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뉴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뉴컴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약한 호주의 테니스 선수이다. 그는 1960년대 초 주니어 선수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1964년 데이비스 컵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우승에 기여했다. 뉴컴은 1965년부터 토니 로체와 복식조를 이루어 12번의 그랜드 슬램 복식 우승을 달성했다. 단식에서는 윔블던에서 3회, US 오픈에서 2회, 호주 오픈에서 2회 우승했으며, 1970년과 1971년에는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은퇴 후에는 남자 프로 테니스 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포츠 평론가 - 톰 파크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선수)
    톰 파크는 1962년부터 1989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선수로, 은퇴 후 스포츠 평론가, 기업가로서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대중화와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방송인 - 케빈 (1988년)
    케빈 (1988년)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으로 2010년 이후 제국의 아이들 멤버로 활동하며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음반에 참여한 보컬리스트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방송인 - 러키 스타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러키 스타는 멜버른 출신으로 로큰롤 밴드 보컬 겸 기타리스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로 전향, 호주 텔레비전 음악 프로그램 출연과 미성년자 연애 스캔들, 미국 진출 후 해외 투어, "I've Been Everywhere"와 "Living Next Door to Alice" 리메이크를 통해 인기를 얻으며 호주 음악계의 전설로 평가받는 가수이다.
존 뉴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4년의 뉴컴
뉴컴 (1974년)
이름존 데이비드 뉴컴
출생일1944년 5월 23일
출생지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거주지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신장1.83m
플레이 스타일오른손 (한손 백핸드)
프로 전향1967년 (1960년부터 아마추어)
은퇴1981년
총 상금US$ 1,062,408
테니스 명예의 전당 헌액 연도1986년
싱글
통산 전적1072승 401패
통산 타이틀68회 (ATP 오픈 시대 41회 타이틀)
최고 랭킹1위 (1967년, 랜스 팅게이), 1위 (1974년 6월 3일, ATP)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우승 (1973, 1975)
프랑스 오픈8강 (1965, 1969)
윔블던우승 (1967, 1970, 1971)
US 오픈우승 (1967, 1973)
마스터스 컵준결승 (1973, 1974)
WCT 결승우승 (1974)
복식
통산 전적333승 115패
통산 타이틀33회
최고 랭킹1위 (1965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복식우승 (1965, 1967, 1971, 1973, 1976)
프랑스 오픈 복식우승 (1967, 1969, 1973)
윔블던 복식우승 (1965, 1966, 1968, 1969, 1970, 1974)
US 오픈 복식우승 (1967, 1971, 1973)
혼합 복식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혼합 복식우승 (1965)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준우승 (1965)
US 오픈 혼합 복식우승 (1964)
단체전
데이비스 컵우승 (1964, 1965, 1966, 1967, 1973)
훈장
오스트레일리아 훈장AO
대영 제국 훈장OBE

2. 선수 경력

테니스 선수 존 뉴컴은 타고난 운동 신경을 바탕으로 어린 시절 다양한 스포츠를 즐겼으나, 17세 이후 테니스에 본격적으로 집중하기 시작했다.[26] 1961년부터 1963년까지 호주 주니어 챔피언을 지냈고, 1963년 오스트레일리아 데이비스 컵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1964년에는 정식 멤버로 합류하여 1967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의 데이비스 컵 4회 연속 우승에 기여했다.[26]

뉴컴은 특히 복식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1965년 동료 호주 선수인 토니 로치와 조를 이루어 호주 챔피언십과 윔블던 복식에서 우승하며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뉴컴과 로치 조는 이후 그랜드 슬램 복식에서 총 12회 우승(호주 4회, 프랑스 2회, 윔블던 5회, US 1회)을 합작하며, 2013년 밥 브라이언마이크 브라이언 형제가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역대 남자 복식조 최다 그랜드 슬램 우승 기록을 보유했다.[26] 뉴컴 개인으로는 그랜드 슬램 남자 복식에서 총 17회 우승했다.

