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달관은 원나라 시기에 캄보디아를 방문하고 그 경험을 기록한 인물이다. 그는 1296년 캄보디아에 파견된 사절단의 일원으로, 앙코르 톰을 방문하여 궁궐, 사원, 도시의 모습과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관찰했다. 주달관은 캄보디아 체류 기간 동안 앙코르 톰 북문 근처에서 거주했으며, 1297년 귀국 후 《진랍풍토기》를 저술했다. 이 책은 앙코르 시대의 캄보디아에 대한 중요한 기록으로, 당시 사회, 문화, 종교, 생활상 등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첸라 - 진랍풍토기
《진랍풍토기》는 1296년 주달관이 크메르 제국을 방문하여 앙코르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등을 기록한 책으로, 앙코르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1266년 출생 - 둔스 스코투스
존 둔스 스코투스는 개체성과 의지의 우월성을 강조한 독창적인 사상으로 스콜라 철학에 기여한 프란치스코 수도회 신학자이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을 비판하며 '존재의 일의성' 개념을 제시하고 신 존재 증명에 새로운 형이상학적 논증을 제시한 인물이며, 그의 사상은 근대 주체주의와 현대 철학자 질 들뢰즈에게 영향을 주었고 1993년 복자로 시복되었다. - 1266년 출생 - 기자오
기자오는 고려 시대의 관리로, 딸이 원나라 혜종의 후궁이 되어 기황후가 되었으며 사후 영안왕에 추봉되었다. - 크메르 제국 - 앙코르 톰
캄보디아 시엠레아프에 위치한 앙코르 톰은 자야바르만 7세가 건설한 크메르 제국의 수도이자 9km² 면적의 거대한 성곽 도시로, 바이욘 사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적과 다섯 개의 웅장한 성문, 힌두교와 불교 요소가 혼합된 건축 양식, 그리고 '크메르의 미소'로 알려진 관세음보살 얼굴 조각상이 특징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크메르 제국 - 진랍풍토기
《진랍풍토기》는 1296년 주달관이 크메르 제국을 방문하여 앙코르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등을 기록한 책으로, 앙코르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주달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달관 (周達觀) |
로마자 표기 | Ju Dal-gwan |
출생 | 1266년경 |
사망 | 1346년 이후 |
국적 | |
국가 | 원나라 |
직업 | |
직업 | 외교관 |
활동 | |
주요 활동 | 진랍풍토기 저술 |
2. 생애
주달관은 영가 출신으로, 현재의 원저우, 저장성에 해당한다. 다른 역사 기록에서는 주건관(周建觀), 주달가(周達可)로도 불렸다. 만년에 초정일민(草庭逸民)이라는 호를 사용했다.[6]
1297년 7월 캄보디아에서 귀국한 후 15년 이내에 《진랍풍토기》를 저술했지만, 책의 정확한 완성 날짜는 불확실하다. 귀국 후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1350년대까지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7]
2. 1. 캄보디아 파견 (1296년 ~ 1297년)
1296년, 원나라 테무르 칸이 파견한 공식 사절단의 일원으로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중국 공식 기록에는 그의 임무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6] 1296년 2월 20일, 명주에서 출발하여 푸저우, 광저우, 취안저우 (자이톤), 하이난 섬, 칠도해(七洲洋), 베트남 중부 해안(교지해)을 거쳐 참파 (퀴논)에 기항했다. 바리아를 지나 풀로 콘도르 해를 거쳐 메콩강을 따라 북상하여 톤레삽강으로 들어와 캄퐁치낭에 도착했다. 톤레삽 호수를 12일간 항해하여 8월에 캄보디아의 수도인 야소다라푸라 (앙코르 톰)에 도착했다.[6]외교 사절단의 일원으로서 왕궁을 방문하고, 궁궐과 사원, 도시 안팎의 건물들을 묘사했다. 행렬과 의식,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관찰하고, 수도 밖 시골 지역도 여행했다. 캄보디아에 11개월 동안 머물렀고, 1297년 7월에 떠났다.[7]
3. 《진랍풍토기(眞臘風土記)》
주달관은 1296년 원나라 테무르 칸이 파견한 공식 사절단의 일원으로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중국 공식 기록에는 그의 임무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1296년 2월 20일 명주(明州, 오늘날의 닝보)를 출발하여 푸저우, 광저우, 취안저우를 거쳐 하이난 섬, 참파(오늘날의 퀴논) 등지를 경유하여 1296년 8월에 앙코르 톰에 도착했다.[7]
