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니 러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니 러핀은 은퇴한 미국의 야구 선수로, 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1988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신시내티 레즈,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 SK 와이번스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 그리고 독립 리그에서 뛰었으며, 2004년 펜실베이니아 로드 워리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다. 이후 2006년 칠리코시 페인츠에서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야구 선수 - 커트 실링
커트 실링은 1988년부터 2009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3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통산 3,000탈삼진을 달성하고 은퇴 후에는 ESPN 해설가로 활동했으나 해고되었고 사업가로도 활동했다. - 미국의 야구 선수 - 그레그 매덕스
그레그 매덕스는 뛰어난 제구력과 지략적인 투구로 '정밀 기계'라 불리며 4년 연속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18시즌 연속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355승을 거둔 전직 투수로서,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71년 출생 - 백민석
백민석은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5년 "내가 사랑한 캔디"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잔혹하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기괴소설'을 통해 권력과 '정상성'에 대한 비판, 일상 속 공포를 탐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화밭 기이한 이야기》, 《죽은 올빼미를 위한 농장》 등이 있다. - 1971년 출생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조니 러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니 러핀 |
영어 이름 | Johnny Ruffin |
출생일 | 1971년 7월 29일 |
출생지 | 미국 앨라배마주 초크토군 버틀러 |
포지션 | 투수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선수 경력 | |
MLB 데뷔 | 1993년 8월 8일, 신시내티 레즈 |
NPB 데뷔 | 1997년 5월 13일, 긴테쓰 버펄로스 |
KBO 데뷔 | 2002년 4월 7일, SK 와이번스 |
MLB 마지막 경기 | 2001년 8월 2일, 플로리다 말린스 |
NPB 마지막 경기 | 1997년 5월 13일, 긴테쓰 버펄로스 |
KBO 마지막 경기 | 2002년 5월 14일, SK 와이번스 |
소속팀 | 신시내티 레즈 (1993년~1996년) 긴테쓰 버펄로스 (1997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0년) 플로리다 말린스 (2001년) SK 와이번스 (2002년) |
선수 상세 정보 (미국) | |
승-패 | 10승 6패 |
평균자책점 | 4.13 |
탈삼진 | 163 |
선수 상세 정보 (일본) | |
승-패 | 0승 0패 |
평균자책점 | 5.40 |
탈삼진 | 2 |
선수 상세 정보 (한국) | |
승-패 | 1승 0패 |
평균자책점 | 2.60 |
탈삼진 | 18 |
기타 정보 | |
드래프트 | 1988년 MLB 드래프트 4라운드 |
고등학교 | 초크토 카운티 고등학교 |
코치 경력 | |
코치팀 | 칠리코시 페인츠 (2006년) |
2. 선수 경력
러핀은 1988년 MLB 드래프트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4라운드로 지명되었다. 프로 첫 시즌은 1988년 화이트삭스 루키 클럽인 걸프 코스트 리그 화이트삭스에서 보냈다.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신시내티 레즈에서 MLB 선수로 뛰었고, 이후 일본 긴테쓰 버팔로스에서 한 시즌을 뛰었다. 1997년 긴테쓰와 계약한 러핀은 루이스 아키노의 대체 선수로 급하게 영입되었다.
일본에서 2군 조정 등판 없이 바로 1군에 데뷔했지만, 데뷔전에서 5이닝 3안타, 7볼넷, 3실점으로 부진하여 곧바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2군에서도 1경기 2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된 후, "여자친구의 교통사고 간병"을 이유로 귀국하여 그대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후 미국으로 복귀하여 1999년 멕시칸 리그를 거쳐[2] 2000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복귀했지만, 활약하지 못하고 다시 강등되었다. 2002년에는 부상으로 퇴출된 페드로 카스테야노의 대체 선수로 한국 SK 와이번스와 계약했지만, 9경기 1승에 그치고 시즌 도중 퇴출되었다.[2]
미국으로 돌아간 러핀은 AAA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지만, 2003년에는 독립 리그인 애틀랜틱 리그의 나슈아 프라이드에서, 2004년에는 펜실베이니아 로드 워리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은퇴했다.