단식에서도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1967년 아마추어 선수로서 윔블던과 US 오픈에서 우승했으며, 이 해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27][3][4][5] 1968년 프로 선수들의 메이저 대회 참가를 허용하는 오픈 시대가 시작되자 프로로 전향했다. 프로 전향 후에는 윔블던에서 2회(1970년, 1971년), US 오픈에서 1회(1973년), 호주 오픈에서 2회(1973년, 1975년) 더 우승하여, 개인 통산 그랜드 슬램 단식 7회 우승을 기록했다. 그는 윔블던과 US 오픈에서는 아마추어와 프로로서 모두 우승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오픈 시대 이후 통합 세계 랭킹에서도 1970년, 1971년, 1973년에 1위를 차지했다.[6][7][10][12][14]

뉴컴의 플레이는 강력한 서브 앤 발리를 주축으로 하는 공격적인 스타일이었으며, 특히 세컨 서브에서도 종종 에이스를 기록하는 것으로 유명했다.[26]

1968년 프로로 전향하며 라머 헌트의 월드 챔피언십 테니스(WCT)와 계약했고,[15] 이는 당시 국제 테니스 연맹(ILTF)과의 갈등으로 이어져 197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출전 금지를 당하기도 했다. 또한 1973년에는 ATP의 윔블던 보이콧에 동참했다. 1974년에는 WCT 파이널스에서 우승했고, 1975년 호주 오픈 단식 우승이 그의 마지막 메이저 타이틀이었다.

뉴컴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세계 테니스를 주름잡았던 호주 선수들의 황금기를 마감하는 대표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오랜 테니스 프로모터이자 선수였던 잭 크레이머는 그의 자서전에서 뉴컴을 역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꼽았다.[17] 그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호주 데이비스 컵 팀의 주장을 맡기도 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1985년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18] 1986년에는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8]

2. 1. 초기 경력

타고난 운동선수였던 존 뉴컴은 어린 시절 다양한 스포츠를 즐겼으나, 17세가 넘어 테니스에 본격적으로 전념하기 시작했다.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데이비스 컵 대표팀 감독이었던 해리 호프만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1961년부터 1963년까지 호주 주니어 테니스 챔피언을 지냈으며[26] 1963년부터 데이비스 컵 대표 선수로 발탁되었다. 1964년에는 국가대표팀에 정식 합류하여 오스트레일리아의 데이비스 컵 우승을 도왔고, 1964년부터 1967년까지 팀의 4연패에 기여했다.[26]

1965년, 뉴컴은 동료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인 토니 로치와 함께 호주 챔피언십 복식에서 우승하며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윔블던 복식에서도 우승한 두 선수는 이후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복식 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뉴컴과 로치 조는 호주 챔피언십에서 총 4회, 윔블던에서 총 5회, US 챔피언십에서 1회(1967년),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2회(1967년, 1969년) 우승했다.[26] 이들이 함께 달성한 그랜드 슬램 복식 12회 우승은 2013년 밥 브라이언마이크 브라이언 형제가 경신하기 전까지 남자 복식 역대 최다 기록이었다.

단식에서도 뉴컴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67년에는 아마추어 선수로서 윔블던 선수권 대회와 US 챔피언십에서 연달아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랜스 팅게이(Lance Tingay)의 랭킹 산정을 비롯한 다수의 전문가 평가에서 1967년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로 선정되었다.[27][3][4] 당시 프로 랭킹 1위는 로드 레이버였다.[27] 또한, 그해 신설된 마티니 앤 로시 상의 첫 수상자가 되기도 했다.[5]

뉴컴의 플레이는 강력한 서브 앤 발리를 기반으로 한 공격적인 스타일이 특징이었다. 특히, 세컨 서브에서도 종종 에이스를 기록하며 상대를 압박했다.[26] 그의 아마추어 시절 경력은 1968년 오픈 시대의 개막과 함께 프로 선수로 전향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2. 2. 그랜드 슬램 달성

