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그리스도교련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은 1946년 북한 공산당의 주도로 창설된 기독교 단체이다. 김일성을 지지하고 대한민국 건국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으며, 김일성의 외삼촌인 강량욱이 이끌었다. 1972년 평양신학대학을 재개교하고, 1980년대 이후 성경과 찬송가를 출판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외 원조를 요청하고, 남북 교회 연합 예배를 통해 한반도 통일을 촉진하는 데 관여했다. 현재는 조선로동당의 통제를 받으며, 평양의 봉수교회와 칠골교회를 감독하고, 평양신학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북한 내 종교 자유 제한 및 대남, 대외 선전 도구로 활용된다는 비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종교 단체 - 조선불교도련맹
조선불교도련맹은 북한에서 설립된 불교 단체로, 초기에는 친일 잔재 청산 등을 내세웠으나 현재는 사회주의 옹호와 대외 교류를 목표로 조선로동당의 통제 하에 운영되고 있다. - 1946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신사본청
신사본청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설립된 일본의 종교 법인으로, 신사 신앙의 기본 지침을 내걸고 씨자와 숭경자의 교화에 힘쓰며 정신적 통합의 규범을 확립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일부 신사 이탈,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원자력 발전소 건설 문제, 헌법 개정 서명 운동 등 다양한 쟁점과 관련되어 있다. - 1946년 설립된 종교 단체 -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은 1946년 코건 신부가 창설하여 파티마 성모 발현 메시지를 전파하고 신심을 고취하는 가톨릭 단체로, 묵주기도, 첫 토요일 신심, 성모상 순례 등을 통해 평화와 신앙을 증진하며 전 세계에 지부를 두고 있다.
조선그리스도교련맹 | |
---|---|
기본 정보 | |
명칭 | 조선그리스도교련맹 |
로마자 표기 | Joseon Geuriseudogyo Ryeonmaeng |
약칭 | 조그련 |
설립일 | 1946년 11월 28일 |
목적 | 개신교 기독교인 대표 |
본부 | 평양직할시, 북한 |
언어 | 한국어 |
주요 인물 | 강량욱 강영섭 |
조직 | |
중앙위원회 위원장 | 강명철 |
서기장 | 오경우 |
기타 | |
전신 | 조선기독교연맹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본문 생략)
2. 1. 창설 배경
1934년은 장로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로, 당시 평양에서 가장 큰 교회였던 서문밖교회에서 장로교 총회가 열리는 등[22] 해방 이전 한반도 북부 지역에는 개신교, 특히 장로교의 교세가 상당했다.그러나 1945년 해방 이후 북한 지역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종교에 대한 통제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은 1946년 11월 28일, 당시 공산당 위원회의 주도로[19][20][21] 새로운 공산주의 정권에 협력하기로 한 일부 기독교인들에 의해 창설되었다.[3][4][5] 창설 과정은 김일성의 어머니의 삼촌인[7] 강량욱이 주도했다.
