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졸탄 (헝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졸탄은 헝가리인의 대공 아르파드의 아들이며, 12세기 말 연대기인 《게스타 헝가로룸》에 등장한다. 기록에 따르면 졸탄은 아르파드의 뒤를 이어 대공이 되었지만, 현대 역사학자들은 《게스타 헝가로룸》의 내용에 대해 이견을 제시한다. 졸탄의 생애, 장인 메누모루트의 실존 여부, 그리고 졸탄이 실제로 헝가리 부족 연맹을 통치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졸탄은 아르파드 왕조의 일원이며, 그의 아들 토크쇼니를 통해 헝가리 대공과 국왕의 혈통이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헝가리 사람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0세기 헝가리 사람 - 아르파드
    아르파드는 9세기 말 마자르족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번째 수장으로, 도나우강 중류 지역으로 이주 및 세력 확장, 그리고 헝가리의 민족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950년 사망 - 파라비
    알-파라비는 중세 이슬람 철학의 주요 인물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논리학, 철학, 음악,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지식을 쌓았고, 그의 사상은 후대 이슬람 철학은 물론 유럽 스콜라 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 950년 사망 - 유승우 (후한)
    유승우는 오대십국시대 후한의 마지막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가 곽위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헝가리 대공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헝가리 대공 - 아르파드
    아르파드는 9세기 말 마자르족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번째 수장으로, 도나우강 중류 지역으로 이주 및 세력 확장, 그리고 헝가리의 민족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졸탄 (헝가리)
인물 정보
졸탄의 솔트 (헝가리) 동상
졸탄의 솔트에 있는 동상
이름졸탄
직함헝가리 대공(?)
통치 기간약 907년 – 약 950년 (?)
이전 통치자아르파드(?)
후임 통치자파이즈 (?)
배우자메누모루트의 이름 없는 딸 (?)
자녀탁쇼니
가문아르파드 왕조
가문 유형왕조
아버지아르파드
출생일약 880년 또는 약 903년
사망일약 950년
종교헝가리 토착 신앙

2. 생애

졸탄의 생애에 대한 주요 정보는 12세기 말에 쓰여진 《게스타 헝가로룸》에 기반한다.[3] 이 책은 익명으로 알려진 인물이 썼다.[3] 《게스타 헝가로룸》에 따르면 졸탄은 헝가리인의 대공 아르파드의 외아들이었다.[3] 졸탄이라는 이름은 아랍어술탄이라는 칭호에서 튀르크어를 거쳐 온 것으로 보이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어원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3]

하지만, 현대 역사학자들은 《게스타 헝가로룸》에 기록된 졸탄의 생애, 예를 들어 출생 시기, 장인이었던 메누모루트의 존재, 그리고 졸탄이 대공의 자리를 이어받았는지 등에 대해 여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 1. 《게스타 헝가로룸》의 기록

현대 역사가들이 졸탄의 생애에 대해 주로 참고하는 자료는 12세기 말 연대기인 《게스타 헝가로룸》으로, 현재는 익명으로 알려진 인물이 저술했다.[3] 이 자료에 따르면, 졸탄은 헝가리인의 대공인 아르파드의 유일한 아들이었다.[3] 졸탄의 이름은 아랍어술탄 칭호에서 튀르크어를 거쳐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어원을 만장일치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3]

익명에 따르면, 졸탄은 903년 이후, 아버지의 메누모루트에 대한 두 번째 원정 중에 태어났다.[4] 메누모루트는 카르파티아 분지 헝가리 정복 당시 헝가리인들의 반대 세력 중 유일하게 《게스타 헝가로룸》에 언급된 인물이었다.[5] 《게스타 헝가로룸》의 설명에 따르면, 메누모루트는 904년 또는 905년에 항복하고 딸을 졸탄에게 시집보내야 했다.[4][6] 메누모루트가 죽자, 졸탄은 그의 장인의 티서 강 동쪽에 있는 공작령을 상속받았는데, 익명은 이곳에 "하자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익명은 또한 졸탄이 아직 미성년이었을 때, 907년경에 사망한 아버지를 계승했다고 말한다.[3] 졸탄은 차례로 그의 아들 타토니에게 양위하고 "아들의 통치 3년"에 사망했다.

''Et filius eius Zolta successit [Arpad], qui patri similis fuit moribus, sed dissimilis facie. Dux Zolta modicum balbus et pallidus, flavis capillis et mollibus, statura mediocris; dux audax animo, clemens suis, dulcis alloquio, sed cupidus imperii, quem omnes primates et bellatores Hungarie mirabiliter amabant. Post modicum vero tempus, cum Zolta esset XIII annorum, omnes primates regni communi consilio et pari voluntate, secundum morem constitutum, rectores regni sub duce constituerunt ad lites et litigia litigantium dirimenda per tramitem consuetudinis.''la

