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갑은 기원전 16세기 상 왕조의 왕족으로, 무정의 아들이자 조경의 동생이다. 그는 형제 계승 전통에 따라 상나라의 23대 왕이 되었으며, 재위 기간은 학자에 따라 기원전 1184년 ~ 1177년 또는 기원전 1177년 ~ 1156년으로 추정된다. 조갑은 서융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희생 제도를 개혁하는 등 통치 활동을 펼쳤다. 그는 쌍둥이 아들을 태자로 임명하여 왕위 계승 방식을 변경했고, 사후 서북강의 상 왕실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갑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갑 |
전체 이름 | 성: 자(子) 이름: 재(載) |
왕조 | 상나라 |
재위 | 기원전 12세기 전반 |
이전 | 조경 |
다음 | 늠신 또는 경정 |
아버지 | 무정 |
어머니 | 부정 |
자녀 | 자 소 자 량 |
2. 생애 초기
조갑의 생애 초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기원전 16세기부터 황허 강 유역을 다스린 상 왕조의 왕족이었다. 그의 아버지 무정은 상나라의 가장 주목할 만한 통치자 중 한 명이었다. 무정은 기원전 1250년부터 59년 이상 통치하면서 쇠퇴해 가던 상나라를 강력한 국가로 변화시켰고, 황허 강 밖으로 영향력을 확장하여 양쯔 강과 현대 산시의 먼 지역까지 이르렀다. 조갑의 맏형인 조기는 "소왕"(小王, "예비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고 무정의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일찍 죽었고, 조경이 그를 대신했다. 조경의 재위 기간 동안, 자재(Zi Zai) 왕자가 예비 왕이 되었다.[3]
2. 1. 가족 관계
무정의 세 아들 중 한 명으로, 무정의 정실 왕후인 부정에게서 태어났다. 그는 두 형인 조경, 조기와 누이인 소신도를 두었다.[3]상나라는 무정 시대부터 문서로 확인되었지만, 그 시기부터 문명이 실질적으로 발전한 상태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정 이전에도 실제로 왕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갑의 가족을 5대에 걸쳐 보여주는 목록은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소을 | 상나라 제20대 왕 |
큰아버지 | 양갑 | 상나라 제17대 왕 |
반경 | 상나라 제18대 왕, 은의 창건자로 여겨짐 | |
소신 | 상나라 제19대 왕, 통치 기간 동안 왕국 쇠퇴 | |
아버지 | 무정 | 기원전 1250년 또는 기원전 1247년에 왕위 계승, 상나라 부흥 |
어머니 | 부정 | 무정의 세 정실 부인 중 한 명, 여사제이자 장군으로 활동, 부호와 동등한 지위 |
형제자매 | 조경 | 상나라 제22대 왕 |
조기 | "예정 왕"이었으나 일찍 사망 | |
소신도 | 아버지 무정으로부터 권한과 사유지를 부여받은 공주 | |
자녀 | 린신 | 상나라 제24대 왕, 《죽서기년》에 통치 기록 확인 안 됨 |
경정 | 상나라 제25대 왕 | |
손자 | 무을 | 상나라 제26대 왕 |
조갑은 아버지 무정으로부터 강력한 상나라를 물려받았다. 무정은 넓은 지역에 대한 상나라의 지배권을 확립했고, 그의 아들 조경은 정복되지 않은 부족들을 완전히 제압했다. 조갑은 즉위 후 서쪽의 융족을 정벌하고, 탕왕이 사용했던 형벌을 부활시키는 등 활발한 내정을 펼쳤다.