창설 직후,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은 국가 지도자인 김일성을 지지하고 대한민국의 건국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했다.[6] 당시 북한 지역 기독교인들의 다수가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약 3분의 1 정도가 조선그리스도교련맹에 가입한 것으로 전해진다.[8] 반면, 연맹 가입을 거부하거나 정권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 기독교 지도자들은 투옥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6]
2. 2. 창설과 초기 활동 (1946년 ~ 1970년대)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1946년 11월 28일, 북한 지역의 공산당 위원회 주도로 창설되었다.[19][20][21][3][4] 당시 새롭게 들어선 공산주의 행정부에 협력한 일부 기독교인들이 창설에 참여했다.[5]창설 초기 조직은 김일성의 모친의 삼촌(혹은 사촌[7])으로 알려진 강량욱이 이끌었다.[19] 조그련은 창설 직후 김일성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대한민국의 건국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6]
당시 북한 지역의 기독교인들은 대부분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나, 약 3분의 1이 조그련에 가입했다.[8] 조그련 가입을 거부하거나 정권에 비협조적인 기독교 지도자들은 투옥되는 등 탄압을 받았다.[6]
이후 조그련은 1972년에 평양신학원을 다시 열어 목회자 양성을 시도했다.[9]
2. 3. 활동 재개와 대외 교류 (1980년대 ~ 현재)
1983년,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신약성서와 찬송가를 발행하며 활동을 재개했다.[9][3] 이듬해인 1984년에는 구약성서를 간행했다.[3] 1988년에는 국가 기금을 통해[9] 평양직할시에 새로운 교회 건립을 추진하여, 같은 해 9월 봉수교회를 완공했고[3], 이듬해인 1989년에는 칠골교회를 건립했다.[3][9]소련의 해체 이후, 조그련은 북한과 외부 세계, 특히 남한 및 해외 종교 단체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국제 사회의 원조를 확보하는 창구 역할을 수행했는데,[10] 대표적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에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요청하여 성사시키기도 했다.[11]
또한 조그련은 한반도의 통일을 위한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2014년에는 평화와 통일을 주제로 남북 교회가 함께하는 연합 예배를 개최하는 등[12], 남북 종교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다만, 북한 내에서의 종교 활동은 조선로동당의 엄격한 통제하에 놓여 있다. 목사는 당원 중에서 조선로동당에 의해 임명되며, 신자 역시 당의 사상 심사를 통과한 인원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3. 조직 및 활동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북한 정부의 밀접한 감독 아래 운영되며,[13] 평양의 개신교 교회인 봉수교회와 칠골교회, 그리고 평양신학대학을 관리한다.[1][15] 공식적으로는 약 1만 명의 신도를 대표한다고 알려져 있으나,[1] 연맹 자체적으로 특정 기독교 활동을 제한하기도 한다.[14] 현재 중앙위원회 사무총장은 오경우이다.[16]
3. 1. 조직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조선로동당의 엄격한 통제와 감독 아래 운영된다.[13] 이 때문에 연맹 자체적으로 특정 기독교 활동을 제한하기도 한다.[14] 공식적으로 조그련은 약 1만 명의 북한 개신교 신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발표하지만,[1] 실제 북한의 종교 활동은 매우 엄격하게 통제된다. 목사는 조선로동당 당원 중에서 선출되며, 신도 역시 당의 사상 심사를 통과한 당원이어야 한다.조그련은 평양직할시에 있는 두 개의 개신교 교회를 감독하는데, 이는 1988년 9월에 세워진 봉수교회와 1989년에 건립된 칠골교회이다.[1] 또한, 조그련은 평양신학대학을 운영한다.[15]
조그련 중앙위원회의 현재 사무총장은 오경우이다.[16] 연맹은 종교 서적 발간 활동도 하여, 1983년에는 신약성서와 찬송가를 발행했고, 이듬해인 1984년에는 구약성서를 간행했다.
3. 2. 주요 활동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이하 연맹)은 북한 정부의 밀접한 감독 아래 운영되며,[13] 특정 기독교 활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14] 공식적으로 연맹은 약 10,000명의 북한 기독교인을 대표한다고 알려져 있다.[1]연맹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교회 운영 및 관리: 평양에 있는 개신교 교회인 봉수교회(1988년 9월 건립)와 칠골교회(1989년 건립)를 직접 관리하고 감독한다.[1] 북한 내 종교 활동은 조선로동당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며, 목사는 당원 중에서 선출되고 신자 역시 당의 사상 심사를 통과한 당원이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신학교 운영: 평양신학대학을 운영하며 목회자를 양성한다.[15]
- 성서 및 찬송가 출판: 1983년에는 신약성서와 찬송가를, 1984년에는 구약성서를 출판하여 보급했다.
