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크 브라이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 브라이언은 미국의 테니스 선수로, 쌍둥이 형제인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 선수로 활동하며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테니스 선수로 활약했으며, 1998년부터 프로 선수로 전향했다. 브라이언 형제는 2003년 프랑스 오픈에서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또한, ATP 파이널스에서 5번 우승했으며, 데이비스 컵에서 2007년 우승을 기록했다. 혼합 복식에서도 4번 우승했다. 브라이언은 2020년 은퇴를 발표했고, 슬로바키아 출신 나디아 무르가쇼바와 결혼하여 플로리다에 거주하며 아들 한 명을 두고 있다.

2. 선수 경력

마이크 브라이언은 1978년 4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마릴로에서 쌍둥이 형 밥 브라이언보다 2분 먼저 태어났다. 부모님 모두 테니스 코치였으며, 쌍둥이 형제는 2살 때부터 테니스를 배웠다. 두 형제는 어릴 때부터 토너먼트 단식 경기에서 "형제 대결"을 부모님으로부터 금지당했다.

1999년 아이다호 스니커즈에서 월드 팀 테니스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 2013년 텍사스 와일드, 2014년 샌디에이고 에비에이터스, 2015년 캘리포니아 드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워싱턴 캐슬스, 2019년 베가스 롤러스에서 뛰었다.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와 2010년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에서 두 번 우승했다. 2020년 WTT 시즌에는 베가스 롤러스에 합류하여 더 그린브리어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마이크는 혼합 복식에서 리사 레이먼드와 함께 2003년 프랑스 오픈, 2003년 US 오픈,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3승을 거두었다. 레이먼드와는 런던 올림픽 혼합 복식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베서니 매텍-샌즈와 짝을 이루어 12년 만에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 1. 대학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스탠포드 대학교 테니스팀 선수로 뛰었으며, 스탠포드 카디널의 NCAA 단체전 연속 우승에 기여했다. 1998년에는 밥 브라이언과 함께 NCAA 복식에서 우승했다.[3]

2. 2. 프로

마이크 브라이언은 프로 데뷔 후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에서 우승했으며[17],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은 8회이다. 2005년에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는 오픈 시대 이래 두 번째 기록이었다.[18]

마이크 브라이언 (2015년)


그는 쌍둥이 형제 과 함께 복식에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2013 BNP 파리바 오픈에서 기록적인 86번째 타이틀을 포함하여[4][5] 119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 중에는 16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도 포함된다. 2005년, 4개의 모든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는 오픈 시대에서 두 번째로 달성된 기록이다.[6] 브라이언 형제는 ATP 랭킹 1위를 기록했으며, 이들의 성공으로 인해 허구의 만화 듀오에서 따온 원더 트윈스라는 별명을 얻었다.[7]

2018년 마드리드 오픈에서 밥은 엉덩이 부상을 입었고, 이후 시즌을 마감하는 수술을 받았다. 형제가 부재한 동안, 브라이언은 여러 선수들과 파트너십을 맺었는데, 특히 롤랑 가로스에서는 샘 퀘리, 퀸스, 윔블던, US 오픈에서는 잭 소크, 데이비스 컵에서는 라이언 해리슨, 그리고 다른 투어 이벤트에서는 제임스 세레타니, 프랜시스 티아포, 에두아르 로제-바셀린과 함께했다.[8]

1998년부터 프로 테니스 선수로 전향했으며, 2001년부터 쌍둥이 형제와 함께 ATP 투어에서 우승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게 되었고, 이 해에 연간 4승을 거두었다. 2001년 US 오픈 남자 단식에 출전하여 1회전에서 앤드레 애거시에게 패했으며, 이것이 마이크의 유일한 4대 메이저 대회 단식 출전 경기였다.

2003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4대 메이저 대회 남자 복식 부문 첫 우승을 달성했고, 같은 해 US 오픈에서도 복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준우승했다. 이 해에는 남자 테니스 연간 최종전 테니스 마스터스 컵 복식 부문에서도 첫 우승을 장식했다. 2004년에는 아테네 올림픽 미국 대표 선수로도 선발되었지만, 8강에서 패했다.

2005년에는 모든 4대 메이저 대회에서 남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윔블던에서 3개 대회 연속 준우승했지만, US 오픈에서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2승을 달성했다.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까지 7개 대회 연속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결승에 출전했다. 2006년 호주 오픈 결승에서는 4대 메이저 대회 3승을 거두었지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2년 연속 준우승했다.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테니스계에서 사상 6번째로 같은 페어에 의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2007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 우승 이후, 한동안 부진한 시기도 있었지만,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남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 후 2008년 US 오픈과 2009년 호주 오픈에서 연속 우승했다. 2009년 3월에는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1회전에서 데이비스컵 미국 대표로서 15승을 거두었다.

2012년 7월 런던 올림픽 남자 복식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2012년 US 오픈 남자 복식 결승에서 메이저 대회 통산 12승을 거두었다.

