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브라이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 브라이언은 미국의 테니스 선수로, 쌍둥이 형제인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 선수로 활동하며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테니스 선수로 활약했으며, 1998년부터 프로 선수로 전향했다. 브라이언 형제는 2003년 프랑스 오픈에서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또한, ATP 파이널스에서 5번 우승했으며, 데이비스 컵에서 2007년 우승을 기록했다. 혼합 복식에서도 4번 우승했다. 브라이언은 2020년 은퇴를 발표했고, 슬로바키아 출신 나디아 무르가쇼바와 결혼하여 플로리다에 거주하며 아들 한 명을 두고 있다.
마이크 브라이언은 1978년 4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마릴로에서 쌍둥이 형 밥 브라이언보다 2분 먼저 태어났다. 부모님 모두 테니스 코치였으며, 쌍둥이 형제는 2살 때부터 테니스를 배웠다. 두 형제는 어릴 때부터 토너먼트 단식 경기에서 "형제 대결"을 부모님으로부터 금지당했다.
밥 브라이언과 함께, 이들은 미국을 대표하여 데이비스 컵 복식 경기에서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마이크 브라이언은 또한 27번의 개인 복식 승리와 32번의 경기를 치러 미국 데이비스 컵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0]
마이크 브라이언은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0년 호주 오픈까지 그랜드 슬램 복식 8회 우승을 포함하여 59개의 복식 대회에서 우승했다.[17] 2005년에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결승에 모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18]
2. 선수 경력
1999년 아이다호 스니커즈에서 월드 팀 테니스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 2013년 텍사스 와일드, 2014년 샌디에이고 에비에이터스, 2015년 캘리포니아 드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워싱턴 캐슬스, 2019년 베가스 롤러스에서 뛰었다.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와 2010년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에서 두 번 우승했다. 2020년 WTT 시즌에는 베가스 롤러스에 합류하여 더 그린브리어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마이크는 혼합 복식에서 리사 레이먼드와 함께 2003년 프랑스 오픈, 2003년 US 오픈,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3승을 거두었다. 레이먼드와는 런던 올림픽 혼합 복식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베서니 매텍-샌즈와 짝을 이루어 12년 만에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 1. 대학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스탠포드 대학교 테니스팀 선수로 뛰었으며, 스탠포드 카디널의 NCAA 단체전 연속 우승에 기여했다. 1998년에는 밥 브라이언과 함께 NCAA 복식에서 우승했다.[3]
2. 2. 프로
마이크 브라이언은 프로 데뷔 후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에서 우승했으며[17],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은 8회이다. 2005년에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는 오픈 시대 이래 두 번째 기록이었다.[18]
그는 쌍둥이 형제 밥과 함께 복식에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2013 BNP 파리바 오픈에서 기록적인 86번째 타이틀을 포함하여[4][5] 119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 중에는 16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도 포함된다. 2005년, 4개의 모든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는 오픈 시대에서 두 번째로 달성된 기록이다.[6] 브라이언 형제는 ATP 랭킹 1위를 기록했으며, 이들의 성공으로 인해 허구의 만화 듀오에서 따온 원더 트윈스라는 별명을 얻었다.[7]
2018년 마드리드 오픈에서 밥은 엉덩이 부상을 입었고, 이후 시즌을 마감하는 수술을 받았다. 형제가 부재한 동안, 브라이언은 여러 선수들과 파트너십을 맺었는데, 특히 롤랑 가로스에서는 샘 퀘리, 퀸스, 윔블던, US 오픈에서는 잭 소크, 데이비스 컵에서는 라이언 해리슨, 그리고 다른 투어 이벤트에서는 제임스 세레타니, 프랜시스 티아포, 에두아르 로제-바셀린과 함께했다.[8]
1998년부터 프로 테니스 선수로 전향했으며, 2001년부터 쌍둥이 형제와 함께 ATP 투어에서 우승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게 되었고, 이 해에 연간 4승을 거두었다. 2001년 US 오픈 남자 단식에 출전하여 1회전에서 앤드레 애거시에게 패했으며, 이것이 마이크의 유일한 4대 메이저 대회 단식 출전 경기였다.
2003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4대 메이저 대회 남자 복식 부문 첫 우승을 달성했고, 같은 해 US 오픈에서도 복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준우승했다. 이 해에는 남자 테니스 연간 최종전 테니스 마스터스 컵 복식 부문에서도 첫 우승을 장식했다. 2004년에는 아테네 올림픽 미국 대표 선수로도 선발되었지만, 8강에서 패했다.
2005년에는 모든 4대 메이저 대회에서 남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에서 3개 대회 연속 준우승했지만, US 오픈에서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2승을 달성했다.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까지 7개 대회 연속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결승에 출전했다. 2006년 호주 오픈 결승에서는 4대 메이저 대회 3승을 거두었지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2년 연속 준우승했다.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테니스계에서 사상 6번째로 같은 페어에 의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2007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 우승 이후, 한동안 부진한 시기도 있었지만,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남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 후 2008년 US 오픈과 2009년 호주 오픈에서 연속 우승했다. 2009년 3월에는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1회전에서 데이비스컵 미국 대표로서 15승을 거두었다.
