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이 운다》는 XTM에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방송된 격투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시즌 1에서는 윤형빈, 서두원 등이 멘토로 참여했으며, 시즌 2는 지역 예선을 거쳐 최종 우승자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시즌 3에서는 '영웅의 탄생'이라는 부제 아래 멘토들의 팀 대결과 팀원 트레이드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선발했고, 스핀오프인 《주먹이 운다 - 도쿄 익스프레스》를 통해 일본 격투 단체와 대결을 펼쳤다. 시즌 4에서는 '용쟁호투'라는 부제로 팀 대결과 개인전을 통해 최종 우승자를 결정했으며, 로드 FC 데뷔 기회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드 FC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 겁 없는 녀석들 MBC TV에서 방영된 겁 없는 녀석들은 한혜진 진행, 정준하, 정문홍, 이특 팀 구성으로 로드 FC 데뷔를 목표하는 도전자들의 경쟁을 담은 프로그램으로, 과거 폭력성 논란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으로 출연진 행보에 대한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XTM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탑 기어 코리아 탑 기어 코리아는 XTM에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방영된 자동차 버라이어티 쇼이며, 출연진 교체와 다양한 자동차 소개, 사건 사고 등을 거쳐 시즌 3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XTM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HOMME HOMME은 XTM에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방송된 패션 버라이어티 쇼이며, 정윤기, 김성수 등이 MC를 맡아 시즌별로 다양한 출연진과 코너를 선보였다.
리얼 버라이어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 어쩌다 어른 O tvN과 tvN에서 방영된 《어쩌다 어른》은 김상중 MC와 다양한 강연자들이 출연하여 인문학, 사회, 역사, 과학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펼치는 프로그램으로, 2015년 파일럿으로 시작해 시즌제로 운영되다 2022년 시즌 3가 방영되었다.
리얼 버라이어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 우리 결혼했어요 《우리 결혼했어요》는 MBC에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방영된 가상 결혼 생활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여러 시즌과 가상 부부 커플들의 출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시청률 하락으로 종영되었다.
매 회마다 두 팀의 멘토들이 수많은 참가 신청자 중에서 자신의 팀에서 활약할 도전자들을 선정하고, 직접 찾아가 합격 소식을 전한다. 이후 각 도전자는 멘토들에게 격투 기술, 경기 전략, 고된 감량을 참아 내는 법, 진정한 파이터로서의 자세 등을 배우며 특별 훈련을 받게 된다. 로드 FC 대회가 치러지는 경기장의 케이지와 비슷한 무대가 설치된 대형 스튜디오에서 실제 경기 룰에 따라 승부를 펼친다.
도전자들은 메디컬 체크를 거쳐 3분 3라운드로 승부하며 종합격투기 룰에 따라 타격, 레슬링, 주짓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승부할 수 있다. 도전자들의 합의 하에 입식 타격이나 그래플링 같은 한 가지 방식으로 승부할 수도 있다. 단, 팔꿈치 공격과 그라운드 니킥은 금지되어 있다.
본선 8강 토너먼트는 A블록과 B블록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블록에서는 이정원(경상도)이, B블록에서는 김대명(서울2)이 각각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김대명이 부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자, 김대명에게 패했던 한이문(충청도)이 대체 선수로 투입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한이문마저 부상으로 출전이 불가능해지면서, 결국 이정원이 부전승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은 전국에서 2,200명의 도전자들이 지원하여 2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합격한 120명이 서울, 부산, 대전에서 진행된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 이들은 현역 프로 선수들로 구성된 '절대고수' 2인과 총 3분(1분 30초 2라운드, 1라운드는 입식 타격, 2라운드는 MMA 규칙) 동안 맞붙는 '지옥의 3분'을 통해 실력을 검증받았다. 광기팀, 독기팀, 용기팀의 멘토들은 도전자들의 경기를 보고 버튼을 눌러 합격 여부를 결정했는데, 주먹 버튼이 켜지면 자동 합격, 꺼지면 불합격이었다. 세 팀 모두 스톱 버튼을 누르면 경기가 자동 종료되었다. 지역 예선 결과 총 29명의 합격자가 결정되었다.
