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하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하버드는 1607년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는 찰스타운에서 목사로 활동했으며, 1638년 사망했다. 하버드는 자신의 재산 절반과 장서를 신생 학교에 기증했으며, 이 기증에 감사하여 학교는 하버드 칼리지(현재 하버드 대학교)로 명명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기념물과 기념 사업이 있으며, 런던의 존 하버드 도서관, 하버드 다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자선가 - 찰스 디킨스
    찰스 디킨스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대표 소설가로, 사회 비판과 풍자를 섬세한 인물 묘사로 결합한 작품과 빈곤한 어린 시절, 기자 경험을 바탕으로 《픽윅페이퍼스》, 《올리버 트위스트》, 《크리스마스 캐롤》, 《데이비드 코퍼필드》, 《위대한 유산》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겨 영화,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랑받고 있다.
  • 영국의 자선가 - 요크 공작부인 세라
    요크 공작부인 세라는 앤드루 왕자와 결혼하여 요크 공작부인 칭호를 받았고 이혼 후에도 작위를 유지하며, 작가, 자선가, 영화 프로듀서,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유방암와 악성 흑색종 진단을 받았다.
  • 1607년 출생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1607년 출생 - 이치히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이치히메는 다테 마사무네의 아들 다테 다다무네와 약혼했으나 요절하여 혼인하지 못했다.
  • 하버드 대학교 - 하버드-옌칭 연구소
    하버드-옌칭 연구소는 1928년 옌칭대학교 총장에 의해 설립되어 하버드 대학교와 동아시아 연구를 지원하고, 하버드-옌칭 도서관 운영 및 학술 교류를 진행한다.
  • 하버드 대학교 - 하버드 케네디 스쿨
    하버드 케네디 스쿨은 1936년 하버드 대학교 정부대학원으로 설립되어 공공정책, 국제관계, 공공행정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공공 부문 리더십 양성에 중점을 둔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이다.
존 하버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존 하버드
존 하버드 (영어)John Harvard
존 하버드 (출생)1607년 11월 29일
출생지사우스워크, 서리, 잉글랜드
존 하버드 (사망)1638년 9월 14일 (향년 30세)
사망 원인결핵
사망 장소찰스타운,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영국령 아메리카
직업목사
알려진 이유하버드 대학교 설립자 중 한 명
배우자앤 새들러
자녀없음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이매뉴얼 칼리지 (BA, MA)
존 하버드 서명

2. 생애

존 하버드는 1607년 잉글랜드 서리서더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누엘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635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앤 새들러와 결혼하고 1637년 뉴잉글랜드 식민지로 이주하여 찰스타운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목회 활동을 하던 중, 1638년 결핵으로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에 있는 하버드 하우스는 존 하버드의 어머니 캐서린 로저스의 어린 시절 집이었다.


하버드는 잉글랜드 서리서더크(현재는 런던의 일부)에서 태어나 자랐다. 아버지는 정육점이자 선술집 주인이었던 로버트 하버드(1562–1625)였고, 어머니는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출신의 캐서린 로저스(1584–1635)였다. 그는 9명의 자녀 중 넷째였다. 어머니 캐서린의 아버지 토머스 로저스(1540–1611)는 존 셰익스피어와 함께 자치구 법인의 의회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하버드는 세인트 세이비어 교회(현재 서더크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아버지가 이사회 일원이자 교구 교회 관리인으로 있었던 세인트 세이비어 문법학교에 다녔다. 그의 조부모가 살았던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의 집은 1595년 화재 이후 크게 재건되었으며, 현재 '하버드 하우스'로 남아 있다.[2]

1625년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하버드 가족 중에서는 존과 그의 형제 토머스, 그리고 어머니 캐서린만이 살아남았다. 어머니 캐서린은 곧 재혼했다. 1626년 존 엘레트슨(1580–1626)과 결혼했으나 그는 몇 달 안에 사망했고, 1627년에는 리처드 예어우드(1580–1632)와 다시 결혼했다. 어머니 캐서린은 1635년에, 형제 토머스는 1637년에 세상을 떠났다.

어머니가 남긴 재산 덕분에 하버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었다. 그는 1627년 12월 19일 엠마누엘 칼리지에 연금 수혜자로 입학하여, 1632년에 문학사 학위를, 1635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2. 2. 결혼과 뉴잉글랜드 이주

1636년 또는 1637년 4월 19일, 하버드는 이스트 서식스주 패참 출신인 앤 새들러(1614–55)와 루이스의 사우스 맬링 교구에 있는 성 미카엘 대천사 교회에서 결혼했다.[3][4] 앤 새들러는 하버드의 대학 동기였던 존 새들러의 누이였다.

1637년 봄 또는 여름, 부부는 뉴잉글랜드 식민지로 이주하여 보스턴 인근 찰스타운에 정착했다. 하버드는 매사추세츠의 자유 시민이 되었고, 찰스타운 제일 교회에서 가르치는 장로이자 보조 설교자로 활동했다. 그가 주교 서품을 받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3][4] 1638년에는 찰스타운에서 토지 한 구획을 증여받았으며, 같은 해에 "일부 법률 제정"을 검토하는 위원회에 임명되었다.

그는 컨트리 로드(나중에 마켓 스트리트, 현재 메인 스트리트)에 집을 지었다. 이곳은 현재 존 하버드 몰이 위치한 자리이며, 그의 집 뒤 언덕까지는 과수원이 있었다.