존 뉴컴은 1965년 호주 챔피언십 복식에서 동료 호주 선수인 토니 로치와 함께 출전하여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이들은 윔블던 복식에서도 우승했다. 뉴컴과 로치 조는 이후에도 호주 챔피언십(이후 호주 오픈)에서 3회(총 4회), 윔블던에서 4회(총 5회), US 챔피언십에서 1회(1967년),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1회(1967년), 그리고 프랑스 오픈에서 1회(1969년) 더 우승했다.[26] 이들은 함께 그랜드 슬램 복식에서 총 12번 우승했으며, 이는 2013년 밥 브라이언마이크 브라이언 형제가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남자 복식조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이었다. 뉴컴은 로치 외 다른 파트너와도 복식 우승을 추가하여, 그랜드 슬램 남자 복식에서 총 17회 우승했다 (호주 5회, 프랑스 3회, 윔블던 6회, US 오픈 3회).

단식에서는 1967년 아마추어 선수로서 윔블던과 US 오픈에서 우승하며 2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차지했다. 랜스 팅게이(Lance Tingay) 등의 평가에 따르면 그는 1967년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였다.[27][3][4][5]

1968년 테니스계에 프로 선수들의 메이저 대회 참가를 허용하는 "오픈 시대"가 시작되자 뉴컴은 프로로 전향했다. 프로 전향 후 그는 1970년과 1971년 윔블던에서 연속 우승했고, 1973년 US 오픈에서도 우승했다. 이로써 뉴컴은 윔블던과 US 오픈에서 아마추어와 프로 선수로서 모두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고국 대회인 호주 오픈에서는 1973년과 1975년에 우승했다. 그는 오픈 시대가 시작된 이후 통합 세계 랭킹 1위에 1970년, 1971년, 1973년에 올랐다.[6][7][8][9][10][11][12][13][14]

뉴컴의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 기록은 총 7회(호주 오픈 2회, 윔블던 3회, US 오픈 2회)이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단식 우승 기록이 없다.

'''그랜드 슬램 대회별 최고 성적 요약'''

  •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우승 (1973년, 1975년) / 남자 복식: 우승 (1965년, 1967년, 1971년, 1973년, 1976년)
  • 프랑스 오픈 남자 단식: 8강 (1969년) / 남자 복식: 우승 (1967년, 1969년, 1973년)
  • 윔블던 남자 단식: 우승 (1967년, 1970년, 1971년) / 남자 복식: 우승 (1965년, 1966년, 1968년-1970년, 1974년)
  • US 오픈 남자 단식: 우승 (1967년, 1973년) / 남자 복식: 우승 (1967년, 1971년, 1973년) / 혼합 복식: 우승 (1964년)


'''그랜드 슬램 남자 단식 결승 결과 (7회 우승, 3회 준우승)'''

결과연도대회코트 종류결승 상대점수
준우승1966년US 챔피언십잔디프레드 스톨6-4, 10-12, 3-6, 4-6
우승1967년윔블던 선수권 대회 (1)잔디빌헬름 분게르트6-3, 6-1, 6-1
우승1967년US 챔피언십 (1)잔디클라크 그레이브너6-4, 6-4, 8-6
준우승1969년윔블던 선수권 대회잔디로드 레이버4-6, 7-5, 4-6, 4-6
우승1970년윔블던 선수권 대회 (2)잔디켄 로즈월5-7, 6-3, 6-2, 3-6, 6-1
우승1971년윔블던 선수권 대회 (3)잔디스탠 스미스6-3, 5-7, 2-6, 6-4, 6-4
우승1973년호주 오픈 (1)잔디오니 파룬6-3, 6-7(4-7), 7-5, 6-1
우승1973년US 오픈 (2)잔디얀 코데시6-4, 1-6, 4-6, 6-2, 6-3
우승1975년호주 오픈 (2)잔디지미 코너스7-5, 3-6, 6-4, 7-6(9-7)
준우승1976년호주 오픈잔디마크 에드먼슨7-6, 3-6, 6-7, 1-6


