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O. 웨스트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O. 웨스트우드는 19세기 영국의 곤충학자, 고고학자, 삽화가이다. 그는 퀘이커 집안에서 태어나 법학을 공부했으나 곤충학과 고대 필사본 연구에 매진했다. 런던 곤충학회 창립 멤버이자 비서를 역임했으며, 프레데릭 윌리엄 호프의 곤충 컬렉션을 정리하며 전 세계 곤충을 연구했다. 옥스퍼드 대학교 호프 큐레이터와 호프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비판하며 곤충 분류 연구를 지속했다. 1855년 왕립 학회 로열 메달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했다. 1893년 사망 후, 왕립 곤충학회는 그의 이름을 딴 J. O. 웨스트우드 메달을 제정했다.

2. 생애와 업적

셰필드에서 태어나 리치필드 등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법학을 공부했으나 이후 곤충학과 고고학 연구에 전념하며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는 친구이자 부유한 곤충 수집가인 프레데릭 윌리엄 호프의 도움으로 옥스퍼드 대학교 박물관의 곤충 컬렉션 학예사가 되었고, 이후 호프의 기부로 신설된 옥스퍼드 대학교의 초대 호프 동물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또한 원예 잡지인 ''가드너스 크로니클''에 곤충학 전문가로서 기고하기도 했다.

웨스트우드는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1855년 왕립 학회로부터 로열 메달을 수상했으며[13], 1857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의 회원이 되었다. 또한 런던 린네 학회의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런던 곤충학회 회장(1852-1853)을 역임했으며, 1838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퀴비에 협회의 창립 멤버가 되는 등 활발한 학회 활동을 펼쳤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존 O. 웨스트우드가 골리앗 딱정벌레를 들고 있는 모습


어니스트 에드워즈가 1864년에 그린 존 오바디아 웨스트우드의 초상화


웨스트우드는 셰필드에서 퀘이커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메달 및 다이(die, 금속 틀) 제작자인 존 웨스트우드(1774–1850)였고, 어머니는 에드워드 베츠의 딸인 메리였다.[1] 그는 셰필드에 있는 퀘이커 학교에 다녔으며, 가족이 리치필드로 이사한 후에는 그곳의 학교에서 교육을 이어갔다.

초기에는 변호사가 되기 위해 견습 과정을 거쳤고 잠시 법률 회사에서 파트너로 일하기도 했으나, 자신의 관심사를 추구하기 위해 법조계 경력을 포기했다. 여가 시간에는 고대 영어와 중세 필사본을 연구했으며, 삽화 제작과 저술 활동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의 초기 작업 중에는 오래된 필사본과 삽화를 복제하는 일도 포함되었다.

1824년, 그는 곤충학자인 프레데릭 윌리엄 호프 목사를 처음 만나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1833년에는 웨스트우드와 호프가 함께 런던 곤충학회의 창립 멤버가 되었고, 웨스트우드는 1834년에 학회 비서직을 맡았다. 같은 해, 호프는 웨스트우드에게 자신의 방대한 곤충 컬렉션 정리를 의뢰했다. 이 일을 통해 웨스트우드는 전 세계의 다양한 곤충을 조사하고 기술할 귀중한 기회를 얻게 되었다.[12]

2. 2. 곤충학 연구와 학문 활동



웨스트우드는 변호사 경력을 포기하고 곤충학 연구에 몰두했다. 1824년, 곤충학자인 프레데릭 윌리엄 호프 목사를 만나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며, 이는 그의 곤충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33년, 웨스트우드와 호프는 런던 곤충학회의 창립 멤버가 되었고, 웨스트우드는 1834년에 학회 비서를 맡았다. 같은 해, 호프는 자신의 방대한 곤충 컬렉션 정리를 웨스트우드에게 맡겼고, 이를 통해 웨스트우드는 전 세계의 다양한 곤충을 연구하고 기술할 기회를 얻었다.[12]