1297년 7월에 캄보디아를 떠난 그는 귀국 후 15년 안에 《진랍풍토기》를 저술했지만, 책이 완성된 정확한 날짜는 불확실하다. 그 후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1350년대까지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7] 《진랍풍토기》는 현재 원본의 약 3분의 1 정도만 남아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 1. 앙코르 톰에 대한 묘사
앙코르 톰은 동서남북 각 방향에 하나씩의 문이 있고, 동쪽에는 두 개의 문이 있었다. 도시는 폭이 넓은 해자로 둘러싸여 있었고, 다리에는 54명의 인물이 아홉 개의 머리를 가진 나가를 끌어당기는 조각상이 있었다. 도시 문 꼭대기에는 다섯 개의 부처 머리가 있었는데, 그 중 네 개는 네 방향을 향하고 있었으며, 중앙에 있는 것은 금으로 덮여 있었다. "도시는 각 모서리가 사각형이며, 도시 문은 낮에는 열리고 밤에는 닫힌다. 개와 죄수는 도시 출입이 금지된다."[7]3. 2. 왕궁에 대한 묘사
주달관은 왕궁이 금교와 금탑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을 향하고 있다고 썼다. 왕궁의 정전은 납 기와로 덮여 있었고, 나머지는 흙 기와로 덮여 있었다.[17]3. 3. 크메르인에 대한 묘사
크메르인들은 계급에 따라 옷차림이 달랐다. 농민은 남녀 모두 가슴을 드러내고 맨발로 걸었으며, 허리에 천 한 조각만 둘렀다. 일반 여성은 머리 장신구와 금반지, 팔찌를 착용했다. 아름다운 여성은 왕이나 왕족을 섬기기 위해 왕궁으로 보내졌으며, 모든 상업은 여성이 담당했다. 상류층 크메르인은 화려한 금색 머리 장식, 보석, 정교하게 꾸며진 긴 드레스를 입었다.[8][9][10]시장에는 건물이 없었고, 여성 상인은 땅에 펼쳐진 큰 매트 위에서 물건을 팔았다. 이들은 시장 관리에게 자릿세를 내야 했다.[8][9][10]
크메르인은 집에서 식탁이나 의자를 사용하지 않았고, 특별한 그릇이나 양동이도 쓰지 않았다. 쌀을 삶거나 수프를 끓일 때는 흙 냄비를 사용했고, 국자는 코코넛 껍질로 만들었다. 수프는 방수 처리된 잎으로 짠 작은 그릇에 담아냈다.[8][9][10]
주달관은 앙코르에서 여성적이거나 전통적인 성 역할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미동이라 부르며, 이들이 시장에서 무리 지어 다니는 것을 보았다고 기록했다. 그는 이들이 중국 남성의 관심을 끌려고 노력한다고 언급했다.[8][9][10]
3. 4. 왕실 행렬 묘사
인드라바르만 3세의 왕실 행렬은 다음과 같이 묘사되었다.[17]왕이 행차할 때, 군대가 호위를 하고, 깃발, 현수막, 음악이 뒤따랐다. 꽃으로 장식된 옷을 입고 머리에 꽃을 꽂은 300명에서 500명의 궁녀들이 횃불을 들고 무리를 이루었는데, 대낮에도 횃불에 불을 켰다. 그 다음 창과 방패를 든 다른 궁녀들이 왔고, 왕의 개인 호위병, 금으로 장식된 염소와 말들이 끄는 마차가 뒤따랐다. 그 뒤에는 코끼리를 탄 대신들과 왕자들이 왔는데, 그들 앞에는 멀리서도 보이는 수많은 붉은 우산들이 보였다. 다음에는 왕의 부인들과 첩들이 가마, 마차, 말, 코끼리를 타고 나타났으며, 그들은 금으로 얼룩진 100개 이상의 양산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왕이 코끼리 위에 서서 신성한 칼을 휘두르며 나타났는데, 그의 코끼리 상아는 금으로 덮여 있었다.[17]
3. 5. 번역
장피에르 아벨레뮈자가 1819년에 처음 프랑스어로 번역했고,[11] 1902년에는 폴 펠리오가 다시 프랑스어로 번역했다.[12] 펠리오의 번역본은 나중에 수정되어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되었다.[13][14][15][16] 2007년에는 언어학자 피터 해리스가 중국어에서 현대 영어로 직접 번역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해리스는 저우의 항해와 마르코 폴로의 여행 사이에 일련의 유사점을 제시한다. 해리스에 따르면 마르코 폴로는 저우와 동시대인이었지만, 폴로의 여행에는 아직 완전히 설명되지 않은 몇 가지 특이한 누락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17]1967년에는 찰름 용분키앗이 《캄보디아의 풍속》을 태국어로 번역했으며, 2014년 매티촌 출판사에서 재판되었다.[18] 2010년에는 Beling Uk와 Solang Uk가 고대 중국 텍스트에서 영어로 직접 번역했다. 2011년에는 같은 저자가 번역한 캄보디아어 버전이 프놈펜에서 출판되었다.[19]
참조