2006년에는 독립 리그인 프론티어 리그의 칠리코시 페인츠에서 투수 코치를 맡았다.
러핀은 주로 슬라이더와 커브를 주 무기로 사용했다.
연도 | 리그/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고의 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1993 | CIN | 21 | 0 | 0 | 0 | 2 | 1 | 2 | .667 | 159 | 37.2 | 36 | 4 | 11 | 1 | 1 | 30 | 2 | 0 | 16 | 15 | 3.58 | 1.25 | ||
1994 | 51 | 0 | 0 | 0 | 7 | 2 | 1 | .778 | 287 | 70.0 | 57 | 7 | 27 | 3 | 0 | 44 | 5 | 1 | 26 | 24 | 3.09 | 1.20 | |||
1995 | 10 | 0 | 0 | 0 | 0 | 0 | 0 | 54 | 13.1 | 4 | 0 | 11 | 0 | 0 | 11 | 3 | 0 | 3 | 2 | 1.35 | 1.13 | ||||
1996 | 49 | 0 | 0 | 0 | 1 | 3 | 0 | .250 | 289 | 62.1 | 71 | 10 | 37 | 5 | 2 | 69 | 8 | 0 | 42 | 38 | 5.49 | 1.73 | |||
1997 | 긴테쓰 | 1 | 1 | 0 | 0 | 0 | 0 | 0 | 23 | 5.0 | 3 | 0 | 7 | 0 | 0 | 2 | 1 | 0 | 3 | 3 | 5.40 | 2.00 | |||
2000 | ARI | 5 | 0 | 0 | 0 | 0 | 0 | 0 | 0 | 43 | 9.0 | 14 | 4 | 3 | 1 | 0 | 5 | 0 | 0 | 9 | 9 | 9.00 | 1.89 | ||
2001 | FLA | 3 | 0 | 0 | 0 | 0 | 0 | 0 | 0 | 21 | 3.2 | 5 | 0 | 4 | 1 | 1 | 4 | 0 | 0 | 4 | 2 | 4.91 | 2.45 | ||
2002 | SK | 9 | 0 | 0 | 0 | 0 | 1 | 0 | 0 | 1.000 | 66 | 17.1 | 8 | 1 | 6 | 0 | 1 | 18 | 5 | 5 | 2.60 | 0.81 | |||
MLB:6년 | 139 | 0 | 0 | 0 | 0 | 10 | 6 | 3 | 0 | .625 | 853 | 196.0 | 187 | 25 | 93 | 11 | 4 | 163 | 18 | 1 | 100 | 90 | 4.13 | 1.43 | |
NPB:1년 | 1 | 1 | 0 | 0 | 0 | 0 | 0 | 0 | 23 | 5.0 | 3 | 0 | 7 | 0 | 0 | 2 | 1 | 0 | 3 | 3 | 5.40 | 2.00 | |||
KBO:1년 | 9 | 0 | 0 | 0 | 0 | 1 | 0 | 0 | 0 | 1.000 | 66 | 17.1 | 8 | 1 | 6 | 0 | 1 | 18 | 5 | 5 | 2.60 | 0.81 |
2. 1. 미국 프로 야구 시절
러핀은 1988년 MLB 드래프트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4라운드로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신시내티 레즈에서 MLB 선수로 뛰었고, 이후 일본의 긴테쓰 버팔로스에서 한 시즌을 보냈다. 2000년에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1년에는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뛰며 MLB 복귀를 노렸지만,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02년에는 신시내티 산하 트리플 A팀인 루이빌 배츠에서 마지막으로 제휴 시즌을 뛰었고, 같은 시즌 한국의 SK 와이번스에서도 뛰었다. 그의 마지막 프로 시즌은 2004년에 애틀랜틱 리그의 독립 구단인 펜실베이니아 로드 워리어스에서였다.[1]2016년 AL.com 기사에서는 러핀을 앨라배마주 초크토 카운티 출신 최고의 운동선수로 꼽았다.[1]
2. 1. 1. 마이너 리그 (1988-1993)
1988년 MLB 드래프트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4라운드로 지명된 조니 러핀은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8년 걸프 코스트 리그 화이트삭스에서 루키 시즌을 보냈고, 1993년까지 루키 리그부터 트리플 A 리그까지 다양한 수준의 리그를 경험했다.[1]2. 1. 2. 신시내티 레즈 (1993-1996)