현재 연맹 중앙위원회의 사무총장은 오경우이다.[16]
4. 비판 및 논란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북한의 공식적인 개신교 단체이지만, 그 운영 방식과 활동 목적을 둘러싸고 여러 비판과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핵심적인 비판은 조그련이 조선로동당의 엄격한 통제 아래 운영되는 사실상의 관변 단체이며,[13] 북한 주민의 실질적인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기보다는 체제 선전[14] 및 대외 이미지 개선을 위한 도구로 이용된다는 의혹[1]에 집중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조그련의 활동 전반에 걸쳐 지적되고 있다.
4. 1. 종교 자유 제한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북한 정부의 밀접한 감독 아래 운영되며,[13] 특정 기독교 활동을 제한하는 등[14] 사실상 조선로동당의 통제를 받는 관변 단체라는 평가를 받는다.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이 엄격하게 통제되어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신앙 생활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 목사는 조선로동당 당원 중에서 선출되며, 신도 역시 당의 사상 심사를 통과한 당원이어야만 활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제 때문에 조그련에 소속되지 않거나 당국의 방침을 따르지 않는 신자들은 종교 활동에 제약을 받는 것으로 전해진다.4. 2. 대남, 대외 선전 도구 의혹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은 북한 정부의 밀접한 감독 아래 운영되고 있으며,[13] 연맹 자체적으로도 특정 기독교 활동을 제한한다.[14] 이러한 배경 때문에 조그련의 활동이 순수한 종교 활동보다는 북한 체제를 선전하고 대외 관계 개선을 위한 도구로 이용된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된다. 공식적으로는 10,000명의 신자가 소속된 것으로 발표되지만,[1] 실제 신앙 활동의 자유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평양에 위치한 봉수교회와 칠골교회의 운영[1] 및 평양신학대학[15] 설립은 외국인 방문객에게 보여주기 위한 전시용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참조
[1]
서적
North Korea, International Law and the Dual Crises: Narrative and Constructive Engage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3]
서적
Korea: Tradition & Transformation :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https://books.google[...]
한림출판사
[4]
서적
Juche: A Christian Study of North Korea's State Religion
https://books.google[...]
Living Sacrifice Book Company
[5]
웹사이트
A Moment of Forgiveness and a Moment of Grace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7
[6]
서적
Christ and Caesar in Modern Korea: A History of Christianity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7]
학술지
The Cultural Cold War in Korea, 1945-1950
2003
[8]
서적
Tyranny of the Weak: North Korea and the World, 1950–1992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9]
서적
Red theology : on the Christian Communist tradition
https://www.worldcat[...]
Haymarket Books
2019
[10]
서적
Red theology : on the Christian Communist tradition
https://www.worldcat[...]
Haymarket Books
2019
[11]
서적
Red theology : on the Christian Communist tradition
https://www.worldcat[...]
Haymarket Books
2019
[12]
서적
Red theology : on the Christian Communist tradition
https://www.worldcat[...]
Haymarket Books
2019
[13]
서적
Kore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4]
서적
Examining the plight of refugees: the case of North Korea : hearing before the Subcommittee on Immigration of the Committee on the Judiciary, United States Senate, One Hundred Seventh Congress, second session, June 21, 2002
https://books.google[...]
U.S. G.P.O.
[15]
서적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5
http://lib.kinu.or.k[...]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5
[16]
웹사이트
Religionists Blame U.S., S. Korea for Escalating Tension on Korean Peninsula
http://www.kcna.co.j[...]
2013-04-22
[17]
서적
North Korea, International Law and the Dual Crises: Narrative and Constructive Engage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19]
서적
Korea: Tradition & Transformation :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https://books.google[...]
한림출판사
[20]
서적
Juche: A Christian Study of North Korea's State Religion
https://books.google[...]
Living Sacrifice Book Company
[21]
웹인용
A Moment of Forgiveness and a Moment of Grace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7-08-11
[22]
영상
100년 전, 전국에서 천여 명이 평양으로 몰려든 이유는?
https://www.youtube.[...]
KBS
2024-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