2. 3. 사망

1638년 9월 14일, 하버드는 결핵으로 사망하여 찰스타운의 핍스 스트리트 묘지에 묻혔다. 그의 원래 묘비는 미국 독립 전쟁 중에 사라졌으며, 1828년 하버드 대학교 졸업생들이 그 자리에 기념비를 세웠다.

하버드의 미망인 앤은 찰스타운 교회의 교사이자 하버드의 유산 관리인이었던 토마스 앨런과 재혼했다.

3. 하버드 대학교에 대한 기증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 창문 (1884) 좌측에 존 하버드 묘사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 태블릿


존 하버드가 사망하기 2년 전, 매사추세츠 베이 식민지의 대법원은 "학문을 증진하고 후세에 영속시키기 위해, 현재 목사들이 세상을 떠난 후 교회에 무지한 목회자들이 남게 될 것을 우려하여" 당시 뉴타운이라 불리던 곳에 학교 설립을 위해 400 파운드를 할당했다.

자녀가 없었던 하버드는 아내에게 구두 유언을 남겼다. 그는 아버지, 어머니, 형제로부터 상당한 유산을 상속받았으며, 자신의 재산 절반에 해당하는 약 780 파운드를 새로 설립될 학교에 기증했다. 이는 당시 매사추세츠만 식민지의 연간 세입과 거의 맞먹는 규모였다. 또한 그는 약 329종(총 400여 권, 일부는 다권본 포함)으로 구성된 자신의 학자적 도서관도 함께 기증했는데, 이는 금전적 기부만큼이나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하버드의 기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매사추세츠 총회는 "케임브리지에 세워질 대학은 하버드 칼리지로 명명하기로 한다"고 결정했다. 한편, 하버드가 사망하기 전 이미 뉴타운은 케임브리지로 이름이 바뀌어 있었는데, 이는 하버드를 포함한 많은 초기 식민지 개척자들이 다녔던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교 이름을 딴 것이다.

하버드 대학교의 학부 신문인 ''하버드 크림슨''과 ''하버드 매거진'' 등에서는 존 하버드가 대학 설립을 위한 투표가 이루어진 이후에 기증했기 때문에 그를 '설립자'로 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버드 법인 사무총장이었던 제롬 데이비스 그린은 1934년에 쓴 편지에서 하버드 칼리지의 설립은 한 사람의 노력이 아닌 여러 사람의 기여로 이루어진 과정임을 강조했다. 그는 존 하버드를 '유일한' 설립자가 아니라 학교의 '한' 설립자로 보아야 하며, 그의 시기적절하고 관대한 기증은 대학의 영속성을 보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기에 가장 존경받는 설립자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다. 그린은 설립을 단일 사건이 아닌 과정으로 이해한다면, 하버드의 기여는 그를 설립자로 부르기에 충분하며, 대학 명칭에 그의 이름이 붙여진 것 자체가 이를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4. 기념물 및 기념 사업

존 하버드를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물과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다. 하버드 야드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으며, 그의 모습은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 예배당의 스테인드글라스 창에도 묘사되어 있다.

영국 런던 사우스워크에는 그의 이름을 딴 존 하버드 도서관이 있으며, 사우스워크 대성당에는 하버드 졸업생들의 기부로 재건된 하버드 채플이 있다.[6] 미국 보스턴과 케임브리지를 잇는 하버드 다리 역시 그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또한 존 하버드는 1986년 미국 우편국의 위대한 미국인 시리즈 우표에도 등장했다.

4. 1. 하버드 동상

존 하버드의 실제 모습을 알 수 없기에 그의 '초상'은 아니지만, 하버드 야드에는 그를 기리는 존 하버드 동상이 세워져 있다. 이 동상은 하버드 야드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며, 1986년 미국 우편국의 위대한 미국인 시리즈 우표에도 등장했다.

4. 2. 기타

런던 버러 하이 스트리트 211번지에 있는 명판


존 하버드를 기리는 동상은 그의 실제 모습에 대한 기록이 없어 그의 '초상'은 아니지만, 하버드 야드의 중요한 상징물이다 (''존 하버드 동상'' 참조). 이 동상의 모습은 1986년 미국 우편국의 위대한 미국인 시리즈 우표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그를 묘사한 인물은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 예배당의 스테인드글라스 창에도 나타난다.

런던 사우스워크에 있는 존 하버드 도서관과 보스턴과 케임브리지를 연결하는 하버드 다리는 모두 존 하버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사우스워크 대성당 북쪽 익랑에 위치한 하버드 채플은 하버드 졸업생들의 기부금으로 재건되어 1907년에 헌정되었다. 채플의 스테인드글라스 창은 미국의 예술가 존 라 파지가 디자인했으며, 당시 주영 미국 대사였던 조셉 초트가 기증했다.[6]

참조

[1] 간행물 Harvard, John
[2] 간행물 2020-03-15
[3] 서적 The Founding of Harvard Colleg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4] 서적 The New England Historical and Genealogical Register,: Volume 39 1885 https://books.google[...] Heritage Books 2020-04-04
[5] 문서 A Genealogical Dictionary of the First Settlers of New England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 Co. 1860
[6] 웹사이트 John La Farge Stained Glass in New England: A Digital Guide https://library.bc.e[...]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blog.kcmusa.o[...] 2012-11-15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