각 팀당 10명씩 총 30명을 선발할 예정이었으나, 결원이 발생하여 정문홍 대표와 김대환 해설위원이 와일드카드로 최부용, 원구연, 안기수를 추가 선발했다. 광기팀은 김승원의 불참으로 안기수가, 독기팀은 박충일의 불참과 기존 부족 인원 1명으로 인해 최부용과 원구연이 와일드카드로 합류했다. 총 30명의 도전자들은 팀 내 1대1 서바이벌 배틀 매치를 통해 각 팀 5명씩, 총 15명으로 최종 선발되었다.
광기팀
독기팀
용기팀
전재현
def.
주현민
임진용
def.
김경수
김용근
def.
정원희
임병희
def.
김샘이깊은물
오정두
def.
김해원
박현우
def.
최부용
안기수
def.
김진
김형수
def.
박지수
홍영기
def.
박승빈
최익호
def.
김재훈
박형근
def.
김뿌리
곽성익
def.
남재윤
김용재
def.
권순홍
이찬호
def.
최한빈
윤성준
def.
원구연
팀원 트레이드는 더 강한 팀을 만들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트레이드 우선권 순서대로 상대팀 에이스 1명과 자신의 팀원 1명을 교환할 수 있었다. 트레이드 우선권은 멘토들의 토너먼트 팔씨름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다. 추첨 결과 용기팀과 광기팀이 먼저 대결하고, 여기서 이긴 팀이 독기팀과 결승전을 치렀다. 팔씨름 우승팀인 독기팀의 멘토 남의철, 윤형빈은 광기팀에서 최익호를 영입하고 임진용을 내주었다. 준우승팀인 광기팀의 멘토 육진수, 뮤지는 용기팀에서 곽성익을 영입하고 임진용을 내주었다. 3위 팀인 용기팀의 멘토 서두원, 이훈은 독기팀에서 박형근을 영입하고 안기수를 내주었다.
각 팀 멘토들은 팀 훈련 미션을 통해 팀원들의 점수를 매기고, 최저 점수를 받은 팀원 2명을 선발하여 3분 2라운드 대결을 벌였다. 패배한 선수는 즉시 탈락했다. 광기팀은 김용재가 임진용에게 패해 탈락했고, 독기팀은 이찬호가 최익호에게 패해 탈락했다. 용기팀은 안기수가 팀 훈련 중 부상이 재발하여 자진 하차했다. 이 미션으로 각 팀에서 1명씩, 총 3명이 탈락하여 각 팀 4명씩, 총 12명이 남았다.
광기팀: 기본 훈련, 상상 초월 테스트 / 최종 탈락자 결정전 - 임진용 VS 김용재
독기팀: 팀 산악 레이스 훈련 / 최종 탈락자 결정전 - 최익호 VS 이찬호
용기팀: 기본 훈련, 케틀벨 박스 스텝 테스트, 팀 수중 훈련, 팀 수중 킥 훈련 / 최종 탈락자 - 안기수 (발목 부상 재발로 팀 훈련 중 자진 하차)
각 팀 멘토들은 1인 공격조를 선정하여 3인 수비조로 구성된 상대 팀의 현판 깨기 미션을 수행하게 했다. 2분 3라운드 동안 공격조는 각 라운드마다 1명씩 나오는 상대 팀 수비조 3명을 모두 이기고 현판을 깨면 수비조 중 1명을 탈락시킬 수 있었다. 반대로 공격조가 KO되거나 기권하면 즉시 탈락했다. 광기팀 전재현과 용기팀 박현우는 현판 깨기에 실패하여 탈락했고, 독기팀 김형수는 성공하여 용기팀 윤성준을 탈락시켰다. 이로써 도전자는 총 9명(광기팀 3명, 독기팀 4명, 용기팀 2명)이 되었다.
결과
남은 도전자
1인 공격조 광기팀 전재현 (실패) VS 3인 수비조 독기팀 김용근
광기팀: 임병희, 곽성익, 임진용
1인 공격조 독기팀 김형수 (성공) VS 3인 수비조 용기팀 윤성준, 홍영기, 박형근
1인 공격조 용기팀 박현우 (실패) VS 3인 수비조 광기팀 임진용, 임병희
각 팀 멘토들은 팀원 중 대표 2명을 선발하여 참호 안에서 상대 팀원을 밀어내는 참호 격투를 진행했다. 끝까지 살아남은 팀원은 다른 팀원 1명을 지목하여 탈락시킬 수 있었다. 참호 밖으로 신체 일부가 나가거나 펀치, 킥 등을 사용하면 반칙으로 아웃되었다. 광기팀 임병희, 곽성익이 끝까지 살아남아 독기팀 김형수를 탈락시켰다.