2012년 7월 런던 올림픽 남자 복식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2012년 US 오픈 남자 복식 결승에서 메이저 대회 통산 12승을 거두었다.
2002년 US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리사 레이먼드와 짝을 이루었지만, 결승에서 밥과 네트를 사이에 두고 "형제 대결"을 펼쳐 승리했다.
2012년 12월 데이비스컵에서 마르디 피시와 짝을 이루어 출전했다. 봅이 불참했기 때문에 2003년 8월 이후 처음으로 봅과 마이크의 랭킹이 달라졌고, 2011년 11월부터 이어져 오던 세계 랭킹 1위 기록이 단독 기록이 되었다.
2014년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하여 복식으로서 ATP 투어에서 사상 처음으로 100승을 달성했다. 또한, 메이저 대회 총 우승 횟수 19회로 역대 8위 타이 기록을 세웠다.
10월부터의 상하이 마스터스에서 브라이언 형제로서 900승을 달성했으며, 결승에서 '''커리어 골든 마스터스'''를 달성했다.
201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베서니 매텍-샌즈와 짝을 이루어 출전하여 프랑스 오픈 혼합에서 12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5월부터 봅이 엉덩이 부상으로 장기 이탈하면서 잭 삭과 짝을 이루어 윔블던 선수권 대회와 US 오픈, ATP 파이널스에서 우승했다.
2019년 1월에 형제 페어가 부활하여 시즌 2승을 거두었다. 11월에 내년 US 오픈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을 발표했다.
마지막 메이저 대회가 된 2020년 호주 오픈에서는 3회전에서 패했다. 이어진 델레이 비치 오픈에서 투어 119승을 거두었고, 이것이 마지막 대회가 되었다.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투어가 중단되었고, 8월에 재개되었지만 무관중 개최인 것도 영향을 미쳐 US 오픈을 기다리지 않고 은퇴를 표명했다.
2. 3. 월드 팀 테니스
마이크 브라이언과 밥 브라이언 형제는 미국의 테니스 단체전 리그인 월드 팀 테니스에서 아이다호 스니커즈 소속으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들은 1999년 아이다호 스니커즈에서 월드 팀 테니스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 2013년 텍사스 와일드, 2014년 샌디에이고 에비에이터스, 2015년 캘리포니아 드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워싱턴 캐슬스, 2019년 베가스 롤러스에서 뛰었다. 이들은 월드 팀 테니스에서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와 2010년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에서 두 번 우승했다. 2020년 WTT 시즌에는 베가스 롤러스에 합류하여 더 그린브리어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3. 데이비스 컵 기록 (28–5)
연도 라운드 상대 결과 2003 플레이오프 슬로바키아 (베크/흐르바티) 승 2004 1라운드 오스트리아 (놀/멜처) 승 2004 8강 스웨덴 (비요크만/T.요한손) 승 2004 준결승 벨라루스 (미르니/볼코프) 승 2004 결승 스페인 (페레로/로브레도) 승 2005 1라운드 크로아티아 (안치치/류비치치) 패 2005 플레이오프 벨기에 (로쿠스/플리겐) 승 2006 1라운드 루마니아 (해네스쿠/테카우) 승 2006 8강 칠레 (카르데빌/가르시아) 승 2006 준결승 러시아 (투르수노프/유즈니) 승 2007 1라운드 체코 (들로히/비즈너) 승 2007 8강 스페인 (로페스/로브레도) 승 2007 준결승 스웨덴 (아스펠린/비요크만) 승 2007 결승 러시아 (안드레예프/다비덴코) 승 2008 1라운드 오스트리아 (놀/멜처) 승 2008 8강 프랑스 (클레망/로드라) 패 2008 준결승 (w/ 마디 피시) 스페인 (로페스/베르다스코) 승 2009 1라운드 스위스 (알레그로/바브린카) 승 2009 8강 크로아티아 (카라누식/조브코) 승 2011 1라운드 칠레 (아길라르/마수) 승 2011 준결승 스페인 (그라노예르스/베르다스코) 승 2012 1라운드 (w/ 마디 피시) 스위스 (페더러/바브린카) 승 2012 8강 프랑스 (베네토/로드라) 승 2012 준결승 스페인 (그라노예르스/로페스) 승 2013 1라운드 브라질 (멜로/소아레스) 패 2013 8강 세르비아 (지몬지치/보졸랴치) 패 2014 1라운드 영국 (플레밍/잉글롯) 승 2014 플레이오프 슬로바키아 (라코/곰보스) 승 2015 1라운드 영국 (잉글롯/머레이) 승 2016 1라운드 오스트레일리아 (휴이트/피어스) 승 2016 8강 크로아티아 (칠리치/도디그) 패 2018 준결승 (w/ 라이언 해리슨) 크로아티아 (도디그/파비치) 승 2020 예선 라운드 우즈베키스탄 (파이지예프/이스토민) 승
4. 그랜드 슬램 결승
2003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예브게니 카펠니코프/폴 하르후스 조를 꺾고 첫 그랜드 슬램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파브리스 산토로/네나드 지모니치 조를 꺾고 남자 테니스 역사상 6번째로 같은 페어에 의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6]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복식 결승에서 프랑스의 조 윌프리드 쏭가/미카엘 로드라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2014년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마르셀 그라노예르스/마르크 로페스 조를 꺾고 복식으로서 ATP 투어에서 사상 처음으로 100승을 달성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리사 레이먼드와 함께 2003년 프랑스 오픈, 2003년 US 오픈,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1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베서니 매텍-샌즈와 짝을 이루어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5월, 밥 브라이언의 엉덩이 부상으로 인해 마이크 브라이언은 잭 삭과 짝을 이루어 윔블던 선수권 대회와 US 오픈, ATP 파이널스에서 우승했다. 2019년 11월, 브라이언 형제는 다음 US 오픈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을 발표했으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US 오픈을 기다리지 않고 은퇴를 표명했다.