2002년 US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리사 레이먼드와 짝을 이루었지만, 결승에서 밥과 네트를 사이에 두고 "형제 대결"을 펼쳐 승리했다.

2012년 12월 데이비스컵에서 마르디 피시와 짝을 이루어 출전했다. 봅이 불참했기 때문에 2003년 8월 이후 처음으로 봅과 마이크의 랭킹이 달라졌고, 2011년 11월부터 이어져 오던 세계 랭킹 1위 기록이 단독 기록이 되었다.

2014년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하여 복식으로서 ATP 투어에서 사상 처음으로 100승을 달성했다. 또한, 메이저 대회 총 우승 횟수 19회로 역대 8위 타이 기록을 세웠다.

10월부터의 상하이 마스터스에서 브라이언 형제로서 900승을 달성했으며, 결승에서 '''커리어 골든 마스터스'''를 달성했다.

201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베서니 매텍-샌즈와 짝을 이루어 출전하여 프랑스 오픈 혼합에서 12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5월부터 봅이 엉덩이 부상으로 장기 이탈하면서 잭 삭과 짝을 이루어 윔블던 선수권 대회US 오픈, ATP 파이널스에서 우승했다.

2019년 1월에 형제 페어가 부활하여 시즌 2승을 거두었다. 11월에 내년 US 오픈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을 발표했다.

마지막 메이저 대회가 된 2020년 호주 오픈에서는 3회전에서 패했다. 이어진 델레이 비치 오픈에서 투어 119승을 거두었고, 이것이 마지막 대회가 되었다.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투어가 중단되었고, 8월에 재개되었지만 무관중 개최인 것도 영향을 미쳐 US 오픈을 기다리지 않고 은퇴를 표명했다.

2. 3. 월드 팀 테니스

마이크 브라이언과 밥 브라이언 형제는 미국테니스 단체전 리그인 월드 팀 테니스에서 아이다호 스니커즈 소속으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들은 1999년 아이다호 스니커즈에서 월드 팀 테니스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 2013년 텍사스 와일드, 2014년 샌디에이고 에비에이터스, 2015년 캘리포니아 드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워싱턴 캐슬스, 2019년 베가스 롤러스에서 뛰었다. 이들은 월드 팀 테니스에서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와 2010년 캔자스시티 익스플로러스에서 두 번 우승했다. 2020년 WTT 시즌에는 베가스 롤러스에 합류하여 더 그린브리어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3. 데이비스 컵 기록 (28–5)

밥 브라이언과 함께, 이들은 미국을 대표하여 데이비스 컵 복식 경기에서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마이크 브라이언은 또한 27번의 개인 복식 승리와 32번의 경기를 치러 미국 데이비스 컵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0]

연도라운드상대결과
2003플레이오프 슬로바키아 (베크/흐르바티)
20041라운드 오스트리아 (놀/멜처)
20048강 스웨덴 (비요크만/T.요한손)
2004준결승 벨라루스 (미르니/볼코프)
2004결승 스페인 (페레로/로브레도)
20051라운드 크로아티아 (안치치/류비치치)
2005플레이오프 벨기에 (로쿠스/플리겐)
20061라운드 루마니아 (해네스쿠/테카우)
20068강 칠레 (카르데빌/가르시아)
2006준결승 러시아 (투르수노프/유즈니)
20071라운드 체코 (들로히/비즈너)
20078강 스페인 (로페스/로브레도)
2007준결승 스웨덴 (아스펠린/비요크만)
2007결승 러시아 (안드레예프/다비덴코)
20081라운드 오스트리아 (놀/멜처)
20088강 프랑스 (클레망/로드라)
2008준결승 (w/ 마디 피시) 스페인 (로페스/베르다스코)
20091라운드 스위스 (알레그로/바브린카)
20098강 크로아티아 (카라누식/조브코)
20111라운드 칠레 (아길라르/마수)
2011준결승 스페인 (그라노예르스/베르다스코)
20121라운드 (w/ 마디 피시) 스위스 (페더러/바브린카)
20128강 프랑스 (베네토/로드라)
2012준결승 스페인 (그라노예르스/로페스)
20131라운드 브라질 (멜로/소아레스)
20138강 세르비아 (지몬지치/보졸랴치)
20141라운드 영국 (플레밍/잉글롯)
2014플레이오프 슬로바키아 (라코/곰보스)
20151라운드 영국 (잉글롯/머레이)
20161라운드 오스트레일리아 (휴이트/피어스)
20168강 크로아티아 (칠리치/도디그)
2018준결승 (w/ 라이언 해리슨) 크로아티아 (도디그/파비치)
2020예선 라운드 우즈베키스탄 (파이지예프/이스토민)


4. 그랜드 슬램 결승

마이크 브라이언은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0년 호주 오픈까지 그랜드 슬램 복식 8회 우승을 포함하여 59개의 복식 대회에서 우승했다.[17] 2005년에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결승에 모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18]