2. 3. 세계 랭킹 1위

랜스 팅게이(Lance Tingay)의 랭킹 산정에 따르면 그는 1967년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가 되었다.[27] (당시 프로 랭킹 1위는 로드 레이버였다.) 또한 1967년 랜스 팅게이의 '월드 테니스'[3]와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울리히 카이저 패널에 따르면 세계 랭킹 1위 아마추어 선수였으며,[4] 1967년 포인트 시스템에서 1위를 차지하여 마티니 앤 로시 상의 첫 번째 수상자가 되었다.[5]

오픈 시대가 시작된 후, 뉴컴은 프로 선수로서 1970년과 1971년에 통합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1970년에는 팅게이,[6] '월드 테니스',[7] 버드 콜린스, 마이크 깁슨[8]과 테니스 매거진(독일)[9]에 의해 세계 랭킹 1위로 선정되었다. 1971년에는 팅게이,[6] 렉스 벨라미,[10] 콜린스, 프랭크 로스트론[11]과 '월드 테니스'[12]에 의해 세계 랭킹 1위로 선정되었으며, 스탄 스미스와 함께 11명의 기자단 투표로 '마티니 앤 로시' 상을 공동 수상했다.[13]

1973년에도 뉴컴은 팅게이[6]와 주디스 엘리안에 의해 세계 랭킹 1위로 선정되었다.[14]

2. 4. 프로 계약 및 분쟁

1968년 1월, 뉴컴은 라머 헌트의 월드 챔피언십 테니스(WCT)와 3년 프로 계약을 맺고, WCT의 첫 8명 선수 그룹인 "핸섬 에이트"의 일원이 되었다.[15] 뉴컴은 연간 13.5만달러를 보장받았는데, 이는 당시 최고 연봉을 받는 야구 선수보다 높은 금액이었다.[16] WCT 프로 투어 그룹 및 선수 연맹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뉴컴은 국제 테니스 연맹(ILTF)으로부터 197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출전을 금지당했다. 또한 1973년에는 ATP가 주도한 윔블던 보이콧에 동참했다.

2. 5. 1974년 WCT 챔피언

뉴컴은 1974년 WCT 챔피언이었으며, 결승에서 오커, 스미스, 보르그를 꺾었다.

2. 6. 1975년 호주 오픈 우승

존 뉴컴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은 1975년 호주 오픈에서 이루어졌다. 이 대회에서 그는 8강부터 결승까지 모두 5세트 접전을 치르는 힘든 과정을 거쳐 우승컵을 차지했다. 8강에서는 제프 마스터스를, 준결승에서는 동료 선수였던 토니 로치를 상대로 승리했다. 특히 로치와의 준결승에서는 매치 포인트를 내주며 패배 위기에 몰렸으나, 이를 극복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당시 강력한 경쟁자였던 지미 코너스를 만나 또다시 5세트에 걸친 명승부를 펼친 끝에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코너스와의 결승전은 그의 테니스 경력에서 최고의 명승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3. 은퇴 이후

1979년 그의 자서전에서, 오랜 기간 테니스 프로모터이자 훌륭한 선수였던 잭 크레이머는 뉴컴을 역대 최고의 선수 21인 목록에 포함시켰다.[17]

3. 1. 데이비스 컵 감독

뉴컴은 1995년부터 2000년까지 호주 데이비스 컵 팀의 주장이었다.

3. 2. 명예의 전당

존 뉴컴은 테니스 역사상 뛰어난 업적을 남긴 선수로 평가받는다. 그는 강력한 서브 앤 발리를 주무기로 사용했으며, 특히 세컨 서브에서도 에이스를 기록하는 등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쳤다.[27] 그는 1964년 오스트레일리아의 데이비스 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그랜드 슬램 대회 단식에서는 호주 오픈 2회, 윔블던 3회, US 오픈 2회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동료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인 토니 로치와 함께 이룬 복식에서의 성과는 독보적이다. 뉴컴과 로치 조는 그랜드 슬램 복식에서 총 12회 우승(호주 오픈 4회, 프랑스 오픈 2회, 윔블던 5회, US 오픈 1회)을 합작했으며,[26] 이는 2013년 밥 브라이언마이크 브라이언 형제가 경신하기 전까지 남자 복식 팀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이었다. 뉴컴 개인의 그랜드 슬램 복식 우승 횟수는 총 17회(호주 5승, 프랑스 3승, 윔블던 6승, US 오픈 3승)에 달한다.