3. 상나라 왕으로서의 통치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조갑은 상나라 종교의 일부를 변경했다. 그는 희생 제사에 초점을 맞춰, 이전 무정이 제한했던 조상 제사의 수를 늘리고 신화적 영혼에 대한 제사는 줄였다.[6]
3. 1. 즉위년 명칭
상나라의 명명 규칙에 따르면, 왕의 재위 시대는 즉위 년도의 첫날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5] 기원전 1177년은 육십갑자 주기에서 '계(gui)'일로 시작되었다. '계'라는 이름은 상나라의 시조인 주계(탕왕의 아버지)의 이름과 일치했기 때문에 금기시되었다. 그 결과, 다음 '계'일인 '갑(jia)'이 재위 명칭으로 선택되었다. 다른 글자 '조(Zu)'는 같은 '갑' 이름을 가진 다른 군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
3. 2. 수도
조갑은 형의 뒤를 이어 상나라의 형제 계승 전통을 이어받았다. 그의 수도는 은이었다. 이 도시는 조갑의 증조부인 반경이 기원전 1300년경 건설한 것으로 여겨진다. 무정 시대에 은은 번성하여 왕국의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3. 3. 대외 정책
조갑은 형의 뒤를 이어 상나라의 형제 계승 전통을 이어받았다. 하상주 단대공정에서는 조갑의 재위 기간을 기원전 1184년 ~ 1177년으로 본다. 죽서기년에서는 데이비드 니비슨이 기원전 1177년 ~ 1156년으로 특정했다.[4] 니비슨에 따르면, 그의 즉위 년도가 그의 재위 명칭을 설명해준다. 상나라의 명명 규칙에 따르면, 왕의 재위 시대는 즉위 년도의 첫날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5] 기원전 1177년은 육십갑자 주기에서 '계(gui)'일로 시작되었다. '계'라는 이름은 상나라의 시조인 주계(탕왕의 아버지)의 이름과 일치했기 때문에 금기시되었다. 그 결과, 다음 '계'일인 '갑(jia)'이 재위 명칭으로 선택되었다. 다른 글자 '조(Zu)'는 같은 '갑' 이름을 가진 다른 군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의 수도는 은 (殷)에 있었다. 이 도시는 전통적으로 조갑의 증조부인 반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반경은 기원전 1300년경 은을 건설한 것으로 여겨진다. 무정 시대에 은은 번성하여 왕국의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넓은 지역에 대한 상나라의 종주권을 재확립하고 확고히 했다. 무정이 죽자, 조경은 완전히 정복되지 않은 채 남아 있던 대립 부족의 잔재를 정복하고 파괴했다. 그 결과 조갑은 수많은 제후국을 거느린 강력한 나라를 물려받았다.
그의 재위 12년에는 서쪽의 융족과 싸우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겨울까지 전투를 벌였다.
그의 재위 13년, 서융족은 패배한 후 상나라에 사절을 보냈다. 같은 해 그는 분(邠)의 제후에게 감(绀)에 군대를 주둔시키도록 명령했다.
그의 재위 24년에는 상나라 탕왕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사용했던 형벌을 다시 만들었다.
그의 재위 시대의 갑골문은 그가 상나라 종교의 몇 가지 측면을 변경했음을 보여준다. 그의 수정은 희생에 초점을 맞추었다. 수십 년 전, 무정은 조상에게 바치는 희생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희생 제도를 개혁했다. 그가 개혁을 발표한 상황은 서경 (''상서'')에 기록되어 있다. 조갑은 이러한 개혁을 비판적으로 되돌려 조상에 대한 제사의 수를 늘리고 신화적인 영혼에 대한 제사를 줄였다.[6]
3. 4. 내정 정책
조갑은 형의 뒤를 이어 상나라의 형제 계승 전통을 이어받았다. 하상주 단대공정에서는 조갑의 재위 기간을 기원전 1184년 ~ 1177년으로 본다. 죽서기년(竹書紀年)에서는 데이비드 니비슨이 기원전 1177년 ~ 1156년으로 특정했다.[4] 니비슨에 따르면, 그의 즉위 년도가 그의 재위 명칭을 설명해준다. 상나라의 명명 규칙에 따르면, 왕의 재위 시대는 즉위 년도의 첫날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5] 기원전 1177년은 육십갑자 주기에서 '계(gui)'일로 시작되었다. '계'라는 이름은 상나라의 시조인 주계(主癸, 탕왕의 아버지)의 이름과 일치했기 때문에 금기시되었다. 그 결과, 다음 '계'일인 '갑(jia)'이 재위 명칭으로 선택되었다. 다른 글자 '조(Zu)'는 같은 '갑' 이름을 가진 다른 군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의 수도는 은 (殷)에 있었다. 이 도시는 전통적으로 조갑의 증조부인 반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반경은 기원전 1300년경 은을 건설한 것으로 여겨진다. 무정 시대에 은은 번성하여 왕국의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넓은 지역에 대한 상나라의 종주권을 재확립하고 확고히 했다. 무정이 죽자, 조경은 완전히 정복되지 않은 채 남아 있던 대립 부족의 잔재를 정복하고 파괴했다. 그 결과 조갑은 수많은 제후국을 거느린 강력한 나라를 물려받았다.
그의 재위 12년에는 서쪽의 융족과 싸우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겨울까지 전투를 벌였다.