2003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예브게니 카펠니코프/폴 하르후스 조를 꺾고 첫 그랜드 슬램 우승을 달성했으며,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파브리스 산토로/네나드 지모니치 조를 꺾고 남자 테니스 역사상 6번째로 같은 페어에 의한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6]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복식 결승에서 프랑스의 조 윌프리드 쏭가/미카엘 로드라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2014년 US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마르셀 그라노예르스/마르크 로페스 조를 꺾고 복식으로서 ATP 투어에서 사상 처음으로 100승을 달성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리사 레이먼드와 함께 2003년 프랑스 오픈, 2003년 US 오픈,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1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베서니 매텍-샌즈와 짝을 이루어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5월, 밥 브라이언의 엉덩이 부상으로 인해 마이크 브라이언은 잭 삭과 짝을 이루어 윔블던 선수권 대회US 오픈, ATP 파이널스에서 우승했다. 2019년 11월, 브라이언 형제는 다음 US 오픈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을 발표했으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US 오픈을 기다리지 않고 은퇴를 표명했다.

4. 1. 남자 복식: 32 (18승 14패)

예브게니 카펠니코프7–6(7–3), 6–3패2003US 오픈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토드 우드브리지5–7, 0–6, 5–7패2004호주 오픈하드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파브리스 산토로6–7(4–7), 3–6패2005호주 오픈하드 밥 브라이언 웨인 블랙
케빈 울리에트4–6, 4–6패2005프랑스 오픈클레이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6–2, 1–6, 4–6패2005윔블던잔디 밥 브라이언 스티븐 허스
웨슬리 무디6–7(4–7), 3–6, 7–6(7–2), 3–6승2005US 오픈 (1)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6–1, 6–4승2006호주 오픈 (1)하드 밥 브라이언 마틴 담
리앤더 파에스4–6, 6–3, 6–4패2006프랑스 오픈클레이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7–6(7–5), 4–6, 5–7승2006윔블던 (1)잔디 밥 브라이언 파브리스 산토로
네나드 지몬지치6–4, 4–6, 6–4, 6–2승2007호주 오픈 (2)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7–5, 7–5패2007윔블던잔디 밥 브라이언 아르노 클레망
미카엘 로드라7–6(7–5), 3–6, 4–6, 4–6승2008US 오픈 (2)하드 밥 브라이언 루카스 드루히
리앤더 파에스7–6(7–5), 7–6(12–10)승2009호주 오픈 (3)하드 밥 브라이언 마헤쉬 부파티
마크 놀스2–6, 7–5, 6–0패2009윔블던잔디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7(7–9), 7–6(7–3), 6–7(5–7), 3–6승2010호주 오픈 (4)하드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3, 6–7(5–7), 6–3승2010US 오픈 (3)하드 밥 브라이언 로한 보파나
아이삼-울-하크 큐레시7–6(7–5), 7–6(7–4)승2011호주 오픈 (5)하드 밥 브라이언 마헤쉬 부파티
리앤더 파에스6–3, 6–4승2011윔블던 (2)잔디 밥 브라이언 로베르트 린스테트
호리아 테카우6–3, 6–4, 7–6(7–2)패2012호주 오픈하드 밥 브라이언 리앤더 파에스
라데크 스테파넥6–7(1–7), 2–6패2012프랑스 오픈클레이 밥 브라이언 맥스 미르니
다니엘 네스터4–6, 4–6승2012US 오픈 (4)하드 밥 브라이언 리앤더 파에스
라데크 스테파넥6–3, 6–4승2013호주 오픈 (6)하드 밥 브라이언 로빈 하세
이고르 시즐링6–3, 6–4승2013프랑스 오픈 (2)클레이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니콜라 마위6–4, 4–6, 7–6(7–4)승2013윔블던 (3)잔디 밥 브라이언 이반 도디그
마르셀로 멜루3–6, 6–3, 6–4, 6–4패2014윔블던잔디 밥 브라이언 잭 속
바섹 포스피실6–7(5–7), 7–6(7–3), 4–6, 6–3, 5–7승2014US 오픈 (5)하드 밥 브라이언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마르크 로페스6–3, 6–4패2015프랑스 오픈클레이 밥 브라이언 이반 도디그
마르셀로 멜루7–6(7–5), 6–7(5–7), 5–7패2016프랑스 오픈클레이 밥 브라이언 펠리시아노 로페스
마르크 로페스4–6, 7–6(8–6), 3–6패2017호주 오픈하드 밥 브라이언 헨리 콘티넨
존 피어스5–7, 5–7승2018윔블던 (4)잔디 잭 속 레이븐 클라센
마이클 비너스6–3, 6–7(7–9), 6–3, 5–7, 7–5승2018US 오픈 (6)하드 잭 속 우카시 쿠보트
마르셀로 멜루6–3, 6–1


4. 2. 혼합 복식: 6 (4승 2패)

코리나 모라리우해당 없음승2003프랑스 오픈 (1)클레이 리사 레이먼드 비르히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6–7(7–9), 6–2, 9–7승2012윔블던잔디 리사 레이먼드 루치에 흐라데츠카
안드레아 흘라바치코바4–6, 6–3, 6–4승2015프랑스 오픈 (2)클레이 베서니 마텍-샌즈 야로슬라바 시베도바
케이시 델라쿠아3–6, 6–4, 6–2패2016US 오픈하드 베서니 마텍-샌즈 카롤린 가르시아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6–2, 6–7(5–7), 4–6패2017호주 오픈하드 베서니 마텍-샌즈 루치에 샤파르조바
베서니 마텍-샌즈7–6(7–4), 4–6, 2–6


5. 연말 챔피언십 결승

마이크 브라이언은 연말 챔피언십 복식에서 5번 우승하고 2번 준우승했다.

