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달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달진은 6.25 전쟁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운 군인이다. 1928년 전라남도 승주군에서 태어나 1949년 육군에 입대하여 6사단 19연대에서 소총수로 복무했다. 6.25 전쟁 발발 후 홍천지구 말 고개 전투와 상주군 유곡 전투에서 특공대원으로 활약하며 전차를 파괴하는 등의 공을 세워 을지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미 동성훈장을 수여받았다. 1955년 소위로 예편했으며, 2008년 별세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2011년 태극무공훈장이 추서되었고, 홍천과 순천에서 그의 업적을 기리는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인 - 이우석
    이우석은 아버지 이완용의 친일 행위에 대한 죄책감으로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서로군정서와 북로군정서에서 활동하며 청산리 전투 등에 참전했고, 해방 후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활하다 건국훈장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군인 - 윤재갑
    윤재갑은 대한민국 해군 제독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2008년 사망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8년 사망 - 에드먼드 힐러리
    에드먼드 힐러리는 1953년 텐징 노르가이와 함께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등정하고, 남극과 북극을 모두 정복했으며, 히말라야 지역 셰르파족을 위한 자선 활동에도 헌신한 뉴질랜드의 등반가, 탐험가, 자선가이다.
  • 1928년 출생 - 프란체스코 코시가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의 내무부 장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알도 모로 납치 사건과 비밀 조직 글라디오 등의 논란을 거치며 이탈리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논쟁을 남긴 인물이다.
  • 1928년 출생 - 데즈카 오사무
    일본의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는 700권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무시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조달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처: 전쟁기념관 https://www.warmemo.or.kr/front/viewAritcle.do
이름조달진
출생일1928년 11월 18일
출생지전라남도 승주군
사망일2008년 10월 15일
군 복무 정보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49년 ~ 1955년
최종 계급대한민국 육군 소위
근무대한민국 육군
서훈 내역
훈장을지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태극무공훈장

2. 생애

1928년 11월 18일 전라남도 승주군(현재 순천시)에서 태어났다. 6.25 전쟁 발발 후 1950년 6월 28일, 강원도 홍천에서 북한군 전차 격파를 위해 조직된 특공대일등병 계급으로 선발되어 전투에 참가했다.

2. 1. 6.25 전쟁 이전

1949년 8월에 입대해 6사단 19연대 3대대에서 소총수로 복무했다.

2. 2. 6.25 전쟁 참전

1949년 8월 육군에 입대하여 6사단 19연대 3대대에서 소총수로 복무하였다. 6.25 전쟁 발발 후 1950년 6월 28일, 강원도 홍천에서 북한군 전차 격파를 위해 조직된 특공대일등병 계급으로 선발되어 전투에 참가했다.

2. 2. 1. 홍천지구 말고개 전투

1950년 6월 28일, 조달진 일병은 홍천으로 들어오는 유일한 진출로인 말고개에서 북한군 전차를 파괴하는 임무를 맡았다. 말고개는 주변 저지대를 감제할 수 있고, 도로 폭이 좁고 굴곡이 심해 대전차 방어에 매우 유리한 지형이었다. 19연대장 민병권 대령은 이러한 지형적 이점을 활용하여 적 전차를 파괴하기 위해 특공대를 선발했는데, 조달진 일병을 포함한 11명이 최종 선발되었다. 이들은 81mm 박격포탄 1발과 수류탄 2발씩을 지급받고, 북한군 전차의 장단점과 파괴 요령을 교육받았다.

6월 28일 새벽 4시경, 특공대는 적 주력 전차 부대를 격파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이들은 27일 밤 10시에 군용 트럭을 타고 적지로 출발했다. 6월 28일 아침 8시 30분, 적의 공격으로 치열한 전투가 시작되었다. 적은 10여 대의 전차를 앞세워 진격했고, 아군이 밀리기 시작하자 특공대가 나섰다. 조달진 일병은 각 대원에게 1인당 전차 한 대를 맡겼다. 전차가 가까이 다가오자 조달진 일병은 수류탄과 81mm 포탄을 가지고 전차 후미에 올라타 뚜껑을 열고 안으로 포탄과 수류탄을 던진 후 뛰어내렸다.

이날 11명의 특공대는 선두 전차를 비롯해 적 전차 여러 대를 완파하거나 노획하는 데 성공했다. 특공대원 중 부상자는 1명뿐이었고, 작전은 크게 성공했다. 특공대는 육탄으로 적 전차를 공격하는 용맹함과 투지를 보여주어 국군의 사기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30일까지 홍천을 지켜내 적의 남진을 3일간 지연시켰다. 조달진 일병을 비롯해 공로가 큰 3명은 이등중사로 2계급 특진했고, 나머지 대원들도 모두 1계급 특진했다. 이 전투는 육탄 11용사의 전투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이후 적의 공격으로 많은 사상자를 낸 6사단은 결국 후퇴했다.

2. 2. 2. 상주군 유곡 전투

후퇴를 거듭하던 6사단은 계속해서 희생자가 늘어나고 전세는 불리해졌다. 이에 19연대장 민병권 대령은 조달진을 불러 다시 한번 특공대 조직을 명령했고, 조달진은 이전 특공대에서 7명을 선발해 특공대를 조직했다.

어느 날 아침, 특공대원 7명은 아침밥을 먹던 중 길이 20m의 교량 앞에 있던 적 전차를 발견한다. 가설해 놓은 대전차 폭파지뢰 스위치를 눌렀지만, 적 전차는 뒷걸음치며 포신을 아군 진지로 돌렸다. 조달진은 대원 4명에게 엄호를 부탁하고 적 전차에 뛰어 올라 뚜껑을 열려 했지만 실패했고, 포구에 수류탄을 던져 넣은 후 뛰어 내렸다. 그 후 전차 안에 타고 있던 북한군 7명을 포로로 사로잡았다.

특공대원 7명 중 사망한 1명을 제외한 6명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모두 2계급 특진하여, 조달진은 이등상사(현재 중사) 계급장을 달게 된다. 이 전투 이후 적 전차가 별로 나타나지 않고, 유엔군에서 대전차 파괴 신무기가 지급되자 특공대는 자연적으로 해산되었다. 또한 이 전투는 후퇴를 거듭하던 국군 전체 사기를 진작시키는 계기가 된다.

3. 사후

2008년 10월 15일 향년 80세로 별세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2011년 10월 건군 63주년 국군의 날에 태극무공훈장이 추서되었다.

1975년 홍천 군민들이 성금을 모아 홍천 말고개에 육탄용사 전적비를 세워 조달진 소위를 비롯한 육탄용사들의 전적을 기리고 있다.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2019년부터 '조달진 소위 추모제'가 열리고 있으며, 2020년까지 2회 개최되었다.

전쟁기념관에서 2014년 6월과 2020년 6월, 두 차례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하였다.

4. 서훈

조달진 육군 소위는 1950년 10월 을지무공훈장, 1951년 화랑무공훈장을 받았고, 1950년 10월 미 제8군 사령부로부터 동성훈장을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