그리고 그의 아들 졸타가 [아르파드]를 계승했는데, 그는 성격은 아버지와 비슷했지만 외모는 달랐다. 졸타 공작은 조금 혀 짧은 소리를 내고 창백하며 부드럽고 금발 머리를 가졌고, 키는 중간 정도였다. 용감한 정신을 가진 용감한 공작으로 백성에게 자비롭고 말솜씨가 좋았지만 권력을 탐냈으며, 헝가리의 모든 지도자와 전사들이 그를 놀랍도록 사랑했다. 얼마 후, 졸타가 열세 살이 되자, 왕국의 모든 지도자들은 일반적인 협의와 동일한 소망에 따라, 관습법의 지침을 통해 소송 당사자들의 갈등과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공작 아래 왕국의 렉터를 임명했다.한국어

2. 2. 현대 역사학자들의 견해

현대 역사학자들은 12세기 말 연대기인 《게스타 헝가로룸》의 내용, 특히 졸탄의 출생 시기, 메누모루트의 실존 여부, 졸탄의 대공 계승 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게스타 헝가로룸》은 익명으로 알려진 인물이 저술한 자료로, 졸탄을 아르파드의 유일한 아들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 그러나 비잔틴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7세는 "잘타스"[3]가 아르파드의 넷째 아들이었다고 기록하여 차이를 보인다.

헝가리 역사학자 귈라 크리스토는 졸탄이 903년경이 아닌 880년경에 태어났다고 주장하며, 루마니아 역사학자 알렉산드루 마제아루 역시 졸탄의 출생 시기나 결혼 시기가 《게스타 헝가로룸》의 기록보다 앞선다고 본다.

《게스타 헝가로룸》에 따르면 졸탄의 장인인 메누모루트는 카르파티아 분지 헝가리 정복 당시 헝가리인들과 대립한 인물 중 하나였다. 그러나 중세사학자 팔 엥겔은 메누모루트가 익명의 기록자가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찰스 R. 보울러스는 메누모루트가 대 모라비아의 종말을 상징하는 인물이라고 보았고, 투도르 샐라지안은 메누모루트가 실존 인물이며 루마니아인, 슬라브인 등 다양한 민족을 통치했다고 주장한다.

졸탄이 아버지 아르파드의 뒤를 이어 대공이 되었다는 《게스타 헝가로룸》의 주장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샨도르 L. 토트는 졸탄이 아르파드의 넷째 아들이었으므로 형제들보다 계승 순위가 앞설 수 없다고 지적한다. 크리스토는 다른 헝가리 연대기 작가들이 졸탄의 통치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익명의 기록자가 아르파드 가문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졸탄을 대공 목록에 끼워 넣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3. 가계

졸탄은 아르파드 왕조의 초기 구성원이며, 그의 아들 토크쇼니를 통해 후대 헝가리 대공과 국왕들에게 혈통이 이어진다. 메누모루트는 실존 인물인지 창작된 인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학자들 사이에 존재한다.[4][5] 졸탄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알모스
  • 아르파드
  • '''졸탄'''
  • 토크쇼니
  • 헝가리 왕가

3. 1. 가계도


  • 메누모루트가 실제 인물인지, 아니면 창작된 인물인지에 대해서는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있다.[4][5]



  • * 타크쇼니의 모든 후대의 대공과 헝가리 국왕 (1301년까지)은 타크쇼니의 후손이다.[5]

4. 역사적 의의 및 논쟁

현대 역사가들이 졸탄의 생애에 대해 주로 참고하는 자료는 12세기 말 연대기인 《게스타 헝가로룸》으로, 현재는 익명으로 알려진 인물이 저술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졸탄은 헝가리인의 대공인 아르파드의 유일한 아들이었다. 반면에, 거의 동시대 인물인 비잔틴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7세는 "잘타스"[3]가 아르파드의 넷째 아들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졸탄의 이름은 아랍어술탄 칭호에서 튀르크어의 매개를 거쳐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어원을 만장일치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익명에 따르면, 졸탄은 903년 이후, 아버지의 메누모루트에 대한 두 번째 원정 중에 태어났다. 메누모루트는 카르파티아 분지 헝가리 정복 당시 헝가리인들의 반대 세력 중 유일하게 《게스타 헝가로룸》에 언급된 많은 지역 통치자 중 한 명이었다. 《게스타 헝가로룸》의 설명에 따르면, 메누모루트는 904년 또는 905년에 항복하고 딸을 졸탄에게 시집보내야 했다. 메누모루트가 죽자, 졸탄은 그의 장인의 티서 강 동쪽에 있는 공작령을 상속받았는데, 익명은 이곳에 "하자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익명은 또한 졸탄이 아직 미성년이었을 때, 907년경에 사망한 아버지를 계승했다고 말한다. 졸탄은 차례로 그의 아들 타토니에게 양위하고 "아들의 통치 3년"에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Az Árpád-ház uralkodói ''[=Rulers of the House of Árpád]'' I.P.C. Könyvek
[2] 웹사이트 Zolta – Magyar Katolikus Lexikon http://lexikon.katol[...]
[3] 간행물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4] 간행물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5] 간행물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6] 간행물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