결과연도대회코트파트너상대점수
우승2003테니스 마스터스 컵, 휴스턴하드밥 브라이언영어미카엘 로드라프랑스어
파브리스 산토로프랑스어
6–7(6–8), 6–3, 3–6, 7–6(7–3), 6–4
우승2004테니스 마스터스 컵, 휴스턴 (2)하드밥 브라이언영어웨인 블랙영어
케빈 울리에트영어
4–6, 7–5, 6–4, 6–2
준우승2008테니스 마스터스 컵, 상하이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다니엘 네스터영어
네나드 지몬지치sr
6–7(3–7), 2–6
우승2009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런던 (3)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맥스 미르니be
앤디 람he
7–6(7–5), 6–3
준우승2013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런던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다비드 마레로es
페르난도 베르다스코es
5–7, 7–6(7–3), [7–10]
우승2014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런던 (4)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이반 도디그hr
마르셀루 멜루pt
6–7(5–7), 6–2, [10–7]
우승2018ATP 파이널스, 런던 (5)하드 (실내)잭 소크영어피에르위그 에르베르프랑스어
니콜라스 마위프랑스어
5–7, 6–1, [13–11]


5. 1. 복식: 7 (5승 2패)

마이크 브라이언은 프로 데뷔 이후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 팀으로 활동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에서 우승했으며[17],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은 8회이다. 2005년에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18]

결과연도대회코트파트너상대점수
우승2003테니스 마스터스 컵, 휴스턴하드밥 브라이언영어미카엘 로드라프랑스어
파브리스 산토로프랑스어
6–7(6–8), 6–3, 3–6, 7–6(7–3), 6–4
우승2004테니스 마스터스 컵, 휴스턴 (2)하드밥 브라이언영어웨인 블랙영어
케빈 울리에트영어
4–6, 7–5, 6–4, 6–2
준우승2008테니스 마스터스 컵, 상하이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다니엘 네스터영어
네나드 지몬지치sr
6–7(3–7), 2–6
우승2009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런던 (3)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맥스 미르니be
앤디 람he
7–6(7–5), 6–3
준우승2013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런던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다비드 마레로es
페르난도 베르다스코es
5–7, 7–6(7–3), [7–10]
우승2014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런던 (4)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영어이반 도디그hr
마르셀루 멜루pt
6–7(5–7), 6–2, [10–7]
우승2018ATP 파이널스, 런던 (5)하드 (실내)잭 소크영어피에르위그 에르베르프랑스어
니콜라스 마위프랑스어
5–7, 6–1, [13–11]


6. 하계 올림픽 결승

마이크 브라이언은 밥 브라이언과 함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복식에서 아르노 클레망/미카엘 로드라 조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미카엘 로드라/조-윌프리드 쏭가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커리어 골든 슬램'''을 달성했다.

6. 1. 복식: 2 (금메달 1, 동메달 1)

마이크 브라이언은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오고 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 우승을 기록[17]했으며,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이 8회이다. 특히 2005년 두 형제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것은 오픈 시대 이래 두 번째 기록이었다.[18]

결과연도대회표면파트너상대점수
동메달2008년베이징하드밥 브라이언아르노 클레망
미카엘 로드라
3–6, 6–3, 6–4
금메달2012년런던잔디밥 브라이언미카엘 로드라
조\-윌프리드 쏭가
6–4, 7–6(7–2)



6. 2. 혼합 복식: 1 (동메달 1)

마이크 브라이언은 프로로 데뷔한 이래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오고 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 우승을 기록[17] 했으며,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이 8회이다. 특히 2005년 두 형제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것은 오픈 시대 이래 두 번째 기록이었다.[18]