1849년, 호프가 자신의 컬렉션을 옥스퍼드 대학교에 기증하기로 결정하면서 웨스트우드를 컬렉션의 학예사(큐레이터)로 지명했다. 웨스트우드는 1857년에 정식으로 임명되었으며, 자신의 곤충 표본 또한 호프 컬렉션에 기증했다. 호프는 옥스퍼드 대학교에 동물학 교수직 신설을 추진했고, 곤충학 분야의 교수직을 기부하면서 웨스트우드를 첫 후보로 추천했다. 웨스트우드는 1861년 초대 호프 교수로 선정되었고, 같은 해 옥스퍼드 대학교 막달렌 칼리지에 입학하여 석사 학위를 받았다.[2]

웨스트우드는 박물학자 제임스 레니와 교류하며 1833년 길버트 화이트의 ''셀본의 자연사 및 고대 유물'' 편집을 돕기도 했다. 그의 초기 연구는 오각형 시스템의 영향을 받았으며,[3] 전반적으로 자연 신학자의 입장을 견지했다.[4]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된 이후 30년 이상 곤충 분류와 다양성을 연구했지만, 그는 진화론적 사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5] 다윈은 자신의 저서에 대한 비판적인 익명 서평의 저자로 웨스트우드를 의심하기도 했으나, 실제 저자는 존 레이프차일드였다. 그럼에도 웨스트우드는 다윈주의의 오류에 맞서기 위해 옥스퍼드에 관련 강좌 개설을 위한 기부를 제안할 정도로 다윈 이론의 비판자로 남았다. 그는 곤충의 의태(mimicry)와 같은 현상을 자연의 기이한 변칙으로 여겼다. 호프 교수직은 진화론적 관점을 수용한 E.B. 풀턴이 계승했다.[6] 웨스트우드는 곤충의 총 종수를 추정하려 시도한 초기 연구자 중 한 명으로, 약 50만 종으로 추산했다.[7]

그는 원예 잡지인 ''Gardeners' Chronicle''에 곤충학 전문가로서 정기적으로 기고했다.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1855년 왕립 학회로부터 로열 메달을 수상했으며,[13] 1857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런던 린네 학회의 펠로우였으며, 런던 곤충학회 회장(1852-1853)을 역임했다. 1838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퀴비에 협회(Société cuvierienne)의 창립 멤버이기도 했다.

2. 3. 학회 활동과 수상

웨스트우드는 1827년 린네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838년에는 프랑스에서 설립된 퀴비에 협회(Société cuvierienne)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그는 런던 왕립 곤충학회 회장(1852-1853)을 역임했으며, 1883년에는 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명예 종신 회장으로 추대되었다.[8]

1855년에는 곤충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찰스 다윈을 포함한 많은 이들의 추천으로 왕립 학회의 로열 메달을 수상했다.[13] 1857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의 회원이 되었고, 1883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9]

또한 정원사와 곤충학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원예 잡지인 ''가드너스 크로니클''의 직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2]

2. 4. 말년과 유산

말년의 웨스트우드


1839년 웨스트우드는 엘리자 리차드슨(1882년 사망)과 결혼했다. 그녀는 웨스트우드의 모든 고고학 여행에 동행하며, 그의 저서 '''Lapidarium Walliæ'''(웨일스 비문집)를 위한 비문 석재 스케치와 탁본 작업을 도왔다.

웨스트우드는 여러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1827년 린네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52년부터 1853년까지 런던 왕립 곤충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855년에는 곤충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찰스 다윈을 포함한 많은 이들의 추천으로 왕립학회 메달을 받았다. 1883년에는 곤충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명예 종신 회장으로 추대되었다.[8] 같은 해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9] 그는 또한 정원사와 곤충학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가드너스 크로니클''의 직원으로도 활동했다.[12]

1884년, 웨스트우드는 낙상 사고로 팔을 다쳐 연구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1892년 12월 30일, 런던에서 열린 회의를 마치고 귀가한 직후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쓰러져 입원했다. 그는 하루 만에 혼수상태에 빠졌고, 결국 1893년 1월 2일에 세상을 떠났다. 장례식은 1893년 1월 6일에 거행되었으며, 옥스퍼드의 세인트 세풀처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10]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유산이 남았다. 런던 왕립 곤충학회는 2년마다 J. O. 웨스트우드 메달을 수여하며, 이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11] 1846년 브룰레는 웨스트우드의 이름을 따서 이크뉴몬 벌의 한 속을 ''웨스트우디아'' (Westwoodia)로 명명했다. 또한 샌드포드온템스(Sandford-on-Thames)에 위치한 세인트 앤드류 교회(St Andrew's Church)의 예배당은 1893년 그를 기리기 위해 건축되었다.[12]

3. 주요 저서

다음은 웨스트우드가 저술한 주요 단행본 목록이다.