뉴컴은 아마추어 시절인 1967년 세계 랭킹 1위에 올랐으며,[27][3][4][5] 1968년 오픈 시대가 시작된 후 프로로 전향하여 1970년1971년, 그리고 1973년에도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다.[6][7][8][9][10][11][12][13][14] 그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호주 데이비스 컵 팀의 주장을 맡기도 했다.

이러한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뉴컴은 1985년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86년에는 토니 로치와 함께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18]

3. 3. 뉴컴 메달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3. 4. 사업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존 뉴컴의 사업 활동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4. 플레이 스타일

강력한 서브 앤 발리는 존 뉴컴의 공격적인 게임 전략의 주축이었다. 그는 세컨 서브에서도 자주 에이스를 기록하여 상대 선수를 당황하게 만들곤 했다.

5. 수상 및 서훈

존 뉴컴은 선수 시절 뛰어난 활약을 바탕으로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여러 영예를 안았다.

랜스 팅게이(Lance Tingay)의 랭킹 산정에 따르면 그는 1967년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가 되었다.[27][3] 같은 해 그는 포인트 시스템에서 1위를 차지하여 마티니 앤 로시 상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5] 오픈 시대가 시작된 이후 프로 선수로서 뉴컴은 1970년과 1971년에 다수의 테니스 전문가 및 매체(팅게이,[6] '월드 테니스',[7][12] 버드 콜린스,[11] 렉스 벨라미[10] 등)에 의해 통합 세계 랭킹 1위로 선정되었다. 1971년에는 스탄 스미스와 함께 '마티니 앤 로시' 상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다.[13] 또한 1973년에도 팅게이[6]와 주디스 엘리안[14]에 의해 세계 랭킹 1위로 평가받았다.

뉴컴은 선수 경력 동안 단식, 복식, 혼합 복식을 합쳐 총 26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5년 호주 오픈 혼합 복식 공동 우승 포함 시 27개). 단식에서는 호주 오픈 2회, 윔블던 3회, US 오픈 2회 우승을 포함하여 총 7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차지했다. 복식에서는 총 17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특히 토니 로치와 함께한 남자 복식조는 호주 오픈 4회, 프랑스 오픈 3회, 윔블던 5회, US 오픈 1회 우승을 포함하여 그랜드 슬램에서 총 12번 우승했다.[26] 이 기록은 2013년 밥 브라이언마이크 브라이언 형제에게 경신되기 전까지 남자 복식 팀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이었다. 또한 뉴컴은 1974년 월드 챔피언십 테니스(WCT) 파이널에서 우승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뉴컴은 1985년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1986년에는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8]

서훈으로는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78년 대영 제국 훈장(OBE)을 받았고,[21] "지역 사회, 특히 청소년과 신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봉사한 공로"로 1989년 호주 훈장(AO)을 받았다.[21][22]

이 외에도 뉴컴은 호주 생존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호주 최고의 테니스 선수에게 수여되는 뉴컴 메달은 그의 이름을 따서 제정되었다.[23] 선수 은퇴 후에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호주 데이비스 컵 팀의 주장을 맡았으며, 1977년과 1978년에는 남자 프로 테니스 협회(ATP)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20]

6. 그랜드 슬램 결승

존 뉴컴은 1964년 데이비스 컵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에 합류하여 우승에 기여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965년에는 호주 챔피언십 복식에서 동료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인 토니 로체와 함께 생애 첫 그랜드 슬램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 복식조는 같은 해 윔블던 복식에서도 우승했으며, 이후에도 그랜드 슬램 복식에서 총 12번 우승하며 테니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복식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6]

