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베이츠 클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베이츠 클라크는 미국의 경제학자로, 한계생산성 이론을 정립하고 자본 개념을 제시한 인물이다. 1847년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나 애머스트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리히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카를 크니에스의 지도를 받았다. 초기에는 사회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입장으로 변화했다. 그는 《부의 철학》(1886), 《부의 분배》(1899) 등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경제학적 이론을 펼쳤으며, 1938년 뉴욕에서 사망했다. 클라크의 한계생산성 이론은 신고전학파 미시경제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며, 미국 경제 학회는 그의 업적을 기려 존 베이츠 클라크 상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드아일랜드주 출신 작가 - 줌파 라히리
줌파 라히리는 인도계 미국인 소설가이자 단편 소설 작가로, 미국 문화와 인도 문화 사이의 정체성 갈등을 묘사한 작품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이탈리아어로도 작품을 발표했다. - 신고전파 경제학자 - 프랜시스 에지워스
프랜시스 이시드로 에지워스는 아일랜드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로, 효용 이론을 발전시켜 무차별 곡선과 에지워스 상자를 도입하고 《경제학 저널》의 창립 편집자로서 활동했으며, 통계학 분야에서도 에지워스 급수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 신고전파 경제학자 - 어빙 피셔
어빙 피셔는 화폐수량설, 시제소비선택 이론, 부채 디플레이션 이론 등 현대 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로, 미국경제학회 회장과 계량경제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학계에 공헌했으나, 주식 시장 붕괴 예측 실패와 우생학 옹호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존 베이츠 클라크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존 베이츠 클라크 |
출생지 |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
사망지 | 뉴욕 시티 |
학문적 배경 | |
학파 | 신고전파 경제학 |
출신 대학 | 애머스트 대학교 |
지도교수 | 카를 크니스 |
제자 | 헨리 루드웰 무어 앨빈 손더스 존슨 |
영향 | 카를 크니스 |
영향을 받은 학자 | 소스틴 베블런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경력 | |
근무 기관 | 칼턴 칼리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업적 | |
이미지 | |
![]() | |
![]() |
2. 생애
클라크는 1847년 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다. 25세에 애머스트 대학교를 졸업하고, 1872년부터 1875년까지 취리히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카를 크니에스에게 수학했다. 귀국 후 칼턴 칼리지, 스미스 칼리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등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다. 1893년부터 1895년까지 미국 경제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35년에는 국제 평화에 대한 저서 ''A Tender of Peace''를 저술했고, 1938년 뉴욕에서 사망했다.[2][3] 그는 경제학자 존 모리스 클라크의 아버지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존 베이츠 클라크는 1847년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나 자랐다.[2] 매사추세츠 주 애머스트 칼리지를 25세에 졸업했다.[2] 1872년부터 1875년까지 취리히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독일 역사학파의 지도자인 카를 크니에스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했다.[2]2. 2. 학문적 경력
클라크는 칼턴 칼리지(1875년~1881년), 스미스 칼리지, 애머스트 칼리지, 존스 홉킨스 대학교를 거쳐 컬럼비아 대학교(1895년~1913년)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다.[3] 그는 경력 초기에는 독일의 사회주의적 배경을 반영하여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점차 자본주의를 지지하는 쪽으로 견해가 바뀌었고, 이후 자본주의 체제의 주요 옹호자로 알려지게 되었다.[2]3. 이론적 업적
존 베이츠 클라크는 "한계생산성" 개념과 "재화의 탕진" 이론을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 유학 중 크니에스에게 사사받아, 처음에는 역사학파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사회 개량주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극단적인 역사주의적 경향에 반발하여 한계 생산력설에 기초한 분배 이론을 전개했다.
클라크의 이론적 업적은 크게 한계생산성 이론과 자본 이론으로 나눌 수 있다. 그는 경쟁적인 시장에서 생산 요소(노동, 자본)의 분배가 각 요소의 한계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또한, 이질적인 자본재를 동질적인 자본('젤리')으로 간주하여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이윤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
클라크의 자본 개념은 카를 마르크스의 가치 형태론과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1950-60년대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을 촉발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1. 한계생산성 이론
1877년부터 클라크는 귀국 후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 중 대부분은 나중에 《부의 철학》(1886)에 수록되었다. 그는 제본스(1871), 멩거(1871), 발라스(1878)가 이미 발표한 한계 효용 이론의 독창적인 버전을 정립했다.[4]1886년까지 클라크는 기독교 사회주의자였으며, 경쟁이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특히 임금 결정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는 독일 스승들의 견해를 반영했다. 그러나 1886년 헤이마켓 폭동을 계기로, 《부의 철학》을 쓴 직후부터 경쟁 체제를 옹호하기 시작했다. 호만(1928)은 "클라크 자신은 《부의 철학》에서 경쟁의 종말을 노래했지만, 이제 그는 입장을 뒤집어 경쟁에 기반한 경제 법칙들을 세운다"라고 썼다.[7]
1899년 클라크는 《부의 분배》에서 한계생산성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 제시하였다.[13][14] 이 이론은 경쟁과 동질적인 생산 요소인 '노동'과 '자본'이 주어지면, 사회적 생산물의 분배는 '노동'과 '자본'의 마지막 물리적 투입 단위의 생산성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동일한 정리는 나중에 존 앳킨슨 홉슨(1891)과 필립 위크스티드(1894)에 의해 독립적으로 공식화되었다.