  • 《곤충강(Class Insecta)》. 그리피스(E. Griffith)의 《쿠비에 남작의 조직에 따라 배열된 동물계》(The Animal Kingdom Arranged in Conformity with its Organization, by the Baron Cuvier) 런던: 휘태커 출판사, 1832.
  •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item/79426 곤충학자 교과서]》(The Entomologist's Text-book), 1838.
  •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item/45873 곤충의 현대 분류 입문]》(An Introduction to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Insects), 런던: 롱맨, 오름, 브라운, 그린 앤 롱맨스 출판사, 1839.
  • 《[http://antbase.org/ants/publications/0382/0382.pdf 영국 곤충 속 개요]》(Synopsis of the Genera of British Insects), 런던: 롱맨, 오름, 브라운, 그린 앤 롱맨스 출판사, 1840.
  •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item/44314 아르카나 엔토몰로지카, 또는 새롭고 희귀하며 흥미로운 이국적인 곤충 그림]》(Arcana Entomologica, or, Illustrations of New, Rare, and Interesting Exotic Insects), 런던: 윌리엄 스미스 출판사, 1841–1845. (2권)
  • 헨리 노엘 험프리스와 공저, 《영국 나방과 변태》(British Moths and Their Transformations), 런던: 윌리엄 스미스 출판사, 1843–1845. (2권)
  •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item/79178 동양 곤충 캐비닛]》(The Cabinet of Oriental Entomology), 1848.
  • 《대영 박물관 소장 정시목 곤충 목록. 제1부: 대벌레(Phasmidae)》(Catalogue of Orthopterous Insect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Part I: Phasmidae), 런던: 대영 박물관, 1859.
  • 찰스 스펜스 베이트와 공저,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bibliography/10117 영국 부착 눈 갑각류의 역사]》(A History of the British Sessile-eyed Crustacea), 런던: 존 반 부르스트 출판사, 1863–1868. (2권)
  •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item/49351 테사우루스 엔토몰로지쿠스 옥소니엔시스]》(Thesaurus Entomologicus Oxoniensis; or, Illustrations of New, Rare, and Interesting Insects, for the most part coloured, in the collections presented to the University of Oxford by the Rev. F.W. Hope), 런던: 맥밀란 앤 컴퍼니, 1874. doi:10.5962/bhl.title.14077
  • 《Mantidarum 과(科)의 곤충 재검토, 새로운 종 또는 덜 알려진 종을 기술하고 묘사함》(Revisio Insectorum Familiae Mantidarum, speciebus novis aut minus cognitis descriptis et delineatis – Revisio Mantidarum), 런던: 거니 앤 잭슨 출판사, 1889.

《동양 곤충학 캐비닛》의 도판

참조

[1] 학술지 John Obadiah Westwood https://www.biodiver[...] 1894
[2] ODNB Westwood, John Obadiah (1805–1893) http://www.oxforddnb[...] 2009-02-05
[3] 학술지 Illustrations of the Relationships existing amongst Natural Objects, usually termed Affinity and Analogy, selected from the Class of Insects. https://academic.oup[...] 1840
[4] 학술지 Natural theology and nature's disguises 1982
[5] 학술지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London 1934
[6] 학술지 Entomological Reactions to Darwin's Theory in the Nineteenth Century 2008
[7] 학술지 8.7 Million: A New Estimate for All the Complex Species on Earth 2011
[8] 학술지 The Royal Entomological Society of London 1933
[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19
[10] 학술지 Professor John O. Westwood, M.A., F.L.S., &c.
[11] 웹사이트 J.O. Westwood Medal with Marsh Prize https://www.royensoc[...] 2018-10-16
[12] ODNB Westwood, John Obadiah (1805–1893), entomologist and palaeographer https://www.oxforddn[...] 2020-07-10
[13] 웹사이트 Mitgliederverzeichnis Leopoldina, John Obadiah Westwood http://www.leopold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