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광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광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핵물리학자이자 과학기술 행정가이다. 1924년 후베이성에서 태어나 시난 연합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베이징 대학 부교수를 거쳐 중국의 원자폭탄 및 수소폭탄 개발을 주도했으며, '양탄일성' 프로젝트에 기여했다. 중국과학기술협회 주석, 중국 공정원 초대 원장을 역임했으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 전국인민대표대회 위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지냈다. 2011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징 대학 동문 - 김준엽
김준엽은 일제강점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영하여 한국 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고려대학교 교수를 거쳐 총장까지 지냈으며, 군부 독재정권에 저항하다 강제 사임당한 교육자이다. - 난징 대학 동문 - 궈진룽
궈진룽은 난징 대학 물리학과 졸업 후 쓰촨성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 티베트 자치구와 안후이성 당 서기를 거쳐 베이징 시장과 베이징시 당 서기를 역임하며 2008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기여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국의 대학 교수 - 신익희
신익희는 해공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과 외무부장을 역임하고 국민대학교를 설립했으며, 국회의장과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중국의 대학 교수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중국의 물리학자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중국의 물리학자 - 리정다오
리정다오는 양전닝과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을 예측하여 1957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로서, 입자 물리학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고 통계 역학, 천체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중국 과학 교육 발전에도 기여했다.
주광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朱光亚 (중국어 간체) |
다른 이름 | Kuang-Ya Chu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분야 | 핵물리학 |
모교 | 국립서남연합대학 (학사) 미시간 대학교 (박사)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베타선 분광기 및 동시 측정을 이용한 금-198 및 하프늄-181의 붕괴 방식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URL | ProQuest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50년 |
박사 지도교수 | M. L. Wiedenbeck |
2. 생애
주광야는 중일전쟁 시기 쓰촨성의 고등학교에서 물리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941년 난징 중양 대학(현재의 난징 대학) 물리학과에 입학, 1942년 시난 연합 대학 물리학과로 편입하여 1945년에 졸업했다. 이후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1950년 귀국, 베이징 대학 물리학과 부교수를 지냈다.
1953년 둥베이 인민 대학(현재의 지린 대학) 교수로 전임되었으며, 1956년 근대 물리 연구소 설립 계획에 참여하여 중국 최초의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맡았다. 이 기구는 1957년 베이징 대학 산하 연구실로 편입되었다. 주광야는 1957년부터 원자로 연구를 시작하여 중국의 원자폭탄, 수소폭탄 개발 과정에 참여했으며, 1980년 중국 과학원 학부 위원에 선출되었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중국과학기술협회 부주석·주석, 1996년부터 명예주석을 역임했다. 1994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으로 선출되었고,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중국 공정원 초대 원장을 역임했다.
중국 공산당 제9기·제10기 중앙후보위원, 제11기·제12기·제13기·제14기 중앙위원, 제3기·제4기·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1999년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로부터 양탄일성공훈장을 받았다. 2011년 2월 26일 베이징시에서 향년 87세로 사망했다.[4]
2. 1. 학창 시절과 귀국
주광야는 1924년 12월 25일 후베이성 이창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후베이성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가족과 함께 쓰촨성으로 이주했다.[1] 쓰촨성의 고등학교에서 물리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1941년 국립 중앙 대학교(현재의 난징 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했다.[1] 1년 후인 1942년 여름, 시난 연합 대학 물리학과로 편입하여[1] 1945년에 졸업했다.[1] 졸업 후에는 대학에 남아 강사로 일했다.1946년, 주광야는 미국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49년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50년 봄, 한국 전쟁 발발 직전에 귀국하여 베이징 대학 물리학과 부교수로 재직했다. 1953년 1월, 중국 각지 대학교들의 조정 과정을 통해 둥베이 인민 대학(현재의 지린 대학) 교수로 전임되었다.
2. 2. 핵무기 개발 참여
주광야는 1956년에 근대 물리 연구소 설립 계획에 참여하여 중국 최초의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담당했다. 이 연구소는 1957년에 베이징 대학 산하 연구실로 편입되었다. 1957년부터 원자로 연구에 참여했으며 덩자셴 등과 함께 중국의 원자폭탄 및 수소폭탄 개발을 주도했다.[1] 1980년에는 중국 과학원 학부 위원에 선출되었다. 1999년 9월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로부터 양탄일성공훈장을 받았다.[4]2. 3. 과학기술계 지도자
주광야는 1986년 6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중국과학기술협회 부주석 및 주석을 역임했고, 1996년 5월부터는 명예주석을 역임했다.[1]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중국 공정원 초대 원장을 역임했다.[1]2. 4. 정치 활동
주광야는 중국 공산당 제9기·제10기 중앙후보위원, 제11기·제12기·제13기·제14기 중앙위원을 역임했다.[1] 제3기·제4기·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위원과 1994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역임했다.[1] 1999년 9월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로부터 양탄일성공훈장을 받았다.[1]2. 5. 사망
주광야는 2011년 2월 26일 베이징시에서 향년 87세(만 8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4]3. 평가
주광야는 중국의 핵 개발을 주도하며 자주국방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중국 공산당은 그의 업적을 기려 '양탄일성 공훈 훈장'을 수여했으며,[1] 그의 과학기술 리더십은 중국 과학기술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은 주광야가 미국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중국의 자주적 핵 개발을 이끈 점을 높이 평가한다.[4]
3. 1. 긍정적 평가
주광야는 중국의 핵 개발을 주도하며 자주국방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중국 공산당은 그의 업적을 기려 '양탄일성 공훈 훈장'을 수여했다.[1] 그의 과학기술 리더십은 중국 과학기술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은 주광야가 미국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중국의 자주적 핵 개발을 이끈 점을 높이 평가한다. 덩자셴 등과 함께 주광야는 중국의 원자탄 및 수소탄 프로그램 개발을 주도했다. 1999년 그는 중국의 두 개의 폭탄과 하나의 위성 프로젝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훈 훈장을 받았다.[4]참조
[1]
웹사이트
Zhu, Guangya 朱光亚 {{!}} U-M Chinese Alumni
https://sites.lsa.um[...]
2022-05-13
[2]
웹사이트
朱光亚:《给留美同学的公开信》 北京大学校友网
https://www.pku.org.[...]
2022-05-13
[3]
웹사이트
朱光亚----中国科学院学部
http://casad.cas.cn/[...]
2022-05-13
[4]
뉴스
Prominent nuclear physicist behind China's atom bomb dies
http://news.xinhuane[...]
2011-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