결과연도대회표면파트너상대점수
동메달2008베이징하드밥 브라이언아르노 클레망
미카엘 로드라
3–6, 6–3, 6–4


7. ATP 마스터스 1000 결승

다니엘 네스터4–6, 7–6(7–1), 6–3패2003인디언 웰스하드 밥 브라이언 웨인 페레이라
예브게니 카펠니코프1–6, 4–6승2003신시내티 (1)하드 밥 브라이언 웨인 아서스
폴 헨리7–5, 7–6(7–5)패2004함부르크클레이 밥 브라이언 웨인 블랙
케빈 울리에트1–6, 2–6패2004마드리드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3–6, 4–6패2005몬테카를로클레이 밥 브라이언 리안더 파에스
네나드 지몬지치기권패2005로마클레이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파브리스 산토로5–7, 4–6승2005파리 (1)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6–4, 6–7(3–7), 6–4패2006인디언 웰스하드 밥 브라이언 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4–6, 4–6패2006마이애미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4–6, 4–6승2006캐나다 (2)하드 밥 브라이언 폴 헨리
케빈 울리에트6–3, 7–5패2006신시내티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6–7(5–7), 4–6승2006마드리드 (1)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7–5, 6–4승2007마이애미 (1)하드 밥 브라이언 리안더 파에스
마틴 댐6–7(7–9), 6–3, [10–7]승2007몬테카를로 (1)클레이 밥 브라이언 줄리앙 베네토
리샤르 가스케6–2, 6–1패2007로마클레이 밥 브라이언 파브리스 산토로
네나드 지몬지치4–6, 6–7(4–7), [7–10]승2007함부르크 (1)클레이 밥 브라이언 폴 헨리
케빈 울리에트6–3, 6–4패2007신시내티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단 얼리흐
앤디 람6–4, 3–6, [11–13]승2007마드리드 (2)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마리우시 피르스텐베르크
마르친 마트코프스키6–3, 7–6(7–4)승2007파리 (2)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3, 7–6(7–4)승2008마이애미 (2)하드 밥 브라이언 마헤시 부파티
마크 노울스6–2, 6–2승2008로마 (1)클레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3–6, 6–4, [10–8]패2008함부르크클레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4–6, 7–5, [8–10]패2008캐나다하드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2–6, 6–4, [6–10]승2008신시내티 (2)하드 밥 브라이언 요나단 얼리흐
앤디 람4–6, 7–6(7–2), [10–7]패2009몬테카를로클레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4–6, 1–6패2009로마클레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7(5–7), 3–6패2009신시내티하드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3, 6–7(2–7), [13–15]승2010로마 (2)클레이 밥 브라이언 존 이스너
샘 퀘리6–2, 6–3승2010마드리드 (3)클레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3, 6–4승2010캐나다 (3)하드 밥 브라이언 줄리앙 베네토
미카엘 로드라7–5, 6–3승2010신시내티 (3)하드 밥 브라이언 마헤시 부파티
맥스 미르니6–3, 6–4승2011몬테카를로 (2)클레이 밥 브라이언 후안 이그나시오 첼라
브루노 소아레스6–3, 6–2승2011마드리드 (4)클레이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네나드 지몬지치6–3, 6–3패2011캐나다하드 밥 브라이언 미카엘 로드라
네나드 지몬지치4–6, 7–6(7–5), [5–10]승2012몬테카를로 (3)클레이 밥 브라이언 맥스 미르니
다니엘 네스터6–2, 6–3승2012캐나다 (4)하드 밥 브라이언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마르크 로페스6–1, 4–6, [12–10]승2013인디언 웰스 (1)하드 밥 브라이언 트리트 콘래드 휴이
지에지 야노비츠6–3, 3–6, [10–6]패2013몬테카를로클레이 밥 브라이언 줄리앙 베네토
네나드 지몬지치6–4, 6–7(4–7), [12–14]승2013마드리드 (5)클레이 밥 브라이언 알렉산더 페야
브루노 소아레스6–2, 6–3승2013로마 (3)클레이 밥 브라이언 마헤시 부파티
로한 보파나6–2, 6–3승2013신시내티 (4)하드 밥 브라이언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마르크 로페스6-4, 4-6 [10-4]승2013파리 (3)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알렉산더 페야
브루노 소아레스6–3, 6–3승2014인디언 웰스 (2)하드 밥 브라이언 알렉산더 페야
브루노 소아레스6–4, 6–3승2014마이애미 (3)하드 밥 브라이언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로베르트 파라7–6(10–8), 6–4승2014몬테카를로 (4)클레이 밥 브라이언 이반 도디그
마르셀로 멜로6–3, 3–6 [10-8]패2014마드리드클레이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6–4, 6–2승2014신시내티 (5)하드 밥 브라이언 바섹 포스피실
잭 소크6–3, 6–2승2014상하이 마스터스 (1)하드 밥 브라이언 줄리앙 베네토
에두아르 로제 바셀린6–3, 7–6(7–3)승2014파리 (4)하드 (실내) 밥 브라이언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위르겐 멜처7–6(7–5), 5–7, [10–6]승2015마이애미(4)하드 밥 브라이언 바섹 포스피실
잭 소크6–3, 1–6, [10–8]승2015몬테카를로 (5)클레이 밥 브라이언 시모네 볼렐리
파비오 포그니니7–6(7–3), 6–1승2015캐나다 (5)하드 밥 브라이언 다니엘 네스터
에두아르 로제 바셀린7–6(7–5), 3–6, [10–6]승2016로마 (4)클레이 밥 브라이언 바섹 포스피실
잭 소크2–6, 6–3, [10–7]패2018인디언 웰스하드 밥 브라이언 존 이스너
잭 소크6–7(4–7), 6–7(2–7)승2018마이애미 (5)하드 밥 브라이언 카렌 하차노프
안드레이 루블레프4-6, 7-6(5), [10–4]승2018몬테카를로 (6)클레이 밥 브라이언 올리버 마라흐
마테 파비치7–6 (7–5), 6–3패2018마드리드클레이 밥 브라이언 니콜라 메크티치
알렉산더 페야3–5, 기권승2019마이애미 (6)하드 밥 브라이언 웨슬리 쿨호프
스테파노스 치치파스7–5, 7–6(10–8)