[1]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https://books.google[...]
BRILL
2014-11-28
[2]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4]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Weidenfeld & Nicolson
[5]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River Books Co., Ltd.
[6]
서적
A Record of Cambo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Publishers
2014-05-14
[8]
간행물
BEING LGBT IN ASIA: CAMBODIA COUNTRY REPORT
https://www.undp.org[...]
[9]
웹사이트
Common misconceptions and the overlap between anti-gender and anti-gay rights sentiment in Cambodia
https://gate.ngo/com[...]
2022-10-14
[10]
논문
"At-Risk\" or \"Socially Deviant\"? Conflicting Narratives and Grassroots Organizing of Sex/Entertainment Workers and LGBT Communities in Cambodia
2017
[11]
문서
Jean-Pierre Abel-Rémusat: Description du royaume de Cambodge par un voyageur chinois qui a visité cette contrée à la fin du XIII siècle, précédée d'une notice chronologique sur ce même pays, extraite des annales de la Chine, Imprimerie de J. Smith, 1819
[12]
문서
Paul Pelliot: Mémoires sur les coutumes du Cambodge de Tcheou Ta-Kouan
[13]
문서
Chou Ta-Kuan, The Customs of Cambodia, transl. by John Gilman d'Arcy Paul, Bangkok: Social Science Association Press, 1967.
[14]
문서
Zhou Daguan, The Customs of Cambodia, transl. by Michael Smithies, Bangkok: The Siam Society, 2001.
[15]
문서
Zhou Daguan, Sitten in Kambodscha. Leben und Alltag in Angkor im 13. Jahrhundert, Phnom Penh: Indochina Books, 6th edition 2010.
[16]
문서
Chou Ta-Kuan: Sitten in Kambodscha. Über das Leben in Angkor im 13. Jahrhundert. Keller und Yamada, Frankfurt: Angkor Verlag, 2nd edition 2006.
[17]
서적
A Record of Cambo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8]
서적
บันทึกว่าด้วยขนบธรรมเนียมประเพณีของเจินละ
https://www.matichon[...]
2020-10-29
[19]
문서
Zhou Daguan, A Record of Cambodia's Land and Customs, transl. by Solang and Beling Uk, Sandy (Beds., England): Authors OnLine, 2010.
https://www.amazon.d[...]
[20]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https://books.google[...]
BRILL
2014-11-28
[21]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2]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23]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Weidenfeld & Nicolson
[24]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River Books Co., Ltd.
[25]
서적
A Record of Cambo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Publishers
[27]
서적
A Record of Cambo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