단식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호주 오픈, 윔블던, US 오픈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총 10번의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에 진출했다. 랜스 팅게이(Lance Tingay)의 랭킹 산정에 따르면 그는 1967년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에 올랐고,[27] 오픈 시대가 시작된 후인 1970년과 1971년에는 통합 세계 랭킹 1위를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6. 1. 단식: 10회 (우승 7회, 준우승 3회)

wikitext

결과연도대회코트상대점수
1966US 챔피언십잔디프레드 스톨6–4, 10–12, 3–6, 4–6
1967윔블던잔디빌헬름 붕거트6–2, 6–1, 6–1
1967US 챔피언십잔디클라크 그래브너6–4, 6–4, 8–6
↓ 오픈 시대 ↓
1969윔블던잔디로드 레이버4–6, 7–5, 4–6, 4–6
1970윔블던잔디켄 로즈월5–7, 6–3, 6–2, 3–6, 6–1
1971윔블던잔디스탠 스미스6–3, 5–7, 2–6, 6–4, 6–4
1973호주 오픈잔디오니 파룬6–3, 6–7, 7–5, 6–1
1973US 오픈잔디얀 코데스6–4, 1–6, 4–6, 6–2, 6–3
1975호주 오픈잔디지미 코너스7–5, 3–6, 6–4, 7–6
1976호주 오픈잔디마크 에드먼슨7–6, 3–6, 6–7, 1–6


6. 2. 복식: 17회 (우승17회)

존 뉴컴은 동료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인 토니 로체와 함께 복식조를 이루어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65년 호주 오픈 복식에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우승을 차지했으며, 같은 해 윔블던 복식에서도 우승했다. 뉴컴과 로체는 이후에도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호주 오픈에서 3회, 윔블던에서 4회 더 우승했으며, US 오픈 (1967년), 프랑스 오픈 (1967년, 1969년)에서도 우승을 추가했다.[26] 이들은 함께 그랜드 슬램 남자 복식에서 총 12번 우승하여, 테니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복식조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뉴컴 개인의 전체 그랜드 슬램 복식 우승 기록은 남자 복식 17회, 혼합 복식 1회이다.

  • '''호주 오픈'''
  • 남자 복식: 5회 우승 (1965년, 1967년, 1971년, 1973년, 1976년)
  • '''프랑스 오픈'''
  • 남자 복식: 3회 우승 (1967년, 1969년, 1973년)
  • '''윔블던'''
  • 남자 복식: 6회 우승 (1965년, 1966년, 1968년-1970년, 1974년)
  • '''US 오픈'''
  • 남자 복식: 3회 우승 (1967년, 1971년, 1973년)
  • 혼합 복식: 1회 우승 (1964년)

7.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단식에서는 호주 오픈에서 2회, 윔블던에서 3회, US 오픈에서 2회 우승했다. 랜스 팅게이(Lance Tingay)의 랭킹 산정에 따르면 그는 1967년 아마추어 세계 랭킹 1위가 되었다.[27] 오픈 시대가 되면서, 뉴컴은 1970년과 1971년 통합 세계 랭킹 1위가 되었다.

대회1960196119621963196419651966196719681969197019711972197319741975197619771978우승/참가승-패승률
오스트레일리아 오픈1R불참8강8강8강4강4강4강불참8강8강3R8강우승8강우승준우승불참8강불참2 / 1446–1279.3%
프랑스 오픈불참3R3R2R2R8강3R4R불참8강불참불참불참1R불참불참1R불참불참0 / 1018–1064.3%
윔블던불참1R2R1R1R4R3R우승4R준우승우승우승불참불참8강불참3R불참4R3 / 1445–1180.4%
US 오픈불참불참불참4R3R불참준우승우승8강4강4강1R3R우승4강불참불참불참불참2 / 1145–983.3%
승-패0–10–25–35–45–410–314–420–27–218–413–28–24–212–112–36–07–33–13–17 / 49154–4278.6%



'''약어 설명'''