7. 1. 복식: 59 (39승 20패)

마이크 브라이언은 프로 데뷔 이후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 팀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 우승을 기록[17]했으며,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은 8회이다. 특히 2005년에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는 오픈 시대 이래 두 번째 기록이었다.[18]

결과연도대회코트파트너상대점수
2002캐나다 (1)하드밥 브라이언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
4–6, 7–6(7–1), 6–3
2003인디언 웰스하드밥 브라이언웨인 페레이라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1–6, 4–6
2003신시내티 (1)하드밥 브라이언웨인 아서스
폴 헨리
7–5, 7–6(7–5)
2004함부르크클레이밥 브라이언웨인 블랙
케빈 울리에트
1–6, 2–6
2004마드리드하드 (실내)밥 브라이언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
3–6, 4–6
2005몬테카를로클레이밥 브라이언리안더 파에스
네나드 지몬지치
기권
2005로마클레이밥 브라이언미카엘 로드라
파브리스 산토로
5–7, 4–6
2005파리 (1)하드 (실내)밥 브라이언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
6–4, 6–7(3–7), 6–4
2006인디언 웰스하드밥 브라이언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
4–6, 4–6
2006마이애미하드밥 브라이언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
4–6, 4–6
2006캐나다 (2)하드밥 브라이언폴 헨리
케빈 울리에트
6–3, 7–5
2006신시내티하드밥 브라이언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
6–7(5–7), 4–6
2006마드리드 (1)하드 (실내)밥 브라이언마크 노울스
다니엘 네스터
7–5, 6–4
2007마이애미 (1)하드밥 브라이언리안더 파에스
마틴 댐
6–7(7–9), 6–3, [10–7]
2007몬테카를로 (1)클레이밥 브라이언줄리앙 베네토
리샤르 가스케
6–2, 6–1
2007로마클레이밥 브라이언파브리스 산토로
네나드 지몬지치
4–6, 6–7(4–7), [7–10]
2007함부르크 (1)클레이밥 브라이언폴 헨리
케빈 울리에트
6–3, 6–4
2007신시내티하드밥 브라이언요나단 얼리흐
앤디 람
6–4, 3–6, [11–13]
2007마드리드 (2)하드 (실내)밥 브라이언마리우시 피르스텐베르크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6–3, 7–6(7–4)
2007파리 (2)하드 (실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6–3, 7–6(7–4)
2008마이애미 (2)하드밥 브라이언마헤시 부파티
마크 노울스
6–2, 6–2
2008로마 (1)클레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3–6, 6–4, [10–8]
2008함부르크클레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4–6, 7–5, [8–10]
2008캐나다하드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2–6, 6–4, [6–10]
2008신시내티 (2)하드밥 브라이언요나단 얼리흐
앤디 람
4–6, 7–6(7–2), [10–7]
2009몬테카를로클레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4–6, 1–6
2009로마클레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6–7(5–7), 3–6
2009신시내티하드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6–3, 6–7(2–7), [13–15]
2010로마 (2)클레이밥 브라이언존 이스너
샘 퀘리
6–2, 6–3
2010마드리드 (3)클레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6–3, 6–4
2010캐나다 (3)하드밥 브라이언줄리앙 베네토
미카엘 로드라
7–5, 6–3
2010신시내티 (3)하드밥 브라이언마헤시 부파티
맥스 미르니
6–3, 6–4
2011몬테카를로 (2)클레이밥 브라이언후안 이그나시오 첼라
브루노 소아레스
6–3, 6–2
2011마드리드 (4)클레이밥 브라이언미카엘 로드라
네나드 지몬지치
6–3, 6–3
2011캐나다하드밥 브라이언미카엘 로드라
네나드 지몬지치
4–6, 7–6(7–5), [5–10]
2012몬테카를로 (3)클레이밥 브라이언맥스 미르니
다니엘 네스터
6–2, 6–3
2012캐나다 (4)하드밥 브라이언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마르크 로페스
6–1, 4–6, [12–10]
2013인디언 웰스 (1)하드밥 브라이언트리트 콘래드 휴이
지에지 야노비츠
6–3, 3–6, [10–6]
2013몬테카를로클레이밥 브라이언줄리앙 베네토
네나드 지몬지치
6–4, 6–7(4–7), [12–14]
2013마드리드 (5)클레이밥 브라이언알렉산더 페야
브루노 소아레스
6–2, 6–3
2013로마 (3)클레이밥 브라이언마헤시 부파티
로한 보파나
6–2, 6–3
2013신시내티 (4)하드밥 브라이언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마르크 로페스
6-4, 4-6 [10-4]
2013파리 (3)하드 (실내)밥 브라이언알렉산더 페야
브루노 소아레스
6–3, 6–3
2014인디언 웰스 (2)하드밥 브라이언알렉산더 페야
브루노 소아레스
6–4, 6–3
2014마이애미 (3)하드밥 브라이언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로베르트 파라
7–6(10–8), 6–4
2014몬테카를로 (4)클레이밥 브라이언이반 도디그
마르셀로 멜로
6–3, 3–6 [10-8]
2014마드리드클레이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네나드 지몬지치
6–4, 6–2
2014신시내티 (5)하드밥 브라이언바섹 포스피실
잭 소크
6–3, 6–2
2014상하이 마스터스 (1)하드밥 브라이언줄리앙 베네토
에두아르 로제 바셀린
6–3, 7–6(7–3)
2014파리 (4)하드 (실내)밥 브라이언마르친 마트코프스키
위르겐 멜처
7–6(7–5), 5–7, [10–6]
2015마이애미(4)하드밥 브라이언바섹 포스피실
잭 소크
6–3, 1–6, [10–8]
2015몬테카를로 (5)클레이밥 브라이언시모네 볼렐리
파비오 포그니니
7–6(7–3), 6–1
2015캐나다 오픈 (5)하드밥 브라이언다니엘 네스터
에두아르 로제 바셀린
7–6(7–5), 3–6, [10–6]
2016로마 (4)클레이밥 브라이언바섹 포스피실
잭 소크
2–6, 6–3, [10–7]
2018인디언 웰스하드밥 브라이언존 이스너
잭 소크
6–7(4–7), 6–7(2–7)
2018마이애미 (5)하드밥 브라이언카렌 하차노프
안드레이 루블레프
4-6, 7-6(5), [10–4]
2018몬테카를로 (6)클레이밥 브라이언올리버 마라흐
마테 파비치
7–6 (7–5), 6–3
2018마드리드클레이밥 브라이언니콜라 메크티치
알렉산더 페야
3–5, 기권
2019마이애미 (6)하드밥 브라이언웨슬리 쿨호프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7–5, 7–6(10–8)