4. 1. 남자 복식: 32 (18승 14패)
예브게니 카펠니코프7–6(7–3), 6–3 패 2003 US 오픈 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토드 우드브리지5–7, 0–6, 5–7 패 2004 호주 오픈 하드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파브리스 산토로6–7(4–7), 3–6 패 2005 호주 오픈 하드 밥 브라이언 웨인 블랙
케빈 울리에트4–6, 4–6 패 2005 프랑스 오픈 클레이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6–2, 1–6, 4–6 패 2005 윔블던 잔디 밥 브라이언 스티븐 허스
웨슬리 무디6–7(4–7), 3–6, 7–6(7–2), 3–6 승 2005 US 오픈 (1) 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6–1, 6–4 승 2006 호주 오픈 (1) 하드 밥 브라이언 마틴 담
리앤더 파에스4–6, 6–3, 6–4 패 2006 프랑스 오픈 클레이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7–6(7–5), 4–6, 5–7 승 2006 윔블던 (1) 잔디 밥 브라이언 파브리스 산토로
네나드 지몬지치6–4, 4–6, 6–4, 6–2 승 2007 호주 오픈 (2) 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7–5, 7–5 패 2007 윔블던 잔디 밥 브라이언 아르노 클레망
미카엘 로드라7–6(7–5), 3–6, 4–6, 4–6 승 2008 US 오픈 (2) 하드 밥 브라이언 루카스 드루히
리앤더 파에스7–6(7–5), 7–6(12–10) 승 2009 호주 오픈 (3) 하드 밥 브라이언 마헤쉬 부파티
마크 놀스2–6, 7–5, 6–0 패 2009 윔블던 잔디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7(7–9), 7–6(7–3), 6–7(5–7), 3–6 승 2010 호주 오픈 (4) 하드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3, 6–7(5–7), 6–3 승 2010 US 오픈 (3) 하드 밥 브라이언 로한 보파나
아이삼-울-하크 큐레시7–6(7–5), 7–6(7–4) 승 2011 호주 오픈 (5) 하드 밥 브라이언 마헤쉬 부파티
리앤더 파에스6–3, 6–4 승 2011 윔블던 (2) 잔디 밥 브라이언 로베르트 린스테트
호리아 테카우6–3, 6–4, 7–6(7–2) 패 2012 호주 오픈 하드 밥 브라이언 리앤더 파에스
라데크 스테파넥6–7(1–7), 2–6 패 2012 프랑스 오픈 클레이 밥 브라이언 맥스 미르니
다니엘 네스터4–6, 4–6 승 2012 US 오픈 (4) 하드 밥 브라이언 리앤더 파에스
라데크 스테파넥6–3, 6–4 승 2013 호주 오픈 (6) 하드 밥 브라이언 로빈 하세
이고르 시즐링6–3, 6–4 승 2013 프랑스 오픈 (2) 클레이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니콜라 마위6–4, 4–6, 7–6(7–4) 승 2013 윔블던 (3) 잔디 밥 브라이언 이반 도디그
마르셀로 멜루3–6, 6–3, 6–4, 6–4 패 2014 윔블던 잔디 밥 브라이언 잭 속
바섹 포스피실6–7(5–7), 7–6(7–3), 4–6, 6–3, 5–7 승 2014 US 오픈 (5) 하드 밥 브라이언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마르크 로페스6–3, 6–4 패 2015 프랑스 오픈 클레이 밥 브라이언 이반 도디그
마르셀로 멜루7–6(7–5), 6–7(5–7), 5–7 패 2016 프랑스 오픈 클레이 밥 브라이언 펠리시아노 로페스
마르크 로페스4–6, 7–6(8–6), 3–6 패 2017 호주 오픈 하드 밥 브라이언 헨리 콘티넨
존 피어스5–7, 5–7 승 2018 윔블던 (4) 잔디 잭 속 레이븐 클라센
마이클 비너스6–3, 6–7(7–9), 6–3, 5–7, 7–5 승 2018 US 오픈 (6) 하드 잭 속 우카시 쿠보트
마르셀로 멜루6–3,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