팀
결과
남은 도전자
광기팀
임병희 (승), 곽성익 (승)
임병희, 곽성익, 임진용
독기팀
김형수 (패), 오정두 (패)
오정두, 김용근, 최익호
용기팀
박형근 (패), 홍영기 (패)
박형근, 홍영기
살아남은 8명의 도전자들은 눈밭에 숨겨진 공을 찾아 번호 순서대로 상대 선수를 지목하는 미션을 수행했다. 이 미션 결과로 8강전 대진이 결정되었다.
1번 공: 홍영기(용기팀) → 임병희(광기팀) 지목
2번 공: 오정두(독기팀) → 곽성익(광기팀) 지목
3번 공: 임진용(광기팀) → 최익호(독기팀) 지목
4번 공: 박형근(용기팀) → 김용근(독기팀) 자동 지목
8강전부터는 최종 우승자를 가리는 본선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8강전 승자 4명은 준결승전에 진출하고, 준결승전 승자는 결승전에 진출하여 최후의 2인으로 맞붙게 된다. 8강전과 준결승전은 2분 3라운드, 결승전은 5분 2라운드로 진행되며,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 라운드가 주어졌다. 결승전은 실제 로드 FC 대회가 열리는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 박형근, 곽성익, 최익호, 임병희가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고, 준결승전에서 임병희와 박형근이 각각 최익호와 곽성익을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임병희와 박형근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임병희가 니킥으로 박형근을 쓰러뜨리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2. 4. 주먹이 운다 - 도쿄 익스프레스 (주먹이 운다 시즌 3 - 영웅의 탄생 스핀오브)
마에다 아키라일본어가 주먹이 운다 출연진에게 도전장을 보낸다. 이에 주먹이 운다 시즌 3에서 최고의 캐릭터성과 스타성을 보여주었지만 실력과 운에 의해 낙마한 박현우, 전직 야쿠자 김재훈, 근자감 끝판왕 박형근, 모범시민 레슬러 김형수 4인방이 로드 FC 대표 정문홍, 멘토 서두원 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지옥 훈련 속에서 밥 샵, 미노와맨, 니콜라스 페타스 등 유명 격투가들을 만나 지도를 받고 실제 디 아웃사이더 대회가 진행되는 경기장의 링 위에서 디 아웃사이더의 선수들과 대결을 벌이게 된다.
대한민국 주먹이 운다와 일본 디 아웃사이더의 대결은 무제한급 부문과 밴텀급 부문으로 나뉘어 태그 매치로 벌여졌다. 무제한급 태그 매치에서는 박현우가 일본 디 아웃사이더의 제이슨 코지, 다나베 다케이토를 상대로 모두 1라운드에 각각 서브미션(키 록), TKO로 승리, 김재훈과의 태그 없이 대한민국 주먹이 운다에 승리를 안겨다 주었다. 이어 펼쳐진 밴텀급 태그 매치에서는 박형근이 먼저 나와 이토 가즈키를 상대로 1라운드 서브미션(리어네이키드 초크) 승을 거두었고, 박형근과 태그한 김형수 역시 다케우치 다로를 상대로 1라운드 TKO 승을 거두며 대한민국 주먹이 운다에 승리를 안겨다 주었다. 결국 대한민국 주먹이 운다와 일본 디 아웃사이더의 대결은 대한민국 주먹이 운다의 2-0 승리로 끝이 났다.
지역 예선을 통해 선발된 각 팀 12명, 총 24명의 도전자들 중 각 팀 6명씩, 총 12명의 도전자를 최종 선발하는 과정이다.
경기 순서
결과
남은 도전자
팀 드래곤
팀 타이거
팀 드래곤
팀 타이거
1 경기
홍성민
승
박종혁
패
홍성민
-
2 경기
안기수
패
최종찬
승
-
최종찬
3 경기
김승연
승
안태영
패
김승연
-
4 경기
박순성
패
김영환
승
-
김영환
-
-
-
서동수
유강설
-
-
-
권민석
최홍준
팀 드래곤과 팀 타이거에서 각각 우수한 선수 4명씩을 선발하여 팀간 1대1 대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양 팀에서 2명씩 탈락하여 각 팀 4명씩, 총 8명이 남았다.