8. 기록

마이크 브라이언은 형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에서 뛰어난 경력을 쌓았다. 119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4][5] 여기에는 16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도 포함된다.[6] 2005년에는 4개의 그랜드 슬램 대회 결승에 모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6] 브라이언 형제는 ATP 랭킹 1위를 기록했으며, '원더 트윈스'라는 별명으로 불렸다.[7]

2018년 밥의 부상으로 인해, 마이크는 잭 소크 등 여러 선수와 파트너십을 맺었다.[8]

다음은 마이크 브라이언의 주요 대회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8. 1. 남자 복식

마이크 브라이언은 프로 데뷔 이래 밥 브라이언과 함께 복식팀으로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오고 있다. 2010년 호주 오픈까지 59개의 복식 대회 우승을 기록[17]했으며, 이 중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 우승이 8회이다. 특히 2005년 두 형제는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복식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것은 오픈 시대 이래 두 번째 기록이었다.[18]

그는 쌍둥이 형제 과 함께 복식에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그들은 119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2013 BNP 파리바 오픈에서 기록적인 86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4][5], 여기에는 기록적인 16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도 포함된다. 2005년, 그와 밥은 4개의 모든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했는데, 이는 오픈 시대에서 두 번째로 달성된 기록이다.[6] 브라이언 형제는 ATP 랭킹 1위를 기록했다. 그들의 성공으로 인해, 그들은 허구의 만화 듀오에서 따온 원더 트윈스라는 별명을 얻었다.[7]

2018년 마드리드 오픈에서 밥은 엉덩이 부상을 입었고, 이후 시즌을 마감하는 수술을 받았다. 형제가 부재한 동안, 브라이언은 여러 선수들과 파트너십을 맺었는데, 특히 롤랑 가로스에서는 샘 퀘리, 퀸스, 윔블던, US 오픈에서는 잭 소크, 데이비스 컵에서는 라이언 해리슨, 그리고 다른 투어 이벤트에서는 제임스 세레타니, 프랜시스 티아포, 에두아르 로제-바셀린과 함께했다.[8]