3. 2. 자본 이론
클라크는 1888년 《자본과 그 수입》을 저술했다. 프랭크 페터는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를 당시 헨리 조지의 단일세 논쟁에 대한 반박으로 보았다.[9]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은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었으며, 클라크는 이러한 주장에 대응할 필요성을 느꼈다.[9]《자본과 그 수입》에서 클라크는 토지에 투자되는 자본의 역할을 강조하며, 농업 사회주의 문제 해결에 대한 희망을 피력했다.[9] 그는 이질적인 자본재를 '젤리'라고 불리는 동질적인 자본으로 간주하는 독특한 자본 개념을 제시했다.[16] 이는 카를 마르크스가 상품의 이질적인 자연적 형태(Naturalform|나투랄포름de)와 동질적인 가치 형태(Wertform|베르트포름de)를 구분한 것과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7][18]
클라크의 자본 개념은 1954년부터 1965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MIT 사이에서 벌어진 케임브리지 자본 논쟁의 주요 쟁점 중 하나였다.
4. 사상적 변화
존 베이츠 클라크는 독일 유학 시절 크니에스에게 가르침을 받아 초기에는 역사학파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그는 기독교 사회주의와 사회 개량주의적 경향을 보였다.[4] 그는 경쟁을 비판하며, 특히 임금 결정에 있어서 경쟁이 만병통치약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공산주의에 대해서는 억압과 개혁을 통해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5]
그러나 1886년 헤이마켓 사건 이후, 클라크는 경쟁을 옹호하고 자본주의를 지지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7][8] 그는 "어떤 것도 경쟁을 억누르지 않는다면, 진보는 영원히 계속될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0] 이러한 사상적 변화는 노동 기사단의 붕괴와 미국의 고등 교육에서 '사회주의' 개혁가들이 축출되는 결과를 낳은 헤이마켓 사건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후 클라크는 경쟁을 기반으로 한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경쟁과 동질적인 생산 요소인 '노동'과 '자본'이 주어지면, 사회적 생산물의 분배는 '노동'과 '자본'의 마지막 물리적 투입 단위의 생산성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 정리는 신고전파 미시경제학의 초석이 되었다.[12][13][14]
5. 주요 저서
- 《부의 철학(The Philosophy of Wealth, 1886)》
- 《자본과 그 소득(Capital and Its Earnings, 1888)》
- 《부의 분배(The Distribution of Wealth, 1899)》
- * 分配論 : 賃銀, 利子竝に利潤論|린 야오일본어 역, 이와나미 서점, 1924년
- * 富の分配|다나카 도시히로·혼고 료일본어 역, 일본경제평론사, 2007년
- 《경제 이론의 본질(Essentials of Economic Theory, 1907)》
- 《사회주의 없는 사회 정의(Social Justice without Socialism, 1914)》
- 《평화의 제안(A Tender of Peace, 1935)》
6. 영향
미국 경제 학회는 1947년에 클라크의 공적을 기려 존 베이츠 클라크 상을 제정했다. 그는 "한계 생산성" 개념과 "재화의 탕진" 이론을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한국 경제학계에의 영향
존 베이츠 클라크의 이론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경제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 《부의 분배》는 1924년 린 야오에 의해 《분배론: 임금, 이자 및 이윤론》(分配論 : 賃銀, 利子竝に利潤論일본어)이라는 제목으로 이와나미 서점에서 출판되었고,[1] 2007년에는 다나카 도시히로와 혼고 료에 의해 《부의 분배》(富の分配일본어)라는 제목으로 일본경제평론사에서 출판되었다.[2]
클라크의 한계생산성 이론은 한국의 경제학 교육과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현재까지도 중요한 이론적 기반으로 논의되고 있다. 다만, 자본에 대한 그의 독특한 관점은 한국 경제학계에서 다양한 논쟁을 야기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Professor Clark's Economics
https://www.jstor.or[...]
1908
[2]
서적
John Bates Clark: The Making of a Neoclassical Economist
https://books.google[...]
Springer
[3]
웹사이트
Famous Carleton Economists - Carleton College
https://www.carleton[...]
2020-09-29
[4]
간행물
[5]
간행물
[6]
논문
Christianity and Modern Economics
https://archive.org/[...]
1887-07
[7]
서적
Contemporary Economic Thought
Harper & Brothers
[8]
서적
Religion in Economics
https://archive.org/[...]
King's Crown Press
[9]
서적
Economic Essays Contributed in Honor of John Bates Clark
The Macmillan Company
[10]
서적
Essentials of Economic Theory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11]
서적
The Modern Distributive Process
Ginn & Company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논문
J. B. Clark's Formulae of Wages and Interest
https://www.journals[...]
1901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서적
Capital
[18]
논문
Recent Discussions of the Capital Concept
1900-11
[19]
간행물
[20]
논문
Clark's Distribution of Wealth
https://www.jstor.or[...]
1901
[21]
서적
John Bates Clark: The Making of a Neoclassical Economist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