팀명
결과
탈락자
남은 도전자
1 경기
2 경기
3 경기
4 경기
5 경기
6 경기
팀 드래곤
권민석(승)
권민석(패)
서동수(승)
서동수(패)
홍성민(패)
김승연(승)
-
권민석, 서동수, 홍성민, 김승연
팀 타이거
최홍준(패)
김영환(승)
유강설(패)
최종찬(승)
최종찬(승)
최종찬(패)
유강설
최홍준, 김영환, 최종찬
팀 당 4명의 선수가 릴레이로 5분씩 대결하며, 5분 안에 KO 또는 서브미션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두 선수 모두 아웃되는 방식이다. 팀의 마지막 도전자는 KO 또는 서브미션 승이 나올 때까지 무제한 라운드로 진행되며, 총 3번의 경고 시에는 자동 아웃된다. 한 팀이 전멸할 때까지 진행하여 승리한 팀은 팀원 중 1명이 4강에 직행하고, 패배한 팀은 팀원 중 1명이 탈락한다. 팀 타이거가 패배하고, 팀원들의 자체 회의 결과 부상이 심각한 유강설이 탈락했다.
팀명
결과
본선 4강 토너먼트 진출자
1경기
2경기
3경기
팀 드래곤
김승연(승)
서동수(승)
권민석(승)
김승연, 서동수, 권민석, 홍성민
팀 타이거
김영환(패)
최홍준(패)
최종찬(패)
-
팀 드래곤의 홍성민이 부전승으로 4강에 진출한 가운데, 남은 양 팀 선수들이 4강 진출을 위해 1대1 대결을 벌였다. 팀 타이거는 3명 모두 탈락했고, 팀 드래곤 선수들만으로 4강전이 치러지게 되어 팀 드래곤은 해단식을 가졌다. 경기는 2분 3라운드, MMA 룰로 진행되며 연장은 없었다.
준결승전 제 1 경기 : 권민석 VS 서동수
준결승전 제 2 경기 : 김승연 VS 홍성민
4강 진출자들은 부산에서 정문홍 대표와 만나 4강 대진표를 결정하는 미션을 수행했다. 홍성민, 권민석, 김승연, 서동수 순으로 대진표가 들어있는 박스를 선택하고 열람한 결과, 홍성민은 2경기 홍코너, 권민석은 1경기 청코너, 김승연은 2경기 청코너, 서동수는 1경기 홍코너로 결정되었다.
4강
결승
홍성민 (팀 드래곤)
1R
김승연 (팀 드래곤)
TKO
서동수 (팀 드래곤)
1R
권민석 (팀 드래곤)
TKO
김승연 (팀 드래곤)
TKO
권민석 (팀 드래곤)
1R
최종 우승자를 가리기 위한 본선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4강전에서 승리한 2명이 결승전에서 맞붙어 최후의 1인을 가렸다. 결승전은 로드 FC 019 대회에서 주먹이 운다 스페셜 매치로, 로드 FC 룰에 따라 비공식 경기로 치러졌다.
