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농업근로자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주의 농업 근로자들의 대중 정치 조직으로, 조선로동당의 외곽 단체였다. 1946년 북조선농민동맹으로 창설되어, 한국 전쟁 중 조선농민동맹으로 개편되었고, 196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사회주의 농촌 건설, 사상·기술·문화 3대 혁명 추진 등을 주요 기능으로 하며, 평양에 본부를 두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았다. 2024년 해체 전까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회원이었다. 기관지 '조선의 농업근로자'를 발행했으며, 1970년대 260만 명, 1980년대 300만 명에서 감소하여 현재 약 160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동조합 - 조선기자동맹
조선기자동맹은 조선로동당의 지도를 받아 운영되며 북한 기자들의 의무 가입 단체로서, 당의 사상과 정책을 선전하고 사회주의 체제 유지를 위한 여론 형성에 기여하는 언론 단체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동조합 - 조선직업총동맹
조선직업총동맹은 북한의 4대 근로 단체 중 하나로 노동자, 기술자, 사무원으로 구성되어 노동자의 권익 옹호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조선로동당의 통제하에 운영되며 당의 사상 교육과 생산 관리에 동원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1946년 설립 - 경상남도체육회
경상남도체육회는 1945년 경상남도체육협회로 설립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울산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학교, 생활체육회를 흡수하고 회장, 사무처 등을 갖춘 조직으로 8개 시와 10개 군에 지부를 둔다. - 1946년 설립 -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1946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창간된 대한민국의 종합 일간지로, 과거 언론 탄압과 강제 통합을 겪었으나 한화그룹으로부터 분리 독립 후 사원주주회사로 출범하여 현재는 진보 성향의 언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 조선농업근로자동맹 | |
|---|---|
| 기본 정보 | |
![]() | |
| 창립일 | 1946년 1월 31일 |
| 전신 | 북조선농민동맹 |
| 본부 위치 | 평양직할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회원수 | 160만 명 |
| 출판물 | '조선농업근로자' |
| 약칭 | 농근맹 |
| 인물 | |
| 위원장 | 한종혁 |
| 관련 정보 | |
| 모체 조직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
2. 역사
1946년 1월 31일 전국농민조합총연맹 산하 기구인 '''북조선농민동맹'''(北朝鮮農民同盟)이 창설되었다.[14]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2월 11일 남조선로동당의 외곽 단체였던 농민조합총연맹과 통합하여 '''조선농민동맹'''(朝鮮農民同盟)으로 개편되었다.[14]
1964년 6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4기 9차 전원회의에서, 1964년 2월 조선로동당이 발표한 《우리나라 사회주의 농촌 문제에 관한 테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 개편이 결정되었다. 약 9개월 동안 조직 구성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1965년 3월 25일 조선농업근로자동맹으로 재출범했다.
2. 1. 창설과 초기 발전 (1946년 ~ 1964년)
1946년 1월 31일 전국농민조합총연맹 산하 기구인 '''북조선농민동맹'''이 창설되었다.[14]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2월 11일 남조선로동당의 외곽 단체였던 농민조합총연맹과 통합하여 '''조선농민동맹'''으로 개편되었다.[14] 1946년 5월에는 북조선농민동맹으로 개칭하였다.1964년 6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4기 9차 전원회의에서, 1964년 2월 조선로동당이 발표한 《우리나라 사회주의 농촌 문제에 관한 테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 개편이 결정되었다. 약 9개월 동안 조직 구성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1965년 3월 25일 조선농업근로자동맹으로 재출범했다. 1950년대 말, 토지 개혁과 농업 협동화가 완성되어 사회 구조에 변화가 오자, 기존 회원이던 협동농장원뿐만 아니라 국영 목장과 농촌 경리에서 직접 복무하는 국가 기관·기업소의 노동자 및 사무원을 망라하는 새로운 사회주의적 대중 정치 조직으로 변모했다.