1993년 신시내티 레즈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1995년까지 중간 계투로 뛰면서 매년 3점대 이하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1996년에는 5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했다.[1]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고의 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93 | CIN | 21 | 0 | 0 | 0 | 2 | 1 | 2 | -- | .667 | 159 | 37.2 | 36 | 4 | 11 | 1 | 1 | 30 | 2 | 0 | 16 | 15 | 3.58 | 1.25 |
1994 | 51 | 0 | 0 | 0 | 7 | 2 | 1 | -- | .778 | 287 | 70.0 | 57 | 7 | 27 | 3 | 0 | 44 | 5 | 1 | 26 | 24 | 3.09 | 1.20 | |
1995 | 10 | 0 | 0 | 0 | 0 | 0 | 0 | -- | ---- | 54 | 13.1 | 4 | 0 | 11 | 0 | 0 | 11 | 3 | 0 | 3 | 2 | 1.35 | 1.13 | |
1996 | 49 | 0 | 0 | 0 | 1 | 3 | 0 | -- | .250 | 289 | 62.1 | 71 | 10 | 37 | 5 | 2 | 69 | 8 | 0 | 42 | 38 | 5.49 | 1.73 |
2. 1. 3. 포터킷 레드삭스 (1997)
1997년 입단하여 6경기 1패, 평균자책점 4.50으로 평범한 모습을 보였다.[1]2. 1. 4. 마이너 리그 (1998-1999)
1998년부터 1999년까지 트리플 A 리그에서 뛰며 거친 세 팀에서 모두 3.00 이하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2. 1. 5.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0)
Johnny Ruffin영어은 2000년에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 입단하여 4년 만에 메이저 리그에 복귀했다. 그러나 5경기에서 9.0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부진하여 트리플 A로 내려갔다.[1] 트리플 A에서는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20세이브를 올렸다.[2]2. 1. 6. 플로리다 말린스 (2001)
2001년 플로리다 말린스에 입단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부진했으나, 트리플 A에서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마무리 투수를 맡아 22세이브를 올렸다.[1]2. 1. 7. 마이너 리그 (2001-2002)
조니 러핀은 2001 시즌 중 루이빌 배츠에 입단하여 3년 만에 돌아왔다.[1] 그는 2001년에 마무리 투수로 뛰었으며, 2002 시즌 중 팀을 떠났다.[1]2. 2. 일본 프로 야구 시절
1997년, 긴테쓰 버팔로스와 계약했다. 긴테쓰는 전년에 11승을 거둔 루이스 아키노를 자유 계약으로 하고 밥 미라키를 영입했지만, 캠프 초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고 공식전에서도 몇 경기 등판했지만 형편없는 성적을 기록했기 때문에, 긴급하게 러핀을 영입했다.러핀은 2군에서의 조정 등판 없이 바로 1군 데뷔를 했지만, 나고야 돔에서 열린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의 데뷔전에서 5이닝 3안타, 7볼넷, 3실점으로 부진하여 곧바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2군에서는 1경기에 등판하여 2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 경기 후, "여자친구가 교통사고를 당해 입원했기 때문에 간병하기 위해" 귀국했고, 그대로 그 해를 끝으로 자유 계약이 되었다.[2]
2. 2. 1. 긴테쓰 버펄로스 (1997)
1997년 시즌 중 일본 프로 야구의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했다. 긴테쓰는 루이스 아키노를 자유 계약으로 하고 밥 미라키를 영입했지만, 캠프 초부터 좋은 평가를 얻지 못했고 공식전에서도 몇 경기 등판했지만 형편없는 성적을 기록했기 때문에, 긴급하게 그를 영입했다.나고야 돔에서 열린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의 경기에 데뷔하여 선발 등판했으나, 5이닝 3피안타 7볼넷 3실점으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고 곧바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2] 2군에서는 1경기에 등판하여 2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 경기 후, "여자친구가 교통사고를 당해 입원했기 때문에 간병하기 위해" 귀국했고, 그대로 그 해를 끝으로 계약이 해지되었다.[2]