그의 재위 13년, 서융족은 패배한 후 상나라에 사절을 보냈다. 같은 해 그는 분(邠)의 제후에게 감(绀)에 군대를 주둔시키도록 명령했다.
그의 재위 24년에는 상나라 탕왕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사용했던 형벌을 다시 만들었다.
그의 재위 시대의 갑골문은 그가 상나라 종교의 몇 가지 측면을 변경했음을 보여준다. 그의 수정은 희생에 초점을 맞추었다. 수십 년 전, 무정은 조상에게 바치는 희생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희생 제도를 개혁했다. 그가 개혁을 발표한 상황은 서경 (''상서'')에 기록되어 있다. 조갑은 이러한 개혁을 비판적으로 되돌려 조상에 대한 제사의 수를 늘리고 신화적인 영혼에 대한 제사를 줄였다.[6]
3. 5. 상속 제도 변경
탕왕의 자손들에 의해 처음 시행된 상나라의 형제 계승 규칙은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졌다. 데이비드 니비슨은 죽서기년의 기록을 바탕으로, 이러한 규칙이 이윤이 태갑으로부터 왕위를 찬탈한 것과 같은 외부 간섭의 위험을 막기 위해 시행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관습은 무정 시대까지 이어졌으나, 무정은 59년의 재위 기간으로 인해 모든 잠재적 후계자보다 오래 살았다. 그는 자신의 아들들에게 의존해야 했고, 조기가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으므로 조정(祖丁)과 조갑(祖甲)만이 유일한 선택지였다.[7]
조경(祖庚)부터는 다시 적장자 계승이 적용되었는데, 이는 형제에 의한 찬탈이라는 새로운 위협을 제기했다.[7] 조갑은 자신이 선택한 후계자에게 직접 왕실 ''간지'' 이름을 부여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성을 확보했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조갑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린신이 왕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죽서기년에는 린신이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여 왕이 되지 못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신 그의 다른 아들 자효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는 후에 연호로 사용된 "경정(庚丁)"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4. 사망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조갑의 사망 연도를 기원전 1177년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죽서기년에서는 기원전 1156년으로 해석된다. 조갑 사후 직계 상속자(림신 또는 경정으로 기록)가 왕실 장례를 주관하여 서북강의 상 왕실 묘지에 안장되었다.[8]
4. 1. 무덤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조갑의 사망 연도를 기원전 1177년, 즉 즉위 후 수년 뒤로 기록하고 있다. 죽서기년의 정보는 기원전 1156년으로 해석된다. 조갑이 죽은 후, 그의 직계 상속자(림신 또는 경정으로 기록)가 주관하여 왕실 장례가 치러졌으며, 서북강의 상 왕실 묘지에 안장되었다.[8]조경과 마찬가지로 조갑은 묘지의 서쪽 구역에 묻힌 최초의 상 왕 중 한 명이었다. 이 구역은 무정이 그의 선조들과 무정의 후계자를 구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조갑은 그의 형의 무덤(1004호) 근처에 있는 1003호 무덤에 안치되었다. 그의 무덤은 조기 및 조경의 무덤과 함께 군집을 이루었으며,[9] 그의 선조들에게 경의를 표할 수 있도록 배치되었다.
5. 자녀
이름 | 설명 |
---|---|
린신 | 상나라 제24대 왕. 그의 통치는 《죽서기년》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다. |
경정 | 상나라 제25대 왕. |
참조
[1]
논문
The Anyang Xibeigang Shang royal tombs revisited: A social archaeological approach
2018
[2]
서적
"Indiana University, History G380: SHANG SOCIETY"
https://scholarworks[...]
[3]
서적
The key to the Chronology of the Three Dynasties: The "Modern Text" Bamboo Annals
SINO-PLATONIC PAPERS (number 93, January 1999)
[4]
서적
The key to the Chronology of the Three Dynasties: The "Modern Text" Bamboo Annals
SINO-PLATONIC PAPERS (number 93, January 1999)
[5]
서적
The key to the Chronology of the Three Dynasties: The "Modern Text" Bamboo Annals
SINO-PLATONIC PAPERS (number 93, January 1999)
[6]
서적
The World: A History,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2007), p 84.
[7]
서적
The key to the Chronology of the Three Dynasties: The "Modern Text" Bamboo Annals
SINO-PLATONIC PAPERS (number 93, January 1999)
[8]
웹사이트
The Anyang Xibeigang Shang royal tombs revisited: a social archaeological approach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31
[9]
웹사이트
The Anyang Xibeigang Shang royal tombs revisited: a social archaeological approach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