대회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승률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오스트레일리아 오픈AAAAA1회전1회전8강3회전결승결승우승우승8강우승우승우승결승우승3회전3회전3회전결승4강8강3회전84%
프랑스 오픈AAAA2회전2회전2회전8강우승4강결승결승8강8강4강2회전4강결승우승8강결승결승2회전1회전3회전A78%
윔블던 선수권 대회AAAA3회전1회전4강4강8강3회전결승우승결승4강결승8강우승4강우승결승8강8강2회전우승3회전NH82%
US 오픈1회전1회전1회전1회전1회전8강2회전4강결승3회전우승3회전8강우승4강우승1회전우승4강우승1회전8강4강우승3회전A79%
연말 챔피언십
ATP 파이널스출전 자격 미달 (DNQ)RRNH우승우승4강RRA결승우승4강4강RR결승우승4강4강RR우승DNQ63%
국가 대표
올림픽NHA미개최A미개최8강미개최동메달미개최금메달미개최A미개최85%
데이비스 컵AAAAAAAAPO결승1회전4강우승4강8강A8강4강8강1회전1회전8강A4강AQR85%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인디언 웰스AAAA8강1회전1회전8강결승2회전4강결승1회전8강4강1회전2회전8강우승우승8강8강1회전결승2회전NH70%
마이애미AAAA8강3회전8강3회전4강4강1회전결승우승우승4강8강2회전4강1회전우승우승4강4강우승우승NH81%
몬테카를로AAAAA1회전8강A결승A우승8강결승8강우승우승결승우승우승2회전A우승ANH83%
마드리드AAAAA2회전4강1회전결승1회전우승우승8강2회전우승우승2회전우승결승2회전8강8강결승1회전NH71%
로마AAAAA8강1회전2회전4강결승8강결승우승결승우승8강8강우승4강2회전우승4강A8강A72%


8. 2. 혼합 복식

대회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SR전적승률
오스트레일리아 오픈AAAA2회전2회전AA8강1회전AAAA1회전AAAA8강AAA0 / 68–6
프랑스 오픈A2회전AA1회전우승1회전A1회전1회전AAAA8강AA우승AAAAA2 / 816–6
윔블던 선수권 대회A1회전2회전결승3회전8강2회전8강3회전2회전결승3회전A1회전우승A2회전4강AA2회전ANH1 / 1637–15
US 오픈A1회전AA우승8강A4강1회전2회전AAAA1회전AAAAAAAA1 / 714–6
통산 전적0 / 00 / 30 / 10 / 11 / 41 / 40 / 20 / 20 / 40 / 40 / 10 / 10 / 00 / 11 / 40 / 00 / 11 / 20 / 00 / 10 / 10 / 00 / 04 / 3775–33


9. 사생활

마이크 브라이언은 슬로바키아 트렌친 출신인 나디아 무르가쇼바(Nadia Murgašová)와 결혼하였다. 부부는 플로리다에 거주하며, 슬하에 아들 한 명을 두고 있다. 가족은 스탠리 컵 우승자인 마리안 호사, 마리안 가보릭, 즈데노 하라와 같은 거리에 있는 트렌친에 여름 별장을 공유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ike Bryan https://www.atptour.[...] 2019-04-15
[2] 뉴스 The Bryan Brothers Retire as They Played: Together https://www.nytimes.[...] 2020-08-27
[3] 간행물 Q&A with the Bryan Brothers https://www.stanford[...] Stanford Daily 2018-07-18
[4] 웹사이트 ESPN Bio: Mike Bryan http://www.atpworldt[...] 2008-12-25
[5] 뉴스 Bryan twins set tennis record in doubles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0-08-02
[6] 웹사이트 Bryan Brother Profile https://web.archive.[...] ESPN 2009-01-13
[7] 웹사이트 Wonder Twins: Bryan gives U.S. Davis Cup lead http://static.espn.g[...] ESPN 2009-03-14
[8] 웹사이트 Tennis World USA: For Bryan and Sock winning Wimbledon doubles brings history and confidence https://www.tenniswo[...] 2018-07-18
[9] 뉴스 World TeamTennis Adds Stars Tiafoe, Puig, Roanic, Bouchard, & Sock As Rosters Set For 2020 https://wtt.com/2020[...] 2020-06-16
[10] 웹사이트 Davis Cup - Teams http://www.daviscup.[...] 2017-01-26
[11] 웹사이트 Mike Bryan sa oženil so svojou slovenskou snúbenicou https://tenisovysvet[...] 2020-02-05
[12] 웹사이트 FOTO: Krásna Trenčianka ulovila tenisovú hviezdu. Slovenky sú top, tvrdí Bryan https://sport.pravda[...] 2018-05-15
[13] 문서 ATP Doubles Ranking http://www.atpworldt[...]
[14] 웹사이트 地元アメリカのブライアン/ソックがグランドスラム2大会連続優勝 [USオープン] https://tennismagazi[...] 2019-12-01
[15] 웹사이트 ブライアン兄弟、来年の全米OP限りで引退へ 史上最強の複ペア https://www.afpbb.co[...] 2019-12-01
[16] 웹사이트 ブライアン兄弟が現役引退 伝説的キャリアに終止符 https://www.afpbb.co[...] 2020-08-29
[17] 웹인용 ESPN Bio: Mike Bryan http://sports.espn.g[...] 2008-12-25
[18] 웹인용 Bryan Brother Profile https://web.archive.[...] ESPN 2009-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