연도 | 소속팀 | 경기 | 선발 | 투구 이닝 | 피안타 | 볼넷 | 실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97 | 긴테쓰 | 1 | 1 | 5.0 | 3 | 7 | 3 | 5.40 | 2.00 |
2. 3. 한국 프로 야구 시절
2002년, SK 와이번스는 부상으로 퇴단한 페드로 카스테야노의 대체 선수로 러핀과 계약했다. 러핀은 9경기에 등판하여 1승, 평균자책점 2.60을 기록했지만, 시즌 도중 퇴출되었다.[2]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고의 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02 | SK | 9 | 0 | 0 | 0 | 0 | 1 | 0 | 0 | 0 | 1.000 | 66 | 17.1 | 8 | 1 | 6 | 0 | 1 | 18 | 5 | 5 | 2.60 | 0.81 | ||
KBO:1년 | 9 | 0 | 0 | 0 | 0 | 1 | 0 | 0 | 0 | 1.000 | 66 | 17.1 | 8 | 1 | 6 | 0 | 1 | 18 | 5 | 5 | 2.60 | 0.81 |
2. 3. 1. SK 와이번스 (2002)
2002년 2월, 오키나와 전지훈련 도중 무릎 부상으로 퇴출된[4] 카스텔라노의 대체 선수로 SK 와이번스에 입단했다. 주로 셋업맨으로 뛰었으며, 등번호는 38번이었다. 9경기에서 1승, 평균자책점 2.60을 기록했지만, 구속과 제구에 문제점을 보이며 5월에 퇴출되었다.[5] 당시 SK는 에르난데스가 전년도에 210이닝을 던진 여파로 5월 9일 대구 삼성전에서 오른팔 통증을 호소하며 1회 첫 타자만 상대하고 강판되어 시즌을 마감하는 바람에[6] 투수진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이로 인해 시즌 초 선발로 낙점되었던 조규제가 마무리로 보직을 변경했다가, 6월 초 다시 선발로 복귀했다. 그러나 조규제는 6월 19일 LG전 선발 등판 후 허벅지 근육통을 호소하며 2군으로 내려갔다. 결국 SK는 7월 20일 롯데에 에르난데스, 윤재국, 박남섭을 내주고 매기, 조경환을 받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7] 매기는 7월 7일 두산 더블헤더 1차전에서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된 조규제의 대체 요원으로 영입되었으나, SK 이적 후 구위가 떨어지며 6승 9패(롯데 시절 4승 5패, SK 시절 2승 4패)의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8] 한국을 떠났다.
2. 4. 독립 리그 시절
러핀은 2002년에 신시내티 레즈 산하 트리플 A팀인 루이빌 배츠에서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하였고, 같은 해 SK 와이번스에서도 뛰었다. 이후 2003년에는 독립 리그인 애틀랜틱 리그의 나슈아 프라이드에서 활동했다.2. 4. 1. 내슈아 프라이드 / 펜실베이니아 로드 워리어스 (2003-2004)
2003년 독립 리그인 애틀랜틱 리그의 나슈아 프라이드에서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여 4세이브를 올렸다.[1] 2004년에는 같은 리그의 펜실베이니아 로드 워리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3. 코치 경력
4. 투구 스타일
5. 수상 경력
조니 러핀은 2016년 AL.com에서 앨라배마주 초크토 카운티 출신 최고의 운동선수로 선정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No. 1 athlete from each of Alabama's 67 counties
https://www.al.com/s[...]
2016-12-14
[2]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3]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4]
뉴스
출전경기 ‘제로’… LG 한나한, ‘먹튀계의 전설’ 아이바 전철 밟을까
https://entertain.na[...]
한국경제TV
2015-03-19
[5]
뉴스
마운드, 주전경쟁 치열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02-03-27
[6]
뉴스
SK 신예투수 4인방“4강 우리가 던진다”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02-05-10
[7]
뉴스
에르난데스·윤재국·박남섭-조경환·매기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2-07-22
[8]
뉴스
'좌완 용병 잔혹사' SK, 이번에는 끊을까?
https://sports.news.[...]
OSEN
2012-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