 우승  준우승 4강8강#R 불참 



#R = #회전 탈락. 우승/참가 = 그랜드 슬램 우승 횟수 / 그랜드 슬램 참가 횟수. 승-패 = 통산 승-패. 승률 = 통산 승률.[19]

참조

[1] 서적 Official Encyclopedia of Tennis United States Lawn Tennis Association
[2] 웹사이트 40 Years Ago: Look Out, Cleveland http://www.tennis.co[...] tennis.com 2013-12-06
[3] 웹사이트 The Star Press (Muncie), 14 November 1967 https://www.newspape[...] 1967-11-14
[4] 간행물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1968-02
[5] 웹사이트 The Baltimore Sun, 12 September 1967 https://www.newspape[...] 1967-09-12
[6] 서적 World Of Tennis https://archive.org/[...] Collins Willow
[7] 문서 Muscles, Ken Rosewall as told to Richard Naughton 2012
[8] 간행물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1971-03
[9] 간행물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1971-02
[10] 뉴스 The Times (London) The Times 1971-12-31
[11] 간행물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1972-03
[12] 뉴스 The Times (London) The Times 1971-11-20
[13] 웹사이트 Fort Worth Star-Telegram, 19 December 1971 https://www.newspape[...] 1971-12-19
[14] 서적 La Fabuleuse Histoire du Tennis Nathan 1989
[15] 뉴스 $1,418,000 goal for Newcombe and Roche. http://nla.gov.au/nl[...] 1968-01-04
[16] 웹사이트 With the US Open underway, a look at end of 'shamateur' tennis - Wilmington News Journal https://www.wnewsj.c[...] 2017-08-29
[17] 문서 In his 1979 autobiography, Kramer considered the best player ever to have been either [[Don Budge]] (for consistent play) or [[Ellsworth Vines]] (at the height of his game). The next four best were, chronologically, [[Bill Tilden]], [[Fred Perry]], [[Bobby Riggs]], and [[Pancho Gonzales]]. After these six came the "second echelon" of [[Rod Laver]], [[Lew Hoad]], [[Ken Rosewall]], [[Gottfried von Cramm]], [[Ted Schroeder]], [[Jack Crawford (tennis)|Jack Crawford]], [[Pancho Segura]], [[Frank Sedgman]], [[Tony Trabert]], John Newcombe, [[Arthur Ashe]], [[Stan Smith]], [[Björn Borg]], and [[Jimmy Connors]]. He felt unable to rank [[Henri Cochet]] and [[René Lacoste]] accurately but felt they were among the very best.
[18] 웹사이트 John Newcombe https://sahof.org.au[...] Sport Australia Hall of Fame 2020-09-25
[19] 웹사이트 Player Details – John Newcombe http://www.itftennis[...] ITF 2013-06-24
[20] 뉴스 Net Group to Discuss South African Ban https://news.google.[...] 1969-06-24
[21] 뉴스 London Gazette 1978-06-02
[22] 뉴스 THE QUEEN'S BIRTHDAY 1989 HONOURS http://nla.gov.au/nl[...] 1989-06-12
[23] 웹사이트 The Awards http://www.tennis.co[...] Tennis Australia
[24] 뉴스 Newcombe recalls Bush's brush with law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01-03-09
[25] 웹사이트 John Newcombe Estate & Country Club https://web.archive.[...] 2008-03
[26] 문서 프랑스 챔피언십은 [[프랑스 오픈]]의 옛 이름이다. 1968년 [[오픈 시대]]의 시작과 함께 대회가 모든 선수에게 오픈되면서 명칭이 바뀌었다.
[27] 문서 같은 해 렉스 벨라미(Rex Bellamy)는 뉴컴을 [[로이 에머슨]] 다음으로 2위에 랭크시켰다. 당시에는 오늘날의 ATP 랭킹과 같은 공식 랭킹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이와 같이 테니스 전문가들이 개인적으로 산정하여 발표하는 랭킹들만 있었다. 이 때문에 각 전문가들의 산정 기준에 따라 랭킹 내용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