년 3월 1일, 陸軍第六軍團指揮部|육군 제6군단지휘부중국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