2. 2. 조직 개편과 현대화 (1965년 ~ 현재)
1964년 6월, 조선로동당 제4기 9차 전원회의에서 조선로동당이 발표한 《사회주의 농촌문제에 관한 테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 개편이 결정되었다.[14] 1965년 3월 25일, 조선농업근로자동맹으로 재출범하면서, 협동농장원뿐만 아니라 국영 농목장 및 농촌 관련 기관, 기업소의 노동자와 사무원까지 포괄하는 대중 조직으로 확대되었다.3. 기능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은 "사회주의 농업 근로자들의 대중적 정치조직이며 조선로동당의 믿음직한 인전대이자 외곽단체"로 규정된다.[15] 사회주의 농촌 건설, 농촌에서의 사상·기술·문화 3대 혁명 추진, 도시와 농촌 간의 차이·노동자와 농민 간의 계급적 차이를 철폐하기 위한 투쟁, 비당원 사상 교양 사업을 수행한다.[15]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은 4년에 한 번 중앙위원회를 소집하고 정기 대회를 개최한다.[15] 또한 맹원들에 대한 교양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농근맹 해설 강사 회의', '선전 일군 회의' 등 관련 집회를 수시로 개최한다.[15]
4. 조직 구성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중앙위원회는 평양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다.[2][3] 2024년 해체 전까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회원이었다.[4][5] 기관지 ''조선의 농업근로자''를 한국어와 영어로 발행한다.[6][7]
현재 위원장은 한종혁이다.[8] 전임자는 김창엽[9]과 리명길이며,[10] 리명길의 전임자는 1998년 4월부터 성산섭이었다. 성산섭의 전임자는 1993년 위원장이 된 최성숙이었다.
4. 1. 중앙위원회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중앙위원회는 평양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다.[2][3] 2024년 해체 전까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회원이었다.[4][5] 기관지 ''조선의 농업근로자''를 한국어와 영어로 발행한다.[6][7]현재 위원장은 한종혁이다.[8] 전임자는 김창엽[9]과 리명길이며,[10] 리명길의 전임자는 1998년 4월부터 성산섭이었다. 성산섭의 전임자는 1993년 위원장이 된 최성숙이었다.
4. 2. 역대 위원장
5. 회원
조선농업근로자동맹의 조합원 수는 1970년대 260만 명,[11] 1980년대 300만 명에서[11] 감소하여 현재 약 160만 명이다.[11]
북한 주민은 최소한 하나의 당 부속 대중 조직에 가입해야 하며,[12] 조선농업근로자동맹도 그 중 하나이다. 조선농업근로자동맹에는 만 30세 이상, 60세(여성은 55세) 이하의 협동농장 농민뿐만 아니라[12] 농업 분야의 사무직 근로자와 육체 노동자도 가입할 수 있다.[12]
6. 기관지
7. 해체
참조
[1]
서적
The Hidden People of North Korea: Everyday Life in the Hermit Kingdo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3]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5: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s://2009-2017.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2017-01-08
[4]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books.google[...]
CQ Press
[5]
뉴스
Longstanding N. Korean unification-oriented front dissolves itself, saying there’s ‘no need’ for it
https://english.hani[...]
The Hankyoreh
2024-03-28
[6]
웹사이트
Item : Korean Serials (한국 정기 간행물) (Asian Reading Room: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02-03
[7]
웹사이트
Item : Korean Serials (한국 정기 간행물) (Asian Reading Room: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02-03
[8]
웹사이트
N. Korea replaces heads of key farmer and labor groups amid economic drive
https://en.yna.co.kr[...]
2021-02-05
[9]
웹사이트
6th Session of the 13th SPA Held
http://www.nkleaders[...]
2019-01-29
[10]
웹사이트
Workers' Organizations
https://nkleadership[...]
2017-01-06
[11]
간행물
Korea
https://encyclopedia[...]
The Gale Group, Inc
2021-02-03
[12]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The Bodley Head
[13]
문서
https://terms.naver.[...]
[14]
웹인용
"[한반도의 오늘] 77주년 北농민단체 '농근맹'…전원회의 열고 사상투쟁 강조"
https://www.yna.co.k[...]
2023-12-05
[15]
웹인용
"[북한의 4대 근로단체④] 북한의 농촌교양단체, 조선농업근로자동맹"
https://blog.naver.c[...]
2023-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