시즌 2는 블록별 8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A블록에서는 이정원(경상도)이, B블록에서는 김대명(서울2)이 각각 우승하여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김대명이 부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자, 김대명에게 패했던 한이문(충청도)이 대체 선수로 투입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한이문 역시 잔부상으로 경기가 불가능해지면서, 결국 이정원이 부전승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3. 2. 1. 진행
본선 8강 토너먼트는 블록별로 진행되었다. A블록에서는 이정원(경상도)이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올랐고, B블록에서는 김대명(서울2)이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올랐다. 하지만 김대명(서울2)이 부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 대체 선수로 김대명에게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됐던 한이문(충청도)을 리저브로서 최종 결승전에 대체 투입시키려 했으나 한이문 마저 계속되는 경기로 인한 잔부상으로 경기를 더 이상 치를 수 없는 상황이 되어 결국 이정원 선수가 부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8강전
B블록 4강전 2경기
이정빈 (강원도)
2R
한이문 (충청도)
TKO(기권)
B블록 4강전 1경기
김대명 (서울2)
판정
김이삭 (경상도)
3R
A블록 4강전 2경기
김태진 (경기도)
3R
이정원 (경상도)
TKO(펀치)
A블록 4강전 1경기
류정용 (전라도)
서브미션(암바)
박광수 (서울1)
2R
B블록 결승전
한이문 (충청도)
3R
김대명 (서울2)
판정
A블록 결승전
이정원 (경상도)
판정
류정용 (전라도)
3R
최종 결승전
김대명 (서울2)
-
이정원 (경상도)
부전승
3. 2. 2. 해설
8강 토너먼트는 블록별로 진행되었다. A블록에서는 이정원(경상도)이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올랐고, B블록에서는 김대명(서울2)이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올랐다. 하지만 김대명(서울2)이 부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었고, 대체 선수로 김대명에게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됐던 한이문(충청도)을 리저브로 최종 결승전에 투입하려 했으나, 한이문마저 계속되는 경기로 인한 잔부상으로 경기를 더 이상 치를 수 없는 상황이 되어 결국 이정원 선수가 부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본선 8강 토너먼트는 블록별로 진행되었다. A블록에서는 이정원(경상도)이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진출했고, B블록에서는 김대명(서울2)이 우승하여 최종 결승전에 진출했다. 하지만 김대명(서울2)이 부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었고, 대체 선수로 김대명에게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던 한이문(충청도)을 리저브로 최종 결승전에 투입하려 했으나, 한이문마저 계속되는 경기로 인한 잔부상으로 경기를 더 이상 치를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결국 이정원 선수가 부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구분
경기
선수 1
결과
선수 2
비고
A블록
4강전 1경기
류정용 (전라도)
서브미션(암바)
박광수 (서울1)
2R
4강전 2경기
김태진 (경기도)
3R
이정원 (경상도)
TKO(펀치)
B블록
4강전 1경기
김대명 (서울2)
판정
김이삭 (경상도)
3R
4강전 2경기
이정빈 (강원도)
2R
한이문 (충청도)
TKO(기권)
결승전
A블록
이정원 (경상도)
판정
류정용 (전라도)
3R
B블록
한이문 (충청도)
3R
김대명 (서울2)
판정
최종 결승전
김대명 (서울2)
-
이정원 (경상도)
부전승
3. 3. 시즌 3
주먹이 운다중국어 시즌 3은 전국에서 2,200명의 도전자들이 지원하여 2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진행되었다. 서울, 부산, 대전에서 지역 예선을 통해 120명이 합격, '지옥의 3분'이라는 현역 프로 선수와의 대결을 거쳤다. 광기, 독기, 용기팀 멘토들의 평가로 29명이 합격했고, 정문홍 대표와 김대환 해설위원의 와일드카드로 3명이 추가되어 총 32명이 선발되었다. 이후 팀 내 1대1 배틀을 통해 각 팀 5명씩, 총 15명이 최종 합격했다.
전국에서 2,200명의 도전자들이 지원하여 2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120명이 합격했다. 이들은 서울, 부산, 대전에서 진행된 지역 예선에서 현역 프로 선수들과 3분 동안 맞붙는 '지옥의 3분'을 거쳤다. 광기팀, 독기팀, 용기팀의 멘토들이 도전자들의 실력을 평가해 최종 합격자를 결정했다. 총 29명이 합격했으나, 각 팀 10명씩 총 30명을 선발하기 위해 정문홍 대표와 김대환 해설위원이 탈락자 중 최부용, 원구연, 안기수를 와일드카드로 추가 선발했다. 이후 팀 내 1대1 서바이벌 배틀 매치를 통해 각 팀 5명씩, 총 15명의 최종 합격자가 선발되었다.
최종 합격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광기팀
독기팀
용기팀
곽성익
김용근
박현우
김용재
김형수
박형근
임병희
오정두
안기수
임진용
이찬호
윤성준
전재현
최익호
홍영기
3. 4. 도쿄 익스프레스
東京エクスプレス일본어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격투기 선수들이 대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본의 프로그램인 디 아웃사이더에서 도전자들을 선발했다.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까지 완료하여 제공해드리겠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